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개발사업명 국제해양과학협력 기반구축사업. 차세대 해양과학 국제협력 전문가의 연구개발 성과.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ㅇ 우리나라 해양수산 분야는 다른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국제협력에 대한 투자가 미흡하여 급변하는 해양수산 분야에 대한 전략적 지원 확대가 필요함. 따라서 발생할 수 있는 국제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과학기술 기반 외교의 일환으로 해양수산 분야의 전략적 R&D 국제협력 지원이 시급하다.
연구개발과제의 수행 과정 및 수행내용
거대 해양 과학 기술 공동 연구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차세대 해양과학자 워크숍이 개최될 예정입니다. 학교별 해양과학자 차세대 참여자 구성.
차세대 PICES 해양과학자 선발 및 총회 참석 지원 국제해양연구협의회(SCOR) 워킹그룹 참여 지원 144. 해양과학 국제협력 중장기 계획 수립 o 비전.
차세대 국제해양지도자 양성 프로그램 운영 ㅇ IOC UN Decade Young Ocean Scientist(ECOP: Early Career Ocean Professional) 추천서 제출. ㅇ 제목: 제7회 차세대 해양과학자 워크숍.
젊은 과학자와 차세대 해양 과학자의 지원을 분석합니다. ㅇ 국제기구 젊은 과학자(석·박사) 지원 ㅇ 차세대 해양과학자(학생) 지원 ㅇ 행사명 : 제8회 차세대 해양과학자 워크숍
국제기구 정기회의에 국내 전문가의 참여를 지원한다. 해양 과학 및 기술 분야의 주요 국제 조직의 틀 내에서. 젊은 과학자들을 위한 국제기구 참여 및 발표 지원
국제기구 회의 참석 보고서에는 “이해하기 쉽다. 국내 젊은 해양과학자 국제학술대회 참가 지원 국제회의 및 해양과학 프로그램 참가 결과
지원활동 ∘ 국제기구 임원 활동보고 해양 과학 및 기술 분야의 주요 국제 조직에서 영향력을 보장합니다.
목표 미달 시 원인분석(해당 시 작성)
ㅇ KOC 사무국 운영을 통한 국제기구와의 네트워크 유지 편저: 권석재 ㅇ 국제해양수산협력 성과 활용 필요성. 해양자원의 중요성과 해양환경 변화의 가속화로 인해 국가간 갈등과 국제협력이 고조되고 과학기술에 기반한 외교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본 사업을 통해 구축된 해양과학기술 분야별 전문가 풀을 활용하여 국내 학계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과학자들이 국제무대로 진출할 수 있다. 본 사업을 통해 구축된 분야별 국제 협력 네트워크를 제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연구개발 과정에서 협력의 단절 가능성을 사전에 방지하고 국내 해양과학기술 전문가 간의 협력 및 네트워킹 활동을 지원한다. 국제 해양과학 이슈에 적시에 대응하기 위해 국제기구 참여 후 보고서를 발간하여 정부 및 유관기관에 배포하고 유사사항에 대한 참고자료로 활용한다.
정부간해양학위원회(IOC)와 북태평양과학기구(PICES) 위원장 활동에 이어 최근에는 국제해양연구협의회(SCOR) 위원장을 맡아 성공적으로 시장에 진출하고 있는 한국 해양과학자들의 성과를 발판 삼아 국제 해양과학 분야의 글로벌 리더십을 강화하고 있다. 국제기구 역량강화 프로그램, 국제기구 취업정보 등 맞춤형 뉴스 제공을 통해 확보한 젊은 과학자 Pool을 활용하여 다양한 해양과학기술 학술 커뮤니티 참여 및 국제기구 리더십 함양을 독려한다.
연구개발성과 및 관련 분야에 대한 기여정도
KOC는 이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IOC, IOC/WESTPAC, PICES, SCOR 등 국제해양과학기구와 장기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14년 이상 사업을 해 온 국내 전문가, 젊은 과학자, 차세대 해양과학자 등 다양한 전문가 풀을 유지·관리하여 이들이 국제협력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 국내 해양수산과학과 국제과학기술 협력은 지속적인 거버넌스가 부족하고 행사 중심의 협력에 국한되어 해양수산 R&D 성과를 통한 경제적·사회적 가치 창출을 저해하는 경우가 많다.
정부간 글로벌 국제해양연구활동 및 국제기구 정기회의 의제에 대응하기 위한 사전회의, 보고서, 성명서, 시나리오 등의 효과적인 준비 및 현장 활용 KOC 총회 등을 통해 국제기구에서 논의된 의제를 분석하고, 국제기구의 해양과학기술 분과위원회(PICES, IOC/UN Decade, SCOR)의 시의적절하고 안정적 대응을 위한 정책을 제안하고 효과적인 전략/지침을 마련한다. 기존 국제해양과학기술협력 관련 사업의 성과와 한계점을 객관적으로 분석한 미래지향적 국제해양과학기술협력사업 성과를 활용하여 미래 환경/규제 및 국내 경제/사회적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응한다.
차세대 해양과학자 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제공되는 인재풀을 활용하여 석·박사·박사후 과정에서 국제협력 활동을 더 많이 선택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부여한다. KOC의 틀 내에서 젊은 해양과학자 프로그램(ECOP)을 각종 국제기구 및 소위원회(PICES, IOC/UN Decade, SCOR)에 추천하는 과정에서 젊은 과학자들이 회원 및 리더가 되도록 지원하여 해양과학기술 분야의 경쟁력 확보
기타 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