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중요 해양생물서식지(해초지) 보전을 위한 제안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중요 해양생물서식지(해초지) 보전을 위한 제안"

Copied!
8
0
0

Teks penuh

(1)

중요 해양생물서식지(해초지) 보전을 위한 제안

김철도·안중관*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해양연구센터

Proposal for Conservation Plan of Marine Habitat (seagrass bed)

Cheol Do Kim and Jung Kwan Ahn *

Marine Research Center,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Yeosu 59769, Korea

요 약 :해초류는해양생태계의생산자, 서식지, 영양염순환과수질개선, 저질안정화, 생물다양성증진등매우중 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연안개발과 오염으로 해초지는 빠르게 소실되고 있는실정이다. 따라서본 연구는 중요 해 양생물서식지인 해초지의보전과관리방안을도출에도움이되고자한다. 해초지보전을위해서는 해초에대한모 니터링, 해초지보호구역과관리방안설정, 복원등이필요하다.

주요어 :해초, 해초지, 해양서식지, 국립공원

Abstract :Seagrasses provide key ecological service including food and shelter, nutrient cycling and water clarity, sediment stabilization, enhanced biodiversity. Seagrasses were declined with rapid environmental changes as a result of coastal human population pressu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management plans for the marine habitat (seagrass bed) in National park. Conservation of seagrass bed needs for seagrass protection, monitoring, management, and restoration.

Key words :Seagrass, Seagrass bed, Marine habitat, National Park

서 론

국내 천해(淺海) 역의 암반지대에는 모자반류나 감태 등 대형해조류가해중림을 형성하고있으며, 대표적인 해양생 물서식지로 알려져있다. 내만이나 하구역의 연성저질에는 해산 현화식물인 잘피류가 해초지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들 은 해양생물 서식처로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다(Dawes 1998;

김준섭 등 2013; Akio et al. 2016; Qin et al. 2016).

해초지는 육상의 삼림과 같이 광합성을 통한 1차 생산자 로써의 기본역할과 함께, 어패류의 산란장, 치어기의 은신 처와 보육장등서식지기능을수행한다. 해초류는사료, 퇴 비 혹은식용(거머리말 지하경)으로이용되었으며, 최근기 후변화의 주범으로 인식되고 있는 CO2의 흡수원, 수중 산소 공급원, 연안 유기물을 흡수하여 부영양화 방지 등 자연적 인 정화 및 치유를 하는 다양한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고 있 다(Yoon et al. 2012; Gonciarz et al. 2014; Echavarrỉa-Heras et al. 2015; Lopez-Calderon et al. 2016).

해초지를 형성하는 잘피류는 뿌리를 통한 퇴적물 내 유기 영양염을 흡수하고 산소를 공급하여 퇴적층 내 무산소층을 감소시킴으로 갯벌을 건강하게 유지시킨다. 국내·외에서는 해초 뿌리가 저질을 안정화 시키고, 군락이 밀집함으로해 수 유동을 제어하여 안정된 서식지를 제공하며, 태풍과 파 도와 같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연안 해양 생태계를 보호하고 있음이 중요시되고 있다(임 등 2009, Short and Short 1984, Green and Short 2003, Larkum et al. 2006, Kim et al. 2015).

연안의 개발과 오염으로 해양 서식지가 크게 감소하고 있 어 해양서식지의 보전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해초

지는아열대 및열대에 분포하는 맹그로브(mangrove), 염습

지(salt marshes) 그리고 산호초(coral reefs) 등과더불어 해 양생태계 건강성과 생물다양성을 유지하는 매우 중요한 서 식지로 보전과 관리가 매우 시급한 해양서식지 중의 하나이 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요 해양서식지인 해초지의 보전과 관리방안을 도출코자 하였다.

*Corresponding author E-mail: [email protected]

[총설]

(2)

국내·외 해초류 현황

해초류(seagrasses)는 해양에 생육하는 속씨식물(Angiosperms) 로 육상의 백합 및 생강과 근연관계이다. 약 30만종의 종자 식물 중에서 0.01%(59종)만이 해양 환경에 적응되어 생육하 고 있다. 해초류의 분류는 학자에 따라 이견을 보이는데, Kuo and McComb(1989)는 4과, 12속, 58종으로 분류하였으

며, Spalding 등(2003)은 기수역에 분포하는 Ruppia(Ruppi- aceae)를 포함하여 5과 12속 59종으로 분류하였다(Figure 1, Table 1).

