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년 월 2010 8
교육학석사 기술( ․ 가정교육 학위논문)
․
A Study of Previous Learning on Practical Arts in Elementary Schools influences on Clothing and Textile Practice in Middle Schools
[UCI]I804:24011-200000240285
A Study of Previous Learning on Practical Arts in Elementary Schools influences on Clothing and Textile Practice in Middle Schools
․
․
감사의 글
하나의 작은 생각으로 시작되었던 논문을 정리하기까지 정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 로 했던 것 같습니다 그동안 논문을 마지막으로 정리하면서 관심과 도움을 주셨던 많은.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자 합니다.
먼저 이 논문이 완성되도록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밤낮으로 세심한 지도를 해주신 정옥, 임 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정옥임 교수님의 지도가 있었기에 부족한 저의 논. 문을 완성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이 논문을 심사해주시고 많은 조언해주신 한경순 양. , , , 남희 교수님께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논문을 쓰는 동안 많은 도움을 주었던 여러 지인분들께도 감사드립니다, .
이번 논문을 하면서 혼자서는 아무 일도 할 수 없다는 것을 다시한번 깨닫는 소중한 기, 회가 되었습니다.
우선 설문지 복사 및 논문 제본을 다 맡아 준 우리 오빠, , 6개 학교 설문지를 도와주신 각 학교 풍생중 김영진 조병욱 허지혜 선생님 교육대학원 동생 옥희 세연 김기열샘, , , , , , 이 도움을 줘서 모두 고마웠습니다.
그리고 논문을 쓰는 동안에 옆에서 도움을 주었던 김현미 선생님 항상 신경을 써주었, , 던 대학원 동기 선생님들 따뜻하게 격려를 해주시던 현재 근무하고 있는 고덕중학교 여, 러 선생님들 모두 감사드립니다.
마지막으로 늘 곁에서 버팀목이 되어준 가족들에게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목 차
ABSTRACT ···8 서론
. ···11
Ⅰ
연구의 필요성
1. ···11 연구 목적
2. ···12
이론적 배경
. ···13
Ⅱ
차 개정 교육과정 중 의생활 영역
1. 7 ···13 선수학습 능력
2. ···14 의생활 관련 선행 연구
3. ···15
연구방법
. ···16
Ⅲ
연구대상 및 기간
1. ···16 조사도구
2. ···17
설문지 구성
1. ···17
설문지 개발
2. ···17
자료분석 및 통계처리
3. ···18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4. ···19
연구결과 및 해석
. ···21
Ⅳ
선수학습의 충실도가 지역 학교에 따른 차이 정도
1. , ···21 학생들은 의생활 실습에 대해 만족도
2. ···25 초등학교 선수학습이 중학교 의생활 실습에 미치는 영향
3. ···34 학생들의 앞으로 의생활 내용 선호도
4. ···37
결론 및 제언
. ···41
Ⅴ
참고문헌···43 설문지···46
표 목 차
표 개정 차 교육과정 기술 가정 에서의 의생활 영역의 내용
< Ⅱ-1> 7 ‘ ㆍ ’
표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 Ⅲ-1>
선수학습의 충실도가 지역 학교에 따른 차이 정도
1. ,
표 초등학교 실과의 의생활 실습 횟수
< Ⅳ-1>
표 초등학교 실과의 의생활 실습 방법의 종류
< Ⅳ-2>
표 초등학교 실과의 의생활 실습 작품의 영역
< Ⅳ-3>
표 초등학교 실과 담당교사
< Ⅳ-4>
학생들의 의생활 실습에 대한 만족도 2.
표 초등학교 실과의 만든 작품에 대한 만족도
< Ⅳ-5>
표 초등학교 실과의 실습시간의 유익 도움 정도
< Ⅳ-6> /
표 중학교 의생활 실습의 만든 작품에 대한 만족도
< Ⅳ-7>
표 중학교 의생활 실습 작품의 만든 후 유익 도움 정도
< Ⅳ-8> /
표 중학교 의생활 중 실습에 대한 흥미도
< Ⅳ-9>
표 중학교 의생활 실습이 재미있는 이유
< Ⅳ-10>
표 중학교 의생활 실습이 재미없는 이유
< Ⅳ-11>
표 중학교 의생활 실습의 중요도 인식여부
< Ⅳ-12>
표 중학교 의생활 실습의 중요한 이유
< Ⅳ-13>
초등학교 선수학습이 중학교 의생활 실습에 미치는 영향 3.
표 초등학교 실과실습 여부에 따른 중학교 의생활 실습에 미친 영향
< Ⅳ-14>
표 의생활 실습에 도움이 된 부분
< Ⅳ-15>
표 초등학교 실과가 중학교 의생활 실습에 미친 효과
< Ⅳ-16>
학생들의 앞으로 의생활 내용의 선호도 4.
표 중학교 의생활 실습 때 만든 작품 유무
< Ⅳ-17>
표 중학교 의생활 실습 때 만든 작품의 종류
< Ⅳ-18>
표 앞으로의 의생활 실습 때 만들고 싶은 실습 작품
< Ⅳ-19>
표 앞으로의 의생활 교육의 방향
< Ⅳ-20>
ABSTRACT
A Study of Previous Learning on Practical Arts in Elementary Schools influences on Clothing and Textile Practice in Middle
Schools
Joo-Young Kang
Advisor : prof. Ok-Im Jung
Major in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su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Practical Arts prerequisite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s on Clothing and Textile Practice in middle schools. Second grade students attending three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three middle schools located in Gwang-ju totalling 1,023 were selected as the respondents for this study.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survey on effectiveness of prerequisite learning in different schools and regions, the frequency and effectiveness of Clothing and Textile Practice is better taught by Practical Arts Specialist Teachers than by homeroom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The students attending girls' or boys' middle schools did activities with their homeroom teachers. However, students attending co-educated middle schools did activities with Practical Arts Specialist Teachers. Therefore, the fidelity of prerequisite learning is determined by the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Practical Arts in elementary schools.
Second, prerequisite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s influences especially on sewing parts of Clothing and Textile Practices in middle schools.
Third, students attending middle schools answered that they made trousers and bags during Clothing and Textile Practice. However, students attending co-educated schools answered that they made bags. Since the teachers in co-educated schools consider male students when assigning projects, the results differ from other schools. Also, from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which projects the middle school students prefer to make during the Clothing and Textile Practice, knitting work is the first choice, followed by accessories, props, and then clothing. These results are slightly different from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This should be considered when the curriculum is changed.
Fourth, according to responses on the satisfaction and usefulness of projects in Clothing and Textile Practice in middle schools, students - regardless of their gender, schools, or region - feel that it is a proper course. If students make works that they prefer, the rate of satisfaction and preferences will increase.
Fifth, there are different specialties that students prefer to learn about in Clothing and Textile education. Students in Seoul and Gyungi perfer to learn about consumer education but students in Gwangju prefer to learn about fashion design. Also, female students are generally more interested in fashion design. On the other hand, male students are generally more interested in consumer education.
Considering these results, I would like to suggest the following:
First, Practical Arts Specialist Teachers should teach Practical Arts in elementary schools. Therefore, the performances of prerequisite learning could be proper and authentic.
Second, Practical Arts prerequisite learning should be done in elementary schools. This can ensure excellence when doing Clothing and Textile practice in middle schools.
Third, the projects of Clothing and Textile practice in middle schools should be changed to include fashionable items such as knitting wear or accessories which the students will be satisfied with rather than only clothing and household goods.
Fourth, it is advisable that students be allowed to take their gender into consideration when choosing the contents of Clothing and Textile.
These suggestions were reduced or not properly performed because of restrictions in the education system. This study shows that as Practical Arts prerequisite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s affects Clothing and Textile Practice in middle schools, Practical Arts should be covered thoroughly. Good teaching methods and materials should be suggested to enhance students' satisfaction on the contents of Clothing and Textile Practice in middle schools.
서론 .
Ⅰ
연구의 필요성 1.
세기는 고도 산업화 정보화 첨단 과학 문명으로 특정 지을 수 있다 따라서 고도의
21 , , .
지식과 기술 및 창의성을 요구하는 지식 기반 사회에서는 교육의 근본적인 변화가 요구 된다 이와 같은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개편된 교육과정도 개정. 7차에까지 이른 다.
