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1. 출산력 데이터 소개
여성가족패널 6차 웨이브 조사의 출산력 데이터는 2차 웨이브 조사부터 6차 웨이브 조사까지 조 사된 여성개인응답자의 출산(임신결과) 경험을 추적하여 작성되었다. 특히, 여성가족패널의 출산력 데이터의 경우 3차 웨이브부터는‘임신 중’인 상태를 임신횟수에 포함하고 있으며, 쌍둥이를 출 산한 경우는 2회 임신한 것으로 간주하여 출산력 데이터에 반영하고 있다. 이들은 출산년월이 동 일한 두 개의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다.
2차 웨이브 조사부터 6차 웨이브 조사까지의 임신 횟수 및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출산력 히스토리 데이터 구축 과정
출생 사산 자연유산 인공유산 임신 중 전체
2차 해당차수 첫번째 임신 262 - 1 4 61 328
해당차수 두번째 임신 4 - 1 0 0 5
266 - 2 4 61 333
3차 해당차수 첫번째 임신 237 - 6 2 59 304
해당차수 두번째 임신 5 - 0 0 6 11
242 - 6 2 65 315
4차 해당차수 첫번째 임신 188 1 8 2 44 243
해당차수 두번째 임신 5 0 2 0 5 12
해당차수 세번째 임신 1 0 0 0 0 1
194 1 10 2 49 256
5차 해당차수 첫번째 임신 142 1 3 3 34 183
해당차수 두번째 임신 11 0 1 0 1 13
해당차수 세번째 임신 2 0 0 0 0 2
155 1 4 3 35 198
6차 해당차수 첫번째 임신 151 2 1 17 171
해당차수 두번째 임신 27 1 0 3 31
해당차수 세번째 임신 1 0 0 0 1
179 3 1 20 203
전체 해당차수 첫번째 임신 980 2 20 12 215 1,229
해당차수 두번째 임신 52 0 5 0 15 72
해당차수 세번째 임신 4 0 0 0 0 4
1,036 2 25 12 230 1,305
2차에 보고된 임신건수는 총 333건으로 그 중 266건은 출산이었고, 61건은 임신중에 있었다. 3차 에 보고된 임신건수는 총 315건으로, 242건은 출산이었고, 56건은 임신중에 있었다. 4차에는 256건 이 보고되어 194건이 출산이 완료되었고, 49건은 임신중에 있었다. 5차에는 198건이 보고되었고, 이 중 155건은 출산하였고, 35건은 임신중인 상태였다. 6차에는 203건으로 나타났고, 그 중 179건 이 출생, 20건이 임신중으로 나타났다.
2차부터 6차까지 기존 패널원들을 대상으로 출산력을 작성한 결과 1,305건의 임신이 조사되었고, 이중 1,036건의 출생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3. 2. 출산력 데이터 생성 과정
◦
출산력 변수 설명
변수명 설 명 비 고
OPID [개인정보] Original PID H100HHID [개인정보][1차년도] 가구패널ID H200HHID [개인정보][2차년도] 가구패널ID H300HHID [개인정보][3차년도] 가구패널ID H400HHID [개인정보][4차년도] 가구패널ID H500HHID [개인정보][5차년도] 가구패널ID H600HHID [개인정보][6차년도] 가구패널ID P100ID01 [개인정보][1차년도] 개인패널ID P200ID02 [개인정보][2차년도] 개인패널ID P300ID03 [개인정보][3차년도] 개인패널ID P400ID04 [개인정보][4차년도] 개인패널ID P500ID05 [개인정보][5차년도] 개인패널ID P600ID06 [개인정보][6차년도] 개인패널ID
seq 출산력 작성 이후 기입순서
wave 조사차수
index 조사차수별 임신 순서
mom_age 응답자 연령 응답시 연령임.
