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ASTI MARKET INSIGHT 55: 기업정보 데이터산업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ASTI MARKET INSIGHT 55: 기업정보 데이터산업"

Copied!
5
0
0

Teks penuh

(1)

1) 시장의 개요

IT의 급속한 발전과 인터넷 활용의 보편화는 정보산업의 구조적 인 변화를 가져왔다. 기존에 책자나 보고서 등으로 제공 및 활용되던 정보들은 점차 IT를 활용한 데이터베이스 서비스(정보서비스) 형태로 대체되었으며, 단순히 숫자나 문자로 여겨지던 정보들이 하나의 통합 된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어 하나의 서비스 및 제품으로 정보산업의

중요한 영역으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는 산업 의 특성상 자체로서 역할 뿐만 아니라 정보산업 및 타 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크다.

기업이 전략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경쟁사 분석, 고객사 분석, 공 급사 위험관리 등 경영전략 수립의 기본이 되는‘3C+1C의 대부분 이 기업정보를 통해 습득되는 만큼 기업정보는 기업전략 수립에 있 어 필수적인 요소이다. 여기서 3C+1C는 고객(Customer), 자사

KEY FINDING

1. 기업정보 데이터 산업은 공공정보와 민간정보로 구분되며, 현재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기업정보는 분석 및 평가전문가를 활용하는 신용보고서 및 평가등급 등의 보고서로 제공되고 있으나, 향후 투자의사결정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블록체인 기반 비대면 기업정보 제공 서비스의 비즈니스 모델 창출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된다.

2. 세계 데이터산업 시장규모는 2021년 기준 약 268조 원 규모로 추산되며, 연평균 약 13.2% 성장을 통해 2027년에는 약 564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3. 국내 기업정보 판매 및 중개 시장은 국내 데이터 판매 및 중개 시장의 1% 정도의 시장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예측되어 2021년 190억 원에서 연평균 36.8%로 높은 성장을 지속하여 2027년 1,246억 원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추정된다.

4. 정부를 비롯한 투자회사들은 비상장 기업 및 스타트업의 기업정보 확보에 대한 니즈가 증가하여 다양한 형태의 기업정보 제공 서비스 창출이 가능하며, 차별화 전략에 따른 고객확보가 시장진입 기회로 작용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5. 기업정보 제공 서비스 산업에 신규기업 진출을 위해서는 소비자 니즈 분석을 통한 틈새시장의 모색, 적극적 마케팅 전략 수립을 통한 신규기업 확보, 블록체인 기반 플랫폼의 특성을 활용한 신뢰성 및 보안성 증대 방안 등의 모색이 필요하다.

ASTI MARKET INSIGHT 2022- 055

기업정보 데이터산업

블록체인 기반 기업정보 데이터 산업 분야의 사업기회와 추진전략

데이터분석본부 수도권지원 책임연구원

이 준 우

Tel: 02-3299-6022 e-mail: jwlee@kisti.re.kr

(2)

02 03

(Company), 경쟁사(Competitor)와 유통채널(Channel)을 일컫는

것으로서 기업의 측면에서 볼 때, 자사, 경쟁사, 고객사, 공급사 등을 의미하며 급변하는 경제사회 흐름에서 위험관리, 투자, 경쟁사 등 여 러 측면에서 분석이 필요한 분야이다. 기업정보는 비즈니스 정보 가 운데 신용·금융정보와 결합되어 기업의 경영 활동 및 의사결정에 직 접적인 영향을 주는 정보로서 금융권 기업을 포함한 전(全)산업의 기 업체에서 경영 활동에 중요한 기초정보로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업정보의 상품성은 정보이용자가 정보를 선택하게 되는 활용 목적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재무정보의 정확성 과 신뢰성, 고급인력이 투입되어 가공된 정보의 품질 등이 상품성을 평가하는 주요한 요인이 된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시장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기업정보는 타 정보 시장에 비하여 고도의 최신성과 정확성이 요구되고 신용거래를 위한 금융기관의 기업판단 자료, 주가 예측을 위한 분석사들의 분석 자료 등 전문성과 효용성이 다각화, 고 도화되고 있다.

