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중국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중국"

Copied!
4
0
0

Teks penuh

(1)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0호 2016.6.3

23

중국

▣중국, 원유 공급과잉과 석유 소비 증가세 둔화로 정유기업의 수익 감소 전망

¡ 중국 국영석유기업 Sinopec 경제기술연구원은 작년부터 상무부가 민영정유기업에 원유수입 라 이선스를 부여하면서 원유 공급이 늘어난 반면, 석유제품 소비 증가세는 둔화됨에 따라 중국 정유기업의 수익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함(2016.5.25).

‒ Sinopec은 올해 말까지 민영정유기업에 대한 원유수입 라이선스 부여 건수가 더욱 늘어나 민

영기업의 원유수입량이 7,000~9,000만 톤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였음.

・ 중국 해관총서의 통계에 따르면, 올해 4월 중국 총 원유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8.6% 증 가한 3,290만 톤에 달함.

‒ 민영정유기업의 정제능력은 중국 전체 정제능력(7.2억 톤)의 약 35%(2.5억 톤)에 불과하나, 2015 년 상무부가 민영정유기업에 원유수입 라이선스를 부여해 독자적으로 원유를 수입하고 정제하 여 판매하면서 중국의 원유수입량이 증가하였음.

・ 현재 10개 민영정유기업이 원유수입 라이선스를 신청해 상무부의 승인을 기다리는 중임.

2015년 7월 중국 상무부는 국영기업이 독점하던 원유수입부문에 민영정유기업의 참여를 확

대하도록 한 바 있음(인사이트 제15-29호(2015.8.7일자) p.40 참조).

‒ 2011년 이후 중국의 정제능력은 빠르게 증가한 반면 석유제품 소비 중가세는 둔화됨에 따라

정제설비 과잉 현상이 발생하고 있음.

주 : 경질 석유제품(휘발유, 경유, 등유)의 생산 및 소비량임.

자료 : NDRC

< 중국 경질 석유제품 생산 및 소비 변화 추이(2007~2015년) >

(단위 : 만 톤)

(2)

24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0호 2016.6.3

‒ 민영석유기업인 산둥징보(山東京博) 석유화학유한공사는, 2015년 중국의 정제설비 용량은 1억 톤 과잉 상태이었음에도 2016년에 0.9억 톤이 증설되어 정제설비 용량 과잉현상이 심화됨에 따라 정유산업의 수익성이 악화될 것으로 전망함.

¡ 한편, 산둥징보(山東京博) 석유화학유한공사는 6월 중에 사우디의 Aramco社부터 73만 배럴의

원유를 도입하기로 계약을 체결함(2016.4월).

산둥징보석유화학유한공사는 원유수입 라이선스를 처음으로 확보한 민영정유기업 중 하나로, 원유수입 허가량은 연간 331만 톤임.

‒ 이번 계약은 사우디가 중국 민영정유기업과 원유 선물거래 계약을 한 첫 번째 사례임.

(界面, 2016.5.26)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에 대한 과잉투자 우려

¡ 중국 각 지방정부는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에 집중 투자하여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하였지만, 업계에서는 과잉투자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음.

신에너지 자동차(New energy vehicles)는 휘발유와 경유 이외의 에너지를 사용하는 자동차 를 말하며, 순수 전기자동차, 플러그인하이브리드 자동차, 연료전지 자동차 등이 있음.

‒ 중국 정부는 최근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에 대해 다양한 지원책을 시행하고 있음.

・ 중국은 작년 10월부터 올해 12월까지 배기량 1,600CC 이하 차량 구매자에 대해서는 자동차 취득세를 50% 감면해주는 우대정책을 시행하고 있음(인사이트 제15-37호(2015.10.9일자) pp.39~40 참조).

・ 또한,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와 공업정보화부는 제조업 부양 정책을 발표하고 신에너지 자동차 및 에너지절약을 핵심사업으로 선정하였음(2016.5.18).

‒ 이에 따라 2015년 중국의 신에너지 자동차 누적 판매량은 약 50만 대에 달해 세계 최고 수준을 기록했으며, 대형 자동차 제조업체들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음.

・ Volkswagen은 220억 유로(약 247억 달러)를 중국 내 신에너지 자동차 사업에 투자하기로 함.

・ 중국 업체인 BYD(비야디)는 150억 위안(약 23억 달러)을 리튬 전지와 신에너지 자동차 연 구・개발에 투자하기로 하였으며, LIFAN(리판)은 신에너지 자동차 단지 건설에 15억 위안 (약 2억3천만 달러)을 투자하기로 함.

¡ 중국 관영 중국인민방송(央廣網)은 2015년 1월∼2016년 3월 중 신에너지 자동차 프로젝트에 의 투자액은 1,000억 위안(약 152억 달러)에 달하고, 동기간 중 진행된 신에너지 자동차 프로젝트 는 30개 이상으로, 약 2주에 하나 꼴로 추진된 만큼 투자가 과열 양상을 보이고 있다고 보도함.

