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지리산국립공원 사찰림의 식물상 : 화엄사 , 연곡사 , 천은사를 대상으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지리산국립공원 사찰림의 식물상 : 화엄사 , 연곡사 , 천은사를 대상으로"

Copied!
25
0
0

Teks penuh

(1)

지리산국립공원 사찰림의 식물상 : 화엄사 , 연곡사 , 천은사를 대상으로

오현경1

강병선2*

1한반도생태연구소, 2국립공원연구원

Flora of Temple Forests in Jirisan National Park:

For Hwaeomsa, Yeongoksa, and Cheoneunsa Temples

Hyun-Kyung Oh

1

and Byung-Seon Kahng

2*

1Ecological Institute of Korean Peninsula, Jeonju, 55017, Korea

2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Wonju 26441, Korea

요약: 본 연구에서는 사찰경관의 원형보전을 위한 관리대책 마련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지리산국립공원 전남권역에 있는 화엄사, 연곡사, 천은사 사찰림을 조사하여 다음과 결론을 도출하였다. 화엄사에는 토착종인 동백나무, 느티나무, 푸조나무, 개서어나무, 올벚나무, 팽나무, 소나무, 졸참나무, 자귀나무 등이 확인되었다. 특히 각황전 서측에 동백나무 수림이 있는데 이는 화재로부터 화엄사의 목조건물을 보호하고자 방화림으로 조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연곡사는 소나무, 느티나무, 당단풍, 단풍나무, 왕벚나무, 팽나무, 동백나무 순으로 토착종이 확인되었다.

천은사 식재수종은 대부분이 외래종으로 확인되었으나, 일부 우리나라 토착종인 광나무, 느티나무, 단풍나무, 왕벚나무, 동백나무, 푸조나무, 팥꽃나무, 팽나무, 반송, 잣나무, 개서어나무, 곰의말채, 산초나무, 완도호랑가시나무 등이 식재되어 있었다. 사찰의 외래종은 천은사 11종, 화엄사 9종, 연곡사 6종으로 분석되었으며, 향후 토착종으로 대체하는 관리방안이 요구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전통사찰의 내, 외부 경관을 보전하고 한국의 전통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요어: 토착종, 외래종, 전통사찰

Abstract: With a view to gaining basic data to develop management measures for conserving the original landscapes of temples, the forests of three temples (Hwaeomsa Temple, Yeongoksa Temple, and Cheonuensa Temple located in the Jeollanamdo Province of Jirisan National Park) were studied to draw the following conclusions: It’s identified that Hwaeomsa Temple is the habitat for sev- eral native species: Camellia japonica, Zelkova serrata, Aphananthe aspera, Campinus Tschonoskii, Prunus itosakura, Celtis sinensis,

Pinus densiflora, Quercus serrata, and Albizia julibrissin. In particular, there is a camellia forest on the west side of Gakhwangjeon

Hall, which is thought to have been fostered as a firebreak forest to protect the wooden buildings of Hwaeomsa Temple from fire.

In Yeongoksa Temple, the native species were observed in the following order: Pinus densiflora, Zelkova serrata, Acer pseudosie-

boldianum, Acer palmatum, Prunus yedoensis, Celtis sinensis, and Camellia japonica. Most of the tree species planted at

Cheoneunsa Temple were confirmed to be invasive species, but some native species of Korea were also found: Ligustrum japoni-

cum, Zelkova serrata, Acer palmatum, Prunus yedoensis, Camellia japonica, Aphananthe aspera, Daphne genkwa, Celtis sinensis, Pinus densiflora for. multicaulis Uyeki, Pinus koraiensis, Carpinus tschonoskii, Cornus macrophylla, Zanthoxylum schinifolium, and Ilex x wandoensis. Invasive species inhabiting in the temples were analyzed, unveiling that 11 alien species lived in Cheoneunsa

Temple, 9 alien species in Hwaeomsa Temple, and 6 alien species in Yeongoksa Temple. In the future, a management plan is re- quired to replace these invasive species with the native species. Through such efforts, it’s expected that internal and external land- scapes of traditional temples will be conserved and Korean tradition will be secured.

Key words Indigenous species, Invasive species, Traditional temples

Received 2 April 2021; Revised 2 June 2021; Accepted 7 June 2021

*Corresponding to 강병선(Byung-Seon Kahng) E-mail. [email protected]

(2)

서론

지리산국립공원은

1967년 12월에 지정된 우리나라 최

초의 국립공원으로서, 동서, 남북간 거리는 34km, 26km 에 달하며, 행정구역상으로 동부권의 경상남도 함양군, 산청군, 하동군, 북부권인 전라북도 남원시와 남부권의 전라남도 구례군 등

3도 1시 4군, 16면에 483.022㎢의

가장 넓은 면적을 지닌 산악형 국립공원이다. 지리산국 립공원은 오랫동안 이어진 천년고찰들이 존재하고 있으 며, 신라 진흥왕

5년(554년)에 창건된 화엄사를 비롯하

여 쌍계사, 대원사 등을 중심으로 국보, 보물 등 지정문 화재가 79건이 있는 준사적형 국립공원이다. 본 연구대 상지인 지리산국립공원 남부권역에도 천은사, 화엄사 및 연곡사 등의 사찰들이 있으며, 사찰의 종교 활동을 위한 건축물, 탑 등의 문화재가 있는 장소로만 인식되고 있었으나, 최근 들어 역사경관의 정체성을 확보하기 위 한 사찰 경내의 식물이나 사찰 주변에 있는 산림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고 있다.

국립공원 내 사찰은 총

325개소이며 공원문화유산지

구로 지정된 사찰은 188개로 역사⋅문화 공간으로서 탐 방객에게 매력적인 장소를 제공할 뿐만 전통문화경관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2011년 자연공원법 개 정에 따라 공원문화유산지구가 도입됨에 따라 사찰에 필요한 시설을 설치할 수 있어 불교의 의식, 승려의 수행 및 생활, 신도의 교화를 위해 긍정적인 역할 수행을 기대 하지만, 전통경관을 고려하지 않은 무질서한 불사행위, 장소성과 가치를 포함하고 있는 점경물의 훼손, 외래수 종 식재 등은 국립공원과 한국의 전통 경관을 훼손하는 사례가 되고 있다. 아울러 탐방객 증가에 따른 건물 신 축, 조경공간 확충 등 과도한 개발행위가 발생될 가능성 이 높아(유주한 등, 2010) 사찰의 주변환경을 광의적, 광 역적으로 해석하고 이를 보전해 나가는 노력이 요구되 는 시점이다.

사찰연구는 일제강점기에 일본학자들에 의해 수행되 었으며, 1980년 이후 본격적인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 시기까지는 대부분 사찰의 배치 및 공간구성에 관한 연 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하지만 사찰 경내에 심 어지고 있는 수종이 무엇인지, 이러한 수종이 토착종인

지, 아니면 외래종인지 하는 기초적인 조사연구가 진행 된 바 없기에 본 연구에서는 그 사례로 지리산국립공원 남부권역에 위치한 천은사, 화엄사 및 연곡사 사찰림을 조사하고 특히 식재수종에 대해서는 외래종과 토착종을 구분하여 사찰경관의 원형보전을 위한 관리대책 마련의 기초 자료로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 범위와 체계

1. 연구대상지

화엄사 사적에는 화엄사가 신라 진흥왕

5년(544)에

인도승려 연기조사가 세웠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 후 문

무왕

10년(670)

의상대사에 의한 대대적 중창, 통일신라

후기 도선국사에 의한 중창, 고려 문종 연간(1047~1083) 대각국사 의천에 의한 중창, 조선 인조

8년(1630)

벽암 각성대사의 중건 등에 의해 국보(각황전 앞 석등, 사사 자 삼층석탑, 각황전), 보물(동 오층석탑, 서 오층석탑, 대웅전, 원통전 앞 사자탑, 화엄석경, 서오층석탑사리장 엄구, 대웅전 삼신불탱,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 및 천 연기념물(올벚나무, 매실나무) 등 국가지정문화재가 있 으며, 화엄사일원은 명승

64호로 지정되어 있다(Hong and Lee, 2001).

