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안해안국립공원 학암포 지역의 조류 현황
강화연1*·서슬기1·박세영1·이지용2·권영수1
1국립공원연구원 철새연구센터
2전남대학교 생물과학·생명기술학과
The status of avifauna in Hakampo, Taeanhaean National Park
Hwa-Yeon Kang
1*, Seul-Gi Seo
1, Se-Yeong Park
1, Ji-Yong Lee
2and Young-Soo Kwon
11Migratory Bird Research Center,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Shinan-gun, Jeollanam-do 58863, Korea
2School of Biological Sciences and Bio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요 약 : 서해안육상지역을 통과하는 조류의이동생태를 파악하기 위해, 2014년 7월부터 2015년 6월까지 태안해 안국립공원 학암포 지역의조류상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관찰된 조류는총 14목 30과 88종 23,230개체이며, 평 균조사일당 159.7개체가 관찰되었다. 전체우점종은괭이갈매기 Larus crassirostris 21.1%, 되새 Fringilla montifringilla 18.5%, 박새 Parus major 12.7%, 붉은머리오목눈이 Paradoxornis webbianus 8.2%, 노랑턱멧새 Emberiza elegans
5.8% 순이었다. 이동시기인 5월과 10월에는 각각 56종, 조사일당 평균 310.5개체로 가장많은 종과 개체수가 기록
되었다. 종과 개체수가 가장 적은시기는 여름철인 8월로, 기록된 종 수는 24종이며 조사일당 평균 95개체가관찰
되었다. 종풍부도(R') 지수는 가장 많은 종이 관찰된 5월에 가장 높았으나, 종다양도(H')와 종균등도(E')는 오히려
이동시기에낮은편으로나타났으며, 이는일부상위 우점종의개체수가 월등히증가했기 때문인것으로판단된다.
환경부, 문화재청, IUCN 등이지정한멸종위기및법정보호종은총 9종이관찰되었다.
주요어 :태안해안국립공원, 학암포, 서해안, 철새, 중간기착지, 이동패턴
Abstract : From July 2014 to Jun 2015, bird survey was conducted in Hakampo, Taeanhaean National Park. A total of 23,230 and 159.7 per day of birds representing 14 orders, 30 families, 88 species were observed. The most abundant species were the Black-tailed Gull Larus crassirostris (21.1%), the Brambling Fringilla montifringilla (18.5%), the Great Tit Parus major (12.7%), the Vinous-throated Parrotbill Paradoxornis webbianus (8.2%), Yellow-throated Bunting Emberiza elegans (5.8%).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 was the highest in May and October, respectively, as 56 species and 310.5 individual per day were recorded. According to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Cultural Herigage Adinistration of Korea and IUCN Red List, a total of 9 protected species were recorded during the survey.
Key words : Taeanhaean National Park, Hakampo, West coast, Migratory birds, Stopover site, Bird migration pattern
서 론
한국의 서해안은 동아시아-대양주 이동경로를 이용하는 철새들의 중요한 중간기착지이다(원병오 1991; 이기섭 2000).
그러나 지금까지 서해안 지역에 도래하는 철새에 대한 연구 는 대부분 수조류와 섭금류를 대상으로 하거나(김진한 등 1999; 이기섭 2000; 유승화 등 2008), 번식기 등 특정 시기
(백인환 등 2010)에 한정되어 있었다. 또한 육상조류를 포함
하는 철새 이동 연구는 주로 서해안 도서지역을 중심으로
수행되었다(원일재 등 2010; 박창욱 등 2014; 국립생태원
2015). 서해안 지역을 포함하는 전국 규모의 자연환경조사
가 수차례 진행되었으나(김창회 등 2010; 국립공원연구원
2015) 격자당 조사회수가 연 10회 미만으로 특정 지역을 통
과하는 철새의 이동현황을 집중적으로 파악하는 목적에는 적합하지 않다.
