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주간 국제유가 및 시장 동향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주간 국제유가 및 시장 동향"

Copied!
3
0
0

Teks penuh

(1)

2012년 9월 3주 1 (단위: $/배럴)

9/14 9/21 증감

WTI 98.98 92.77 -6.21

브렌트 116.89 111.29 -5.60

두바이 115.41 108.18 -7.23

1.현물 유가

주간 현물원유 가격 추이

자료: 한국석유공사

9

월 셋째 주

(9.14~9.21)

국제유가는 스페인의 전면 구제금융 논의에도 불구 하고

,

미국의 전략비축유

(SPR)

방출 소식 및 경제지표 부진과 사우디아라비 아의 증산 소식으로 하락함

.

국제원유 시장이 상승세를 보이던 중 미국 정부가 전략비축유를 방출할 수 있다는 소문

(17

)

과 미국

9

월 제조업 지수의 하락 소식이 전해짐

.

백악관 대변인

Jay Carney

전략비축유 방출에 대해 가능한 모든 방법을 고려하고 있지만

,

이번에 발표할 것은 없다

고 밝힘

.

9

월 미국의 엠파이어스테이트 제조업 지수는 전월대비

4.56

하락하여

2009

4

월 이후 최저치인

–10.41

을 기록함

.

중동 지역의 익명의 관료는

OPEC

국가들이

$100/

배럴 이하의 유가를 원 하고 있으며

,

이를 위해 원유 추가 공급과 같은 노력을 하고 있음을 밝힘

.

사우디아라비아가 유가를 낮추기 위해

9

월 들어 원유 생산량을

1,000

b/d

수준에서 유지하고 있다고 밝힘

.

사우디는 주요

7

개국

(G7)

재무장관이 산유국에 원유 추가 공급을 요청

(8

18

)

했을 당시 거절했으나

,

이후에도 유가 상승세가 지속되며 세계경기 둔화 우려가 심화되자 증산을 결정한 것으로 보임

.

주간 국제유가 및 시장 동향

Vol. 397 2012. 9. 14. ~ 2012. 9. 21.

(2)

2 2012년 9월 3주

주간 국제유가 및 시장 동향

사우디 석유장관

Ali Naimi

역시 지나치게 높은 수준의 유가에 대한 우려를 표시하며

,

적절한 수준에서 원유가격을 유지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발언한 바 있음

(9

10

).

파이낸셜타임스는 스페인이 전면 구제금융을 받기 위해 유럽연합

(EU)

과 논 의 중이라고 보도함

.

스페인이

EU

에 전면적인 구제금융을 신청했으며

,

유럽중앙은행

(ECB)

이 스페 인의 국채를 무제한 매입하는 것에 대해 논의 중임

.

지난주 미국 석유재고는 원유가 증가하였으며

,

휘발유

·

중간유분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

미국 원유재고는 전주 대비

8.5

백만 배럴 증가한

367.6

백만 배럴을 기록함

.

미국 휘발유재고는 전주 대비

1.4

백만 배럴 감소한

196.3

백만 배럴을 기록하 였으며

,

중간유분재고 역시

0.4

백만 배럴 감소한

128.2

백만 배럴을 나타냄

.

2.선물 유가

Nymex-WTI 선물거래 가격 및 비상업 순매수 추이 (9월 18일 기준)

(단위: 계약)

매수(A) 매도(B) 순매수

(A-B)

상업용 672,515 951,128 -278,613

비상업용 396,187 129,036 +267,151

주: (A-B)가 (-)인 경우 순매도를 나타냄 자료: Reuters, CFTC

9

18

일 기준

Nymex-WTI

선물유가는 전주 대비

1.93%

하락한

$95.29/

배 럴을 기록함

.

미 상품선물거래위원회

(CFTC)

가 발표한

9

18

일 기준

Nymex

의 대형 투 기자금에 의한 원유

(WTI)

선물거래 순매수는 전주 대비

18.5

백만 배럴 증가 한

267.2

백만 배럴을 기록함

.