국내에 생육하고 있는 해초류는 거머리말속 5종(거머리말, 왕거머리말, 포기거머리말, 수거머리말, 애기거머리말)과 새 우말속 2종(새우말, 게바다말) 그리고 줄말속과 해호말속 각

1종(줄말, 해호말) 등 총 9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보고되었

Figure 1. Global seagrass distribution shown as blue points and polygons (data from 2005 UNEP-WCMC) and geographic bioregions:

1. Temperate Nprth Atlantic, 2. Tropical Atlantic, 3. Mediterranean, 4. Temperate North Pacific, 5. Tropical Indo-Pacific, 6. Temperate Southern Oceans (Short et al. 2007).

Table 1. The global distribution of seagrass species within 6 geographic bioregions (Fig. 1) based on assemblages of taxonomic groups in temperate and tropical areas and the physical separation of the world's oceans (Short et al. 2007).

생물권역

(Bioregion) 분포특징 분포종

1. 온대북대서양

(노스캐롤라이나, 미국에서포르투갈)

낮은다양성의 온대해초류(5종) 가강어귀와석호에분포

Ruppia maritima, Zostera marina, Z. niltii, Cymodocea nodosa, Halodule wrightii

2. 열대대서양

(카리브해, 멕시코만, 버뮤다, 바하마, 열대대서양연안)

높은다양성의열대해초류(10종) 가후암초(back reefs)와얕은모래 톱안의청수에분포

Halodule beaudettei, H. wrightii, H. johnsonii, Halophila baillonii, H. engelmanni, H. stipulacea, R. maritina, Syringodium filiforme, Thalassia testudinum 3. 지중해

(지중해, 흑해, 카스피해, 아랄해, 북서아프리카)

중간정도 다양성의 광대한 초지와 열대와 온대의 혼합형 해초지가 청수에분포

C. nodosa, Posidonia oceanica, Ruppia cirrhosa, R. maritima, Z. marina, Z. noltii, H. wrightii, H. decipiens, H. stipulacea

4. 온대북태평양

(한국에서멕시코바하)

높은다양성의온대해초류(15종) 가하구, 석호, 연안쇄파대에분포

Phyllospadix iwatensis, P. japonicus, P. scouleri, P. serrulatus, P. torreyi, R. maritima, Zostera asiatica, Z. caespitosa, Z.

caulescens, Z. japonica, Z. marina, H. wrightii, H. decipiens, Halophila euphlebia, Halophila ovalis

5. 열대인도-태평양 (동아프리카, 서아시아, 동태평양의열대호주)

넓고다양성이높은생물권역: 열 대해초류(24종)가주로암초평지 뿐만아니라깊은수심에분포, 대 형초식자에의한섭식발생

Cymodocea angustata, C. rotundata, C. serrulata, Enhalus acoroides, Halodule pinifolia, H. uninervis, H. wrightii, Halophila beccarii, H. capricorni, H. decipiens, H. hawaiiana, H. minor, H. ovalis, H. ovata, H. spinulosa, H. stipulacea, H. tricostata, R. maritima, Syringodium isoetifolium, Thalassia hemprichii, T. ciliatum, Zostera capensis

6. 온대 남대양

(뉴질랜드, 온대 호주, 남아메리카, 남아프리카)

낮고-높은 다양성의 온대 해초류 (18종)가 광대한 초지형성, 종종 극 한상태에서도 생육

Amphibolis antarctica, A. griffithii, Halophila australis, Posidonia angustifolia, P. Australis, P. ostenfeldii complex, P. sinuosa, R. maritima, R. megacarpa, R. tuberosa, Thalassodendron pachyrhizum, Z. capensis, Z. muelleri, Z. tasmanica, H. decipiens, H. ovalis, S. isoetifolium, T. ciliatum

(3)

다. 대부분의 국내분포 해초류는 IUCN Red List에 등재 되 어있으며, 등재 현황은 멸종위기종(endangered species)에 게 바다말이등재되었으며, 새우말외 2종은취약종(vulnerable), 왕거머리말과 수거머리말은 위기 취약 근접종(near threat-

ened) 그리고 거머리말, 애기거머리말은 관심 필요종(least

concern)으로 등재되어 있다. 최근 몇 년 사이에 국내에서

보고되고 있는 해호말도 취약근접종으로 등재되어있는실 정이다(IUCN, 2010). 또한, 거머리말, 포기거머리말, 수거머 Table 2. Seagrass species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in Korea.