한국서해안의 도서지역은바다를 건너는 철새에게 필수 적인 휴식지를 제공하며(Choi et al. 2013), 서해안을 이동경 로로 이용하는 철새의 전반적인 이동경로를 이해하기 위해
*Corresponding author E-mail: [email protected]
서는육상에서의 이동패턴 또한유기적으로 연구되어야할 것이다. 본연구는 서해안중부에위치한 태안학암포지역 에서 1년동안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전반적인 조류상 및 월 별 도래현황을 파악하였다.
재료 및 방법 1. 연구기간 및 지역
본연구는 2014년 7월부터 2015년 6월까지태안해안국립 공원 내의 학암포(N 36°53', E 126°12')에서 수행하였다
(Figure 1). 조사 대상지역의 넓이는 약 50ha이며, 모래해변
과 사구습지, 침엽수림 및 잡목 패치로 이루어져 있다(국립 공원연구원 2015).
2. 연구방법
군집 전체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지점을 선정하여 조사하 는 정점조사법(point count method)과 적절한 경로를 설정하 여 1.5~2.0 km/h의 속도로 걸으면서 경로 양쪽의 일정한 범 위를 조사하는 선조사법(line transect method)을 병행하였으 며(Bibby et al. 1997), 1회조사에는 1시간 30분~2시간가량 소요되었다. 종 동정 및 계수에는 쌍안경과 망원경을 이용 한 육안 관찰 및 울음소리를 함께 이용하였으며, 정확한 종 동정이 어려운 상황에서는 과(family) 수준으로 동정하였다.
조사는 월 5~21회 실시하였으며 조사일간 간격은 최장 13 일이었다. 종의 분류는 한국 조류 목록(한국조류학회 2009) 를 기준으로하였다.
국내법정 보호종은 환경부 야생생물 및 보호에 관한법
률시행규칙별표(2012.7 개정)와 문화재청의천연기념물목
록을 기준으로하였으며, 국제적주요 보호종으로는 ‘국제자 연보전연맹(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and Natural Resources, IUCN)의 적색목록을 따랐다.
3. 분석방법
월별평균 개체수와 누적 종수를이용하여 종다양도(H'),
종풍부도(R'), 종균등도(E'), 우점도 등의 군집 양상을 분석
하였으며(Margalef 1951; Pielous 1966; Shannon and Weaver
1963), 연중 우점도 및 도래현황 분석에는 월평균 개체수의
평균을 이용하였다.
1) 종다양도(H', Shanon 지수) H'=−∑(ni/N)ln(ni/N)
ni : 각 종의개체수, N : 총개체수) 2) 종풍부도(R', Margalef 지수)
R'= (S-1)/ln(N)
(S : 총 종수, N : 총 개체수) 3) 균등도(E', Pielou 지수)
E'=H'/ln(S)
(H' : 다양도, S : 총 종수) 4) 우점도(Dom.)
Dom.(%) = (ni/N) × 100
(ni : 각종의개체수, N : 총 개체수)
Figure 1. Study area in Hakampo, Chungcheongnam-do, Republic of Korea.
결과 및 고찰 1. 전체 종 및 우점도
2014년 7월부터 2015년 6월까지 조류 모니터링을 실시한
결과 관찰된 조류는 총 14목 30과 88종 23,230개체였으며, 평균 조사일당 159.7개체가 관찰되었다. 과별로는 갈매기과
(Laridae)가 21.5%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되새과
(Fringillidae) 21.0%, 박새과(Paridae) 14.4%, 붉은머리오목눈 이과(Timaliidae) 8.2%, 멧새과(Emberizidae) 6.3%로 상위 5
개 우점과가 전체의 71.4%를 차지했다. 한편전체 88종 중
57종(64.8%)이 참새목(Passeriformes)이었으며, 이는 전체 개 체수의 69.6%에 해당하였다. 가장 많은 종이 기록된 과는 솔 딱새과(Muscicapidae) 11종, 멧새과 7종, 휘파람새과(Sylviidae) 6종, 지빠귀과(Turdidae)와박새과 각 5종 순이었다.