(3)

2012년 9월 3주 3

미국 석유수급 통계

1)

석유재고

(

전략비축유 제외

)

(단위: 백만 배럴) 일자

구분 8/24 8/31 9/7 9/14 전주대비

물량 변동률

원 유 364.5 357.1 359.1 367.6 +8.5 +2.4%

휘발유 201.2 198.9 197.7 196.3 -1.4 -0.7%

중간유분(난방유 등) 126.1 127.1 128.6 128.2 -0.4 -0.3%

중 유 33.7 33.1 33.6 33.2 -0.4 -1.2%

2)

원유정제투입량

(단위: 백만 b/d) 일자

구분 8/24 8/31 9/7 9/14 전주대비

물량 변동률

원유처리량 15.38 14.61 14.32 14.92 +0.60 +4.2%

가동률(%) 91.2 86.1 84.7 88.9 - +4.2p

3)

석유제품 소비

(단위: 백만 b/d) 일자

구분 8/24 8/31 9/7 9/14 전주대비

물량 변동률

휘발유 9.06 9.18 8.70 8.63 -0.06 -0.7%

중간유분(난방유 등) 3.56 3.22 3.27 3.69 +0.42 +12.7%

중 유 0.49 0.38 0.20 0.34 +0.14 +66.2%

총석유제품 19.12 18.94 18.00 18.33 +0.34 +1.9%

4)

수입 및 생산

(단위: 백만 b/d)

구분

수 입 생 산

8/31 9/7 9/14 전주대비

8/31 9/7 9/14 전주대비

물량 변동률 물량 변동률

원유 8.04 8.57 9.85 +1.28 +15.0% 5.49 5.53 6.28 +0.75 +13.6%

휘발유 0.96 0.80 0.46 -0.34 -42.7% 9.28 8.95 9.12 +0.17 +1.9%

중간유분 0.14 0.14 0.16 +0.02 +10.4% 4.34 4.45 4.56 +0.12 +2.6%

중유 0.23 0.18 0.18 +0.00 +1.1% 0.46 0.49 0.46 -0.03 -6.1%

자료: EIA/DOE

Referensi

Dokumen terkait

그러나 넷째 주에 들어와서는 정제시설 가동에 일부 차질이 발생 하면서 여름철 휘발유 수급차질에 대한 우려가 되살아나며 완만한 상승세로 돌아서는 모습임... 하지만 넷째 주로 넘어오면서 완만한 상승세의 양상을 띠고

중장비 제조업체 캐터필러와 의약품 업체인 머크, 그리고 듀폰과 코카콜 라의 2분기 실적이 예상치를 웃돌거나 전년대비 실적 개선이 나타남에 따라 경기 낙관론은 더욱 확산되었으며, 벤 버냉키 미 연방준비제도이사 회 의장의 경기 안정화지지 발언도 주 중반 미 증시 상승을 유발함.. 또 예상보다 적은 폭의 주간 신규실업수당 신청자

이에 대해 신용평가사 무디스는 ‘총 부채의 70%를 차지하는 공공부채 중 두드 러진 일부만 줄여주는 과사용에 불과하다’고 지적하며 그리스가 계획대로 구조 조정을 이행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평가함.. 미국 재정절벽fiscal cliff 협상 난항으로 미국 경기회복이 또 다시 지연될 수 있다는 우려가

독일과 프랑스의 정상회담이 개최된 가운데 유럽 재정위기 해결을 위한 유로 채권발행에 대해 구체적인 합의를 도출하지 못함에 따라 시장 불안이 증폭됨.. 일본 2분기 GDP는 대지진 및 쓰나미 피해에도 불구하고 선전한 것으로 평 가되었으며 미국 정부가 경기침체를 방어하기 위해 3차 양적완화에 나설 것이란 기대감이

터키와 시리아 정부군 간의 교전이 지속됨에 따라 시리아를 관통하는 40만 b/d 용량의 Kirkuk이라크 북부-Ceyhan터키 송유관 가동이 중단될 수 있 다는 우려가 제기됨.. 또한 터키 정부가 러시아를 떠나 시리아 수도로 향하던 민간 여객기를 군사 장비 운반협의로 강제 착륙시키면서 터키와 시리아 간 갈등이 더욱

09까지의 월평균 값 자료: www.reuters.com 10월 첫째 주 NYMEX-WTI 원유 선물시장 유가는 기업실적 개선과 고용지 표의 호전에 따른 미 증시 상승세와 달러가치의 하락으로 전주대비 상승 함.. 자료: Nymex,

국방수권법은 이란 중앙은행과 거래하는 모든 경제주체에 대해 미국 금융기 관과의 거래를 금지하는 이란 제재안을 포함하고 있어 사실상 이란 석유금수 조치임.. 이 법은 6개월의 유예기간을 거쳐 발효될 예정으로 이란산 원유 수입국은 수 입 물량을 단계적으로 줄여나갈 것으로

한편, 프랑스 대선에서 사회당 올랑드 후보가 승리할 것이 확실시됨에 따라 지난해 유럽연합이 합의한 신재정협약에서 프랑스의 이탈 우려가 제기됨.. 미국은 제조업 지표가 일부 개선되었으나 소비, 고용 및 비제조업 지표 등 이 부진을 나타냄에 따라 경기회복 지연 우려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