연곡사는 화엄사와 마찬가지로 백제 성왕

22년(544)

에 연기조사가 창건하였다고 하며, 고려 초 현각선사의 중창, 도선국사 및 진각국사가 수행한 곳이다. 동 승탑과 북 승탑은 국보로 지정되어 있으며, 북 삼층석탑, 현각선 사탑비, 동 승탑비, 소요대사탑은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이호신, 2011).

천은사는 신라 흥덕왕 3년(828)에 덕운선사가 창건하 여 감로사라고 하였으며, 헌강왕 원년(875) 보조선사의 증축, 조선 광해군 2년(1610) 혜정대사의 정유재란 이후 중수 및 숙종 5년(1679) 단유대사의 건물복원이 있었다.

영조

50년(1774)에는

혜암스님이 천은사라고 명명하였

으며, 괘불탱이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3)

2. 연구방법

식물 실태조사는 사찰경내와 주변 사찰림을 대상으로 전체 식물상을 조사하고 각 사찰별 식물상 현황, 사찰경 내에 식재된 수종 현황을 현지 조사하여 정리하였다. 본 대상지의 식물상은 현장조사를 바탕으로 하였으며, 식 물에 대한 배열순서와 학명의 기재를

Engler

분류체계

(Melchior, 1964)

및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2007)의 국가표준식

물목록에 따라 정리하였다. 가능한 현지에서 동정을 하 되, 동정이 불가능한 식물들은 채집하여

Lee(1996)와

Lee(2003)

및 Lee(2006)의 문헌을 바탕으로 동정하였다.

또한 사찰경내에 식재된 목초화류를 조사하였으며, 인 위적으로 식재된 수종을 대상으로 정리하였다. 또한 인 위적으로 식재된 종은 원예종이나 재배종(개량종) 등이 많기 때문에 현지에서 식별이 어려운 식물은 사진으로 촬영하여 도감이나 인터넷자료를 활용하였다. 현지에서 조사된 모든 목초화류는 표본대신 사진을 촬영하여 확 보하였으며, 조사된 식물 중 귀화식물은 Lee et al.(2011)

의 논문을 기준으로 정리하였다. 식재수종에 관한 정보 는 Lee(1996)와 Lee(2003) 및 Lee(2006)의 문헌을 바탕 으로 토착종과 외래종을 구분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전체 식물상

지리산국립공원 화엄사, 천은사 및 연곡사 일원의 식

물상은

113과 288속 375종 3아종 54변종 18품종으로

총 450분류군(taxa)이 확인되었다. 이중 목본식물(Woody

plants)은 180분류군(40.0%),

초본식물(Herbaceous plants)

270분류군(60.0%)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양치식물

(Pteridophyta)은 6과 12속 19분류군(4.2%),

나자식물

(Gymnospermae)은 6과 8속 11분류군(2.4%),

피자식물

(Angiospermae)은 101과 268속 420분류군(93.3%),

이중 단자엽식물(Monocotyledoneae)은

17과 50속 76분류군 (18.1%),

쌍자엽식물(Dicotyledoneae)은 84과 218속 344

Temple Administrative Division Year of Establishment Constructor N.B.

Hwaeomsa Hwangjeon-ri 12, Masan-myeon,

Gurye-gun, Jeollanam-do 544 (22nd Year of King Seong’s

Reign of Baekje) Monk, Yeongijosa Scenic Site No. 64 Yeongoksa San 54-1, Naedong-ri, Toji-myeon,

Gurye-gun, Jeollanam-do 544 (22nd Year of King Seong’s

Reign of Baekje) Monk, Yeongijosa Cheoneunsa Banggang-ri 70, Gwangju-myeon,

Gurye-gun, Jeollanam-do 828 (3rd Year of King Heungdeok’s

Reign of Shilla) Monk, Deokun Jeollanamdo Provincial Cultural Property No. 35 Table 1. Status on Study Areas

Fig. 1. Three Temples and Temple Forests in the Southern Area of Jirisan National Park

(4)

분류군(81.9%)으로 정리되었다(Table 2).

2. 전체 외래 식물상

지리산국립공원 남부권역 화엄사, 천은사 및 연곡사 일원의 협의의 외래식물은 총 86분류군으로 전체 식물 상 중 19.1%를 차지하고 있었다. 각각의 사찰에서 확인된 협의의 외래식물 비율은 화엄사가 48분류군으로 16.2%,

천은사가

49분류군으로 19.9%,

연곡사에서는

12.2%로

천은사에서 가장 높게 확인되었다(Table 3).

조선시대 대표적 원예서인 양화소록, 지봉유설, 산림 경제, 화암수록 등에서 확인된 외래식물을 포함하는 광의 의 외래식물은 화엄사에서

104분류군으로 23.1%,

천은사

61분류군으로 20.5%,

연곡사가

38분류군으로 17.1%

로 확인되어 화엄사에서 가장 높게 확인되었다(Table 3).

Family Genus Species Subspecies Variety Form Total

Fern 6 12 18 - 1 - 19

Gymnosperm 6 8 10 - - 1 11

Angiosperm Monocotyledon 17 50 62 - 13 1 76

Dicotyledon 84 218 285 3 40 16 344

Total 101 268 347 3 53 17 420

Texa 113 288 375 3 54 18 450

Table 2. The Entire Flora of Hwaeomsa, Cheoneunsa, and Yeongoksa Temples in the Southern Area of Jirisan National Park

Scenery-purpose

IAPs Cultivation-purpose

IAPs Naturalized IAPs Naturalized IAPs IAPs (Broad Sense)

Total Hwaeomsa Cheoneunsa Yeongoksa

Fig. 2. IAPs of Three Temples in the Southern Area of Jirisan National Park Flora

Invasive Alien Plant (Narrow Sense)

IAPs (Broad Sense) Ornament-purpose

IAP Scenry-purpose

IAP Cultivation-purpose

IAP Naturalizd

IAP Total

Total 450 37 17 4 28 86 (19.1%) 104 (23.1%)

Hwaeomsa 297 21 9 4 14 48 (16.2%) 61 (20.5%)

Cheoneunsa 246 25 8 2 14 49 (19.9%) 63 (25.6%)

Yeongoksa 222 5 7 3 12 27 (12.2%) 38 (17.1%)

Table 3. Invasive Alien Plants (IAPs) of Hwaeomsa, Cheoneunsa, and Yeongoksa Temples in the Southern Area of Jirisan National Park

(5)

3. 사찰별 식물상

가. 화엄사

지리산국립공원 남부권역 화엄사 일원의 식물상은

95

209속 251종 3아종 33변종 10품종으로 총 297분류군

(taxa)이 확인되었다.

이중 목본식물은

128분류군(43.1%),

초본식물은 169분류군(56.9%)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양치식 물은 4과 9속 12분류군(4.0%), 나자식물은 5과 7속 9분류 군(3.0%), 피자식물은 86과 193속 276분류군(92.9%), 이중 단자엽식물은 11과 28속 42분류군(18.1%), 쌍자엽식물은

75과 165속 234분류군(84.8%)으로 정리되었다(Table 4).

나. 연곡사

지리산국립공원 남부권역 연곡사 일원의 식물상은 84 과 170속 191종 1아종 25변종 5품종으로 총 222분류군

(taxa)이 확인되었다.

이중 목본식물은 93분류군(41.9%),

초본식물은

129분류군(58.1%)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양 치식물은 5과 9속 11분류군(5.5%), 나자식물은 4과 5속

6분류군(2.7%), 피자식물은 75과 156속 204분류군(91.9%),

이중 단자엽식물은 11과 34속 42분류군(20.6%), 쌍자엽

식물은

64과 122속 163분류군(79.9%)으로 정리되었다

(Table 5).