제 7차 개정 교육과정에서 실과 기술( ㆍ가정 는 개인과 가족이 전 생애 동안에 경험하는) 광범위하고 다원화된 가정생활과 일 그리고 산업 기술의 변화를 이해하고 현재와 미래, 사회를 살아가는 데 필요한 생활 역량을 길러 줄 수 있는 교과라고 할 수 있다.1) 그 내 용을 살펴보면 제 차 개정 교육과정에서 실과 기술 가정 는, 7 ( ㆍ ) 5~6학년의 실과, 7~10학 년의 기술ㆍ가정을 포함한 국민 공통 기본 교과로서 6년간 연계를 가지고 이수하는 교과 이다.1) 이는 제 6차 교육과정의 기술 산업 교과와 가정 교과가 통합된 것으로 실생활에‘ ․ ’ ‘ ’ 서의 적용을 중요시하는 실천 교과로서 체험 학습을 통하여 개념과 원리를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의사 결정 능력 문제 해결 능력 창의력 등을 기르는데 도움을 주며 일의 경험, , 을 통하여 자신의 적성을 계발하고 진로를 탐색하고 일에 대한 건전한 태도를 가지게 한 다 따라서 기술 가정은. , ∙ 21세기를 살아갈 능력을 가진 인간을 기르는데 필요한 직접적이 고 실천적인 경험을 제공해 주고자 하며 단순한 지식과 기능의 습득보다는 일상생활에 창의적으로 실천할 수 있고 원만한 인간관계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2) 이에 따른 수업방법으로는 직접적인 실천 경험을 중요시하고 실험, 실습을 통해 일반적 원리를 적용시키거나 발견하게 하기 위해 실험 실습을 통한 체험적, 인 과정과 토의 학습 사례조사 견학 등 학생 중심의 수업을 강조하고 있다, , .
1) 교육부(2007). 실과 기술 가정 교육과정( ․ ) . p.2~4 2) 교육부(1998). 기술 가정 차 교육과정․ 7 . p.28~29
실과 교육은 초등학교 5~6학년 때의 실과로 시작되어 12학년까지 이어진다.
학년에서는 자신과 가족의 일상생활과 가정의 일에 필요한 기본적인 소양을 기르게 5~6
하며, 7~10학년에서는 가정생활과 산업 기술의 세계에 관한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여 실 생활에 필요한 능력을 기르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며 미래 생활을 설계하는 진로 탐색의, 기회를 제공한다 그리고. 11~12학년의 다양한 심화 선택 과목과 연계성을 가지고 있다.
1)
이러한 맥락에서 보면 중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의생활 교육은 초등학교 실과에서 다루어 졌던 내용으로 인해 교육적 효과를 기대해 볼만 하다고 본다 그러나 연계성으로 이루어. 져야 할 중학교 교육현장에서 의생활 교육에 대한 이해도는 이에 미치지 못한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에서 의생활교육 특히 의생활 실습에 있어 선수학습이 되, 는 초등학교에서의 실과수업이 중학교 의생활 실습수업과의 연계학습으로써 기능을 하고 있는지 그리고 또 의생활 실습내용에 대한 학생들의 수업만족도는 어느 정도인지를 알, 아봄으로써 학습수행에서의 향후 방향과 수월성을 제공해 보고자 한다.
연구 목적 2.
본 연구는 초등학교 실과 학습 중 의생활 실습부분에 관한 학습과 중학교 의생활 실습 과의 교육적 연계성이 상위학년에서 실제 수업을 진행하는데 수월하게 하기위해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 가설
※
가설 1. 선수학습의 충실도는 지역 학교별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2. 학생들은 의생활 실습에 대해 만족할 것이다.
가설 3. 중학교 실습수업의 학습효과는 초등학교 실과 선수학습 수행정도에 영향을 받을 것이다.
가설 4. 학생들은 앞으로도 의생활 내용을 배우고 싶어할 것이다.
이론적 배경 .
Ⅱ
차 개정 교육과정 중 의생활 영역 1. 7
실과 기술 가정 는( ㆍ ) 5~6학년의 실과, 7~10학년의 기술 가정을 포함한 국민 공통 기본ㆍ 교과로서 6년간 연계를 가지고 이수하도록 하고 있다.
실과 기술( ㆍ가정 는 학습자의 경험과 실생활에의 유용성을 중시하며 급변하는 가정생활) , 과 산업 기술 환경에서 학습자가 주도적인 삶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가치관과 다양한 능 력을 기르는 데 도움을 주는 실천 교과이다.1) 이처럼 실생활과 밀접한 기술 가정과 교과․ 중 의생활 영역은 5~10학년까지 9학년을 제외한 모든 학년에 내용요소가 들어있다 의. 생활 영역의 내용 요소는 표< Ⅱ-1>과 같고 학년별 세부적인 의생활 내용은 다음과 같다.
표 개정 차 교육과정 기술 가정 에서의 의생활 영역의 내용
< Ⅱ-1> 7 ‘ ㆍ ’
5 6 7 8 9 10
가정 생활
옷 입기와 관리
◦ 하기
나의 생활과 ㆍ
옷차림 나의 옷 관리 ㆍ
간단한 생활 용품
◦ 만들기
손바느질로 용품 ㆍ
만들기
ㆍ바느질 도구를 이용한 용품만 들기
청소년의 생활
◦
옷차림과 ㆍ
자기표현
가족의 생활
◦
의복의 선택과 ㆍ
관리
◦가정 생활의 실제 옷 만들기와 ㆍ
고쳐 입기
가정생활 문화
◦
의식주 생활 ㆍ
문화
학년 옷 입기와 관리하기 5 - (3)
•
옷의 기능을 이해하여 나의 신체적 성장 발달과 상황에 어울리는 옷차림을 한다.
㈎
옷의 종류와 용도에 맞게 정리 보관 수선을 할 수 있고 자원과 환경을 고려하여, , ,
㈏
옷을 관리하는 태도를 가진다.
교육부 실과 기술 가정 교육과정
1) (2007). ( ․ ) . p.5~13
학년 간단한 생활 용품 만들기 6 - (2)
•
손바느질을 이용하여 덧소매 주머니 받침 등 나의 생활에 필요한 용품을 만든다, , .
㈎
대바늘 코바늘 재봉틀 수예바늘 등 다양한 바느질 도구를 이용하여 생활 용품을, , ,
㈏
창의적으로 만든다.
학년 청소년의 생활 7 - (2)
•
옷차림을 통하여 자신을 표현하고 때와 장소 상황에 맞는 옷을 입는다, , .
㈏
학년 가족의 생활
8 - (2)
•
옷의 기능을 알고 옷의 선택을 위한 계획과 구입 방법 등을 이해하며 옷감의 특성,
㈏
에 따른 세탁과 보관을 통해 청결한 의생활을 유지한다.
가정생활의 실제 (3)
옷 만들기를 통해 옷의 구성 원리를 이해하고 옷의 변형과 수선 활동을 통해 자신,
㈏
이 가지고 있는 옷을 활용하여 개성 있는 옷차림을 한다.
학년 가정생활 문화 10 - (1)
•
우리나라의 의식주 생활의 변화를 이해하고 세계 여러 나라와의 비교를 통해 다양
㈏
한 생활 문화를 이해하며 직접 체험함으로써 바람직한 의식주 생활 문화를 창조한 다. 1)
선수학습 능력 2.
선수학습 능력이란 어떤 학습과제의 학습을 위해 미리 학습 또는 습득하고 있어야 할 학습으로 주어지는 시간에 배우게 될 학습과제의 성격상 위계적으로 하위에 해당하는 과 제나 목표를 성공적으로 습득하고 있으면 본 학습과제의 학습이 용이하게 된다 이때 위. 계상 하위에 속하는 과제의 습득을 선수학습이라 한다. 3)
교육부 실과 기술 가정 교육과정
1) (2007). ( ․ ) . p.5~13
3) 서울대학 사범대학 교육연구소(1986). 『교육학 용어사전』. 배영사
즉 선수학습이란 교육과정에서 이미 배운 학습을 말하며 한 단원이나 학습과제의 학습, 을 위해서 그 수업이 이루어지기 전에 학습자가 갖추고 있어야 할 지적인 능력을 의미한 다.