종 명 적색목록및

법정보호종지정현황 분포특성

(수심, 기질, 해역) 출현공원

왕거머리말

(Zostera asiatica Miki)

Near Threatened,

보호대상해양생물 9~15m, 사질, 동해안 - 포기거머리말

(Zostera caespitosa Miki)

Vulnerable B2ab(ii, iii),

보호대상해양생물 3~8m, 사질과자갈혼합, 전연안 한려, 다도해 수거머리말

(Zosterae caulescens Miki)

Near Threatened,

보호대상해양생물 6~12m, 니질및사질, 전연안 한려, 다도해 거머리말

(Zostera marina L.)

Least Concern,

보호대상해양생물 0~5m, 니질 및 사질, 전 연안 한려, 다도해, 태안 애기거머리말

(Zostera japonica Ascherson & Graebner) Least Concern 조간대, 니질및사질, 전연안 한려, 다도해

새우말

(Phyllospadix iwatensis Makino)

Vulnerable B1ab(ii, iii),

보호대상해양생물 0~3m, 암반, 전연안 태안, 다도해 게바다말

(Phyllospadix japonicus Makino)

Endangered B2ab(i, ii, iii),

보호대상해양생물 0~3m, 암반, 전연안 다도해

해호말(Halophila nipponica J. Kuo) Near Threatened 3~8m, 사질, 남해안 다도해

줄말

(Ruppia maritima L.) - 하구(니질및사질), 서해및남해안 -

Figure 2. Seagrasses distribution in Korea National Parks.

(4)

리말, 왕거머리말, 새우말, 게바다말의 6종이 『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해 보호대상해양생물로 지 정되어 있다. 국내 해초류 중 동해안에 서식하는 왕거머리 말과하구역에 서식하는 줄말을 제외하고는 국립공원 내에 분포하였다(Table 2).

전세계의 해초지면적은 164,000 km2로 호주에서 96,371

km2로 가장 넓었으며, 인도네시아 30,000 km2, 멕시코만 19,349 km2 등에서 넓게 나타났다(Green and Short 2003).

국내 해초지는 총 면적이 55~70 km2로 알려졌으며, 종류별 로는 거머리말 50~60 km2, 왕거머리말 1 km2 이하, 포기거 머리말 1 km2, 수거머리말 1~5 km2, 애기거머리말 1 km2, 새 우말 1 km2 이하, 게바다말 1~2 km2, 줄말 1 km2이하로 보 고되었다. 이들 해초지 면적은 공업화 이전인 1970년대에 비해 50%에서 최대 70~80%까지 감소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Lee and Lee 2003). 국립공원 내 해초지 면적은 2013 년도까지 약 0.24 km2로 조사되었는데(Figure 2), 이후의 연

구결과를 더하면 약 1.2 km2로 추정된다. 하지만, 공원구역

조정으로 남해앵강만, 거제 저구리와 다대리 등의 해초지 가국립공원 지역에서 제외되었으며, 해초지는 고정되지않 고 변화하는 특성이 있음으로 국립공원 내 해초지 면적에 대한 조사가 필요한 실정이다.

해초지 가치 및 감소요인

해양생물 서식지, 파도감소및 기질안정화등의 조절서

비스, 비료 및 식용 등의 문화서비스 등 다양한 이득을 안 겨주는 해초지의 가치는 US$ 19,004 ha-1yr-1 혹은 US$

3,801 billion yr-1(Costanza et al. 1997)로 추정하고 있다. 이

를 국내 해초지 면적으로 환산하면 US$ 104~133 million

yr-1의 가치로산정되며, 국립공원내해초지 1.2 km2는연간

US$ 2.3 million의 가치가있는것으로산정할 수있다.