현재 국내 DB서비스 시장에서 제공되는 기업정보는 공공정보와 민간정보로 구분할 수 있다. 공공정보는 통계청, 국세청, 금융감독원, 대한상공회의소 등과 같은 공공기관이나 협회에서 제공하는 무료 기 업정보가 해당되며, 민간정보는 금융업이나 신용정보업을 영위하는 기업들이 유료로 제공하는 전문 기업정보서비스와 일반 서비스기업 에서 제공하는 정보가 해당된다. 특히 민간서비스 가운데 신용평가기 관에서 제공하는 기업정보는 신용평가 및 조사 과정에서 수집된 기업 의 일반정보와 함께 신용평가 결과를 가공하여 제공함으로써 보다 확 대된 기업정보서비스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이 중에서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기업정보는 분석 및 평가전문 가를 활용하여 여러 단계의 가공을 거쳐 기업신용보고서(Credit Report), 기업신용평가등급(Credit Rating), 위험관리 소프트웨어, 투자보고서 등의 상품으로 제공되고 있으며, 신규 거래처의 발굴과 거래처의 신용위험관리, 그리고 부실 거래처에 대한 사후관리 및 투 자의사 결정 등 다양한 업무에서 활용되고 있다.

2) 블록체인기반 기업정보 데이터산업 에서의 정책 및 규제현황

정부는 중소기업이 블록체인 서비스를 빠르게 구현할 수 있도 록 클라우드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 서비스(BaaS: Blockchain as a Service,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블록체인 서비스 개발 환경과 테스팅 을 위한 가상의 분산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지원하고, 창의

적 아이디어를 가진 청년·예비창업자 대상 블록체인 공모전 개최와 아이디어 구체화에 소요되는 자금을 지원한다.

블록체인 기술·서비스 도입에 걸림돌이 되는 규제․제도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위해 ‘블록체인 규제개선 연구반’을 운영하고 있다.

과기정통부의 ‘2019년도 예산 및 기금운용계획’ 총예산 14조 8,485억 원 중 블록체인 관련 예산은 전년 87억 원 대비 약 3.7배 증가한 319억 원에 달한다. 그간 부족했던 블록체인 기술개발을 위 한 자금조달이 2018년을 기점으로 크게 개선되고 있다.

또한, 블록체인은 향후 인공지능(AI)이나 사물인터넷(IoT) 등 4차 산업혁명을 이끄는 핵심기술들과도 융·복합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블록체인은 데이터 보안은 물론 개별 데이터에 대한 개인의 통제권을 강화한다. 글로벌 사물인터넷 시장의 경우 서 비스 확장성과 보안 강화를 위해 블록체인을 활용하려는 시도가 증 가되고 있다.

블록체인 기반 기업정보 데이터 산업 관련 규제사항으로는 블록 체인 기반으로 진행하는‘스마트계약’이 민법상의 일반 계약과 성질 이 다르다는 문제점이 있다. 민법상의 계약은 계약의‘성립’(청약과 승낙)’과‘이행’이 분리되는데, 스마트계약은 조건이 이뤄지면 계약이 성립됨과 동시에 자동으로 이행이 완료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분산원장시스템이 적용된 전자문서와 서명을 법적으로 인정할 수 있 을지 역시 쟁점이다.

3) 시장동향 및 전망

시장 규모

과기정통부와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의 ‘2020 데이터산업 현황 조사'에 따르면, 2020년 국내 데이터산업 시장 규모는 19조 2,736 억 원으로 추정됐다. 전년(16조 8,582억 원)보다 14.3%(2.4조 원) 커졌다. 이 추세라면 2021년은 무난히 20조 원을 돌파할 것으로 추정된다. 19조 2,736억 원 중 간접매출(광고와 시스템운영관리 매출)을 제외한 직접 매출 규모는 11조 4,350억 원으로 전년보다 4.6%(1.5조 원) 늘었다.

분야별 시장규모는 데이터 판매 및 제공 서비스업이 9조 3,752 억 원으로 가장 컸고, 이어 데이터 구축 및 컨설팅 서비스업 7조 4,361억 원, 데이터 처리 및 관리 솔루션 개발·공급업 2조 4,623억 원 순이었다. 2019년 기준 세부 시장별 성장률은 데이터 관련 컨설 팅 서비스업이 38.9%로 가장 높았고, 데이터 판매/중개 서비스업 38.2%, 데이터 보안 솔루션 개발·공급업 30.2% 순이었다.

