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전지구적 해양과학조사 연구 중장기계획 수립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전지구적 해양과학조사 연구 중장기계획 수립 연구"

Copied!
312
0
0

Teks penuh

글로벌 해양과학연구과제 선정을 위한 해양생태 및 물질순환체계 연구 확대 글로벌 해양 과학 연구를 위한 새로운 국제 프로그램의 이니셔티브.

세계 최고의 해양 과학 연구 및 해양 과학의 국제 협력. 새로운 주요 국제 프로그램은 해양 연구를 통한 해양 기후 변화와 해양 생태계입니다. 해양탐사를 통한 해양기후변화와 해양생태계 탐색

해양탐사를 통한 해양기후변화와 해양생태계 연구는 한국의 장기적 목표이다. 글로벌 해양과학 연구를 통해 현 국제 문제를 해결합니다.

SUMMARY

Enabling international research into ocean biogeochemical circulation and ecosystem responses to global climate change. Important to turn the eyes towards the oceans along with global ocean science studies in terms of economic, national defense. Present the plans for objectives, content, technology development roadmap, practical strategies, expectations, applications, budgets and manpower for international programs involving global ocean science research.

Consider whether they are appropriate, imminent, easy to participate, closely related to local investigations, in terms of marine science research. New international programs include research on marine ecosystems and climate change and national strategic metal ores. Global marine science research typically requires larger investments than private-scale investments and the results have implications for the marine science industry as a whole.

Establish global networks connecting Southeast Asia (Indonesia), Micronesia (Korea-South Pacific Research Centers), and South America (Peru) and the Arctic and Antarctic oceans to enable global marine scientific research. In the short term, enable marine science research for some of the Indian Ocean and Pacific Oceans, which greatly affect the coastal areas of the Korean Peninsula, to reduce negative impacts on local climate change and ecosystems and take action at the national level.

CONTENTS

Chapter 2. Present condition and prospect of marine scientific research

Chapter 5. Feasibility analysis, expected effect and application plan of

해양과학연구의 글로벌 추진전략 도출. 국내외 글로벌 해양과학 연구를 위한 국제 프로그램, 지역 협력 및 양자 프로그램. 글로벌 해양 과학 연구를 위한 세부 실행 계획을 준비합니다.

글로벌 해양과학 연구를 위한 각각의 새로운 국제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목표, 콘텐츠 및 기술 개발. 섹션 1 내부 및 외부 해양 과학 연구 조건의 변화. 제2절 국내외 해양과학연구의 추진현황

글로벌 해양과학연구 분야 연구기관 간 양자협력 현황. 11 KOSRAE는 해양생물 자원 개발에 대한 공동 연구를 허용합니다. 버지니아 해양 과학 연구소(VIMS), 미국

글로벌 해양과학 연구의 중장기 발전방향.

표  1-1.  해양과학조사의  기술분류체계 ··········································································· 48 표  2-1
표 1-1. 해양과학조사의 기술분류체계 ··········································································· 48 표 2-1

비 전

글로벌 해양 탐사와 관련된 연구 프로젝트 조직. 해양 생지화학 및 생태계 통합 연구(IMBER). 확장이 필요한 글로벌 해양과학 연구 프로젝트.

해양생물자원 보호를 위한 생태계 연구. 가) 대형 연구선을 이용한 해양기후변화 연구. 주요 해양생태계 연구사업의 주요내용.

나) 지구환경변화에 따른 해양생태계/물질순환계의 대응에 관한 연구. 해양 관측을 통한 기후 변동성 조사 및 예측 국제 연구 프로그램 참여 및 활동 강화

지구환경변화에 대응하는 해양생태계/물질순환계 연구. 지구환경변화에 따른 해양생태계/물질순환계의 대응에 관한 연구. 1과 해양탐사를 통한 해양기후변화와 해양생태계 탐색.

기후 해안 재해 연구 해양 생물 정화 연구. 주요 국제 연구 프로그램 현황. ③ 글로벌 해양-대기 상호작용 연구 프로그램.

국제 해양 연구 프로그램과의 협력을 통한 지구 환경 변화와 관련된 해양 생태/. 국제 연구 프로그램에서 협력과 활동을 강화합니다. 지구 환경 변화에 대한 해양 시스템의 반응에 관한 연구.

연안/해양생태계의 생물탐사를 위한 연구기술.

표 3-1. 참여확대 국제프로그램 및 우선순위
표 3-1. 참여확대 국제프로그램 및 우선순위

Gambar

표 1-1. 해양과학조사의 기술분류체계
그림 1-1. 기획연구의 필요성
그림 1-2. 기획연구의 추진체계
표 2-2. 전지구적 해양과학조사 분야 연구기관 간 양자간 협력 현황
+7

Referensi

Garis besar

Dokumen terkait

If this has not occurred However, pursuant to section 31b the motor vehicle will be registered because it is vehicle usually kept in Victoria and should have been registered under

At this time, the term of Islamophobia in Indonesia was understood as two things; First, Islamophobia emerged as a response from certain groups to the rampant practices of religio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