실제로 국내 해초지에서는 통발어업을 통해 낙지, 꽃게 등의 어업소득을 올리고 있으며, 지역주민들도 해초지가 제 공하는 다양한 생태적서비스(산소공급, 영양염 흡수, 치어들 의 보육장 등)에 대해 잘 인식하고 있어 국내 해초지의 가 치에대한보다명확한연구가 요구되어 진다.

높은 가치를지니고있는 해초지는다양한원인으로감소 하고 있다(Figure 3). 해초지 감소요인과 위협요인들을 특성 에 따라 분류하면 먼저, 기계적인 감소요인인 선박의 투묘

(닻 내림)와 파괴적 어업(저인망), 연안개발 등으로 해초지의

이동(meadow removal)을 야기하며, 물리/화학적 원인인 수 질악화, 유기물증가및 부영양화 그리고높은퇴적물침적

작용으로인한초지감소(meadow decline)와초지손실(meadow

loss)이 일어난다. 기후변화 원인으로수온상승, 해수면상승

그리고 태풍 증가로 해초지가 매립되거나 손실이 발생한다 (Figure 4).

국내에서도 1970년대 이후 해초지의 감소가 크게 나타났 는데 주된 원인으로 연안개발과 산업화의 영향을 꼽을 수 있으며, 양식시설의 침입과 제초제의 유입, 항해 선박의증 가 등이복합적으로 작용한것으로 인식되고있다.

Figure 3. The major factors that contribute to loss of seagrass habitat (Texas Parks and Wildlife 1999).

(5)

해초지 보전 및 복원

해초지의보전을 위해서는앞서서술한 위협(감소)요인을 제거하는 일이다. 해초의위협요인에대해서는 다양한연구 가이루어졌는데, 먼저 Cappo 등(1998)은 해초지와어류서 식지의 주요 압력요인에 대한 정리를 하였으며, Leadbitter 등(1999)은 해초지에 대한 연구와 관리법을 기술하면서 지 역에 국한되지 않고 확장하여 세계적인 연관성에 대해 논의 하였다. Short 등(1993)은 미국 동부 연안의 해초류 관리 의 미와 인간과 자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서술하였다.

Fortes(1990)는동아시아에서해초감소원인과결과를기재

하며, 장기 혹은 단기의 광범위한 감소 효과와 자연 또는 인간에 의한 변화가 원인으로 나타난 해초류의 감소 영향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해초에 대한 위협요인 이외에도 해초지 면적, 구성 종, 개 화와 열매맺는 빈도, 1차와 2차 생산력 등 해초의 자연적 변화의환경다양성과범위의다양한변수들을모두 알아야 만 성공적인해초지 보호를할 수있다.

종합적인 해초지 보전을 위해서 이들에 대한 이해를 높이 는 환경과 해초지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해초지의 가치평가, 감소원인 파악, 교육과 홍보를 통한 보전의식을 고취시키는 한편, 해초의 위협요인에 대한 직접적인 규제와

보호를위한법령을제정하고있다(Texas parks and Wildlife

1996). 세계적으로도해초지에대한다양한 정보와관계법령,

환경에 미치는 영향분석과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다(Short and Coles 2001, Table 3).

실제적인 해초 보전 사례는 다음과 같다. 먼저 미국의 체 사피크만에서는 수질관리를 통해 해초 보전을 꽤하고 있다.

해초류(거머리말과줄말)의 생리학적, 개체생태학적 연구를 통해 얻어진 수질 자료를 바탕으로 해초류 생육에 적합한 수질기준을제시하고규제하였다. 호주의대보초(great barrier

reef) 해양공원에서는 해양보호구역을 통해 산호초, 해초 등

다양한 생물종, 서식지 그리고 생태계 보전을 실시하고 있 다. 호주의 대보초는 347,800 km2의 면적과 2,000 km 이상 의 해안선을 가지는 세계적인 해양보호구역으로 특히매우

엄격한 보전과 획득금지(no-take) 지역을 지정하여 엄중한

생태계 보호를 꽤하고 있다. 이들은 모두 과학적 연구결과 를 기반으로 생태계 보전을 실시하는 대표적인 사례로 알려 져 있다(Kenworthy et al. 2006).