‒ 또한, 신에너지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현재 중국 기업들이 지나치게 많은 자원을 신에너지 자동차 생산 확대에 투자하고 기술 개발에는 소홀히 하고 있다면서, 이는 향후 경쟁력 확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밝힘.

(3)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0호 2016.6.3

25

‒ 신에너지 자동차뿐만 아니라 2015년부터 약 1,000억 위안 규모의 막대한 자금이 전지 부문에 투자됨에 따라 부작용이 우려되고 있음.

(經濟參考報, 2016.5.26)

▣중국, 석탄 생산량 감소로 가격 상승세 지속 전망

¡ 중국 정부가 지난 2월 ‘석탄산업 공급과잉 해소에 관한 의견’을 발표한 이후, 주요 석탄생산지의 석탄 생산량이 감소세를 보여 4월부터 석탄가격이 반등하기 시작하였음.

국무원은 2015년 12월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 제시한 2016년 중점과제인 ‘과잉 생산능력 해소에 대한 대응방안으로 ‘석탄산업 공급과잉 해소에 관한 의견을 발표하여(2016.2.5), 2016년부터 3~5년 내에 5 억 톤을 감산해 과잉생산 해소 추진을 결정한 바 있음(인사이트 제16-6호(2.19일자) pp.23~24 참조).

‒ 올해 4월부터 후난, 허베이, 산시 등 각 지방정부에서도 석탄 공급과잉 해소에 관한 구체적인 조치를 마련해, 기업들이 생산량 상한선을 엄격히 준수하도록 함에 따라 석탄 생산량은 급격히 감소하기 시작하였음.

・ 국가통계국의 자료에 따르면, 4월 중국 전체 석탄 생산량은 전년 동기 대비 11% 감소한 2억 6,803만 톤이고, 1~4월 누적 생산량은 전년 동기 대비 6.8% 감소한 10억 8,100만 톤임.

‒ 중국석탄운송유통협회(CCTD)의 자료에 따르면, 네이멍구 일부 탄광의 5,500kcal 석탄 가격은 3월에 톤당 160위안에서 4월 180위안으로 인상되었고, 산시 위린(楡林) 탄광의 5,500kcal 연료탄 가격은 톤당 177위안으로 전월 대비 2위안 인상되었음.

자료 : 國家煤炭工業網

< 중국 석탄가격지수 변화추이(2015.5~2016.5월) >

¡ 중국석탄공업협회와 선화(新華), 중메이(中煤), 퉁메이(同煤), 이타이(伊泰) 등 중국 4대 석탄기업 은 ‘4+1’회의를 개최해 6월 평균 석탄가격을 5월보다 10위안/톤 인상하기로 발표함(2016.5.27).

중국 4대 석탄기업 중 선화(新華), 중메이(中煤), 퉁메이(同煤)그룹은 국영석탄기업이고,

타이(伊泰)그룹은 중국 최대 민영석탄기업임.

‒ 중국 정부가 지난 2월 ‘석탄산업 공급과잉 해소에 관한 의견’을 발표해 탄광들이 감산함에 따라 업계에서는 석탄가격이 조만간 인상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었음.

(4)

26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0호 2016.6.3

‒ 업계에서는 하절기에 발전용 석탄사용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데도 생산량이 감소함에 따라 가격을 인상한 것으로 분석함.

‒ 또한, 인도네시아 석탄 수입량이 감소하는 등 석탄 수입선이 줄어들고, 국제 해운 수송비 상승 도 석탄가격 인상의 또 다른 배경으로 분석됨.

‒ 투자은행 City社는 중국 정부가 중국 내 탄광의 채탄 조업일수를 기존 330일에서 276일로 줄이는 정책을 발표(2016.4.5)함에 따라, 올해 말에는 친황다오(秦皇島)의 발전용 석탄가격이 현재 톤당 376위안(약 57달러)보다 약 20% 상승한 450위안(약 68달러)으로 인상될 것으로 전망하였음.

‒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 관계자는 석탄 공급과잉으로 경영난에 처한 기업들의 수익성 개선을 위해 정부가 대안을 마련해 석탄 가격이 반등하고 있다고 밝힘. 그러나 석탄기업들은 이러한 가격 반등세가 지속하기만을 기대하기보다 차별화된 운영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덧붙임.

‒ 한편, 일부 북부지역 무역업체들은 6월에 석탄가격이 인상될 것으로 예상하고, 6월에 석탄을 선적하기 위해 최근 북부지역 항구의 석탄 재고가 증가하였음.

・ 5월 27일 기준, 친황다오(秦皇島), 차오페이뎬(曹妃甸), 징탕(京唐), 톈진, 황화(黃驊) 항구의 총 석탄 재고량은 전월 대비 181만 톤 증가한 1,497만 톤에 달하였음.

(北京商報, 2016.5.26; 中國證券報, 2016.5.30)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