또한 이연숙은 선수학습 능력이란 출발점 행동의 한 요소로써 선수학습 능력의 유무를, 말한다 선수학습 능력의 유무는 학습자 개인에 따라서 차이가 있으며 학습능력이 생기. 는 출발점 행동으로써 어떤 단원이나 학습과제를 학습하려고 할 때 그 수업이 이루어지, 기 전에 기본적으로 갖추고 있어야 할 능력으로 두 가지로 구분 할 수 있다 하나는 모. 든 학습활동의 기초가 되는 읽기 쓰기 그리고 셈하기 등 능력으로 이때 기초 학습 능력, , 이 부족한 학생은 학습의 부적격자로서 특별한 교정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또 다른 하나. 는 기초학습 능력은 갖추고 있으면서도 선수학습 결손으로 말미암아 교과진도를 정상적 으로 따라가지 못하는 경우이다 이러한 학습 결손 자는 간단한 교정학습이 필요하다. . 그러나 실제 현장에서는 선수학습 결손에 대한 문제점은 지적되고는 있지만 교정프로그 램을 사용하는 데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선수학습을 하지 않으면 모든. , 교과에서 원만히 수행되어야 할 차시학습 진행에 지장을 초래하여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 다.4)
의생활 관련 선행 연구 3.
기술가정 교과는 실생활에의 적용을 중시하는 실천 교과로서 체험 학습을 통하여 개념 과 원리를 구체적으로 이해시키고 의사 결정 능력 문제 해결 능력 창의력 등을 기르는, , , 데 도움을 주며 일의 경험을 통하여 자신의 적성을 계발하고 진로를 탐색하며 일에 대, 한 건전한 태도를 가지게 한다.2) 따라서 본 교과에서의 실험ㆍ실습은 기술가정 교육 목 표를 달성하기 위한 중요한 교수학습방법이다 그럼에도 현장에서는 시수부족 교사대비. , 학생 수 과다 입시관련 과목이 아니라는 등의 이유로 실험 실습이 많이 축소되고 있는, ․ 실정이다 실험 실습. ㆍ학습은 학습자들의 동기를 유발시키고 추상적인 개념만을 학습하, 기 보다는 실제적인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해주며, 학습자들에게 일반화시키는 능력을 배
교육부 기술 가정 차 교육과정
2) (1998). ․ 7 . p.28~29
4) 이연숙(2002). 가정과 교육의 이론과 실제 신광출판사. p.332~333
워서 새로운 상황에 이러한 일반화된 능력을 적용하게 되는 것4)으로 학습자들에게 실생 활을 살아가는데 반드시 필요한 학습 방법이다 따라서 가정과 교육은 실생활에 도움이. , 될 수 있는 실험 실습을 보다 강화ㆍ 5)하여 학습자가 주도적인 삶을 영위하도록 해야 함에 도 오히려 실습에 대한 시간이 축소됨으로 인해 학생들의 실습능력 또한 점차 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송지선 두경자 홍희영은 그들의 연구에서 실험실습 횟수와 시간 부족으로 학습자, , 들이 이론적으로 배운 실험 ․ 실습을 이해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고 지적6)하면서 기술ㆍ 가정 교과에서 실험 실습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ㆍ . 또 장은정의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가 가정 실습시간을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보다 여학생들이 실습을 더
72% ,
좋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습 시간을 좋아하는 이유로는 남녀 모두 교과내용이. ‘ 흥미 있고 실생활과 밀접한 관련 때문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실습내용의 적. 절성에 대한 인식에서는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실습내용, 물에 대해서도 보다 현실적이면서 쉬운 것으로 바뀌기를 바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7)
연구방법 .
Ⅲ
연구대상 및 기간 1.
본 연구는 남녀공학중학교 여자중학교 남자중학교, , 2학년을 대상으로 서울 경기지역· 3 개교와 광주지역 3개교 총 6개교를 설문조사 하였다 본 연구 설문조사연구법을 사용하. 였으며 질문 문항은 5개 영역 총 54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이연숙 가정과 교육의 이론과 실제 신광출판사
4) (2002). . , p.332~333
5) 김경숙(1997). 중학교 새 가정 교과 실험 실습 시간 운영을 위한 기초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ㆍ . , p.46 6) 송지선 두경자 홍희영, , (2006). 중학교 기술 가정 교과의 실험 실습 운영에 관한 학습자 인식 연구 상명대학교 교ㆍ ㆍ .
육대학원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18(2), p.29~45
7) 장은정(2008). 학교 의생활영역 실습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 p.50
예비조사는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2010년 1월 3일부터 7일까지 5일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문항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본 조사에서는 일부 문항을 재수정하여 사, 용하였다.
본 조사의 자료배부 및 수집은 2010년 3월 2일부터 3월 20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여러 기술 가정교사의 도움을 받아 설문지를 배부하고 교사의 지도하에 작성하도록 하였다 총· . 부를 배부하고 배부한 설문지 중에 불성실한 응답을 한 부를 제외한 부를
1200 , 177 1023
최종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도구 2.
설문지 구성 1.
설문지 구성은 인구통계학적 문항 외에 크게 4부분으로 구성되었다. 1부는 초등학교 실 과 중 의생활 실습 수행 여부에 대한 내용을 2부는 중학교 기술 가정 중 의생활 실습에․ 대한 내용을 3부에서는 초등학교 실과가 중학교 기술 가정의 의생활 실습에 미치는 연계․ 학습 4부에서는 앞으로 의생활 교육의 발전방향에 대해 다루고 있다.
설문지 개발 2.
본 연구를 위한 설문지에서 초등학교 실과와 관련된 내용은 홍월영(2006)의 연구를 중, 학교 의생활 수업 만족도에 관련된 내용은 강미향(2005)의 연구를 바탕으로 연구 목적에 맞게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지 문항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졌다. .
초등학교 실과 중 의생활 실습에 관련된 문항 a.
실제 실습 수행여부와 횟수 문항
(1) - 1~2
실습내용과 만든 작품 문항
(2) - 3~4
실습 작품에 대한 만족도와 도움여부 문항
(3) - 5~7
실습시간의 충분성 문항
(4) - 8~9
실과수업 담당자 문항
(5) - 10
중학교 기술 가정 중 의생활 실습에 관련된 문항
b. ․
가정교과 중 선호하는 영역 문항
(1) - 11~12
실습에 대한 선호도 및 중요성 인식여부 문항
(2) - 13~19
실습 작품에 대한 만족도와 도움여부 문항
(3) - 20~21
실습시간의 충분성 문항
(4) - 22~23
실습방법 바느질 재봉틀 에 관련된 문항 문항
(5) ( , ) - 24~33
실습실 존재여부 문항
(6) - 34~35
연계학습의 영향에 관련된 문항 c.
초등학교 실과수업의 학습효과가 중학교 의생활 실습에 미친 영향 문항
(1) - 36~38
앞으로 의생활 교육의 발전방향 d.
현재 중학생들이 수행하는 의생활 실습내용 문항
(1) - 39~42
실제 중학생들이 선호하는 의생활 실습내용 문항
(2) - 43~44
응답자의 기본적인 사항 문항
e. - 45~54
자료 분석 및 통계처리 3.
본 연구는 초등학교 실습학습과 중학교 의생활 실습과의 연계학습이 잘 이루어지는지 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 프로 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인, , 에 따른 집단 간의 검증은 교차분석(pearson , Fisher's exact test)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4.
표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 Ⅲ-1>
변인 구분 빈도(N) 백분율(%)
지역 서울 경기/ 496 47.2
광주 529 50.3
학교
여자중학교 391 37.2
남자중학교 247 23.5
남 여공학중학교․ 387 36.8
성별 여학생 576 54.8
남학생 449 42.7
가족수
명
2 7 0.7
명
3 82 7.8
명
4 581 55.3
명
5 262 24.9
명이상
6 93 8.8
부학력
중졸이하 12 1.1
중졸 27 2.6
고졸 418 39.8
대졸 422 40.2
대학원졸 88 8.4
모학력
중졸이하 13 1.2
중졸 31 2.9
고졸 508 48.3
대졸 352 33.5
대학원졸 59 5.6
부직업
전문기술직 175 16.7
판매직 134 12.7
생산단순노무직 234 22.3
사무관리직 304 28.9
서비스직 96 9.1
농어업 13 1.2
기타 21 2.0
모직업
전문기술직 111 10.6
판매직 124 11.8
생산단순노무직 46 4.4
사무관리직 151 14.4
서비스직 119 11.3
농어업 8 0.8
위와 같이 본 조사에 응답한 남녀 중학교 2학년 학생들 중 결측치를 제외한 인구 통계 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지역별 분포는 전체 응답자 1051명중 서울 경기가/ 496명
광주가 명 을 차지하였다
(47.2%), 529 (50.3%) .
학교별로는 여자중학교가 391 (37.2%),명 남자중학교가 247 (23.5%),명 남 여공학중학교․ 가 387명(36.8%)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여학생이 576 (54.8%),명 남학생이 449 (42.7%)명 이었다. 연구대상자의 가족 수는 4인 가족이 581 (55.3%)명 으로 가장 많았다.