미국에서는 해초서식지 보호법(Clean Water Act: 33 USC

1341-1987)을 통해 서식지 파괴를 최소화 하는 한편 대체

서식지 조성을 규정하고 있다(Federal Register 1990). 해초

지를복원하는 방법으로는성체이식과 파종을통한 복원방 법을 사용한다. 그 중 파종방법은 종자 얻기 어려우며, 종자 의 자연 발아율이 낮아 사용이 일반적이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성체이식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해초복원법이 며, 성체를 기질에 고정하는 방법에 따라 다양한 이식법이 개발되고 있다. 가장대표적으로알려진 해초이식및고정 방법으로는 해초 각 개체의 지하경을 핀으로 고정하는 핀 고정 방법과 다수의 해초를 틀에 고정시켜 유실을 최소화하 는 틀 고정법이 사용된다(Figure 5). 이외에도 진흙을 이용 한 이식방법(윤 등 2012), 암반에 생육하는 새우말류(Phyllo- spadix spp.)를 고정틀을 이용하여 이식하는 방법(황규호

2015) 등 해초류 이식방법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

고 있다.

지난 반세기동안 해초류 이식이 이루어 졌는데 대표적으 로 체사피크만, 플로리다 탬파만, 힐스버러만 등지에서 거머 리말에 대한 복원이 이루어 졌으며, 특히 탬파만 매너티항 에서는 항만 건설에 따른 해초 이주 즉 대체서식지 조성이 이루어졌다(Treat & Lewis 2003). 국내에서도 고성만과 거 제 다대만, 마산 진동만, 울산 태화강 하구, 여수 등지에서 해초류 이식연구가 진행되었다(박정임 등 2005; 한석중등 Figure 4. Threats to seagrass, root causes and effects (Di Carlo G. and McKenzie L.J. 2011).

(6)

2005; 국토해양부 2009).

국립공원 내 해초지 관리방안

국립공원 내 해초지에 대한 연구나 조사는각 공원 사무 소별 자연자원조사나 자원모니터링을 통해 이루어 졌으며

(국립공원관리공단 2007, 2008, 2009a, 2009b, 2010a, 2010b,

2011a), 국립공원연구원에서 수행한 “국제적 주요 관심자원

분포에 관한연구”(국립공원 2009c, 2010c, 2011b, 1012, 2013) 를 통해 해초지와 해초지 내 해양생물에 대한 연구가 수행 되었다.

중요해양생물 서식지인 해초지의 관리를 위해서는 다음 Table 3. Summary of seagrass protection for the seagrass regions (Short and Coles 2001).

지역 사용가능 정보 직접적 법령 해양보호구역 환경에미치는

영향(EIS) 분석 집행력 참고자료

북태평양 미국을제외한대부분 정보빈약

있음 - 미국의 순손 실방지법령과필수 어류서식지요건을 포함

다소있음 - 지역

에따라상이 미국을제외하고

보고되지않음 미국외부에서는 빈약함

Wyllie-Echeverria et al. 1994

NOAA 1998 UNEP 1999 Kirkman and Krikman 2000 칠레와 남서대서양 빈약 보고되지않음 보고되지않음 보고되지않음 보고되지않음 없음 북대서양 해양보호에대한좋은

일반적인정보 있음 - 국가에따라

다양함 있음 - 보호지역이 많지않음

있음 - 어업법과 순손실방지법령 을 포함

중등도이상

(보통에서높음)

NOAA 1998 Wolff 1997 카리브해 해양보호에 대한 좋은

일반적인 정보 멸종위기종 및 어업

법 있음 - 보호지역이

많지 않음 다소 있음 - 지역 에 따라 상이

미국에서중등도 이상(보통에서 높음)

Clark 1998 NOAA 1998 지중해 법률정보를 쉽게 사용

할 수 없음 국가간협정 보고되지않음 보고되지않음 남유럽에서중등 도이상

(보통에서높음)

