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지진파 조사를 이용한 서해의 지각구조와 경기만 단층활동에 관한 연구. 한·중 공동연구로 한·중 배타적 경제수역 내 음파심부탐사 - 군산분지부터 모호벽까지의 지각구조 규명.
군산분지의 진화와 지질
연구지역인 중앙소분지는 군산분지 남동부 퇴적물 중심에서 북서방향으로 발달한 소분지이다. 군산분지의 다른 시추자료는 바닥에 백악기 이암과 사암, 백악기 화산암과 화강암을 확인하고 있다.
또한 군산분지 굴착자료에서는 하부에서 백악기 이암 및 사암과 백악기 화산암 및 화강암이 확인되었다. Mw 4.9 지진의 진원은 Qianliyan 습곡과 융기대가 동쪽으로 한반도 중부까지 뻗어 있음을 암시하는 것이 분명합니다. 예상해역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백령도 일대에서 지진을 일으킨 지질구조를 규명하고 구조적 분석을 수행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분명히 Mw 4.9 지진의 진원은 Qianliyan Fold and Uplift Belt가 동쪽으로 한반도 중부까지 확장될 것으로 예상되는 해역에 있습니다. 따라서 이 지역의 지질구조는 한문암과 한문암의 충돌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국외 연구
최근 중국과학원은 서해와 발해만에서 해저지진계를 이용해 심층음파조사를 실시했다. 동쪽에서는 상부맨틀이 얇아지는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며, 이는 남중국구가 한국중부 아래로 섭입하면서 부분적으로 고속층이 형성된 것으로 해석된다(그림 2-5-1-3).
지질환경
- 한반도와 서해의 지체구조
- 경기만의 4기 층서
난림육괴와 경기육괴 사이의 임진강대는 한반도 중부에서 동쪽으로 뻗어 있는 변성대이다. 일반적으로 Middle Pleistocene 층서학은 육성 및 육성입니다.
고해상 탄성파 자료의 획득과 처리
따라서 속도 분석을 위해 상속중합(CVS: constant velocity stack)을 사용하였다. 그것은 더 깊은 지질 구조를 보여주지 않습니다. 대신, 자세한 표면 퇴적 구조를 얻기 위해 홍적세에서 홀로세를 분리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탄성파 프로파일들의 해석
- 층서해석
- 기반암구조
- 습곡구조
폴딩 동작이 진행됨에 따라 결함은 한 슬립 표면에서 다른 슬립 표면으로 점차 활성화됩니다. 지진의 진원 깊이가 극히 얕다는 것은 얕게 발달한 습곡구조 내에서 지진이 발생했음을 시사한다.
결론
흥미롭게도 진원지에서 습곡축의 방향은 107o로 단층면과 일치한다. 이러한 점들을 종합하면 백령도 일대에서 발생한 M4.9 지진은 한중블록과 남중국블록이 충돌한 지역에서 발달한 습곡구조에서 동서방향이 우세한 압축환경에서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과거에 습곡 내 퇴적층 경계를 따라 발생하였으며, FSF 운동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서론
지각변동과 지각변동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지역이다. 특히, 군산 분지를 포함하는 황해 남부 분지는 본 연구에서 지각구조 조사 대상인 서해 남부에서 중국 본토 해안과 한반도 연안을 연결하고 있다. . 본토에서 한반도까지 긴 측선을 따라 지각 구조에 대한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다. 서해남단의 지각 및 상부맨틀구조, 분지형성에 따른 지각변형, 지각구조가 지진발생에 미치는 영향 규명 및 연구지역 접근한계 극복을 위한 한·중 국제공동 음향심부음파연구 추진
해양과학조사 허가를 요청하고 조사계획을 수립한다. 기타사항(석유자원 탐사에 대한 조사 및 본 조사계획과의 관련성) 연구과제 명 : 서해 지진구조 연구를 위한 한중 국제공동심층지진조사.
탐사 참여자 명단
심부 탄성파 탐사자료
- 해저면 지진계 탐사자료
- 탐사측선의 육상연장
한·중 서해 공동지진탐사 기간 동안 설치된 해상지진계의 자료는 해상지진계 발견 직후 백업됐다. 그리고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상 지진계 데이터를 탐사 데이터의 표준 형식인 SEGY 형식으로 변환한다. 극지연구소 지진계가 설치될 예정이던 임시관측소 PU12는 지진계 이상으로 가동이 불가능했다.
해저면 지진계 자료의 처리와 해석
- 지각구조를 계산하기 위한 처리
- 해저면 지진계 자료의 완전파형 역산
- 지각구조와 tectonics
이러한 탐색 데이터에 다이렉트 매트릭스 솔버(즉, pardiso, mumps)를 이용한 기존의 다변량 라플라스-푸리에 영역 전파형 역산법을 적용하면 매트릭스의 크기가 커져 과도한 메모리 사용량과 계산 시간이 길어진다. 주사위. 탄성 매체에 대한 다변량 Laplace-Fourier 완전 파형 반전 결과가 그림 1에 나와 있습니다. 지각은 분명히 상부 지각과 하부 지각으로 구분된다.
결론
후지산 지진간 상관관계 분석 표 3-3-2는 분석된 라인 구조의 각 요소에 대한 통계 정보를 보여준다. 지진의 위치와 pretectonic line 사이의 관계 분석.
관련분야 기여도
- 한⋅중 공동 서해남부의 심부탄성파 탐사
- 오대산/거창 지역의 지진과 선구조 상관관계 분석
속이 빈 지역에 위치하기 때문에 지진을 관측하고 지진을 이용한 지각 구조 획득이 어렵다. 오대산/거창 일대의 지진과 선형구조의 상관관계 분석. 선구조물은 단층, 섬 등의 지질구조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약한 선으로 지진에 취약하다.
후속연구 수행
- 한반도 남동해역 단층지도 제작
기타
R&D 과정에서 수집된 해외 과학기술정보
- 주요 쟁점
- USGS의 연구
San Andreas Fault의 약 60%는 Pacifica와 Cape Mendocino 사이의 300km 구간에서 해수면 아래에 있습니다. 단층 내 융기는 여러 곳에서 퇴적물 이동을 방해하고 해안 형태를 제어합니다. 이 단층은 디아블로 캐년 발전소에서 3해리 이내에 있습니다.
학술지 (SCI(E)) 논문게재 실적
The crustal growth history of the Korean Peninsula: Constraints from detrital zircon ages in modern fluvial sediments. Fault plan solutions of recent earthquakes in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Current velocity and stress fields of the Amurian plate from thin-shell finite-element modell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