아버지의 학력은 대졸이 422 (40.2%)명 으로 가장 많았으며 고졸, 418 (39.8%)명 순으로 나타났고, 어머니의 학력은 고졸이 508 (48.3%)명 으로 가장 많았으며, 대졸이 352명
로 나타났다 (33.5%) .
아버지의 직업은 사무관리직이 304 (28.9%)명 로 많았으며, 생산단순노무직 234명 전문기술직 명 순으로 나타났고 어머니의 직업은 기타가 명
(22.3%), 175 (16.7%) , 422
로 가장 많았으며 사무관리직 명 판매직 명 순으로 나타
(40.2%) , 151 (14.4%), 124 (11.8%) 났다.
학생이 느끼는 가정 경제적 생활정도는 보통이다 가‘ ’ 693 (65.9%)명 으로 많았으며, ‘약간 낮다’ 164 (15.6%), ‘명 약간높다’ 83 (7.9%)명 순으로 나타났다 학생 가정의 경제적 수입정. 도는 ‘2-3백만원 이’ 259 (24.6%)명 으로 많았으며, ‘3-4백만원’ 214 (20.4%)명 순으로 나타 났다.
기타 422 40.2
경제적 생활정도
높다 33 3.1
약간높다 83 7.9
보통이다 693 65.9
약간낮다 164 15.6
낮다 52 4.9
경제적 수입정도
백만원이하
1 49 4.7
백만원
1-2 192 18.3
백만원
2-3 259 24.6
백만원
3-4 214 20.4
백만원
4-5 197 18.7
단 결측치 제외,
연구결과 및 해석 .
Ⅳ
선수학습의 충실한 정도가 지역 학교에 따른 차이 정도
1. ,
표 초등학교 실과의 의생활 실습 횟수
< Ⅳ-1> 빈도(%)
초등학교 실과의 의생활 실습 횟수
한번 두번 세번 네번 기타
전체 290(32.6) 318(35.7) 139(15.6) 49(5.5) 94(10.6) 지역 서울 경기/ 139(32.3) 157(36.5) 69(16.0) 22(5.1) 43(10.0)
0.735 광주 151(32.8) 161(35.0) 70(15.2) 27(5.9) 51(11.1)
학교
여중 124(38.0) 110(33.7) 46(14.1) 10(3.1) 36(11.0)
18.969* 남중 75(35.2) 74(34.7) 27(12.7) 14(6.6) 23(10.8)
공학 91(25.9) 134(38.2) 66(18.8) 25(7.1) 35(10.0) 성별 여학생 161(32.3) 180(36.1) 79(15.9) 28(5.6) 50(10.0)
0.440 남학생 129(32.9) 138(35.2) 60(15.3) 21(5.4) 44(11.2)
* p<0.05
위 표에서 보면 초등학교 실과의 의생활 실습횟수에 대해서는 p<0.05수준에서 유의한 차 이가 있음을 알 수 있고 지역과 성별에 따른 초등학교 실과의 의생활 실습횟수를 봤을, 때는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학교에서 여중과 남중은 의생활 실습횟수에서. 한 번이 38.0%, 35.2%로 나왔고 공학에서는 실습횟수 두 번이, 38.2%로 나왔다.
즉 지역에 따른 선수학습의 횟수는 큰 차이 없었으며 학교에 따라서는 여중과 남중보, , 다는 남녀공학 중학교 학생들이 초등학교 때 실과 선수학습을 더 많이 했다고 응답하였 다 이것은. <표 Ⅳ-4>의 초등학교 실과 담당교사 통계자료를 보면 이유를 알 수 있다 학. 교에서 여중과 남중은 담임선생님 이 많이 나왔고 공학에서는 실과전담교사 가 많이 나‘ ’ , ‘ ’ 왔다 따라서 여중과 남중을 다니는 학생들은 초등학교 때 담임선생님이 대부분 실습을. , 주로 지도 했고 실습 횟수도 한 번이 대부분 이었으나 남녀공학 중학교 학생들은 초등, , 학교 때 실과 전담교사가 수업을 하였으며 실습 횟수도 두 번이 높은 것으로 보아 선수, , 학습이 더욱 충실했던 것으로 알 수 있었다 즉 초등학교 실과 전담 교사 전공자 에 따. , ( ) 라 선수학습의 충실한 정도가 달라졌던 것으로 여겨진다.
표 초등학교 실과의 의생활 실습 방법의 종류
< Ⅳ-2> 빈도(%)
초등학교 실과의 의생활 실습 방법의 종류
손바느질 스킬자수 대바늘
뜨기
코바늘 뜨기
재봉틀 이용하기
십자수 하기 전체 467(53.3) 440(50.2) 136(15.5) 78(8.9) 119(13.6) 273(31.2) 지역 서울 경기/ 206(49.0) 195(46.4) 61(14.5) 22(5.2) 71(16.9) 132(31.4) 광주 261(57.2) 245(53.7) 75(16.4) 56(12.3) 48(10.5) 141(30.9)
학교
여중 180(56.1) 152(47.4) 57(17.8) 28(8.7) 14(4.4) 131(40.8) 남중 113(53.3) 90(42.5) 24(11.3) 20(9.4) 10(4.7) 62(29.2) 공학 174(50.7) 198(57.7) 55(16.0) 30(8.7) 95(27.7) 80(23.3) 성별 여학생 290(59.1) 257(52.3) 94(19.1) 51(10.4) 61(12.4) 174(35.4)
남학생 177(46.0) 183(47.5) 42(10.9) 27(7.0) 58(15.1) 99(25.7)
초등학교 실과의 의생활 실습 방법의 종류로는 위 <표 Ⅳ-2>와 같이 나타났다 전체적. 으로 손바느질이 53.3%로 높게 나왔고 스킬자수가, 50.2%, 십자수하기가 31.2%, 대바늘 뜨기가 15.5%, 재봉틀이용하기가 13.6%, 코바늘뜨기 8.9%순으로 응답의 결과가 나왔다. 그러나 학교에서의 공학과 성별에서의 남학생의 경우는 스킬자수가 높은 응답의 결과가, 나타났다 이것은 여학생들 보다 섬세함이 다소 부족한 초등학교 남학생들에게는 손바느. 질보다는 용이한 스킬자수 실습을 보다 많이 했던 것으로 보인다.
표 초등학교 실과의 의생활 실습 작품의 영역
< Ⅳ-3> 빈도(%)
초등학교 실과의 의생활 실습 작품의 영역
의복류 소품류 생활
용품류 장식품류 뜨개질류 기타
전체 80(9.1) 242(27.4) 372(42.1) 405(45.9) 168(19.0) 38(4.3) 지역 서울 경기/ 27(6.4) 114(26.9) 157(37.0) 206(48.6) 70(16.5) 19(4.5) 광주 53(11.5) 128(27.9) 215(46.8) 199(43.4) 98(21.4) 19(4.1)
학교
여중 44(13.6) 93(28.7) 136(42.0) 154(47.5) 76(23.5) 16(4.9) 남중 15(7.1) 57(26.9) 90(42.5) 86(40.6) 27(12.7) 12(5.7) 공학 21(6.1) 92(26.5) 146(42.1) 165(47.6) 65(18.7) 10(2.9) 성별 여학생 55(11.1) 144(29.1) 219(44.3) 234(47.4) 119(24.1) 19(3.8) 남학생 25(6.4) 98(25.2) 153(39.3) 171(44.0) 49(12.6) 19(4.9)
초등학교 실과에서 의생활 실습 작품의 영역으로는 위 <표 Ⅳ-3>와 같이 나타났다 전. 체적으로 장식품류가 45.9%로 가장 높게 나왔고 생활용품류가, 42.1%, 소품류가 27.4%, 뜨개질류가 19.0%, 의복류가 9.1%, 기타 4.3%순으로 응답의 결과가 나왔다 설문지에서. 장식품류의 예가 십자수 핸드폰 줄 스킬자수 작품이고 생활용품의 예가 방석 쿠션등으, , , 로 들었다 그 결과 학생들이 손쉽게 실습할 수 있는 장식품류를 많이 실습했던 것 같다. . 지역적으로는 광주에서 생활용품류가 46.8%로 나타났고, 학교는 남자중학교에서
로 높은 결과가 나왔다
42.5% .