UNEP 2000

남동대서양 남아프리카 와인도- 태평양

호주와필리핀이외의 대부분국가에서는정 보를찾을수없음

호주와필리핀은직 접적법률존재 - 대 부분태평양섬국가 들은현지법에따름

있음 - 남동아시아 와호주를포함한 대서양지역

일부국가에서

시행 대부분빈약 - 호주에서는높음

Fortes 1990 Maragos 1993 Coles 1996

Leadbitter et al. 1999 Kirkman and Lrikman 2000

호주 남부 우수함 있음 있음 있음 - 환경관리

계획(EMP's) 필수

보고되지 않음 - 하지만 중등도 이 상의 가능성 있음

Leadbitter et al. 1999

Figure 5. Seagrass transplanting methods, A) Horizontal Rhizome Method (HRM) in which two adult eelgrass shoots, with overlapping rhizomes are anchored into sediment using a bamboo skewer. B) TERFSTM method in which seagrass planting units with overlapping rhizomes are tied to a weighted frame (Treat & Lewis 2003).

(7)

과 같은방안을 제시한다. 1) 국립공원 내 해초지 분포 및 구성 종 조사: 해초류 보전을 위한 가장 기초적인 조사로 해초지 구성 및 분포에 대한 조사가 선행되어야만 해초지의 크기 등을 바탕으로 모니터링 및 보전 계획을 세울 수 있다.

2) 해초지 모니터링 계획 수립과 시행, 해초 서식지 정보 제 공: 비교적 장기적인 모니터링이 실시되어야만, 해초지의 변 동양상과 변동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전계획 이 수립되어야 한다. 또한이들에 대한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여야 조사결과 및 보전 계획에 대한 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3) 해초지 위협요인 저감 및 훼손방지: 준설, 항해 등 해초지에 위해요인을 저감 또는 제거(예방) 함으로 해초 지를 보전할 수 있다. 4) 해초 보호구역 설정: 중요 해양생 물서식지인 해초지를 보호구역으로 설정하여 보전·관리할

수있다. 5) 해초류가치평가 및홍보교육: 자연의중요성을

인식시키고보전의식을고취시켜야지속적인자연보전을이 룰 수 있다.

참고문헌

국토해양부. 2009. 태화강아구의잘피서식지조성을위한시험이 식. 국토해양부. 47 pp.

국립공원관리공단. 2007. 한려해상국립공원자원모니터링 2차년 도. 국립공원관리공단. 369 pp.

국립공원관리공단. 2008. 한려해상국립공원자원모니터링 3차년 도. 국립공원관리공단. 397 pp.

국립공원관리공단. 2009a. 한려해상국립공원자원모니터링 4차년 도. 국립공원관리공단. 347 pp.

국립공원관리공단. 2009b. 다도해해상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상, 하). 국립공원관리공단. 1595 pp.

국립공원관리공단. 2009c. 국제적주요관심자원분포에관한연구 1차년도. 국립공원관리공단. 98 pp.

국립공원관리공단. 2010a. 한려해상국립공원자원모니터링 5차년 도. 국립공원관리공단. 336 pp.

국립공원관리공단. 2010b. 다도해해상국립공원자원모니터링 1차 년도. 국립공원관리공단. 345 pp.

국립공원관리공단. 2010c. 국제적주요관심자원분포에관한연 구. 국립공원관리공단. 79 pp.

국립공원관리공단. 2011a. 한려해상국립공원자원모니터링 6차년 도. 국립공원관리공단. 418 pp.

국립공원관리공단. 2011b. 국제적주요관심자원분포에관한연 구. 국립공원관리공단. 36 pp.

국립공원관리공단. 2012. 국제적주요관심자원분포에관한연구. 국립공원관리공단. 86 pp.

국립공원관리공단. 2013. 국제적주요관심자원분포에관한연구. 국립공원관리공단. 97 pp.

김준섭, 최정윤, 이유진, 곽우석. 2013. 경남통영민양마을잘피밭 의어류종조성. The Sea. 18: 227-233.

박정임, 김영균, 박상률, 김종협, 김영상, 김정배, 이필용, 강창근, 인근섭. 2005 잘피(Zostera marina) 서식지복원을위한최적 이식방법및시기선정에관한연구. Algae. 20: 379-388.

윤장택, 명금옥, 김태후, 전정순. 2012. 진흙이용잘피종묘이식

연구. 수산자원관리 2: 1-8.