다. 천은사

지리산국립공원 남부권역 천은사 일원의 식물상은 82 과 174속 209종 26변종 11품종으로 총 246분류군(taxa) 이 확인되었다. 이중 목본식물은 130분류군(53.1%), 초 본식물은

116분류군(46.9%)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양치

식물은

4과 7속 8분류군(3.3%),

나자식물은

5과 6속 9분

류군(3.7%), 피자식물은 73과 161속 229분류군(93.1%),

Family Genus Species Subspecies Variety Form Total

Fern 4 9 12 - - - 12

Gymnosperm 5 7 8 - - 1 9

Angiosperm Monocotyledon 11 28 34 - 7 1 42

Dicotyledon 75 165 197 3 26 8 234

Total 86 193 231 3 33 9 276

Texa 95 209 251 3 33 10 297

Table 4. Flora of Hwaeomsa Temple in the Southern Area of Jirisan National Park

Family Genus Species Subspecies Variety Form Total

Fern 5 9 11 - - - 11

Gymnosperm 4 5 6 - - - 6

Angiosperm Monocotyledon 11 34 36 - 6 - 42

Dicotyledon 64 122 138 1 19 5 163

Total 75 156 174 - 25 5 204

Texa 84 170 191 1 25 5 222

Table 5. Flora of Yeongoksa Temple in the Southern Area of Jirisan National Park

Family Genus Species Subspecies Variety Form Total

Fern 4 7 7 - 1 - 8

Gymnosperm 5 6 8 - - 1 9

Angiosperm Monocotyledon 11 29 36 - 4 1 41

Dicotyledon 62 132 158 - 21 9 188

Total 73 161 194 - 25 10 229

Texa 82 174 209 0 26 11 246

Table 6. Flora of Cheoneunsa Temple in the Southern Area of Jirisan National Park

(6)

이중 단자엽식물은 11과 29속 41분류군(17.9%), 쌍자엽

식물은

62과 132속 188분류군(82.1%)으로 정리되었다

(Table 6).

4. 사찰별 식재수종

가. 화엄사

본 지리산국립공원 남부권역 화엄사 경내의 식재수종 을 전수조사한 결과, 외래종보다 우리나라 토착종인 동 백나무, 느티나무, 푸조나무, 개서어나무, 올벚나무, 팽 나무, 소나무, 졸참나무, 자귀나무 등이 외래종보다 상당 히 많은 개체가 확인되었다. 특히 각황전 좌측에 동백나

무수림이 있는데 이는 화재로부터 화엄사의 목조건물을 보호하고자 오래전에 방화수림으로 조성된 것으로 판단 되며, 최근들어 금강문 입구에 열식으로 동백나무의 거 목이 식재되었다. 화엄사 경내에 가장 많이 식재된 수종 은 동백나무와 단풍나무, 느티나무, 푸조나무, 배롱나무, 개서어나무, 졸참나무 순이었으며, 이중 개서어나무와 졸참나무는 화엄사의 경내가 확장되면서 일부 자연식생 이 포함된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개서어나무나 졸참 나무는 인위적인 식재종보다 자연식생으로 보는 것이 타 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화엄사에는 많은 국보와 보물 등 이 있으며, 천연기념물(제38호)인 올벚나무(Prunus pen-

dula for. ascendens)가 지장암 뒤편에 있다.

또한 구층암

Scientific Name Species

Camellia japonica L. 74

Acer palmatum Thunb. 55

Zelkova serrata Makino 27

Aphananthe aspera Planch. 21

*Lagerstroemia indica L. 15

Carpinus tschonoskii Maxim. 15

Pinus densiflora for. multicaulis Uyeki 14

Prunus pendula for. ascendens (Mak.) Ohwi 12

Celtis sinensis Pers. 9

Pinus densiflora S. et Z. 8

Quercus serrata Thunb. ex Murray 5

*Chaenomeles sinensis (Thouin) Koehne 4

*Tilia miqueliana Max. 4

Albizia julibrissin Durazz. 4

Taxus cuspidata S. et Z. 4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Rehder) Nakai 3

*Prunus mume Siebold & Zucc. 3

*Chaenomeles speciosa (Sweet) Nakai 3

*Punica granatum L. 3

*Ginkgo biloba L. 3

Ternstroemia gymnanthera (Wight & Arn.) Sprague 2

Pinus koraiensis S. et Z. 2

Planting 1: Quercus aliena Bl., Diospyros lotus L., Castanea crenata S. et Z., Punica granatum L., Prunus mume ‘Pendula’, Paulownia coreana Uyeki, Acer saccharinum L., Pinus koraiensis S. et Z., Abies holophylla Max., Ulmus parvifolia Jacq., Cornus controversa Hemsl. ex Prain, Diospyros kaki Thunb., Acer pictum subsp. mono (Maxim.) Ohashi, Wisteria floribunda (Willd.) DC., Cornus walteri F.T.Wangerin, Hibiscus syriacus L., Prunus sargentii Rehder, Picrasma quassioides (D.Don) Benn., Robinia pseudoacacia L., Prunus yedoensis Matsumura, Pourthiaea villosa (Thunb.) Decne., Cephalotaxus harringtonia (Knight) K.Koch, Tilia amurensis Rupr., Magnolia sieboldii K.Koch, Prunus mume spp., Euonymus alatus (Thunb.) Siebold

Colony planting: Campsis grandiflora (Thunb.) K.Schum., Euonymus japonica Thunb., Rhododendron spp., Pseudosasa japonica (Siebold &

Zucc. ex Steud.) Makino, Phyllostachys bambusoides S. et Z., Phyllostachys pubescens Mazel ex Lehaie

* invasive species

Table 7. Planted Species (by population) in Hwaeomsa Temple

(7)

에는 암자 기둥으로 모과나무를 사용하였으며, 특이한 수종으로는 본 경내 뒤편에 있는 윤노리나무(Pourthiaea

villosa)로 이 식물은 낙엽활엽관목내지 아교목이지만 본

개체는 수고 10 m 가량, 가슴둘레는

1 m

가량의 큰 거목 이지만 뿌리부분이 탐방로 비탈면에 노출되어 향후 도 복될 위험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빠른 시일에 대책방안 이 요구된다. 또한 화엄사 경내에서의 큰 거목은 동백나 무수림, 느티나무, 푸조나무, 개서어나무, 올벚나무, 팽 나무, 졸참나무, 은행나무 등으로 지금보다 더 많은 관심 과 보호가 필요하다.

나. 연곡사

본 지리산국립공원 남부권역 연곡사의 식재수종을 전 수 조사한 결과, 천은사와 달리 외래종보다 우리나라 토 착종이 다양하게 확인되었다. 대표적으로 소나무, 느티 나무, 당단풍, 단풍나무, 왕벚나무, 팽나무, 동백나무 순 이었다. 연곡사에 가장 많이 식재된 수종은 매실나무

(Prunus mume)로 연곡사 경내 전 지역에서 확인되었으

며, 특히 일주문에서 사천왕문 사이에 경계부식재로 열 식되어 있었다. 그 다음으로는 차나무, 소나무, 느티나 무, 산수유, 당단풍, 은행나무 등이 10주 이상으로 확인 되었다. 연곡사에는 스님들이 식용이나 약용 목적으로