표 초등학교 실과 담당교사
< Ⅳ-4> 빈도(%)
초등학교 실과 담당교사
담임교사 실과
전담교사
타 담당
교사 외부강사 기타
전체 490(55.2) 303(34.2) 65(7.3) 6(0.7) 23(2.6) 지역 서울 경기/ 252(58.7) 143(33.3) 21(4.9) 2(0.5) 11(2.6)
9.264 광주 238(52.0) 160(34.9) 44(9.6) 4(0.9) 12(2.6)
학교
여중 252(77.5) 32(9.8) 31(9.5) 3(0.9) 7(2.2)
143.461***
남중 98(46.0) 93(43.7) 16(7.5) 1(0.5) 5(2.3) 공학 140(40.1) 178(51.0) 18(5.2) 2(0.6) 11(3.2) 성별 여학생 320(64.5) 122(24.6) 38(7.7) 3(0.6) 13(2.6)
47.901***
남학생 170(43.5) 181(46.3) 27(6.9) 3(0.8) 10(2.6)
*** p<0.001
위 <표 Ⅳ-4>에서와 같이 학교와 성별에 따른 실과 담당선생님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고 지역에 따른 실과 담당선생님을 봤을 때는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학교에서 여중과 남중은 담임선생님 이. ‘ ’ 77.5%, 로 가장 높게 나왔고 공학에서는 실과전담교사 가 로 가장 높게 나왔다 성
46.0% , ‘ ’ 51.0% .
별에서 여학생은 담임선생님 이‘ ’ 64.5%, 남학생은 실과전담교사 가‘ ’ 46.3%로 가장 높게 나왔다 이것은. <표 Ⅳ-1>의 의생활 실습 횟수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초등학교 실과 선수 학습의 충실도의 결정적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초등학교 실과는 실과 전담 교. , 사 전공자 가 가르치는 것이 학습수행에 보다 바람직하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 .
학생들의 의생활 실습에 대한 만족도 2.
표 초등학교 실과의 만든 작품에 대한 만족도
< Ⅳ-5> 빈도(%)
초등학교 실과의 만든 작품에 대한 만족도
매우
마음에들다 마음에들다 보통이다 마음에
들지않는다
매우마음에 들지않는다 전체 81(9.1) 230(26.0) 379(42.8) 114(12.9) 82(9.3) 지역 서울 경기/ 36(8.4) 109(25.5) 187(43.8) 60(14.1) 35(8.2)
2.612 광주 45(9.8) 121(26.4) 192(41.8) 54(11.8) 47(10.2)
학교
여중 26(8.0) 91(28.2) 154(47.7) 32(9.9) 20(6.2)
29.177***
남중 29(13.4) 51(23.6) 86(39.8) 20(9.3) 30(13.9) 공학 26(7.5) 88(25.4) 139(40.1) 62(17.9) 32(9.2) 성별 여학생 35(7.1) 130(26.4) 228(46.2) 67(13.6) 33(6.7)
16.606**
남학생 46(11.7) 100(25.4) 151(38.4) 47(12.0) 49(12.5)
** p<0.01, *** p<0.001
위 <표 Ⅳ-5>에서와 같이 학교와 성별에 따른 초등학교 실과의 만든 작품의 만족도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고 지역에 따른 만든 작품이 마음, 에 드는 여부를 봤을 때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전체적으로 살. 펴보면, ‘보통이다 가’ 42.8%로 높게 나왔고, ‘마음에 들다 가’ 26.0%, ‘마음에 들지 않는 다 가’ 12.9%, ‘매우 마음에 들지 않는다 가’ 9.3%, ‘매우 마음에 들다 가’ 9.1% 순으로 응 답의 결과가 나와 보통 이상의 긍정적인 답은 68.8%이였다.
학교에서 여중 남중 공학 모두 보통이다 가, , ‘ ’ 47.7%, 39.8%, 40.1%로 높게 나왔고 성, 별도 마찬가지로 여학생 남학생 모두 보통이다 가, ‘ ’ 46.2%, 38.4%로 높게 나왔다.
표 초등학교 실과 실습시간의 유익 도움 정도
< Ⅳ-6> / 빈도(%)
초등학교 실과 실습시간의 유익 도움 정도/
아주
유익하고 도움되었다
유익하고
도움되었다 보통이었다
유익하지않 고도움되지
않았다
필요없다고 생각한다 전체 45(5.0) 250(27.9) 427(47.7) 76(8.5) 98(10.9) 지역 서울 경기/ 15(3.4) 118(27.1) 218(50.1) 39(9.0) 45(10.3)
5.930 광주 30(6.5) 132(28.6) 209(45.3) 37(8.0) 53(11.5)
학교
여중 19(5.8) 104(31.6) 167(50.8) 22(6.7) 17(5.2)
29.099***
남중 12(5.6) 56(25.9) 92(42.6) 17(7.9) 39(18.1) 공학 14(4.0) 90(25.6) 168(47.9) 37(10.5) 42(12.0) 성별 여학생 25(5.0) 156(31.1) 250(49.9) 34(6.8) 36(7.2)
23.947***
남학생 20(5.1) 94(23.8) 177(44.8) 42(10.6) 62(15.7)
*** p<0.001
위 <표 Ⅳ-6>에서와 같이 학교와 성별에 따른 실습시간의 유익 도움 정도에 대한 응답/ 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고 지역에 따른 실습시간의 유익 도움 정도를 봤, / 을 때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 ‘보통이었 다 가’ 47.7%로 높게 나왔고, ‘유익하고 도움되었다 가’ 27.9%, ‘필요없다고 생각한다 가’
유익하지 않고 도움되지 않았다 가 아주 유익하고 도움되었다 가
10.9%, ‘ ’ 8.5%, ‘ ’ 5.0%
순으로 응답의 결과가 나왔다.
학교에 따라서는 여중 남중 공학 모두 보통이었다 가, , ‘ ’ 50.8%, 42.6%, 47.9%로 가장 높게 나왔고 성별도 마찬가지로 여학생 남학생 모두 보통이었다 가, , ‘ ’ 49.9%, 44.8%로 높게 나왔다.
표 중학교 의생활 실습의 만든 작품에 대한 만족도
< Ⅳ-7> 빈도(%)
중학교 의생활 실습의 만든 작품에 대한 만족도
매우
마음에들다 마음에들다 보통이다 마음에
들지않는다
매우마음에 들지않는다 전체 53(5.3) 282(28.1) 405(40.3) 165(16.4) 99(9.9) 지역 서울 경기/ 26(5.3) 181(36.7) 190(38.5) 66(13.4) 30(6.1)
45.913***
광주 27(5.3) 101(19.8) 215(42.1) 99(19.4) 69(13.5)
학교
여중 21(5.4) 121(31.2) 164(42.3) 55(14.2) 27(7.0)
34.859***
남중 22(9.6) 53(23.0) 88(38.3) 31(13.5) 36(15.7) 공학 10(2.6) 108(28.0) 153(39.6) 79(20.5) 36(9.3) 성별 여학생 25(4.4) 174(30.4) 233(40.7) 101(17.6) 40(7.0)
17.004**
남학생 28(6.5) 108(25.1) 172(39.9) 64(14.8) 59(13.7)
** p<0.01, *** p<0.001
위 <표 Ⅳ-7>은 지역과 학교 성별에 따른 만든 작품에 대한 만족도에 알아본 것으로,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보
p<0.01, p<0.001 . , ‘
통이다 가’ 40.3%로 높게 나왔고, ‘마음에 들다 가.’ 28.1%, ‘마음에 들지 않는다 가.’
매우 마음에 들지 않는다 가 매우 마음에 들다 순으로 응답의 결
16.4%, ‘ .’ 9.9%, ‘ .’ 5.3%
과가 나왔다 지역에서는 서울 경기 광주 모두 보통이다 가. / , ‘ ’ 38.5%, 42.1%로 높게 나왔 고 학교에서는 여중 남중 공학 모두 보통이다 가, , , ‘ ’ 42.3%, 38.3%, 39.6%로 높게 나왔 고 성별도 마찬가지로 여학생 남학생 모두 보통이다 가, , ‘ ’ 40.7%, 39.9%로 높게 나왔다.
