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 료 번 호: B3-2011-0007
자 료 명: 환경갈등 해결사례 인터뷰 조사, 2011 연구책임자: 윤종한
질 문 지
1. 이해관계자들의 역학관계
・ 충청남도의 입장은 어떠했는가?
・ 시민(환경)단체의 입장은 어떠했는가?
・ 충청남도와 시민단체 간의 관계(대립/협력)는 어떠했는가?
・ 시민의 여론은 어떠했는가?
・ 중앙정부의 입장은 어떠했는가?
・ 서산시와 예산군의 입장은 어떠했는가?
・ 각 측의 실질적 대립 이유(환경보전, 문화재보존, 관광개발, 경제발전)는 무엇이었는가?
・ 각 측의 필요는 무엇이었는가?
2. 갈등의 합의과정
・ 가야산연대: 도로건설 백지화에서 황토길 건설로 입장을 바꾼 이유는? 환경보호와 문화재 및 역사 보전이라는 목표가 충족되는가?
・ 충청남도: 차량 도로건설(차량 통행) 계획을 바꾸게 된 이유는? 관광활성화 목표는 포기, 수정, 유지 중 어떤 상태 인가?
・ 황토길이 양자 모두의 필요를 만족시키는가?
・ 갈등의 해결과정에서 기존에 주장되어 온 인지적 요인에 근거한 해결방안과 구조적 요인에 근거한 해결방안 중 어떠한 방안들이 시도되었으며, 그 성과와 한계는 어떠했는가?
・ 합의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해 줄 수 있는가?
3. 갈등의 인지적 측면
・ 정부와 개발사업자에 대한 이미지를 제고하고 이해관계자들 사이의 신뢰를 증진하려는 노력이 있었는가?
・ 개발사업이 환경에 주는 위해성 및 위험성에 대한 우려를 해소하려는 노력이 충분히 있었는가?
4. 갈등의 구조적 측면
・ 주민참여를 통해 민주성 및 절차적 합리성을 확보하려는 노력이 있었는가?
・ 거버넌스 구조가 있었는가? 거버넌스 구조는 효율적이었는가?
・ 환경훼손으로 피해를 받는 행위자에 대한 적절한 보상 등의 유인책이 있었는가? 그러한 조치들의 효과는 어떠 했는가?
5. 갈등의 환경적 요인
・ 언론의 보도가 객관적이었으며 공정성이 유지되었는가?
・ 철탑 건설 및 예산 봉림리 골프장 건설 결과는 어떻게 되었는가?
・ 합의는 어떤 방식(효율적인 거버넌스, 민주성 및 절차적 합리성, 협상 내용 등)으로 이루어졌는가? 어떠한 필요가 어떠한 충족자에 의해 채워졌는가? 누가 먼저 제안했으며 누가 수락했는가?
6. 갈등의 내용적 요인
・ 지속가능발전이 최선의 갈등해결 대안이었는가?
・ 다른 대안들로 어떤 대안들이 있었으며, 그것들은 미비했는가?
・ 지속가능발전(생태탐방로) 대안의 존재가 갈등해결의 결정적 요인이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