Scientific Name Species

*Prunus mume Siebold & Zucc. 104

*Thea sinensis L. 50

Pinus densiflora S. et Z. 40

Zelkova serrata Makino 35

*Cornus officinalis Siebold & Zucc. 18

Acer pseudosieboldianum (Paxton) Kom. 15

*Ginkgo biloba L. 12

Acer palmatum Thunb. 8

Prunus yedoensis Matsumura 8

Diospyros kaki Thunb. 7

*Cercis chinensis Bunge 7

Celtis sinensis Pers. 7

Camellia japonica L. 7

*Caragana sinica (Buc'hoz) Rehder 3

Quercus serrata Thunb. ex Murray 3

*Chamaecyparis obtusa (S. et Z.) Endl. 3

Juglans mandshurica Maxim. 2

*Cephalotaxus harringtonia K.Koch 2

*Prunus leveilleana ‘Pendula’ 2

Aralia elata (Miq.) Seemann 2

Sambucus williamsii var. coreana (Nakai) Nakai 2

Styrax japonica S. et Z. 2

*Chaenomeles sinensis (Thouin) Koehne 2

Prunus persica (L.) Batsch 2

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Rupr. & Maxim.) S.Y.Hu 2

Pinus koraiensis S. et Z. 2

Planting 1: Carpinus tschonoskii Maxim, Diospyros lotus L., Quercus variabilis Bl., Meliosma myriantha Siebold & Zucc., Salix preudolasiogyne H.Lev., Castanea crenata S. et Z., Quercus acutissima Carruth., Punica granatum L., Prunus tomentosa Thunb., Albizia julibrissin Durazz., Acer buergerianum Miq., Cornus controversa Hemsl. ex Prain, Rosa rugosa Thunb.

Colony planting: Rhododendron spp., Phyllostachys bambusoides S. et Z.

* invasive species

Table 8. Planted Species (by population) in Yeongoksa Temple

(8)

매실나무나 차나무 및 산수유 등을 많이 심었으며, 다른 조사대상지인 천은사나 화엄사에 비해 월등히 높게 나 타났다. 특히 우리나라 토착종인 당단풍, 동백나무, 졸참 나무, 딱총나무, 때죽나무 등이 경내에 심어져 있어 이는 천은사나 화엄사에 비해 다른 식재수종 선택이라고 볼 수 있다. 연곡사에서 거목은 소나무, 느티나무, 은행나 무, 왕벚나무, 팽나무 등으로 지금보다 더 많은 관심과 보호가 필요한 수종이다. 연곡사 경내에는 큰개비자나 무 2주가 식재되었는데, 이는 우리나라 남부지방 산 숲 속에서 자라는 개비자나무와는 다른 수종이다. 개비자

나무는 보통 수고가

2-3m

이지만 큰개비자나무는 일본 과 중국원산으로 수고가 8-10m 로 훨씬 크다는 점이 다 르다.

다. 천은사

천은사 식재수종을 전수 조사한 결과, 대부분이 외래 종으로 확인되었으나, 일부 우리나라 토착종인 광나무, 느티나무, 단풍나무, 왕벚나무, 동백나무, 푸조나무, 팥 꽃나무, 팽나무, 반송, 잣나무, 개서어나무, 곰의말채, 산 초나무, 완도호랑가시나무 등이 식재되어 있었다. 천은

Scientific Name Species

*Gardenia jasminoides var. radicans (Thunb.) Makino 47

Ligustrum japonicum Thunb. 20

Zelkova serrata Makino 17

Acer palmatum Thunb. 17

Prunus yedoensis Matsumura 15

Camellia japonica L. 14

*Tilia miqueliana Max. 11

*Thea sinensis L. 10

*Musa basjoo Siebold & Zucc. 9

*Prunus mume Siebold & Zucc. 7

Aphananthe aspera Planch. 6

*Yucca gloriosa L. 5

Daphne genkwa Siebold & Zucc. 4

*Lagerstroemia indica L. 4

*Ginkgo biloba L. 4

Celtis sinensis Pers. 4

*Osmanthus fragrans (Thunb.) Lour. 3

Pinus densiflora for. multicaulis Uyeki 3

Pinus koraiensis S. et Z. 3

Diospyros kaki Thunb. 2

Carpinus tschonoskii Maxim. 2

Cornus macrophylla Wall. 2

Zanthoxylum schinifolium S. et Z. 2

*Hydrangea macrophylla (Thunb.) Ser. 2

lex x wandoensis C.F.Miller 2

*Magnolia obovata Thunb. 2

*Prunus salicina Lindl. 2

Planting 1: Diospyros lotus L., Caragana sinica (Buc'hoz) Rehder, Cercis chinensis Bunge, Morus alba L., Cornus officinalis Siebold & Zucc., Punica granatum L., Pinus densiflora S. et Z., Prunus tomentosa Thunb., Chionanthus retusa Lindl. et Paxton, Taxus cuspidata S. et Z., Zanthoxylum piperitum (L.) DC., Pyracantha angustifolia Schneid., Buxus microphylla var. koreana Nakai ex Chung & Al.

Colony planting: Campsis grandiflora (Thunb.) K.Schum., Trachelospermum asiaticum (Siebold & Zucc.) Nakai, Lonicera sempervirens L., Phyllostachys bambusoides S. et Z., Pseudosasa japonica (Siebold & Zucc. ex Steud.) Makino, Rhododendron spp.

* invasive species

Table 9. Planted Species (by population) in Cheoneunsa Temple

(9)

사에 가장 많이 식재된 수종은 꽃치자(Gardenia jasmi-

noides var. radicans)로 수홍루와 사천왕문 사이에 경계

부식재로 열식되어 있었다. 그 다음으로는 광나무, 느티 나무, 단풍나무, 왕벚나무, 동백나무, 보리자나무, 차나 무 등이 10주 이상으로 확인되었다. 연곡사나 화엄사와 달리 천은사에는 우리나라 온대남부 및 난대수종인 푸 조나무의 거목이 사천왕문 주변에서

6주가 확인되었다.

이 나무는 우리나라 전남, 경남의 마을 입구의 풍치수나 성황목으로 심어 졌으며, 많은 나무들이 보호수나 천연 기념물(전남 강진군 대구면 35호, 장흥군 용산면 268호,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동

311호 등)로 지정되어 보호

받고 있다. 또한 희귀식물이나 특산식물로 가치가 있는 왕벚나무, 팥꽃나무, 이팝나무, 주목 등이 확인되었다.

천은사에서 거목은 느티나무, 왕벚나무, 푸조나무, 은행 나무, 팽나무, 개서어나무, 곰의말채, 산수유, 소나무, 이 팝나무 등으로 지금보다 더 많은 관심과 보호가 필요한 수종이다.

라. 외래종과 토착종

본 지리산국립공원 사찰의 식재수종을 전수 조사한 후 외래종을 구분하였다. 외래종은 이우철(1996)과 이창 복(2003) 및 이영노(2006)의 문헌을 활용하였으며, 구분 된 외래종 중 삼국사기 및 삼국유사에 나타난 수종 및 양화소록, 지봉유설, 산림경제, 화암수록 등에 나타난 조 선시대에 식재된 수종은 토착종으로 재분류하였다. 천

은사

46종,

화엄사 52종, 연곡사

40종으로 3개 사철에서

나타난 수종은 97종이며, 이중 외래종은 36종이며, 화엄 사 16종, 연곡사 14종, 천은사 36종으로 조사되었다. 과 거문헌에 의해 재분류 후 토착종을 파악한 결과 화엄사

43종,

연곡사

34종,

천은사 35종이다(Table 10). 화엄사 의 외래종은 큰개비자나무, 아까시나무, 은단풍, 처진매 실나무, 홍매실나무, 산당화, 보리자나무, 능소화, 죽순 대, 연곡사는 중국단풍, 큰개비자나무, 능수벚나무, 골담 초, 편백나무, 박태기나무, 천은사는 골담초, 박태기나 무, 피라칸다, 수국, 일본목련, 목서, 유카, 보리자나무, 꽃치자, 능소화, 붉은인동으로 나타났다.