표 중학교 의생활 실습 작품의 만든 후 유익 도움 정도
< Ⅳ-8> / 빈도(%)
실습 작품의 만든 후의 유익 도움 정도/
아주
유익하고 도움되었다
유익하고
도움되었다 보통이었다
유익하지 않고도움되
지않았다
필요없다고 생각한다 전체 49(4.9) 291(29.1) 472(47.2) 87(8.7) 102(10.2) 지역 서울 경기/ 21(4.3) 191(38.8) 212(43.1) 35(7.1) 33(6.7)
50.092***
광주 28(5.5) 100(19.6) 260(51.1) 52(10.2) 69(13.6)
학교
여중 24(6.2) 116(29.8) 197(50.6) 27(6.9) 25(6.4)
34.658***
남중 14(6.1) 71(31.0) 89(38.9) 15(6.6) 40(17.5) 공학 11(2.9) 104(27.2) 186(48.6) 45(11.7) 37(9.7) 성별 여학생 30(5.2) 164(28.6) 295(51.4) 48(8.4) 37(6.4)
24.226***
남학생 19(4.4) 127(29.7) 177(41.5) 39(9.1) 65(15.2)
*** p<0.001
지역과 학교 성별에 따른 작품의 만든 후 유익 도움 정도에 대해서 모두 긍정적으로 응, / 답하였다 지역에서는 서울 경기 광주 모두 보통이다 가. / , ‘ ’ 43.1%, 51.1%로 높게 나왔고, 학교에서는 여중 남중 공학 모두 보통이다 가, , ‘ ’ 50.6%, 38.9%, 48.6%로 높게 나왔고, 성별도 마찬가지로 여학생 남학생 모두 보통이다 가, ‘ ’ 51.4%, 41.5%로 높게 나왔다.
표 중학교 의생활 중 실습에 대한 흥미도
< Ⅳ-9> 빈도(%)
중학교 의생활 중 실습에 대한 흥미도
매우
재미있었다 재미있었다 보통이다 재미없었다 매우
재미없었다 전체 141(14.0) 425(42.2) 324(32.2) 63(6.3) 53(5.3) 지역 서울 경기/ 69(14.1) 211(43.1) 159(32.5) 28(5.7) 22(4.5)
1.724 광주 72(13.9) 214(41.4) 165(31.9) 35(6.8) 31(6.0)
학교
여중 65(16.7) 184(47.3) 110(28.3) 13(3.3) 17(4.4)
25.153**
남중 37(15.3) 91(37.6) 76(31.4) 23(9.5) 15(6.2) 공학 39(10.4) 150(40.0) 138(36.8) 27(7.2) 21(5.6) 성별 여학생 87(15.2) 263(46.1) 171(29.9) 29(5.1) 21(3.7)
17.337**
남학생 54(12.4) 162(37.2) 153(35.2) 34(7.8) 32(7.4)
** p<0.01
학교와 성별에 따른 의생활 중 실습에 대한 흥미도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있는 반면 지역에 따라서는, <표 Ⅳ-9>와 같이 의생활 중 실습에 대한 학생들의 응 답은 유의한 차이가 없게 나타나 지역차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여중 남중 공학이 모두. , , 재미있었다 가‘ 47.3%, 37.6%, 40%로 나왔고, 성별에서도 남여 모두 ‘재미있었다 가’ 로 높게 나왔다 종합적으로 보면 의생활 실습에 대해 긍정적이라는 것을
46.1%, 37.2% . ,
알 수 있고 학생들은 이론보다 실습에 보다 흥미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표 중학교 의생활 실습이 재미있는 이유
< Ⅳ-10> 빈도(%)
중학교 의생활 실습이 재미있는 이유 직접
만들어서
이해가 잘되므로
성취감 때문에
흥미 있어서
일상생활도
움 기타
전체 180(32.6) 98(17.8) 131(23.7) 102(18.5) 30(5.4) 11(2.0) 지역 서울 경기/ 89(32.2) 38(13.8) 81(29.3) 52(18.8) 12(4.3) 4(1.4)
광주 91(33.0) 60(21.7) 50(18.1) 50(18.1) 18(6.5) 7(2.5)
학교
여중 83(34.3) 36(14.9) 47(19.4) 52(21.5) 20(8.3) 4(1.7) 남중 31(25.2) 34(27.6) 33(26.8) 17(13.8) 3(2.4) 5(4.1) 공학 66(35.3) 28(15.0) 51(27.3) 33(17.6) 7(3.7) 2(1.1) 성별 여학생 123(35.9) 44(12.8) 72(21.0) 74(21.6) 24(7.0) 6(1.7) 남학생 57(27.3) 54(25.8) 59(28.2) 28(13.4) 6(2.9) 5(2.4)
중학교 의생활 실습이 재미있는 이유는 위 표< Ⅳ-10>와 같이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직. ‘ 접 만들어서 가’ 32.6%로 가장 높게 나왔고, ‘성취감 때문에 가’ 23.7%, ‘흥미있어서 가’
이해가 잘 되므로 가 일상생활 도움 이 기타 순으로 응답
18.5%, ‘ ’ 17.8%, ‘ ’ 5.4%, ‘ ’ 2.0%
의 결과가 나왔다.
학교에서 여자중학교의 경우는 직접 만들어서 가‘ ’ 34.3%로 가장 높았던 반면 남자중학, 교의 경우는 이해가 잘 되므로 가‘ ’ 27.6% 로 높았다 또한 성별에서 여학생의 경우는. , 직접 만들어서 가 로 높은 응답을 보였고 남학생의 경우는 성취감 때문에 가
‘ ’ 35.9% , ‘ ’
로 가장 높은 응답의 결과가 나타났다
28.2% .
표 중학교 의생활 실습이 재미없는 이유
< Ⅳ-11> 빈도(%)
중학교 의생활 실습이 재미없는 이유
실습능력 부족 학교환경 부족 실습을
이론으로 기타
전체 47(42.7) 20(18.2) 16(14.5) 27(24.5) 지역 서울 경기/ 25(50.0) 10(20.0) 4(8.0) 11(22.0) 광주 22(36.7) 10(16.7) 12(20.0) 16(26.7)
학교
여중 16(53.3) 4(13.3) 3(10.0) 7(23.3) 남중 13(38.2) 4(11.8) 8(23.5) 9(26.5) 공학 18(39.1) 12(26.1) 5(10.9) 11(23.9)
성별 여학생 23(47.9) 10(20.8) 4(8.3) 11(22.9)
남학생 24(38.7) 10(16.1) 12(19.4) 16(25.8)
중학교 의생활 실습이 재미없는 이유는 위 <표 Ⅳ-11>와 같이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학생의 실습능력 부족 이 로 높게 나왔고 기타 가 학교환경 부족 이
‘ ’ 42.7% , ‘ ’ 24.5%, ‘ ’
실습을 이론으로 순이었다 18.2%, ‘ ’ 14.5% .
표 중학교 의생활 실습의 중요도 인식여부
< Ⅳ-12> 빈도(%)
의생활 실습의 중요도 인식여부
예 아니오
전체 734(72.0) 286(28.0) 지역 서울 경기/ 387(78.2) 108(21.8)
18.446***
광주 347(66.1) 178(33.9)
학교
여중 298(76.4) 92(23.6)
8.619*
남중 161(65.7) 84(34.3)
공학 275(71.4) 110(28.6)
성별 여학생 439(76.5) 135(23.5)
13.292***
남학생 295(66.1) 151(33.9)
* p<0.05, *** p<0.001
위 <표 Ⅳ-12>에서와 같이 지역과 학교 성별에 따른 중학교 의생활 실습의 중요여부에, 대해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예 가’ 로 높게 나왔고 아니오 순으로 응답의 결과가 나왔다 지역에서는 서울
72.0% , ‘ ’ 28.0% . /
경기 광주 모두 예 가, ‘ ’ 78.2%, 66.1%로 높게 나왔고 학교에서는 여중 남중 공학 모두, , ,
예 가 로 높게 나왔고 성별도 마찬가지로 여학생 남학생 모두
‘ ’ 76.4%, 65.7%, 71.4% , ,
예 가 로 높게 나왔다
‘ ’ 76.5%, 66.1% .
표 중학교 의생활 실습의 중요한 이유
< Ⅳ-13> 빈도(%)
중학교 의생활 실습의 중요한 이유
삶의
기본적인 부분
일상생활 도움
성역활 고정관념
탈피
행복한
가정생활 기타
전체 172(18.5) 611(65.6) 56(6.0) 32(3.4) 61(6.5) 지역 서울 경기/ 78(17.1) 319(69.8) 18(3.9) 15(3.3) 27(5.9)
10.409* 광주 94(19.8) 292(61.5) 38(8.0) 17(3.6) 34(7.2)
학교
여중 55(15.2) 265(73.4) 15(4.2) 8(2.2) 18(5.0)
38.307***
남중 50(22.6) 112(50.7) 25(11.3) 12(5.4) 22(10.0) 공학 67(19.1) 234(66.9) 16(4.6) 12(3.4) 21(6.0) 성별 여학생 82(15.5) 393(74.3) 21(4.0) 12(2.3) 21(4.0)
45.714***
남학생 90(22.3) 218(54.1) 35(8.7) 20(5.0) 40(9.9)
* p<0.05, *** p<0.001
위 <표 Ⅳ-13>은 지역 학교 성별에 따른 의생활 실습의 중요한 이유에 대해서는 모두, ,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일상생활 도움이, 65.6%로 높 게 나왔고 삶의 기본적인 부분이, 18.5%, 기타가 6.5%, 성역할 고정관념 탈피가 6.0%, 행복한 가정생활 3.4% 순으로 응답의 결과가 나왔다.
