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1. 중장기 발전방향의 목표

❍ 기후변화 대응 및 생물자원 종다양성 확보 등 대양탐사를 통한 국제적 현안 문제 해결 추진

- 해양바이오 등 신성장 동력산업의 창출 및 차세대 자원 선점을 위한 대양

탐사로 해양생물 및 미생물 자원의 종다양성 확보

∙생물자원의 종다양성 확보를 위해 20년까지 20,000종 확보

- 전지구적 해양과학조사를 통한 기후변화 및 자연재해의 확대, 해양생태계

교란, 해양산성화 등 글로벌 이슈 해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국격 제고 및 위상 강화

∙기후변화 대응 및 해양생태계 탐사 등 대형과제를 발굴․추진하여 조사

영역을 태평양, 인도양, 남․북극 등으로 확대하기 위한 대형연구프로그 램의 추진

- 국제기구와의 국제 공동연구를 적극 추진하여 각종 자료의 조기 확보 및

현안문제 해결 추진

∙GOOS, IMBER, SOLAS 등 우선순위가 부여된 8개의 국제기구 연구프로 그램을 우선적으로 지원하여 실질적인 국제기구 및 연구프로그램에서의 연구영역 확대

❍ 해양과학조사를 통한 해양경제영토의 확보

- 해양관할권 경쟁 및 영토분쟁의 심화에 대비한 영해, EEZ, 대륙붕 등 해양 영토의 실효적 지배역량 강화

∙대양탐사를 통해 축적된 기술력과 노하우를 독도 등 해양영토의 효과적

관리역량 강화에 활용하여 영토분쟁에 활용

- 자원 및 에너지자원 고갈에 대비한 망간단괴, 망간각, 해저열수광상 등 심

해저 광물자원 광구획득 및 개발로 해양 경제영토의 확보

∙심해저 망간단괴 개발권, 통가 해저열수광상 독점탐사권 획득에 이어

2020년까지 망간각, 해저열수광상 탐사를 통해 최소 2개 이상의 개발권

획득 추진

- 새로운 국제질서에 대비한 대양 및 극지탐사를 통한 해양영역 확대

∙해양과학조사 영역확대를 위하여 남극 대륙기지 건설, 대형연구선 건조시

기에 맞추어 대형연구프로그램 신설 추진

❍ 글로벌 해양과학조사 국제협력의 선도

- 인도네시아, 마이크로네시아, 페루, 남․북극 등을 연결하는 태평양 및 대서

양 지역의 대양탐사 벨트를 구축하기 위한 양자간/다자간 국제협력 강화

∙인도네시아(인도양/태평양)-마이크로네시아(서태평양)-페루 등을 연결하는

해양과학조사 벨트 구축과 연계하여 대양탐사 기반을 ’13년말까지 구축 완료 추진

- 국제기구 참여 및 연구 확대를 통한 공동 해양과학조사 확대

∙국제 현안문제 해결을 위하여 대양에 대해서는 국제기구 연구프로그램을

통해 참여하고, 각국의 EEZ에 대해서는 양자간 협력을 통해 추진하는 이 원적 전략 추진

- 전지구적 해양과학조사 역량 강화 및 국제협력을 통해 해양과학조사 영역

을 대서양, 극지 주변지역으로 확대

∙5,000톤급 대형연구선 건조, 아라온호 및 심해무인잠수정, 남극 대륙기지 건설 등 대형 연구인프라 구축 및 활용을 통한 전지구 대양탐사능력 확보