시장조사기관 IDC에 따르면 세계 데이터 분석시장은 연평균 13.2% 2018년 1,688억 달러(약 185조 원)에서 2022년 2743억 달러(약 300조 원)로 성장할 전망이다. 2022년 이후 전 세계, 국내 데이터 산업 시장 전망은 <표2>와 같다.

국내 데이터 시장은 2018년 이후 연평균 11.3%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동 성장률을 적용하여 국내 데이터 시장을 추정하면 2027 년에는 40조 7,783억 원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데이터 판매 및 중개 시장은 2020년 1조 3,900억 원이며 2018년 이후 연평균 성장률 36.8%를 적용하면, 2027년 시장규모는 12조 4,646억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중 국내 기업 데 이터 시장규모는 2021년 예측치인 1%를 적용할 경우, 2021년 190 억 원에서 2027년에는 약 1,246억 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경쟁 현황

국내 기업 정보 관련 플랫폼은 크게 기존 기업 정보 제공 기업과 스타트업 중심의 정보 제공 기업으로 구분할 수 있다. 더브이씨는 무 료 서비스로 기업, 기관에 별도 데이터 판매를 진행한다. 넥스트유니 콘은 투자검토요청 서비스를 30,000원에 제공한다.

해외 시장에서는 피치북이 1개 계정에 3천 달러(약 350만 원)에 이용할 수 있으며, 크런치베이스는 개인

계정은 29~49달러, 기업 계 정에 월 99달러(약 11만 원)를 부과하고 있다.

구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CAGR

('21~'27) 세계 시장 2,683,558 3,037,788 3,438,776 3,892,694 4,406,530 4,988,192 5,646,633 13.2 국내 시장 214,515 238,755 265,735 295,763 329,184 366,382 407,783 11.3

표 2 국내 및 세계 데이터 산업 시장규모 및 전망 (단위: 억 원, %)

자료: 과기부, 2020년 데이터산업 현황조사, 2021.3 & IDC 2020 Report, 2020.

구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CAGR

('21~'27) 국내 데이터

판매 및 중개 19,018 26,017 35,591 48,688 66,605 91,116 124,646 36.8

국내 기업정보

판매 및 중개 190 260 356 487 666 911 1,246 36.8

표 3 국내 데이터 산업 대비 기업정보 시장전망 (단위: 억 원, %)

자료: 과기부, 2020년 데이터산업 현황조사, 2021.3 자료를 바탕으로 기업정보 시장 비중(1%) 적용하여 추정.

구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CAGR ('17~'21)

데이터산업 143,530 155,684 168,582 192,736 214,515 11.3

표 1 국내 데이터 산업 시장규모 (단위: 억 원, %)

자료: 과기부, 2020년 데이터산업 현황조사, 2021.3.16.

기업정보 데이터산업 | ASTI MARKET INSIGHT 2022- 055 기업정보 데이터산업 | ASTI MARKET INSIGHT 2022- 055

(3)

더브이씨 (한국)

더브이씨는 2016년 시작한 국내 스타트업으로서 VC 정보 제공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다. 2016년 시작한 국내 스타트업, VC 정보 제공 서비스. 일일 방문자수가 6만 명 이상으로 사용자와 DB가 많 다. 주로 공공기관, 연구원(과학기술정책연구원, KT경제경영연구소,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한국개발연구원, 한국기업데이터&창업진 흥원, 한국엔젤투자협회 TIPS)에 가공한 데이터를 판매한다. 데이터 수집 자동화와 인공지능 기반 서비스를 개발 중이다.

넥스트 유니콘 (한국)

2019년 10월 정식 서비스를 론칭한 이후 1년 6개월 만에 가입 스 타트업 5,000개를 돌파했다. 전문 투자자도 1천 5백여 명에 달했으

며, 투자 유치를 위해 진행된 IR자료 검토 수 역시 1만 1천 건을 기 록했다. 지난해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국내 투자시장에도 비대면 서비스에 대한 니즈가 커지며 성장세를 보였다. 지난해 2월 처음으 로 스타트업 1천 개사를 기록했고, 이후 약 1년 만에 4천여 개의 스 타트업이 새롭게 가입했다. IR자료 제출 및 검토 기능을 시작으로 최 근에는 온라인 및 생방송 데모데이를 지원하는 ‘유니콘LIVE’, 스타 트업의 기사 작성 및 배포를 지원하는 ‘뉴스룸’ 등 스타트업과 투자 자에게 필요한 기능으로 서비스를 확장하고 있다.

