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10월 2주 1 (단위: $/배럴)
10/7 10/14 증감
WTI 82.97 87.00 +4.03
브렌트 106.28 114.34 +8.06
두바이 100.35 105.25 +4.90
1.현물 유가
주간 현물원유 가격 추이
자료: 한국석유공사
10
월 둘째 주(10.10~10.14)
국제유가는 미국 원유재고 감소 및 중국 원유수 입 감소에도 불구하고 유럽 금융지원 확대 가능성 및 시장 안정 기대와 미 국 경기지표 개선에 따른 세계 경기침체 우려 완화로 상승세를 나타냄.
독일과 프랑스가 유로존 지원 대책마련을 합의한 가운데 유럽재정안정기금
(EFSF)
증액안의 비준이 확실시됨에 따라 유럽 금융시장 안정에 대한 기대감이 커짐
.
독일 메르켈 총리와 프랑스 사르코지 대통령이 유럽은행에 대한 자본 확충과 그리스 부채 처리 방안에 대해 이번 달 내로 대책을 마련하는 것에 합의함
.
유럽재정안정기금(EFSF)
을4,400
억 유로 규모로 확대하는 안이 슬로바키아의 최종승인을 남겨둔 가운데 슬로바키아 의회가 승인에 합의할 것으로 예상됨 에 따라14
일까지는EFSF
증액안의 비준이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됨.
한편
,
주말을 앞두고 독일 총리의 유럽 재정위기 장기화 가능성 발언에 따라 시장 불안감이 고조됨.
미국 소비지표 개선에 따라 미국 경기회복 지연에 대한 우려를 완화함
.
미국 상무부는9
월 미국 소매판매가 전월대비1.1%
증가하였다고 발표함.
이는 당초 블룸버그 통신이 예상한0.7%
를 상회하는 것이며4
개월 연속 증가 세를 나타낸 것임.
주간 국제유가 및 시장 동향
Vol. 348 2011. 10. 7. ~ 2011. 10. 14.
2 2011년 10월 2주
주간 국제유가 및 시장 동향
중국의
9
월 원유수입이 전년 동월대비12%
감소한 것으로 집계되어 세계 석유수요 증가세 둔화 가능성을 높임.
주요 선진국 경기둔화에 따른 중국 내 생산 활동 위축 물가관리 정책에 따 른 것으로 해석됨
.
한편
,
블룸버그 통신은 중국의3
분기 경제성장률이9.3%
로 전 분기보다0.2%p
하락할 것으로 전망함.
미국 지난주 석유재고는 원유재고는 증가한 반면 휘발유와 중간유분 재고 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
에너지정보청
(EIA)
에 따르면 지난주10
월7
일까지의 미국 원유재고는 전주 대비1.3
백만 배럴 증가한337.6
백만 배럴을 기록하였으며 원유 수입 증가 및 정제가동률 하락이 원인임.
휘발유 재고는 전주대비
4.1
백만 배럴 감소하였으며,
중간유분 재고는 전주 대비2.9
백만 배럴 감소함.
2.선물 유가
Nymex-WTI 선물거래 가격 및 비상업 순매수 추이 (10월 11일 기준)
(단위: 계약)
매수(A) 매도(B) 순매수
(A-B)
상업용 674,231 794,796 -120,565
비상업용 312,293 191,232 121,061
주: (A-B)가 (-)인 경우 순매도를 나타냄 자료: Reuters, CFTC
10
월11
일 기준Nymex-WTI
선물유가는 전주대비13.4%
상승한$85.81/
배 럴을 기록함.
미 상품선물거래위원회
(CFTC)
가 발표한10
월11
일 기준Nymex
의 대형 투 기자금에 의한 원유(WTI)
선물거래 순매수는 전주대비12.9
백만 배럴 증가한121.1
백만 배럴을 기록함.
2011년 10월 2주 3
미국 석유수급 통계
1)
석유재고(
전략비축유 제외)
(단위: 백만 배럴, %) 일자
구분 9/16 9/23 9/30 10/7 전주대비
물량 변동률
원 유 339.0 341.0 336.3 337.6 +1.3 +0.4%
휘발유 214.1 214.9 213.7 209.6 -4.1 -1.9%
중간유분(난방유 등) 157.6 157.7 156.9 154.0 -2.9 -1.8%
중 유 35.3 33.8 33.6 33.6 0.0 0.0%
2)
원유정제투입량(단위: 백만 b/d, %) 일자
구분 9/16 9/23 9/30 10/7 전주대비
물량 변동률
원유처리량 15.31 15.18 15.10 14.54 -0.56 -3.7%
가동률(%) 88.3 87.8 87.7 84.2 - -3.5%p
3)
석유제품 소비(단위: 백만 b/d) 일자
구분 9/16 9/23 9/30 10/7 전주대비
물량 변동률
휘발유 8.86 8.96 8.96 9.01 +0.05 +0.6%
중간유분(난방유 등) 3.88 3.82 4.10 4.07 -0.03 -0.8%
중 유 0.36 0.65 0.53 0.35 -0.18 -33.7%
총석유제품 19.02 19.08 19.10 18.74 -0.36 -1.9%
4)
수입 및 생산(단위: 백만 b/d) 구분
수 입 생 산
9/23 9/30 10/7 전주대비
9/23 9/30 10/7 전주대비
물량 변동률 물량 변동률
원유 9.70 8.70 9.09 +0.39 +4.4% 5.76 5.80 5.88 +0.08 +1.3%
휘발유 0.54 0.51 0.42 -0.09 -17.2% 9.28 9.29 8.91 -0.37 -4.0%
중간유분 0.15 0.21 0.12 -0.09 -43.8% 4.56 4.67 4.41 -0.25 -5.4%
중유 0.34 0.33 0.25 -0.08 -24.6% 0.51 0.60 0.53 -0.07 -11.2%
자료: EIA/DO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