임동옥, 윤장택, 한경식. 2009. 한국산거머리말(Zostera marina L.) 의해류에대한형태적적응. Kor. J. Env. Eco. 23: 431-438.

한석중, 정춘구, 김정배, 윤성종, 김철원, 황형규, 이삼근, 유준, 최 양호. 2005. 남해안잘피장조성연구. pp. 485-498: 연안해중림 조성및갯녹음대책연구. 국립수산과학원.

황규호. 2015. 고정형틀을이용한새우말류(Phyllospadix spp.) 이 식에대한연구. 부경대학교박사학위논문. 100 pp.

Akio Tomita, Yoshio Nakura, Takuya Ishikawa. 2016. Measures for environmental conservation in enclosed coastal seas. Marine Pollution Bulletin. 102: 329-332.

Cappo M, DM Alongi, DM Williams, N Duke. 1988. Review and synthesis of Austrlian fisheries habitat research: major threats, issues and gaps in knowledge of coastal and marine fisheries habitats, Vol 1-3 (Australian Institute of Marine Science, Townsville) 633 pp.

Clark JR. 1998. Department of Commerce,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50 CFR Part 227 Endangered and Threatened Species; Threatened Status for Johnson's Seagrass.

Federal Register, Vol 63, No 177. September 14 1998/Rules and Regulations.

Coles RG. 1996. Coastal Management and Community Coastal Resource Planning in the Asia Pacific Region. Report to the Winston Churchill Memorial Trust, Canberra, Australia, 51 pp.

Costanza R, dArge R, deGroot R, Farber S, Grasso M, Hannon B, Limburg K, Naeem S, ONeill RV, Paruelo J, Raskin RG, Sutton P, vandenBelt M. 1997. The value of the world's ecosystem services and natural capital. Nature, volume 387. pp. 253-260.

Dawes, Clinton J. 1988. Marine Botany, 2nd Ed.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496 pp.

Di Carlo G, McKenzie LJ, 2011. Seagrass training manual for resource. Conservation International, USA.

Echavarria-Heras H, Ceclila Leal-Ramỉrez, Enrique Villa-Diharce and Nohe R. Cazarez-Castro. 2015. The effect of parameter variability in the allometric projection of leaf growth rates for eelgrass (Zostera marina L.) II: the importance of data quality control procedures in bias reduction. Theoretical Biology and Medical Modelling 12:30.

Federal Register. 1990. Memorandums of Agreement (MOA). Clean Water Act Section 404(b)(1) Guidelines. Correction 55(48):

9210-9213.

Fortes MD. 1990. Seagrasses - A resource unknown in the ASEAN region. ICLARM Education Series 5. Manila, Philippines. 46 pp.

Gonciarz Magdalena, Jözef Wiktor, Agnieszka Tatarek, Anna Stanković.

2014. Gemetic characteristics of three Baltic Zostera marina populations. OCEANOLOGIA, 56: 549-564.

Green EP, FT Short. 2003. World Atlas of Seagrass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298 pp.

IUCN. 2010.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Version 2010.4. URL: www.iucnredlist.org

Kenworthy W, S Judson, RG Wyllie-Echeverria, G. Pergent Coler,

(8)

C Pergent-Martini. 2006. Seagrass Conservation Biology: An Interdisciplinary Science for Protection of the Seagrass Biome.

pp. 595-623. In: A.W.D. Larkum et al. (eds.), Seagrasses: Biology, Ecology and Conservation. Springer, Netherlands. 691 pp.

Kim Keunyong, Jong-Kuk Choi, Joo-Hyung Ryu, Hae Jin Jeong, Kitack Lee, Myung Gil Park, Kwang Young Kim. 2015.

Observation of typhoon-induced seagrass die-off using remote sensing.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154: 111-121.

Kirkman H, JA Kirkman. 2000. The management of seagrass in South East Asia and Australia. Societά Italiana di Biologia Marina. 7: 305-319.

Kuo J, AJ McComb. 1989. Seagrass taxonomy, structure and development. pp. 6-37. In: Biology of Seagrass, A.W.D. Larkum, A.J. McComb and S.A. Shepherd (eds.), Elsevier, Amsterdam.

841 pp.

