•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주간 국제유가 및 시장동향(420호)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주간 국제유가 및 시장동향(420호)"

Copied!
3
0
0

Teks penuh

(1)

2013년 2월 4주

01

1. 현물 유가

주간 현물원유 및 석유제품 가격 추이

자료: 한국석유공사

2월 넷째 주(2.22~3.1) 국제유가는 미국의 예산 자동삭감(시퀘스터) 발동과 총선 이후 이탈리아 정국 불안으로 인한 경제회복 우려로 하락세를 나타냄.

미국 연방정부의 시퀘스터가 공식적으로 발효(3.1)되면서 정치권이 미국 경제 회복의 걸림돌로 작 용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됨.

- 백악관과 의회는 부채한도 조정 협상과정에서 ‘12년 연말까지 재정적자 감축안을 합의하지 못할 경 우 시퀘스터를 발효하기로 했으며(‘11.8월), 발효가 한차례 연장되어 협상 기한이 2월 28일이었음.

- 연방정부 재정 지출은 ‘13년 회계연도(9.30까지)에 850억 달러, 향후 10년간 1조 2,000억 달러가 자동 삭감됨.

※ 850억 달러는 올해 연방예산 3.6조 달러의 2.4%이며, 삭감대상 항목은 국방예산 425억 달 러, 비국방예산 425억 달러임.

- 시퀘스터의 영향은 4월부터 본격화 될 것으로 예상되며, 미국 의회예산청은 시퀘스터의 발동으 로 미국 경제성장률이 0.5%p 하락하고, 실업률이 0.2%p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으며, IMF 역시 2.0%로 전망했던 미국의 ‘13년 경제성장률을 최소 0.5%p 하향 조정할 것이라 밝힘(3.1).

- 시퀘스터 발효까지 합의에 이르지 못한 정치권에 대한 불신이 크게 증가한 상태로 향후 확정 예 산안 처리(27일), 정부 부채한도 상향 조정(5.18)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음.

2013. 2. 22~2013. 3. 1.

420

(2)

주간 국제유가 및 시장 동향

02

2. 선물 유가

※ 현재 미국 연방정부는 잠정 예산안으로 운영중(3.27까지)이며, 예산안 합의에 이르지 못 할 경우 연방정부의 기능이 중지되는 폐쇄의 우려가 있음.

이탈리아 총선 결과 안정적인 정부 구성이 실패하면서 국정 공백이 불가피한 상황이 되어 긴축정 책을 통한 경제회복 정책이 당분간 표류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됨.

- 이탈리아 총선 개표 결과 현정부의 긴축정책을 지지하는 민주당이 하원에서는 과반의석을 확보 했지만, 상원에서는 과반에 37석 못미친 119석을 얻음.

- 마리오 몬티 현총리의 중도연합은 상원에서 22석을 얻는데 그쳐 당초 예상되었던 ‘민주당-중도연 합’ 연대가 이루어 지더라도 안정적인 정부 구성이 불가능한 상황임.

지난주 미국 석유재고는 원유와 중간유분이 증가한 반면, 휘발유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 미국 원유재고는 전주 대비 1.1백만 배럴 증가한 377.5백만 배럴을 기록함.

- 미국 휘발유재고는 전주 대비 1.9백만 배럴 감소한 228.5백만 배럴을 기록하였으며, 중간유분 재고는 0.6백만 배럴 증가한 124.2백만 배럴을 나타냄.

Nymex-WTI 선물가격 및 비상업순매수 추이

자료: Reuters, CFTC, 한국석유공사

2월 26일 기준 Nymex-WTI 선물유가는 전주 대비 $4.03/배럴(4.2%) 하락한 $92.63/배럴을 기록함.

3월 1일 기준 Nymex-WTI 선물유가 원월물(12월물)과 최근월물의 스프레드는 $0.75/배럴로 콘 탱고(contango) 상태를 유지함.

미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가 발표한 2월 26일 기준 Nymex의 대형 투기자금에 의한 원유

(WTI)선물거래 순매수는 전주 대비 21.8백만 배럴 감소한 236.1백만 배럴을 기록함.