제2절 추진전략

추진전략 1 국제 해양과학조사 프로그램 참여확대 추진

❍ 국제기구와의 협력을 통한 해양과학조사 참여 확대

❍ 조사대상 지역을 전지구적으로 확대하기 위한 방안 도출

추진전략 2 국내에서 추진․진행 중인 해양과학조사 확대 추진

❍ 대형연구선과 같은 대형인프라를 활용하는 해양과학조사 추진

❍ 전지구적 해양 탐사와 연계한 연구사업 구성

❍ 분야간 융․복합을 통한 협력형 연구 개발 추구

추진전략 3 신규 해양과학조사 과제의 도출 추진

❍ 대형과제 중심의 산․학․연 공동 추진체계 정립

❍ 기후변화 대응 및 대양탐사 대형과제를 도출하여 전략적 투자 확대

❍ 자원고갈에 대비한 해양생물 및 광물자원의 선행적 확보를 위한 대형탐사 추진

추진전략 4 인프라 구축 및 인력양성

1. 참여확대 국제프로그램 선정 및 주요내용

. 참여확대 국제프로그램 선정

(1) 선정기준 및 방법

❍ 국가적인 차원에서 학․연 공동으로 확대 추진이 필요한 국제 프로그램을 전략적으로 선정하여 추진함으로써

- 관련 연구 분야에서 독자적․독창적 연구능력 배양 및 관련 정보․자료를

조기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 안정적인 연구예산을 확보하기 전까지 신규 대형프로그램 과제에 포함시켜

지원함

❍ 참여확대 국제프로그램의 선정기준은 아래 요소들을 고려하여 도출함2)

- 해양과학조사사업으로서의 적합성

- 국제프로그램 참여의 시급성 - 국제프로그램 진입의 용이성

- 국내추진 연구프로젝트와의 연관성

- 대형인프라(연구선 등) 사용을 통한 공동연구 가능성 - 향후 프로젝트 개발 및 주도 가능성

❍ 참여확대 국제프로그램의 선정방법은

- 부록에 첨부된 국제프로그램과 연구자들이 별도로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국

제프로그램을 전문가들에게 제시하고 선정기준에 따라 ABC 방식으로 평가 하여 선정함

- 해양과학기술 전문가 20명으로 평가위원회를 구성하여, 평가결과 상위 8개

프로그램을 선정함

2) 연구분야의 과학적 중요성의 척도는 매우 높게 평가되나 대부분의 응답이 A로 나타나 변별력이 부족하여

❍ 선정된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 기후변화 및 해양생태계 분야와 관련된 프로그램은 대형 신규과제에 포함

시켜 지원하는 방안을 강구하고

- 위의 두 연구 분야에 포함되지 않는 프로그램 또는 신규과제에 포함되지

않는 프로그램은 별도의 기획을 추진하여 예산확보방안 추진함

연구 프로그램 적합성 시급성 진입 용이성

국내 연구와의

연관성

공동연 가능성

주도 가능성

우선 순위* 지구해양관측시스템

(GOOS) A A B A A B 2

동북아해양관측시스템

(NEAR-GOOS) B B A A B A 3

기후변동성과 예측성

(CLIVAR) A A B B A B 3

해양생지화학 및 생태계

통합연구(IMBER) A B A A A A 1

SOLAS3) A A B B A B 3

GEOTRACES4) A B A B B A 3

BIO-GEOTRACES C C B B B B 6

C-MORE5) B B B B B B 4

전지구해수위관측시스템

(GLOSS) C C C B B B 7

데이터부이협력패널

(DBCP) C C B A B B 5

고해상도 해수면온도 선도

프로젝트(GHRSST) C C C B B B 9

태평양 쓰나미 경보센터

(PTWC) C C C A B B 6

표 3-1. 참여확대 국제프로그램 및 우선순위

(2) 참여확대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

❍ 지구해양관측시스템(GOOS) - 개요

∙1980년대 정부간해양위원회(IOC)의 기술위원회에서 기원되었으며, 시시각

각 변하는 기후변화의 예보와 실시간 예보를 목표로 장기적인 범지구적 해양관측 시스템의 개념이 요구되어짐

- 목적과 미션

∙UN과 UNESCO의 후원으로 범지구적 해양관측 프로그램들의 조직으로

서, 전 세계의 다양한 해양관측 자료들로 운영하고 있음

∙날씨와 기후를 예측 및 모니터링, 해양자원을 포함한 해양 상태의 이해와 예보, 해상 연안 생태계의 관리 증진, 자연발생적 위험물질 및 오염물질 로부터의 피해 최소화, 연안 자원의 보호 및 과학적 연구 수행이라는 미 션을 두고 있음