momedu 응답자 최종학력
momedu_1 응답자 학력
momedu_2 응답자 이수여부
eduyear 응답자 교육년수
momjob 응답자 일자리 유무
momjobclass 응답자의 직업분류 jobstatus 응답자 종사상 지위
merry 응답자혼인상태
preq_seq 임신횟수
outpreg 임신결과
cbyear 출산(임신결과)_년도
cbmonth 출산(임신결과)_월
momage 출산(임신결과) 당시 응답자 연령 응답시 연령에서 출산시점과
응답시점을 고려하여 구함
husage 출산(임신결과) 당시 남편 연령
pregyear 임신시점_년 출산시점에서 9개월을 제하
여 구함.
pregmonth 임신시점_월
babysex 출산아 성별
lacta 모유수유 여부
childnum 총 자녀수
총 자녀수는 childnum_1 + childnum_2 + childnum_3 + childnum_4 임. 출산한 경우 는 합쳐져있고, 미출산인 경 우는 제외됨.
childnum_1 같이 살고 있는 미취학자녀수 childnum_2 같이 살고 있는 초중고자녀수 childnum_3 미혼 성인자녀수 childnum_4 기혼 성인자녀수 planbaby 자녀 출산계획 유무
whynokid 향후자녀출산계획없는이유
whenbaby 자녀 출산계획 시기 nbabyplan 향후 고려하는 자녀 수
hu_age 남편 연령 응답시 연령임.
hu_edu 남편 학력
hu_eduyear 남편 교육년수
hu_job 남편 일자리 유무
hu_ind 남편 일자리 업종
hu_occ 남편 일자리 직종
hu_jobstatus 남편 일자리 구분
hu_worktime 남편 일자리 하루 평균 근로시간
hu_wage 남편 월평균 소득
3.3. 데이터 구조 이해를 위한 예시
PID wave Index momage seq cbyear cbmonth outpreg babysex lacta
2602 2 1 25.08 1 2008 3 1 2 1
2602 3 1 28.58 2 2010 4 1 2 1
2602 5 1 31.67 3 2013 3 1 1 1
6602 2 1 32.08 1 2008 2 1 1 1
6602 2 2 32.08 2 2008 2 1 1 1
251002 2 1 27.5 1 2007 12 1 2 1
251002 3 1 32.75 2 2010 3 1 1 1
251002 4 1 3 - - 5 - -
251002 5 1 34.17 4 2012 7 1 1 1
응답자 2602의 경우, 2, 3, 5차(wave)에 각 한명의 자녀(index=1)를 임신하고 그 결과로 출산 (outpreg=1)하였음을 알 수 있다. 2차와 3차에 보고된 자녀는 여성(babysex=2)이며, 5차에 보고된 자녀는 남성(babysex=1)이고, 이 세명의 자녀는 모두 모유수유(lacta=1)를 했음을 알 수 있다.
응답자 6602의 경우, 2차년도(wave)에 두명의 자녀(index=1,2)를 임신하고 출산(outpreg=1)하였다.
임신결과년도(cymonth)와 임신결과월(cbmonth)이 같고, 성별이 같은 것(babysex=2)으로 보아 쌍둥 이를 낳았음을 알 수 있다.
응답자 251002는 2, 3, 5차(wave)에는 한명의 자녀(index=1)를 임신하였고 출산(outpreg=1)하였으 며, 4차(wave)에는 한명의 자녀(index=1)를 임신하였고, 아직 출산하지 않았다(outpreg=5). 임신결과 의 나이(momage)는 출산시점이 필요하므로 4차에서는 임신결과의 나이가 없고, 출산시점이 기입되 지 않았으며, 아이의 성별과 모유수유도 기입되지 않았다. 그러나 5차조사 당시에는 4차당시 아이 가 태어나 성별이 남자아이(babesex=1)고, 모유수유(lacta=1)했음을 알 수 있다.
parents 본인부모님동거여부
lawparents 남편부모님동거여부
housetype 주택유형
occu 점유형태
hincome 가구소득 연 단위로 산출
hcnsmptn 가구소비 월 평균으로 산출
hecnstt 현재경제상태
day 면접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