지역에서는 서울 경기 광주 모두 일상생활 도움이/ , 69.8%, 61.5%로 높게 나왔고 학교, 에서는 여중 남중 공학 모두 일상생활 도움이, , 73.4%, 50.7%, 66.9%로 높게 나왔고, 성별도 마찬가지로 여학생 남학생 모두 일상생활 도움이, 74.3%, 54.1%로 높게 나왔다.
즉 중학생들은 의생활 실습이 일상생활에 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어 입시, 위주의 교과가 아닌 실생활에 도움을 주는 학습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초등학교 선수학습이 중학교 의생활 실습에 미치는 영향 3.
표 초등학교 실과실습 여부에 따른 중학교 의생활 실습에 미친 영향
< Ⅳ-14> 빈도(%)
초등학교 실과실습 여부에 따른 중학교 의생활 실습에 도움여부
매우
도움되었다 도움되었다 보통이다 도움이
되지않았다
매우도움이 되지않았다 전체 51(4.9) 241(23.3) 399(38.6) 197(19.0) 147(14.2) 실습함 44(4.8) 225(24.6) 352(38.6) 173(18.9) 119(13.0)
23.194**
실습안함 4(9.5) 6(14.3) 12(28.6) 6(14.3) 14(33.3) 모르겠다 3(3.8) 10(12.5) 35(43.8) 18(22.5) 14(17.5)
** p<0.01
실과실습 여부에 따른 의생활 실습 도움여부에 대해서도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 가 있게 <표 Ⅳ-14>처럼 나왔다 이 표에서 보면 실과실습을 했을 때는 보통이다 가. ‘ ’ 로 많이 나타났고 실과실습을 하지 않을 때는 매우 도움이 되지 않았다 가
38.6% , ‘ ’
모를 때는 보통이다 의 응답이 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33.3%, ‘ ’ 43.8% .
즉 실습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움이 되는지의 여부를 인식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 다 따라서 중학생들은 초등학교 실과 선수학습이 중학교 의생활 실습에 도움이 되는지. , 의 여부에 보통이다 의 응답을‘ ’ 38.6%정도로 높은 것으로 보아 어느 정도의 영향은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표 의생활 실습에 도움이 된 부분
< Ⅳ-15> 빈도(%)
의생활 실습에 도움이 된 부분
제도 마름질 바느질 기타
전체 30(10.6) 42(14.9) 206(73.0) 4(1.4) 지역 서울 경기/ 13(8.7) 12(8.1) 123(82.6) 1(0.7) 광주 17(12.8) 30(22.6) 83(62.4) 3(2.3)
학교
여중 5(4.5) 14(12.5) 92(82.1) 1(0.9) 남중 18(26.1) 14(20.3) 35(50.7) 2(2.9) 공학 7(6.9) 14(13.9) 79(78.2) 1(1.0)
성별 여학생 5(3.1) 18(11.1) 138(85.2) 1(0.6)
남학생 25(20.8) 24(20.0) 68(56.7) 3(2.5)
의생활 실습에 도움이 된 부분은 위 <표 Ⅳ-15>와 같이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바느질이 73.0%로 높게 나왔고, 마름질이 14.9%, 제도가 10.6%, 기타 순으로 응답의 결과가 나왔다 즉 바느질은 고난이도의 기술을 요하기 때문에 초
1.4% . ,
등학교 선수학습이 중학교 의생활 실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초등학교 실과가 중학교 의생활 실습에 미친 효과
< Ⅳ-16> 빈도(%)
초등학교 실과가 중학교 의생활 실습에 미친 효과
진로에
관심
의생활에 관심증가
실습자체가
어려워피함 없는것같다 기타
전체 82(8.1) 318(31.4) 88(8.7) 471(46.4) 55(5.4) 지역 서울 경기/ 34(6.9) 166(33.7) 35(7.1) 235(47.7) 23(4.7)
7.396 광주 48(9.2) 152(29.2) 53(10.2) 236(45.3) 32(6.1)
학교
여중 48(12.4) 141(36.4) 19(4.9) 159(41.1) 20(5.2)
42.363***
남중 14(5.8) 53(21.8) 32(13.2) 129(53.1) 15(6.2) 공학 20(5.2) 124(32.3) 37(9.6) 183(47.7) 20(5.2) 성별 여학생 58(10.2) 212(37.1) 27(4.7) 240(42.0) 34(6.0)
50.458***
남학생 24(5.4) 106(23.9) 61(13.8) 231(52.1) 21(4.7)
*** p<0.001
학교와 성별에 따른 초등학교 실과와 중학교 의생활 실습 수행효과 대해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게 나타났고 지역에 따른 실과와 의생활 실습 수행효과를 봤을 때는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없는 것 같다 가’ 46.4%로 높게 나왔고, ‘의생활에 관심증가 가’ 실습자체가 어려워 피함 이 진로에 관심 이 기타 순으로 응 31.4%, ‘ ’ 8.7%, ‘ ’ 8.1%, ‘ ’ 5.4%
답의 결과가 나왔다.
학교에서 여중 남중 공학 모두 없는 것 같다 가, , ‘ ’ 41.1%, 53.1%, 47.7%로 가장 높게 나왔고 성별도 마찬가지로 여학생 남학생 모두 없는 것 같다 가, , ‘ ’ 42.0%, 52.1%로 가장 높게 나왔다.
이 문항의 예상은 의생활 실습을 통해 의생활 진로에 대해 관심이 증가될 것으로 기대 했는데 의외로 학생들의 답변은 특별한 것이 없다고 나왔다 이에, . , <표Ⅳ-14>와 상반된 연구결과가 나온 것으로 보아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학생들의 앞으로도 의생활 내용 선호도 4.
표 중학교 의생활 실습 때 만든 작품 유무
< Ⅳ-17> 빈도(%)
의생활 실습 때 만든 작품 유무
예 아니오
전체 860(84.2) 161(15.8)
지역 서울 경기/ 478(96.6) 17(3.4)
110.057***
광주 382(72.6) 144(27.4)
학교
여중 373(95.9) 16(4.1)
266.716***
남중 126(51.2) 120(48.8)
공학 361(93.5) 25(6.5)
성별 여학생 552(96.2) 22(3.8)
140.631***
남학생 308(68.9) 139(31.1)
*** p<0.001
위 <표 Ⅳ-17>에서는 지역과 학교 성별에 따른 의생활 실습 때 만든 작품이 있는가에, 대한 응답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중학교에서 의생활 실습, 은 지역이나 학교 성별에 관계없이 대부분 작품을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
표 중학교 의생활 실습 때 만든 작품의 종류
< Ⅳ-18> 빈도(%)
실습 때 만든 작품의 종류
바지 가방 필통 기타
전체 589(68.8) 202(23.6) 19(2.2) 46(5.4) 지역 서울 경기/ 277(58.1) 187(39.2) 5(1.0) 8(1.7)
광주 312(82.3) 15(4.0) 14(3.7) 38(10.0)
학교
여중 347(93.0) 11(2.9) 7(1.9) 8(2.1)
남중 94(75.2) 5(4.0) 7(5.6) 19(15.2)
공학 148(41.3) 186(52.0) 5(1.4) 19(5.3)
성별 여학생 430(78.0) 95(17.2) 9(1.6) 17(3.1)
남학생 159(52.1) 107(35.1) 10(3.3) 29(9.5)
중학생 의생활 실습 때 만든 작품의 종류는 위 <표 Ⅳ-18>와 같다 전체적으로 바지가.
로 높게 나왔고 가방이 기타가 필통 순으로 응답의 결과가
68.8% , 23.6%, 5.4%, 2.2%
나왔다 학교에서 남녀공학의 경우는 가방이. 52.0%로 높은 응답의 결과가 나타났다. 실제 연구 대상자가 있는 서울의 남녀공학 중학교에서 바지대신 가방 만들기를 의생활 실습으로 하고 있었다 의생활 실습으로 교과서에 있는 바지류를 만드는 경우가 대부분. 이나 학교에 따라 가방이나 필통 등으로 대체하는 경우가 있었다 현재 조사 대상이었던, . 서울의 남녀공학인 G중에서도 가방으로 가정 의생활 실습을 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이는. 만들기 쉽고 실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남학생들에 대한 배려가 아닌가 한다.
