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충청북도 대학생 학자금 대출이자 지원 공고 (2022년 하반기(7~12월) 발생 이자지원)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충청북도 대학생 학자금 대출이자 지원 공고 (2022년 하반기(7~12월) 발생 이자지원)"

Copied!
3
0
0

Teks penuh

(1)

충북인재평생교육진흥원 제2023–06호

충청북도 대학생 학자금 대출이자 지원 공고 (2022년 하반기(7~12월) 발생 이자지원)

충북인재평생교육진흥원에서는 충북 도내 대학생, 미취업 졸업생의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고자 「충청북도 대학생 학자금 이자 지원에 관한 조례」에 따라 충청북도 대학생 학자금 이자 지원 계획을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

2023. 2. 15.

충북인재평생교육진흥원장

Ⅰ. 사업개요

1. 사 업 명 : 충청북도 대학생 학자금 이자지원 2. 사업목적

- 충북지역 청년 학자금대출 이자부담 해소 및 충북지역의 교육여건 개선 3. 지원대상

m 주 소 지 : 2022.2.15. 이전부터 현재(신청일 기준) 본인 또는 직계존속 중 1명이 충청북도에 주민등록상 거주하고 있는 자(공고일 기준 1년 이상 충청북도에 계속 거주)

※ 직계존속 범위 : 부·모·조부·조모·외조부·외조모 m 학적상태 : 국내 대학 재학생, 휴학생,

2020년 이후 수료생, 수료예정생, 졸업예정생, 졸업생 ※ 대학원 재학 중 받은 학자금 대출 제외, 현 대학원생 제외

m 소득수준 : 한국장학재단을 통해 대출받은 학자금(등록금, 생활비) 대출 건 중 대출당시 소득분위 1~8분위

(2)

4. 지원 내용

- 한국장학재단을 통해 대출받은 학자금(등록금, 생활비)의 2022년 7월 1일 부터 12월 31까지 발생한 이자 지원

※ 예산초과 시 소득분위별 차등지원( * 충북도내 11시·군 예산에 따라 지원)

(지원범위는 당해 연도 예산 내에서 충청북도 학자금대출 이자지원 심의위원회에서 결정) ※ 한국장학재단 대출 원리금 상환계좌(개인계좌 입금 없음).

단, 대상자 확정 이후 원리금 완제자는 개인별 금융계좌 입금가능.

대상자 확정 전 원리금 완제자는 지원 대상자가 아님.

타 지자체와 중복지원 불가

Ⅱ. 신청방법

1. 신청기간 : 2023. 2. 15.(수) 10:00 ~ 2023. 3. 23.(목) 23:59 (37일간) 2. 신청방법 : 충북인재평생교육진흥원 ▶ 학자금대출 이자지원 온라인 신청 3. 제출서류

(3)

4. 서류 제출 시 유의사항

- 주민등록번호는 123456-1******로 뒷자리 가림 처리 후 제출

- 서류는 스캔 또는 휴대전화로 촬영 후 jpg, pdf 등으로 저장 후 제출

(내역조회, 미리보기 등 화면캡쳐 인정 불가)

- 서류는 반드시 전면이 나오도록 제출. 성명, 발급일자 등이 선명하지 않아 담당자가 확인 불가능할 경우 재요청 할 수 있으며, 신청 접수 완료되지 않을 수 있음.

- 지원자 정보 오기입·서류 미제출·오제출로 인한 지원 제외 시 그에 대한 책임은 신청자 본인에게 있음.

- 제출서류와 관련된 일체의 소요 비용은 신청자 부담임.

Ⅲ. 결과발표

1. 이자지원 : 2023년 6월 중

[ PC 지원내역 확인방법 ]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 → 학자금대출 → 학자금뱅킹 → 학자금대출상환 → 대출내역

→ 대출계좌번호 클릭 → 비고란에‘지자체 이자지원’확인

※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www.kosaf.go.kr), 고객센터(☎1599-2000)

2. 지원방법

- 한국장학재단 대출 원리금 상환계좌(개인계좌 입금처리 없음).

단, 대상자 확정 이후 원리금 완제자는 개인별 금융계좌 입금가능.

대상자 확정 전 원리금 완제자는 지원 대상자가 아님.

타 지자체와 중복지원 불가

[ 모바일 지원내역 확인방법 ]

모바일 홈(전체메뉴) → 학자금대출 → 대출내역 → 대출계좌번호 클릭

Referensi

Dokumen terkait

- 향후, 적조, 녹조, 냉수대 등의 해양재해를 예측하는 기술 개발로 확장할 수 있음 ㅇ 지구온난화로 인해 이상고수온 현상으로 인한 피해가 가속될 것이므로, 이에 대 한 대비책을 사전에 만들어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음 ㅇ 이상고수온 감시 및 예측 시스템을 대국민 공개하여 어민 및 수산업계에서 관련 정보를 공유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