Larkum AWD, RJ Orth, CM Duarte. 2006. Seagrass: biology, ecology and conservation. Springer, Netherlands. 691 pp.

Leadbitter D, W Lee Long, P Dalmazzo. 1999. Seagrass and their management - implications for research. pp. 140-171. In: A Butler and P. Jernakoff (eds.) Seagrass in Australia. CSIRO Publishing, Australia. 210 pp.

Lee KS, SY Lee. 2003. The seagrasses of Republic of Korea, pp.

193-198, In: Green, E.P. and F.T. Short (Eds). World Atlas of Seagrass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298 pp.

Lopez-Calderon J, Rafael Riosmena-Rodriguez, Jorge Torre, Alf Meling, Xavier Basurto. 2016. Zostera marina meadows from the Gulf of California conservation status. Biodiversity and Conservation. 25: 261-273.

Maragos JE. 1993. Impact of coastal construction on coral reefs in the US affiliated Pacific Islands. Coast. Manag. 21: 235-270.

NOAA. 1998. Draft Technical Guidance to NMFS for Implementing the Essential Fish Habitat Requirements for the Magnuson- Stevens Act.

Qin LZ, WT Li, X Zhang, P Zhang, W Qiao. 2016. Recovery of the eelgrass Zostera marina following intens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harvesting disturbance in China: The role and fate of seedings. Aquatic Botany. 130: 27-36.

Short F, T Carruthers, W Dennison, M Waycott. 2007. Global seagrass distribution and diversity: A bioregional model. Journal of

Experimental Marine Biology and Ecology 350: 3-20.

Short FT, CA Short. 1984. The seagrass filter: purification of coastal water. In: Kennedy V.S. (ed.), The estuary as a filter. Academic Press. pp. 395-413.

Short FT, DM Burdick, J Wolf, GE Jones. 1993. Eelgrass in Estuarine Research Reserves Along the East Coast, U.S.A. Part

Ⅰ: Declines Pollution and Disease and Part II: Management of Eelgrass Meadow. NOAA-Coastal Ocean Program Publ. 107 pp.

Short Fredrick T. Robert G Coles. 2001. Global Seagrass Research Methods. Elsevier Science B. V., Amsterdam. 473 pp.

Spalding M, M Taylor, C Ravilius, F Short, E Green. 2003. Global overview: the distribution and status of seagrasses. pp. 5-25.

In: Green, E.P. and F.T. Short (eds.). World Atlas of Seagrass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298 pp.

Texas Parks and Wildlife. 1996. Seagrass conservation plan for Texas. Austine: Texas Parks and Wildlife Department. 79 pp.

Treat SF, RR Lewis. 2003. SEAGRASS RESTORATION: Sucess, Failure and the Costs of Both. URL: http://www.lewisenv.com UNEP. 1999. Strategic Action Plan for the South China Sea 75 pp.

http://www.unep.org/

UNEP. 2000. Action Plan for the Protec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and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Coastal Areas of the Mediterranean. http://www.unep.org/

UNEP-WCMC, Short FT. 2005. Global distribution of seagrasses (ver. 3.0). Third update to the data layer used in Green and Short (2003). Cambridge (UK): UNEP World Conservation Monitoring Centre. URL: http://data.unep-wcmc.org/datasets/7 Wolff WJ. 1997. Case Studies and Reviews - Development of the

conservation of Dutch coastal waters. Aquat. Cons.: Marine and Freshwater Ecosystem 7: 165.177.

Wyllie-Echeverria S, AM Olson, MJ Hershman (eds.) 1994. Seagrass science and policy in the Pacific North West. Proceedings of a seminar series (SMA 94-1).

Yoon Jang Taek, Ju He Kim, Tao Hoo Kim, Jung Sun Jeon. 2012.

A study on the artificial seeding of seagrass, Zostera marina L.

The Journal of Fisheries Resources Management. 2: 55-62.

(2016년 8월 29일접수; 2016년 9월 12일채택)

Referensi

Dokumen terkait

Binary Search Case 2 Binary Search Case 2  The value The value target target is less than is less than midValue midValue , , and the search must continue in the lower and the search

SUMMARY A study on establishing a long term plan for global marine scientific research ■ Definitions and features of marine scientific research ❍ Marine activities refer t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