❍ 동북아해양관측시스템(NEAR-GOOS) - 개요

∙1993년 UNESCO 제27차 정기총회에서 결의되었으며, 중국, 일본, 한국, 러시아가 회원으로 참여하는 NEAR-GOOS 조정위원회를 1996년부터 개 최함

- 목적과 미션

∙해양자료 정보와 관련 기술을 상호 공유함으로써 동북아 해역의 기후․

기상변화를 감시하고 예측하는 연구 진행

∙지역의 해양서비스 개선, 파랑․폭풍․해일 해빙 등에 의한 자연재해의

영향을 예측하는데 유용한 자료와 정보 제공, 적조 등 수산 활동에 영향 을 미치는 변수 모니터링, 수치모형실험, 예보 등에 필요한 자료 제공 등 을 주요 미션으로 두고 있음

❍ 기후변동성과 예측성(CLIVAR) - 개요

∙해양연구위원회(SCOR)에 의해 2000년대에 전지구적 해양관측 프로그램

으로 CLIVAR 구상

∙SCOR에서 추진되어온 해양관측프로그램은 1990년대에는 해수순환 관측

이 주요 연구목표였으나, 2000년대 들어서는 기후변화로 변경됨

- 목적과 미션

∙시계열적인 관측과 분석, 정보의 수집을 통해 기후변동성 및 예측성에 대

한 물리적 프로세스를 이해

∙지구 예측 모델의 개발을 통한 기후 예측의 범위 및 정확성 제고

∙복사활동 가스와 aerosol의 증가에 의한 기후 시스템의 반응을 예측 및 이해

∙자연 기후 신호의 인위적인 수정을 감지하기 위해 예측된 기후와 관측된

실제 기후를 비교

❍ 해양생지화학 및 생태계 통합연구(IMBER)

- 개요

∙IMBER는 IGBP와 SCOR에서 지원하는 국제프로젝트로서 해양의 생지화

학적 순환과 생태계에 연구 초점이 맞추어져 있음

- 목표

∙전지구적 변화에 따른 해양의 생지화학적 순환과 생태계의 민감도를 연

단위 혹은 10년 단위로 조사하는 것으로, 현재 IMBER의 과학조사에는 24개국이 참여하고 있음

- 연구분야

∙생지화학적 순환과 해양먹이망의 상호관계

∙해양의 주요 생지화학적 순환, 생태계 그리고 이들의 상호관계가 전지구

❍ SOLAS (Surface Ocean-Lower Atmospheric Study Project) - 개요

∙2000년 2월에 독일에서 개최된 International SOLAS Open Science

Meeting에서 설립되어 2001년부터 진행 중인 공동-후원 프로젝트

∙SOLAS 프로젝트들은 국제적 연구로 75개국 1,900여명의 과학자들이 참 여하고 있음

- 목적과 미션

∙해양과 대기간의 생지화학적-물리학적(biogeochemical-physical) 상호작용 과 피드백 이해, 국제프로그램으로서 기후환경 변화가 해양과 대기의 시 스템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를 규명하며, 지구시스템과학 협력체(파트너 십)의 일부로서 프로젝트들을 운영을 통해서 그리고 이것이 어떻게 영향 을 미치고 기후와 환경변화에 영향을 받는가에 대한 양적인 이해를 증진 시키고자 함

❍ GEOTRACES(미량원소 및 동위원소 조사 국제프로그램, An International St udy of the Marine Biogeochemical Cycles of Trace Elements and their Iso topes)

- 개요

∙SCOR를 통해 시작된 연구 프로그램 중 하나이며, GEOTRACES는 해양 의 주요 미량원소와 이들의 동위원소의 분포를 결정하는 과정을 이해하 고 플럭스를 정량화하여 환경변화에 따른 이들 분포의 변화정도를 밝혀 범지구적 해양 생지화학적 순환을 연구하기 위한 국제프로그램임

∙1970년대의 GEOSECS(Geochemical Ocean Sections Study) 국제프로그램 이후 해양화학 분야를 중심으로 한 국제공동연구의 부재로 2003년에 해 양화학 과학자그룹을 중심으로 GEOTRACES 국제 연구 프로그램의 운영 위원회가 구성되어 시작되었으며, 2010년 2월에 10년 이상의 장기 프로그 램으로 공식 출범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