사찰 Cheuneunsa Hwaeomsa Yeongoksa

Planted Species 46 52 40

Native Species 35 43 34

Invasive Species 11 9 6

Table 10. Status on Planted Species, Native Species and Invasive Species by Each Temple

Scientific Name IAPs Cheuneunsa Hwaeomsa Yeongoksa Yang-hwa-so-rok Ji-bong- yu-seol

San-rim-g yeong-

jae

Hwa-am-

su-rok Sam-guk- sa-gi Sam-guk-

yu-sa

Juglans mandshurica Maxim. 2

Quercus aliena Bl. 1

Diospyros kaki Thunb. 2 1 7 ◯

Carpinus tschonoskii Maxim. 2 15 1

Acer pictum subsp. mono (Maxim.) Ohashi 1

Diospyros lotus L. 1 1 1

Caragana sinica (Buc'hoz) Rehder ◯ 1 3

Cornus macrophylla Wall. 2

Ligustrum japonicum Thunb. 20

Quercus variabilis Bl. 1

Gardenia jasminoides var. radicans Makino ◯ 47

Meliosma myriantha Siebold & Zucc. 1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Rehder) Nakai 3

Zelkova serrata Makino 17 27 35 ◯ ◯

Table 11. Comparative Study of the Flora of Each Temple and Historical Literature

(10)

Scientific Name IAPs Cheuneunsa Hwaeomsa Yeongoksa Yang-hwa-so-rok Ji-bong- yu-seol

San-rim- gyeong-

jae

Hwa-am-

su-rok Sam-guk- sa-gi Sam-guk-

yu-sa Campsis grandiflora (Thunb.) K.Schum. ◯ cp

Salix preudolasiogyne H .Lev. 1

Prunus leveilleana ‘Pendula’ ◯ 2

Acer palmatum Thunb. 17 55 8 ◯

Acer pseudosieboldianum (Paxton) Kom. 15

Camellia japonica L. 14 74 7 ◯ ◯ ◯ ◯

Aralia elata (Miq.) Seemann 2 ◯

Wisteria floribunda (Willd.) DC. 1

Sambucus williamsii var. coreana (Nakai) Nakai 2

Styrax japonica S. et Z. 2

Trachelospermum asiaticum Nakai cp

Cornus walteri F.T.Wangerin 1

Prunus mume Siebold & Zucc. ◯ 7 3 104 ◯ ◯ ◯ ◯ ◯

Chaenomeles sinensis (Thouin) Koehne ◯ 4 2 ◯ ◯

Osmanthus fragrans (Thunb.) Lour. ◯ 3

Hibiscus syriacus L. 1 ◯

Cercis chinensis Bunge ◯ 1 7

Pinus densiflora for. multicaulis Uyeki 3 14

Castanea crenata S. et Z. 1 1 ◯

Lagerstroemia indica L. ◯ 4 15 ◯ ◯ ◯

Tilia miqueliana Max. ◯ 11 4

Prunus persica (L.) Batsch 2 ◯ ◯ ◯

Lonicera sempervirens L. ◯ cp

Morus alba L. 1 ◯ ◯

Euonymus japonica Thunb. cp

Chaenomeles speciosa (Sweet) Nakai ◯ 3

Prunus sargentii Rehder 1

Cornus officinalis Siebold & Zucc. ◯ 1 18 ◯ ◯ ◯

Zanthoxylum schinifolium S. et Z. 2

Quercus acutissima Carruth. 1

Punica granatum L. ◯ 1 3 1 ◯ ◯ ◯

Pinus densiflora S. et Z. 1 8 40 ◯ ◯ ◯ ◯

Picrasma quassioides (D.Don) Benn. 1

Hydrangea macrophylla (Thunb.) Ser. ◯ 2

Robinia pseudoacacia L. ◯ 1

Prunus tomentosa Thunb. ◯ 1 1 ◯ ◯

Rhododendron indicum (L.) Sweet ◯ ◯

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S.Y.Hu 2

Paulownia coreana Uyeki 1 ◯

Prunus pendula for. ascendens (Mak.) Ohwi 12

Ilex x wandoensis C.F.Miller 2

Phyllostachys bambusoides S. et Z. ◯ cp cp cp ◯ ◯ ◯ ◯ ◯

Prunus yedoensis Matsumura 15 1 8

Rhododendron spp. ◯ cp cp cp ◯ ◯ ◯

Tamarix chinensis Lour. ◯ ◯

Yucca gloriosa L. ◯ 5

Pourthiaea villosa (Thunb.) Decne. 1

Acer saccharinum L. ◯ 1

Table 11. Continued

(11)

결론 및 제언

본 연구에서는 지리산국립공원 남부권역에 있는 화엄 사, 연곡사, 천은사 사찰림을 조사하고 특히 식재수종의 현황을 조사하여 외래종과 토착종을 구분하여 다음과 결론을 도출하였다.

화엄사에는 외래종보다 우리나라 토착종인 동백나무,

느티나무, 푸조나무, 개서어나무, 올벚나무, 팽나무, 소 나무, 졸참나무, 자귀나무 등이 외래종보다 상당히 많은 개체가 확인되었다. 특히 각황전 좌측에 동백나무수림 이 있는데 이는 화재로부터 화엄사의 목조건물을 보호 하고자 오래전에 방화수림으로 조성된 것으로 판단되 며, 최근 들어 금강문 입구에 열식으로 동백나무의 거목 이 식재되었다. 또한 느티나무, 푸조나무, 개서어나무,

Scientific Name IAPs Cheuneunsa Hwaeomsa Yeongoksa Yang-hwa-so-rok Ji-bong- yu-seol

San-rim- gyeong-

jae

Hwa-am-

su-rok Sam-guk- sa-gi Sam-guk-

yu-sa

Ginkgo biloba L. ◯ 4 3 12 ◯ ◯ ◯ ◯

Pseudosasa japonica Makino cp cp

Chionanthus retusa Lindl. et Paxton 1

Magnolia obovata Thunb. ◯ 2

Albizia julibrissin Durazz. 4 1 ◯

Prunus salicina Lindl. ◯ 2 ◯ ◯

Pinus koraiensis S. et Z. 3 2 2 ◯ ◯ ◯

Abies holophylla Max. 1

Quercus serrata Thunb. ex Murray 5 3

Taxus cuspidata S. et Z. 1 4

Phyllostachys pubescens Mazel ex Lehaie ◯ cp

Acer buergerianum Miq. ◯ 1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

Thea sinensis L. ◯ 10 ◯

Ulmus parvifolia Jacq. 1

Prunus mume ‘Pendula’ ◯ 1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Max. ◯ ◯ ◯

Zanthoxylum piperitum (L.) DC. 1

Cornus controversa Hemsl. ex Prain 1 1

Gardenia jasminoides Ellis ◯ ◯ ◯ ◯ ◯

Cephalotaxus harringtonia (Knight) K.Koch ◯ 1 2

Musa basjoo Siebold & Zucc. ◯ 9 ◯ ◯

Daphne genkwa Siebold & Zucc. 4

Celtis sinensis Pers. 4 9 7

Chamaecyparis obtusa (S.etZ.) Endl. ◯ 3

Aphananthe aspera Planch. 6 21

Tilia amurensis Rupr. 1

Pyracantha angustifolia Schneid. ◯ 1

Magnolia sieboldii K.Koch 1

Rosa rugosa Thunb. 1 ◯ ◯

Prunus mume spp. ◯ 1

Euonymus alatus (Thunb.) Siebold 1

Buxus microphylla var. koreana Nakai ex Chung 1 ◯

Ternstroemia gymnanthera (Wight&Arn.) Sprague 2

* Shin, Sang-Seop (2011) re-edited ‘Yang-hwa-su-rok’, ‘Ji-bong-yu-seol’, ‘San-rim-gyeong-jae’, and ‘Hwa-am-su-rok’, while Jung, Jae-Hoon (2005) and I re-edited

‘Sam-guk-sa-gi’ and ‘Sam-guk-yu-sa’.