Pitchbook

벤처캐피탈, Private Equity 등 투자를 위한 전문 정보를 제공한 다. 무료 사용 기간이 있으나 유료 버전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신청이 필요하다. 2020년 5,130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했고, 전년

경쟁사명 제품명 판매가격(천원) 연 판매액

더브이씨 더브이씨 무료(기업고객 유료) -

하프츠 넥스트유니콘 50~55(투자검토, 언론배포 등) -

Pitchbook Year Plan 3,500 590억 원

Crunchbase Monthly Plan 월 29~49달러 -

표 5 국내외 경쟁회사 및 주요 제품

구 분 업체 동향

국내

더브이씨 • 하루 사용자 평균 6만 명 이상

• 스타트업 DB를 가장 많이 보유 (4천여 개 이상 스타트업, 투자사 등 5천여 개 이상 기업 정보)

• 인공지능 기반 자동화 추진 넥스트유니콘

• 스타트업 IR 정보 공유 및 연결 플랫폼

• 5,000여개 스타트업, 1,500명 이상 VC 정보 제공

• IR자료 검토 건수 15,000 건 이상

• 온라인, 생방송 데모데이 지원, 스타트업 기사 작성 및 배포

해외

Pitchbook • 벤처캐피탈, Private Equity 등 투자를 위한 전문 정보 제공

• 2020년 5,130만 달러의 매출 기록 (전년 대비 32.6% 성장)

• 라이센스(구독) 기반 사업 모델

Crunchbase • 글로벌 IT매체 테크크런치에서 분리 독립한 서비스

• 위키피디아 형식으로 사용자가 직접 업데이트

• Crunchbase Pro 버전으로 수익 모델 (월 29, 49달러 요금제)

표 4 주요 업체 동향 대비 32.6% 성장했다. 많은 투자기관, 투자자가 피치북을 활용하고

있으며 글로벌 기업(상장/비상장), M&A 정보 등을 보유하고 있다.

Crunchbase

글로벌 IT매체 테크크런치에서 분리 독립한 서비스로 사용자가 직 접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위키피디아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 적인 정보는 크런치베이스에서 대부분 검색이 가능하지만, 상세 검 색 및 프리미엄 정보를 위해서는 Pro 버전을 사용해야 한다.

4) 애널리스트 인사이트

블록체인기반 기업정보 데이터산업은 스타트업과 비상장 기업의 IPO 증가로 기업 데이터, 정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고객만족 도 증대와 함께 향후 시장규모의 지속적인 증대가 기대되는 시장이다.

기업정보 데이터산업은 투자기관 매칭 플랫폼에 대한 니즈 증가로 블록체인 기술의 발전과 함께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이 창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일반적인 서비스의 데이터, 정보 보안 위협 수준을 블록체인 기술 로 회피하고 기업정보 플랫폼에서 취급하는 공개 가능한 정보의 범위 와 수준을 설정하여 다수의 수요 기업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면 기존의 기업정보데이터 서비스와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여 다양한 사업 화 전략을 가질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동 산업은 블록체인을 이용하는 기술의 필요성에 대한 기 업 및 사회의 합의 및 설명이 필요할 수 있기 때문에 시장진입 시에 장벽으로 작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업 리스크에 대한 전략적 최소화 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위와 같은 기술 및 시장 특성을 기반으로 모색할 수 있는 사업화 전략은 다음과 같다.

➀ 소비자 니즈에 기반한 사업 전략 수립 : 비상장 기업의 상장이나 스타트업이 대규모 투자를 유치하는 경우가 증가하면서 이들 기 업에 대한 신뢰도 높은 정보 확보가 중요한 사항으로 부각되고 있어 블록체인기반 기업정보 플랫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 로 예상된다. 이러한 니즈에 맞춰 다양한 서비스 창출이 가능하 므로 기존 시장진출기업이 다소 미흡하였던 분야에서의 소비자 니즈를 명확히 파악하여 틈새시장 공략 및 선점을 통한 이용자 의 규모 증대가 필요하다.