(3)

2013년 2월 4주

03

미국 석유수급 통계

1) 석유재고(전략비축유 제외)

(단위: 백만 배럴)

일자

구분 2/1 2/8 2/15 2/22 전주대비

물량 변동률

원 유 371.7 372.2 376.4 377.5 +1.1 +0.3%

휘발유 234.0 233.2 230.4 228.5 -1.9 -0.8%

중간유분(난방유 등) 129.6 125.9 123.6 124.2 +0.6 +0.5%

중 유 34.4 35.1 35.6 35.6 0.0 0.0%

2) 원유정제투입량

(단위: 백만 b/d)

일자

구분 2/1 2/8 2/15 2/22 전주대비

물량 변동률

원유처리량 14.43 14.31 14.18 14.51 +0.33 +2.3%

가동률(%) 84.2 83.8 82.9 85.1 - +2.2p

3) 석유제품 소비

(단위: 백만 b/d)

일자

구분 2/1 2/8 2/15 2/22 전주대비

물량 변동률

휘발유 8.42 8.40 8.44 8.60 +0.16 +1.9%

중간유분(난방유 등) 3.62 3.94 3.81 3.50 -0.31 -8.0%

중 유 0.20 0.23 0.21 0.19 -0.03 -12.6%

총석유제품 18.05 19.05 18.41 18.68 +0.27 +1.5%

4) 수입 및 생산

(단위: 백만 b/d)

구분

수 입 생 산

2/8 2/15 2/22 전주대비

2/8 2/15 2/22 전주대비

물량 변동률 물량 변동률

원유 7.51 7.69 7.96 +0.27 +3.5% 7.06 7.12 7.10 -0.02 -0.3%

휘발유 0.61 0.51 0.58 +0.07 +13.9% 8.90 8.94 9.21 +0.28 +3.1%

중간유분 0.14 0.29 0.16 -0.14 -46.9% 4.36 4.27 4.48 +0.21 +5.0%

중유 0.26 0.22 0.10 -0.13 -56.3% 0.47 0.46 0.53 +0.07 +14.4%

자료: EIA/DOE

Referensi

Dokumen terkait

미 멕시코 만의 허리케인 발생 가능성에 따른 공급차질 우려는 유가상승 을 지지, 미 국립허리케인센터는 카리브 지역 열대성 저기압이 허리케인 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80%에 달한다고 분석함.. 25까지의 월평균 값 자료:

주 후반 유럽중앙은행ECB 총재의 양적완화정책 중단 가능성 발언으로 달러화는 강세로 전환, 총재는 인플레이션 방지를 위해 정책 당국자들이 점진적으로 긴급 유동성 지원을 줄여야 한다고 언급함... 주 후반 미 IT 및 반도체 분야에 대한 투자 의견 하향 조정에 따른 증시 하락과 달러가치의 강세로 전주대비 보합세를

주 초반 프랑스 연금개혁법안 반대 시위로 인한 프랑스 12개 정유사 파업 은 공급차질 우려를 확산시키며 유가 상승을 초래함...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추가적인 양적완화정책 시행에 대한 기대는 유가 상승을

사우디아라비아 석유부 장관의 OPEC 증산 가능성 시사로 유가 상승세 제한 사우디아라비아의 석유부 장관인 Ali al-naimi는 OPEC이 중국과 인도 등의 원유 수요 급증에 대응하기 위해 증산할 수 있다고 언급함... 14까지의 월평균 값 자료: www.reuters.com 1월 넷째 주 NYMEX-WTI 선물 유가는

∙ 이란 최고지도자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는 미국의 양자대화 제안을 거부하며, 자국의 협상파에게 도 경고 메시지를 보내2.7 향후 이란과의 핵협상은 난항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됨.. - 하메네이는 ‘협상으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며 미국의 협상 제안과 이에 호의적인 자국의 협상파에게 반대 의사를

14까지의 월평균 값 자료: www.reuters.com 3월 둘째 주 NYMEX-WTI 선물 유가는 중동 정정불안이 상승요인으로 작용하 였으나 미 원유재고 증가와 일본 대지진 여파로 안전자산인 달러화 수요가 증 가함에 따라 상승세를 나타냄... 원유 및 제품재고 3월 4일 기준 미국 석유재고는 원유가 전주대비 증가하고

- 러시아는 서방의 군사개입에 반대 입장을 유지하는 가운데, 특히 푸틴 대통령은 시리아에 무기 공급을 지속하며, 시리아정부군가 외부로부터 공격당할 경우 지원할 것을

시리아 반정부군을 지지하고 있는 아랍연맹과 정부군을 지지하는 이란 간 갈 등도 증폭되는 양상을 보임에 따라 이란 핵문제와 함께 중동 지역 원유공급 에 대한 불확실성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