* cp : colony planting

Table 11. Continued

(12)

올벚나무, 팽나무, 졸참나무, 은행나무 등은 보호가 필요 한 노거수들이다. 연곡사는 천은사와 달리 외래종보다 우리나라 토착종이 다양하게 확인되었으며, 대표적으로 소나무, 느티나무, 당단풍, 단풍나무, 왕벚나무, 팽나무, 동백나무 순이었다. 특히 연곡사에는 스님들이 식용이 나 약용 목적으로 매실나무나 차나무 및 산수유 등을 많 이 심었으며, 다른 조사대상지인 천은사나 화엄사에 비 해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연곡사에서 거목은 소나무, 느 티나무, 은행나무, 왕벚나무, 팽나무 등으로 지금보다 더 많은 관심과 보호가 필요한 수종이다. 천은사 식재수종 은 대부분이 외래종으로 확인되었으나, 일부 우리나라 토착종인 광나무, 느티나무, 단풍나무, 왕벚나무, 동백나 무, 푸조나무, 팥꽃나무, 팽나무, 반송, 잣나무, 개서어나 무, 곰의말채, 산초나무, 완도호랑가시나무 등이 식재되 어 있었다. 아울러 희귀식물이나 특산식물로 가치가 있 는 왕벚나무, 팥꽃나무, 이팝나무, 주목 등이 확인되었 다. 보호가 필요한 수종으로는 느티나무, 왕벚나무, 푸조 나무, 은행나무, 팽나무, 개서어나무, 곰의말채, 산수유, 소나무, 이팝나무 등이 있다. 우리나라 사찰의 식재수종 은 대부분이 외래종으로 중국에서 이입되어 오래전부터 식재되었으며, 화엄사의 외래종은 큰개비자나무, 아까시 나무, 은단풍, 처진매실나무, 홍매실나무, 산당화, 보리 자나무, 능소화, 죽순대, 연곡사는 중국단풍, 큰개비자나 무, 능수벚나무, 골담초, 편백나무, 박태기나무, 천은사 는 골담초, 박태기나무, 피라칸다, 수국, 일본목련, 목서, 유카, 보리자나무, 꽃치자, 능소화, 붉은인동으로 나타났 다. 외래종은 향후 토착종으로 대체하는 관리방안이 요 구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전통사찰의 내, 외부 경관을 보

전하고 고유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문헌

Hong KP, SY Lee. 2001. Traditional Landscape of Korea.

p. 394. published by Dongguk University Press.

Jung JH. 2005. Traditional Landscape of Korea. p. 526. pub- lished by ‘Jogyeong’.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7. A Synonymics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Seoul. (in Korean) Lee, HS. 2011. Cherish Gurye. published by Gurye Cultural

Center.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Vol.

Ⅰ,Ⅱ. Hyangmunsa,

Seoul.

Lee YN. 2006. New Flora of Korea. Vol.

Ⅰ,Ⅱ. Kyo-Hak

Publishing Co., LTD., Seoul.

Lee YM, SH Park, SY Jung, SH Oh, JC Yang. 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 Pl. Taxon. 41(1): 87-101.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Lee WT. 1996. Coloured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ublishing Co., Seoul.

Melchior H.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Ⅱ. p. 666. Gebruder Bornteaeger, Berlin.

Shin SS. 2011. A Study on the Planting and Cultivate of Hong Man-Seon(1643~1715)’s ‘Salimkyungjae(山林經濟, The Economy of Forest)’.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44(3): 18-43.

You JH, KP Hong, DH Lee. 2010. Landscape Plants and Planting Characteristics of Three-Treasure Templ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8(1):

119-128.

(13)

관속식물명 속새과 Equisetaceae

쇠뜨기 Equisetum arvense L.

고사리삼과 Ophioglossaceae

고사리삼 Sceptridium ternatum (Thunb.) Lyon 고비과 Osmundaceae

고비 Osmunda japonica Thunb.

고사리과 Pteridaceae

잔고사리 Dennstaedtia hirsuta (Sw.) Mett. ex Miq.

황고사리 Dennstaedtia wilfordii (Moore) Christ.

고사리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Underw. ex A.Heller

봉의꼬리 Pteris multifida Poir.

면마과 Aspidiaceae

개고사리 Athytium niponicum (Mett.) Hance 뱀고사리 Athyrium yokoscense (Fr. et Sav.) H.Christ

쇠고비 Cyrtomium fortunei J.Smith

진고사리 Deparia japonica (Thunb.) M.Kato 좀진고사리 Deparia conilii (Franch. Et Sav.) M.Kato

비늘고사리 Dryopteris lacera (Thunb.) O.Kuntze

바위족제비고사리 Dryopteris saxifraga H.Ito

애기족제비고사리 Dryopteris sacrosancta Koidz. 산족제비고사리 Dryopteris bissetiana (Baker) C.Chr.

설설고사리 Phegopteris decursive-pinnata (Van Hall) Fee 처녀고사리 Thelypteris palustris (Salisb.) Schott

꼬리고사리과 Aspleniaceae

꼬리고사리 Asplenium incisum Thunb.

은행나무과 Ginkgoaceae

*은행나무 Ginkgo biloba L.

주목과 Taxaceae

주목 Taxus cuspidata S. et Z.

개비자나무과 Cephalotaxaceae

큰개비자나무 Cephalotaxus harringtonia (Knight) K.Koch 소나무과 Pinaceae

전나무 Abies holophylla Max.

잣나무 Pinus koraiensis S. et Z.

리기다소나무 Pinus rigida Mill.

소나무 Pinus densiflora S. et Z.

반송 Pinus densiflora for. multicaulis Uyeki

낙우송과 Taxodiaceae

삼나무 Cryptomeria japonica (L.fil.) D.Don

측백나무과 Cupressaceae

편백 Chamaecyparis obtusa (S. et Z.) Endl.

노간주나무 Juniperus rigida S. et Z. 버드나무과 Salicaceae

은사시나무 Populus tomentiglandulosa T.B.Lee

버드나무 Salix koreensis Andersson

Appendix 1. Floral List of Three Temples (Hwaeomsa, Cheoneunsa, and Yeongoksa) in the Southern Area of Jirisan National Park

(14)

관속식물명

능수버들 Salix preudolasiogyne H.Lev.

호랑버들 Salix caprea L.

갯버들 Salix gracilistyla Miq.

가래나무과 Juglandaceae

굴피나무 Platycarya strobilacea Siebold & Zucc.

가래나무 Juglans mandshurica Maxim.

자작나무과 Betulaceae

박달나무 Betula schmidtii Regel

사방오리 Alnus firma Siebold & Zucc.

개서어나무 Carpinus tschonoskii Maxim.

서어나무 Carpinus laxiflora (Siebold & Zucc.) Blume 개암나무 Corylus heterophylla Fisch. ex Trautv.

참개암나무 Corylus sieboldiana Bl.

참나무과 Fagaceae

밤나무 Castanea crenata S. et Z.

상수리나무 Quercus acutissima Carruth.

굴참나무 Quercus variabilis Bl.

갈참나무 Quercus aliena Bl.

졸참나무 Quercus serrata Thunb. ex Murray 느릅나무과 Ulmaceae

참느릅나무 Ulmus parvifolia Jacq.

느릅나무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Rehder) Nakai

느티나무 Zelkova serrata Makino

팽나무 Celtis sinensis Pers.

풍게나무 Celtis jessoensis Koidz.

푸조나무 Aphananthe aspera Planch.

뽕나무과 Moraceae

꾸지뽕나무 Cudrania tricuspidata (Carr.) Bureau ex Lavallee

돌뽕나무 Morus cathayana Hemsl.

산뽕나무 Morus bombycis Koidz.

뽕나무 Morus alba L.

닥나무 Broussonetia kazinoki Sieb.