➁ 적극적 마케팅 전략 수립을 통한 수요처 다각화 : 데이터 중개 기업 정보 관리 종합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 른 차별적 특징을 최종 수요자에게 전달해야 한다. 더 많은 데 이터를 수요자에게 전달할 수 있거나, 다른 경쟁자에게서 획득 할 수 없는 데이터를 별도로 제공하는 등 차별화 전략이 필요하 다. 실제 최종 수요자인 고객의 형태는 다양하기 때문에 비상 장 기업과 스타트업은 물론, 이러한 기업에 투자하는 벤처캐피 탈, 개인투자자 등이 대상 고객이다. 또한, 정부 및 공공기관도 정부 지원사업 준비 등을 위해 데이터가 필요하다.

그림 1 블록체인 기반 기업정보 데이터산업 시장의 신 사업기회 분석

Policy Market

전자문서 진위 확인서비스 증가

• 정부는 전자문서 진위 확인서비스에 대한 데이터 검증을 증가

• 블록체인기반 사업활성화 적극 지원

• 블록체인 규제개선을 위한 연구반 운영

차별화를 통한 수요처 다각화

• 차별화된 데이터 제공으로 수요 증가

• 정부 및 공공기관의 정부 지원사업에 특화된 서비스 제공으로 신시장 창출 가능성

Society Technology

기업데이터 중개 플랫폼의 부재

• 데이터 중개 시장 규모의 성장 가능성 확대

• 스타트업, 비상장 기업의 IPO 증가

• 정부지원의 비대면 검증 시스템 니즈 증가

신기술 적용을 통한 최적화된 플랫폼 제공

• 기업정보의 신뢰성 및 보안성 확보를 위한 블록체인 기술 적용

• 정보의 공급처 및 수요처에 신속한 정보 확인과 효율적인 운영 가능

기업정보 데이터산업 | ASTI MARKET INSIGHT 2022- 055 기업정보 데이터산업 | ASTI MARKET INSIGHT 2022- 055

(4)

서비스는 홈페이지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데 고객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준비할 필요가 있다.

➂ 기업의 핵심역량 확보 : 블록체인기반 기업정보 통합 플랫폼은 기업의 투명한 기업 정보 제공 및 데이터의 신뢰성, 더 나아가 진위 증명에 대한 검증을 제공한다. 기업 정보 획득 대상인 투 자자 및 기관 등을 대상으로 플랫폼을 제공해 정보의 비대칭성 을 해소하고 데이터 풀은 물론 관리 및 분석 체계를 구축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데이터를 적시에 제공할 수 있 다. 많은 데이터가 쌓일수록 플랫폼은 데이터 중개에서 더 나 아가 기업 매칭과 투자 및 육성기관을 모두 연결하는 시장까지 확대할 수 있다.

➃ 신기술 적용을 통한 최적화된 플랫폼 서비스 구축 : 기업정보 공개 및 데이터 검증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여 신뢰성과 보 안성을 향상시킨 후 수요처에 신속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은 공급처와 수요처의 비용을 최소화해주고 효율적인 운영을 제 공하여 기업에 지속적인 수익 창출을 가져다주는 매우 효과적 이고 핵심적인 기술로 동 산업에서의 성공적 사업화 전략이 될 것이다.

06

기업정보 데이터산업 | ASTI MARKET INSIGHT 2022- 055

(5)

본원 (우) 34141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학로 245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T. 042) 869-1004,1237 F. 042) 869-1091

분원 (우) 02456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로 66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Referensi

Dokumen terkait

표 1 친환경 선박 종류 구 분 정 의 오염 저감·고효율 선박 선박 배출 오염물질 저감장치를 설치하거나 에너지효율기술이 적용되어 설계된 선박 친환경 에너지 추진 선박 LNG/CNG, LPG, 메탄올, 암모니아, 수소 등의 친환경 에너지를 이용하여 추진하는 선박 전기 추진 선박 충전 받은 전기에너지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선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