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최종 보고서
작품명
IT업계 구인구직 매칭 시스템작성일 2018.06.14
팀명 JSP2
팀원 박현우, 이해승, 정예훈, 박창민
1. 개요
1.1.
작품개요
IT업계는 점점 더 발전하고 있으며, 구인자, 구직자는 많지만 원하 는 환경, 급여, 경력 등 만족하는 조건을 찾기가 쉽지 않다. 이 점 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구직사이트에서 벗어나 양방향에서 원하 는 정보를 찾기 쉽게 제공하고, 구인-구직을 간단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한다.
1.2. 목표
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구인자는 원하는 구직자의 정보를 효율적 으로 찾으면서 구인공고도 기존사이트보다 매력적으로 공고할 수 있게 하며, 구직자는 원하는 회사와 자신을 원하는 구인자의 회사 정보를 정확하게 알 수 있도록 한다.
2. 작품제작 핵심기술
MySQL 7.0
- 데이터베이스 내 정보 저장
PHP 5.0
- 웹 페이지와 데이터베이스 연결
워드프레스
- 웹 사이트 제작을 위한 템플릿 시스템
아바다
- 템플릿 시스템의 하나
3
3. 시스템 구성도 및 다이어그램
HTML, Javascript, CSS -웹 디자인
Social Media share
-웹 페이지와 소셜 연동을 통한 편의성 향상
AHP
- 전문가들의 중요도 가중치 도출
4. 시스템 주요 기능 및 알고리즘
● 소셜미디어 연동을 통한 구글 로그인으로 사용자의 회원가입이 유연하다.
→ 구글사이트에 정보요청으로 검증된 정보로 회원가입이 가능하다. 웹 페이지 자체 회원가입보다 오류 등의 위험성이 적으며 사용자가 편리 함을 느낄 수 있다.
● AHP기법을 기반으로 전문가들의 의견이 반영된 매칭률 분석이 가능하다.
→ 전문가들의 설문을 통한 항목별 중요도를 반영하여 구직자별 구인자 별 최적화된 조회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A기업은 해외경력을 중요시 하고, B기업은 자격증을 중요시 할 때 조건에 최적화된 사용자를 매 칭시킨다. 설문받은 데이터가 적어 신뢰성이 떨어지나 온라인 설문을 통한 가중치 갱신을 진행중입니다.
● 사용자의 역할에 맞는 게시판을 사용할 수 있다.
→ 공지사항 및 공고 또는 구직 관련 글을 작성 할 수 있다.
5
5. 데이터베이스 구조 페이지 구성
6. 작품 개발 규모
모듈명 파일명 기능 LOC 개발
언어
Homepage 메인 화면 820
HTML PHP
CSS user Type Select 사용자 타입 선택(구인자, 구직자) 656
ahp form page 항목별 스펙 중요도 조사 746 employeeInfo
Update Page 구직자정보등록 및 수정화면 670 employeeInfo
Delete Page 구직자정보 삭제화면 200 employeerInfo
Update Page 구인자정보등록 및 수정화면 670 employeerInfo
Delete Page 구인자정보 삭제화면 200 matching show
page 매칭률 및 기업정보 보여주기 250 matching show2
page 매칭률 및 회원정보 보여주기 250 Infomation Show
Page 구인자 또는 구직자의 등록정보 조회 35
mail 채용제안 및 지원하기 500
adminBoard 공지사항 500
employeeBoard 구인자 게시판 500
employeerBoard 구직자 게시판 500
freeBoard 자유게시판 500
계 6,997
7
7. 주요 하드웨어 및 실행화면
7.1 홈 화면
7.2 게시판 화면
7.3 매칭 화면
7.4 메일 제안 화면
9
8. 페이지 제작 방식(제작을 도와주는 방식이 아닌 디자인 과 부가기능을 지원해주는 방식)
- php코드를 숏코드로 작성함(직접 코딩)
- 폼 양식을 숏코드로 작성함(직접 코딩)
- 페이지 디자인 코드를 작성함(직접 코딩)
11
페이지내에는 php코드를 직접 입력할 수 없으며, 작성했던 숏코드를 추 가하는 방식
9. 결론 및 후기
- 구인·구직 양간의 효율과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사이트 - IT업계 전문가들이 원하는 스펙이 무엇인지 알 수 있음 - 평범한 정보조회사이트을 넘어서 매칭기능이 가능함 - 소셜로그인, 메일 등 다양한 부가기능을 추가함
- 일반적인 php와 html을 사용하여 웹페이지를 제작하는 것보다 훨씬 강력하다고 생각합니다. html로 디자인해야하는 부분에서 편의성이 좋고 소셜로그인 등의 각종 플러그인을 지원합니다. 하지만 php코드 입력 방식부터 대부분의 것들이 기존방식과 다르고 한글로 번 역된 설명이 없어 어려움이 많았습니다. 하지만 이해만 한다면 유용 하게 쓸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데이터가 부족하여 더 표현하지 못한게 아쉬움 - 온라인 설문을 통해 가중치 갱신을 구현할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