뽕모시풀 Fatoua villos (Thunb.) Nakai 삼과 Cannabinaceae

환삼덩굴 Humulus japonicus S. et Z.

쐐기풀과 Urticaceae

큰쐐기풀 Girardinia cuspidata Weddell

모시물통이 Pilea mongolica Weddell

큰물통이 Pilea hamaoi Makino

산물통이 Pilea japonica (Maxim.) Hand.-Mazz

좀깨잎나무 Boehmeria spicata Thunb.

거북꼬리 Boehmeria tricuspis (Hance) Makino 왜모시풀 Boehmeria ongispica Steud.

개모시풀 Boehmeria platanifolia Fr. et Sav. 쥐방울덩굴과 Aristolochiaceae

족도리풀 Asarum sieboldii Miq.

Appendix 1. Continued

(15)

관속식물명 마디풀과 Polygonaceae

돌소리쟁이 Rumex obtusifolius L.

싱아 Aconogonon alpinum (All.) Schur

닭의덩굴 Fallopia dumetorum (L.) Holub

이삭여뀌 Persicaria filiformis (Thunb.) Nakai ex Mori 며느리배꼽 Persicaria perfoliata (L.) H.Gross 며느리밑씻개 Persicaria senticosa H.Gross ex Nakai

고마리 Persicaria thunbergii (Siebold & Zucc.) H.Gross ex Nakai

가시여뀌 Persicaria dissitiflora (Hemsl.) H.Gross ex Mori 장대여뀌 Persicaria posumbu var. laxiflora (Meisn.) H.Hara

개여뀌 Persicaria longiseta Kitagawa

가는개여뀌 Persicaria trigonocarpa (Makino) Nakai 수련과 Nymphaeaceae

수련 Nymphaea tetragona Georgi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

종덩굴 Clematis fusca var. violacea Max.

큰꽃으아리 Clematis patens C.Morren & Decne.

사위질빵 Clematis apiifolia A.P.DC.

젓가락나물 Ranunculus chinensis Bunge

은꿩의다리 Thalictrum actaefolium var. brevistylum Nakai

산꿩의다리 Thalictrum filamentosum var. tenerum (Huth) Ohwi

꽃매발톱류 Aquilegia spp.

*작약 Paeonia lactiflora Pall.

으름덩굴과 Lardizabalaceae

으름덩굴 Akebia quinata (Thunb.) Decne. 명아주과 Chenopodiaceae

흰명아주 Chenopodium album L.

비름과 Amaranthaceae

쇠무릎 Achyranthes japonica (Miq.) Nakai

자리공과 Phytolaccaceae

미국자리공 Phytolacca americana L.

석류풀과 Molluginaceae

송엽국 Lampranthus spectabilis (Haw.) N.E.Br.

석죽과 Caryophyllaceae

개별꽃 Pseudostellaria heterophylla (Miq.) Pax ex Pax & Hoffm.

쇠별꽃 Stellaria aquatica (L.) Scop.

상록패랭이 Diavthus superbus var. longicalycinus 석죽 Dianthus spp.

끈끈이대나물 Silene armeria L.

방기과 Menispermaceae

댕댕이덩굴 Cocculus triobus (Thunb.) DC. 목련과 Magnoliaceae

함박꽃나무 Magnolia sieboldii K.Koch

일본목련 Magnolia obovata Thunb.

Appendix 1. Continued

(16)

관속식물명 녹나무과 Lauraceae

생강나무 Lindera obtusiloba Blume

감태나무 Lindera glauca (Siebold & Zucc.) Blume

비목나무 Lindera erythrocarpa Makino

양귀비과 Papaveraceae

꽃양귀비 Papaver nudicaule L.

애기똥풀 Chelidonium majus var. asiaticum (Hara) Ohwi 현호색과 Fumariaceae

금낭화 Dicentra spectabilis (L.) Lem.

괴불주머니 Corydalis pallida (Thunb.) Pers. 풍접초과 Capparidaceae

풍접초 Cleome spinosa Jacq.

십자화과 Cruciferae

개갓냉이 Rorippa indica (L.) Hiern 돌나물과 Crassulaceae

돌나물 Sedum sarmentosum Bunge

돌나물류 Sedum spp.

칼랑코에 Kalanchoe blossfeldiana Poelln. 범의귀과 Saxifragaceae

바위취 Saxifraga stolonifera Meerb.

만첩빈도리 Deutzia crenata for. plena Schneid.

매화말발도리 Deutzia uniflora Shirai

고광나무 Philadelphus schrenkii Rupr.

수국 Hydrangea macrophylla (Thunb.) Ser.

산수국 Hydrangea serrata for. acuminata (S. et Z.) Wils.

조록나무과 Hamamelidaceae

히어리 Corylopsis gotoana var. coreana (Uyeki) Yamazaki

장미과 Rosaceae

조팝나무 Spiraea prunifolia for. simpliciflora Nakai

국수나무 Stephanandra incisa (Thunb.) Zabel

죽단화 Kerria japonica for. pleniflora (Witte) Rehder

뱀딸기 Duchesnea indica (Andr.) Focke

딸기 Fragaria ananassa Duchesne

가락지나물 Potentilla anemonefolia Lehm.

세잎양지꽃 Potentilla freyniana Bornm.

양지꽃 Potentilla fragarioides var. major Maxim.

수리딸기 Rubus corchorifolius L. fil.

산딸기 Rubus crataegifolius Bunge

곰딸기 Rubus phoenicolasius Maxim.

복분자딸기 Rubus coreanus Miq.

짚신나물 Agrimonia pilosa Ledeb.

찔레꽃 Rosa multiflora Thunb.

해당화 Rosa rugosa Thunb.

*자두나무 Prunus salicina Lindl.

*매실나무 Prunus mume Siebold & Zucc.

Appendix 1. Continued

(17)

관속식물명

*복사나무 Prunus persica (L.) Batsch

귀룽나무 Prunus padus L.

왕벚나무 Prunus yedoensis Matsumura

올벚나무 Prunus pendula for. ascendens (Mak.) Ohwi

산벚나무 Prunus sargentii Rehder

벚나무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Maxim.) E.H.Wilson

홍매 Prunus glandulosa for. sinensis (Pers.) Koehne

*앵도나무 Prunus tomentosa Thunb.

능수벚나무 Prunus leveilleana ‘Pendula’

처진매실 Prunus mume ‘Pendula’

*모과나무 Chaenomeles sinensis (Thouin) Koehne

산당화 Chaenomeles speciosa (Sweet) Nakai

피라칸다 Pyracantha angustifolia Schneid. 아그배나무 Malus sieboldii (Regel) Rehder

윤노리나무 Pourthiaea villosa (Thunb.) Decne. 팥배나무 Sorbus alnifolia (S. et Z.) K.Koch. 콩과 Leguminosae

자귀나무 Albizia julibrissin Durazz.

박태기나무 Cercis chinensis Bunge

차풀 Cassia mimosoides var. nomame (Siebold) H.Ohashi

다릅나무 Maackia amurensis Rupr. & Maxim.

조록싸리 Lespedeza maximowiczii C.K.Schneid.

싸리 Lespedeza bicolor Turcz.

괭이싸리 Lespedeza pilosa (Thunb.) S. et Z.

매듭풀 Kummerowia striata (Thunb.) Schindl.

큰도둑놈의갈고리 Desmodium oldhami Oliver

도둑놈의갈고리 Desmodium podocarpum var. oxyphyllum H.Ohas.

개도둑놈의갈고리 Desmodium podocarpum DC.

연리갈퀴 Vicia venosa (Willd.) Maxim.

큰여우콩 Rhynchosia acuminatifolia Makino 새팥 Vigna angularis var. nipponensis (Ohwi) Ohwi & H.Ohashi

Pueraria lobata (Willd.) Ohwi

돌콩 Glycine soja Siebold & Zucc.