표 앞으로의 의생활 실습 때 만들고 싶은 실습작품
< Ⅳ-19> 빈도(%)
앞으로의 의생활 실습 때 만들고 싶은 작품의 영역
의복류 소품류 생활용품류 장식품류 뜨개질류 기타
전체 141(13.8) 238(23.4) 185(18.2) 265(26.0) 450(44.2) 45(4.4) 지역 서울 경기/ 64(12.9) 129(26.1) 104(21.0) 135(27.3) 222(44.8) 13(2.6) 광주 77(14.7) 109(20.8) 81(15.5) 130(24.8) 228(43.5) 32(6.1)
학교
여중 73(18.7) 101(25.9) 77(19.7) 122(31.3) 194(49.7) 12(3.1) 남중 33(13.5) 57(23.3) 48(19.6) 40(16.3) 80(32.7) 20(8.2) 공학 35(9.1) 80(20.8) 60(15.6) 103(26.8) 176(45.8) 13(3.4) 성별 여학생 93(16.2) 134(23.3) 105(18.3) 187(32.6) 290(50.5) 16(2.8) 남학생 48(10.8) 104(23.4) 80(18.0) 78(17.5) 160(36.0) 29(6.5)
앞으로의 의생활 실습 때 만들고 싶은 실습작품으로는 위 <표 Ⅳ-19>와 같이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뜨개질류가 44.2%로 높게 나왔고 장식품류가, 26.0%, 소품류가 23.4%, 생활 용품류가 18.2%, 의복류가 13.8%, 기타 4.4% 순으로 응답의 결과가 나왔다.
즉 학생들이 의생활 실습으로 장은정의 연구에서 보면 가정 시간에 더 배우고 싶은 내, 용으로는 테디베어 만들기 비즈공예 필통 만들기 순으로 나타났다, , .7) 그러나 이 통계자, 료에서는 학생들이 뜨개질류 스웨터 목도리 모자 등 나 장식품류 십자수 작품 스킬자수( , , ) ( , 작품 인형등 를 선호하였다 이는 외모에 관심이 많은 사춘기 중학생들은 의복이나 생활, ) . 용품 제작보다는 유행이나 코디네이션등에 관련 의생활 제품에 좀 더 많은 관심도와 선 호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교사들은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제품이면서 청소. , 년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실습작품 선정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또한 교. , 육과정 개정에 있어서도 교과서의 내용과는 사뭇 다른 실습내용으로 고려해야 할 참고사 항이라고 여겨진다.
7) 장은정(2008). 학교 의생활영역 실습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
표 앞으로의 의생활 교육의 방향
< Ⅳ-20> 빈도(%)
앞으로의 의생활 교육의 방향
의상디자인 의복제조 의복수선 토털
코디네이션 소비자교육
전체 260(25.6) 141(13.9) 180(17.8) 173(17.1) 260(25.6) 지역 서울 경기/ 99(20.1) 74(15.0) 84(17.0) 104(21.1) 132(26.8)
22.318***
광주 161(30.9) 67(12.9) 96(18.4) 69(13.2) 128(24.6)
학교
여중 120(30.9) 65(16.8) 70(18.0) 57(14.7) 76(19.6)
50.685***
남중 51(21.0) 29(11.9) 33(13.6) 32(13.2) 98(40.3) 공학 89(23.2) 47(12.3) 77(20.1) 84(21.9) 86(22.5) 성별 여학생 176(30.7) 95(16.6) 109(19.0) 98(17.1) 95(16.6)
63.399***
남학생 84(19.0) 46(10.4) 71(16.1) 75(17.0) 165(37.4)
*** p<0.001
위 <표 Ⅳ-20>에서와 같이 지역과 학교 성별에 따른 앞으로의 의생활 교육의 방향에, 대한 설문에서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의생활 교육의 방향에 대해서. 서울 경기는 소비자교육이 광주는 의상디자인이 높게 나왔다 이는 서울 경기 지역의 대/ , . / 도시 중학생들이 소비에 관련에 문제에 관심이 많았고 중소도시인 광주지역의 중학생들, 은 패션에 관련된 의상디자인에 관심이 많았다.
또한 학교에 따라서는 여중과 공학은 의상디자인이 높게 나왔고 남중에서는 소비자교, , 육이 높게 나왔다 성별에서 여학생은 의상디자인이 남학생은 소비자 교육이 높게 나왔. 다 남학생들은 특히 의상을 선택 구매 시 필요한 소비자 교육을 바라며 여학생들은 외. , 모에 민감한 시기인 만큼 의상디자인에 관심을 높게 보였다 이에 따라 교사들은 교육내. , 용 선호도에 대한 성별차이를 인식하여 교육에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따라서 중학생이 원하는 앞으로의 의생활 교육의 방향은 의상디자인과 소비자교육이,
로 같이 높게 나왔고 의복수선이 토털코디네이션이 의복제조
25.6% , 17.8%, 17.1%,
순으로 나왔다
13.9% .
결론 및 제언 .
Ⅴ
본 연구는 초등학교 실과 선수학습이 중학교 의생활 실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 해 서울지역 중학교 2학년 3개교와 광주지역 중학교 2학년 3개교 학생 6개교 총 1023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선수학습의 충실정도를 지역과 학교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 본 결과 의생, 활 실습의 횟수는 초등학교에서 담임교사가 지도한 것 보다 실습전담교사가 지도한 것이 실습횟수와 충실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학교별에 따른 실습지도교사에서는 여중. , 과 남중을 다니는 학생들의 실습지도는 담임교사가 한 것으로 나타났고 남녀공학 학생들 의 실습은 실과 전담교사가 지도한 것으로 나타나 담임교사가 지도할 때 보다 실습수행 에 있어 보다 충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등학교 실과 전담 교사 전공자 에 따. , ( ) 라 선수학습의 충실한 정도가 결정되는 것으로 보여진다.
둘째 중학교 학생들에게 의생활 실습 때 만든 작품의 종류는 바지 가방 순이었지만 남, , 녀공학에서는 가방에 높은 응답을 보인 것으로 보아 남학생들에 대한 배려가 작용한 결 과가 아닌가 한다 이에 덧붙여 의생활 실습 때 중학생들이 만들어 보고 싶은 종류를 알. 아 본 결과 뜨개질류 장식품류 소품류 생활용품류 의복류 기타순으로 응답의 결과가, , , , 나왔다 따라서 교사들은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제품이면서 청소년들의 욕구를 충족. , 시킬 수 있는 실습작품 선정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며 교육과정 개정에, 있어서도 사회 환경에 영향을 받는 청소년들의 욕구를 반영할 수 있는 실습내용으로 고 려해 보는 것도 대안이라고 생각된다.
셋째 중학교 의생활 실습에서 만든 작품의 만족도와 유익함 도움 여부는 지역과 학교, , , 성별에 관계없이 어느 정도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만약 중학생들이 선호하는 실, , 습 작품을 만든다면 만족도와 선호도가 보다 높아지리라고 본다.
넷째 초등학교 선수학습이 중학교 의생활 실습에 미치는 영향을 본 결과에서는 바느질, 부분에서 특히 많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생들이 원하는 의생활 교육의 방향에서는 서울 경기는 소비자교육이 광주는, / , 의상디자인이 높게 나와 지역 간에 차이가 있게 나타났으며 성별에서 여학생은 의상디, 자인에 남학생은 소비자 교육에 관심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이상과 같은 결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초등학교 실과 담당 교사는 실과 전담 교사 전공자 로 수업이 이루어져야 선수학, ( ) 습 수행이 충실해질 수 있다.
둘째 중학교 의생활 실습은 의복이나 생활용품 보다는 뜨개질류나 장식품류와 같이 청, 소년 욕구를 어느 정도 만족시킬 수 있는 유행관련 작품이어야 한다.
셋째 초등학교 실과 선수학습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중학교 의생활 실습 진행에 수월성, 을 제공할 수 있다.
넷째 의생활 교육은 학생들의 흥미를 고려하여 성별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실습내용, 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제언은 여러 가지 교육 현장의 이유 등으로 인해 축소되고 있거나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지만 초등학교 실과 선수학습은 중학교 의생활 실습에 영, 향을 미치기 때문에 실과 수업은 본래의 목적대로 성실히 수행되어야함을 제시해 주고 있다고 보며 중학생들의 의생활 실습 내용에 대한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내용과 방법제시가 향후 방향에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