새콩 Amphicarpaea bracteata subsp. edgeworthii H.Ohashi

땅비싸리 Indigofera kirilowii Maxim. ex Palib. 큰낭아초 Indigofera bungeana Walp.

Wisteria floribunda (Willd.) DC.

아까시나무 Robinia pseudoacacia L.

골담초 Caragana sinica (Buc'hoz) Rehder

토끼풀 Trifolium repens L.

쥐손이풀과 Geraniaceae

이질풀 Geranium thunbergii Siebold & Zucc.

세잎쥐손이 Geranium wifordii Max.

괭이밥과 Oxalidaceae

괭이밥 Oxalis corniculata L.

덩이괭이밥 Oxalis articulata Savigny Appendix 1. Continued

(18)

관속식물명 봉선화과 Balsaminaceae

물봉선 Impatiens textori Miq.

*봉선화 Impatiens balsamina L.

대극과 Euphorbiaceae

사람주나무 Sapium japonicum (Siebold & Zucc.) Pax & Hoffm. 회양목과 Buxaceae

회양목 Buxus microphylla var. koreana Nakai ex Chung & Al.

운향과 Rutaceae

초피나무 Zanthoxylum piperitum (L.) DC. 산초나무 Zanthoxylum schinifolium S. et Z. 탱자나무 Poncirus trifoliata Rafin.

소태나무과 Simaroubaceae

소태나무 Picrasma quassioides (D.Don) Benn. 감탕나무과 Aquifoliaceae

대팻집나무 Ilex macropoda Miq.

완도호랑가시나무 Ilex x wandoensis C.F.Miller 노박덩굴과 Celastraceae

사철나무 Euonymus japonica Thunb. 화살나무 Euonymus alatus (Thunb.) Siebold

노박덩굴 Celastrus orbiculatus Thunb.

고추나무과 Staphyleaceae

고추나무 Staphylea bumalda DC.

옻나무과 Anacardiaceae

붉나무 Rhus javanica L.

개옻나무 Rhus trichocarpa Miq.

산검양옻나무 Rhus sylvestris Siebold & Zucc. 단풍나무과 Aceraceae

신나무 Acer tataricum subsp. ginnala (Maxim.) Wesm.

고로쇠나무 Acer pictum subsp. mono (Maxim.) Ohashi

단풍나무 Acer palmatum Thunb.

홍단풍 Acer palmatum var. amoenum

당단풍나무 Acer pseudosieboldianum (Paxton) Kom.

은단풍 Acer saccharinum L.

중국단풍 Acer buergerianum Miq.

나도밤나무과 Sabiaceae

나도밤나무 Meliosma myriantha Siebold & Zucc.

합다리나무 Meliosma oldhamii Miq.

포도과 Vitaceae

왕머루 Vitis amurensis Rupr.

새머루 Vitis flexuosa Thunb.

가새잎개머루 Ampelopsis heterophylla for. citrulloides Rehder

개머루 Ampelopsis brevipedunculata (Maxim.) Trautv. 담쟁이덩굴 Parthenocissus tricuspidata (S. et Z.) Planch. 피나무과 Tiliaceae

피나무 Tilia amurensis Rupr.

보리자나무 Tilia miqueliana Max.

Appendix 1. Continued

(19)

관속식물명 아욱과 Malvaceae

*무궁화 Hibiscus syriacus L.

부용 Hibiscus mutabilis L.

벽오동과 Sterculiaceae

수까치깨 Corchoropsis tomentosa (Thunb.) Makino 다래나무과 Actinidiaceae

다래 Actinidia arguta Planch. ex Miq.

차나무과 Theaceae

노각나무 Stewartia pseudocamellia Maxim. 후피향나무 Ternstroemia gymnanthera (Wight & Arn.) Sprague

차나무 Camellia sinensis L.

동백나무 Camellia japonica L.

제비꽃과 Violaceae

남산제비꽃 Viola albida var. chaerophylloides F.Maek. ex Hara

태백제비꽃 Viola albida Palibin

둥근털제비꽃 Viola collina Besser

잔털제비꽃 Viola keiskei Miq.

고깔제비꽃Viola rossii Hemsl.

흰젖제비꽃 Viola lactiflora Nakai

제비꽃 Viola mandshurica W.Becker

왜제비꽃 Viola japonica Langsd. ex Ging.

콩제비꽃 Viola verecunda A.Gray

야생팬지 Viola arvensis Murray

종지나물 Viola pailionacea Pursh

선인장과 Opuntiaceae

선인장 Opuntia ficus-indica Mill.

박과 Cucurbitaceae

새박 Melothrua japonica Max.

팥꽃나무과 Thymeleaceae

팥꽃나무 Daphne genkwa Siebold & Zucc. 보리수나무과 Elaeagnaceae

보리수나무 Elaeagnus umbellata Thunb.

부처꽃과 Lythraceae

*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L.

석류과 Punicaceae

*석류 Punica granatum L.

바늘꽃과 Onagraceae

털이슬 Circaea mollis Slebold & Zucc.

달맞이꽃 Oenothera biennis L.

낮달맞이꽃 Oenothera speciosa Nutt. 두릅나무과 Araliaceae

송악 Hedera helix L.

오갈피나무 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Rupr. & Maxim.) S.Y.Hu

두릅나무 Aralia elata (Miq.) Seemann

Appendix 1. Continued

(20)

관속식물명 산형과 Umbelliferae

참반디 Sanicula chinensis Bunge

긴사상자 Osmorhiza aristata (Thunb.) Makino et Yabe

고수 Coriandrum sativum L.

파드득나물 Cryptotaenia japonica Hassk.

미나리Oenanthe javanica (Bl.) DC.

바디나물 Angelica decursiva (Miq.) Fr. et Sav.

궁궁이 Angelica polymorpha Max.

층층나무과 Cornaceae

층층나무 Cornus controversa Hemsl. ex Prain 말채나무 Cornus walteri F.T.Wangerin

곰의말채나무 Cornus macrophylla Wall.

*산수유 Cornus officinalis Siebold & Zucc.

노루발과 Pyrolaceae

노루발 Pyrola japonica Klenze ex Alef.

매화노루발 Chimaphila japonica Miq. 진달래과 Ericaceae

진달래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산철쭉 Rhododendron yedoense for. poukhanense M.Sugim.

철쭉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Max.

*왜철쭉 Rhododendron spp.

정금나무 Vaccinium oldhami Miq.

앵초과 Primulaceae

큰까치수염 Lysimachia clethroides Duby

감나무과 Ebenaceae

고욤나무 Diospyros lotus L.

*감나무 Diospyros kaki Thunb.

노린재나무과 Symplocaceae

노린재나무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 (Nak.) Ohwi

검노린재나무 Symplocos tanakana Nakai

때죽나무과 Styracaceae

쪽동백나무 Styrax obassia S. et Z.

때죽나무 Styrax japonicus Siebold & Zucc. 물푸레나무과 Oleaceae

물푸레나무 Fraxinus rhynchophylla Hance

쇠물푸레나무 Fraxinus sieboldiana Bl.

이팝나무 Chionanthus retusa Lindl. et Paxton

광나무 Ligustrum japonicum Thunb.

쥐똥나무 Ligustrum obtusifolium S. et Z.

목서 Osmanthus fragrans (Thunb.) Lour.

개나리 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

*서양수수꽃다리 Syringa vulgaris L.

용담과 Gentianaceae

용담 Gentiana scabra Bunge

Appendix 1. Continued

Referensi

Dokumen terkait

First of all, the writer would like to express the gratitude to Allah SWT for the blessing to finish this final report with the title “The Customers’ Perception

Comparison of Precision for Oven and Rapid Moisture Analyzer Analysis Methods for Instant-Dried Noodles (GMTK) and Instant-Fried Noodles (GCEPK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