종별로는 괭이갈매기 Larus crassirostris가 21.1%로 최우 점종이었고, 되새 Fringilla montifringilla 18.5%, 박새Parus major 12.7%, 붉은머리오목눈이 Paradoxornis webbianus 8.2%, 노랑턱멧새 Emberiza elegans 5.8% 순으로 뒤를 이었 다. 상위 5개 우점종의 개체수는 전체의 66.2%를 차지했으 며, 상위 5개 우점과 모두 다양한 종으로 구성되기 보다는 상위 5개우점종이단독으로각과의개체수대부분을차지 했다(Figure 2).
2. 월별 도래현황
도래현황을월별로분석한결과, 이동시기인봄철과가을 철에많은조류가관찰되었다. 월별종수는 5월에 56종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중 참새목 조류가 40종이었고, 과별로는 솔딱새과가 9종, 멧새과 5종, 휘파람새과 5종, 박새과 4종, 때까치과(Laniidae) 3종으로 상위를 차지했다. 가장 많은 개 체수를 기록한 달은 10월로 조사일당 평균 310.5개체가 관 찰되었으며, 8월에 관찰된 조류는 24종 95개체로 종수와
개체수 모두가장적었다(Figure 3).
상위 5개우점종의 월별도래현황을분석한결과, 최우점 종인 괭이갈매기와 차우점종인 되새의 개체수는 각각 10월 과 5월, 10월과 4월에 가장 많았다. 두 종 모두 봄과 가을에 가장 많은 개체수가 관찰되었지만 괭이갈매기는 6월부터 8 월까지도일부개체군이꾸준히 관찰되고 12월부터 3월까지 는 매우적게나타난 반면, 되새는 5월부터 9월까지는 전혀 관찰되지 않았으며 12월부터 3월까지는 비교적 적은 수가 꾸준히 관찰되었다. 한국에서 흔한 텃새인 괭이갈매기의 번 식시기는 4월부터 9월까지(권영수 2004)로, 학암포에서 약
44 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난도는 괭이갈매기의 집단 번식
지로 알려져있다(백인환등 2010). 따라서번식기에는비번
식개체군 혹은 인근 번식개체군의 일부가 학암포를 이용하 고, 겨울철에는 다른 지역을 이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 Figure 2. Dominance (%) by family and species in Hakampo.
러나 본 연구는 학암포 해안 중 북쪽 해변만을 대상으로 하 였으므로, 괭이갈매기의 학암포 지역 이용 현황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학암포 서쪽해변 및 분점도 주변조사 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한편 되새는 한국에서 흔한 겨울
철새이자 나그네새로(박종길 2014) 학암포 습지 주변에 형
성된 해송림에서 먹이활동을 하는 것이 자주 관찰되었으며, 대부분 더 남쪽 지역에서 월동하기 위해 학암포를 중간기착 지로 이용하나 일부 개체군이 남아 월동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되새는 10월 30일에 2,000개체, 4월 13일에 550개체에
달하는 대규모 무리가 발견되었으나 지속적으로 관찰되지는 않았으며, 이는 이동시기에 짧은 기간동안 해당 지역을 집 중적으로 이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박새와 붉은머리오목
눈이는 모두한국에서흔한텃새로(박종길 2014, 이우신등
2014), 학암포지역에서도개체수의큰변동없이 연중관찰
되었다. 다만 박새는 11월부터 번식기 초반인 4월까지 비교 적 많은 개체수가 관찰된 것에 비해, 붉은머리오목눈이는 번식기 직후인 7월부터 10월까지의 개체수가 높게 나타났다.
붉은머리오목눈이는 조사지역 내에서 집단번식하는 것이 확 Figure 3. Monthly changes in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in Hakampo.
Figure 4. Monthly changes in number of individuals of most abundant species in Hakampo.
인됨에 따라 번식으로 인해 가을철 개체수가 늘어난 것으로 판단되며, 박새는 학암포 번식 개체군에 더하여 외부에서 번식한 개체들이 이동해와서 겨울철 군집을 이루었을 가능 성이있다. 한국에서 흔한텃새이자 나그네새인노랑턱멧새
(박종길 2014)는 11월에 개체수가 급격히 증가한후 4월까
지 점차 감소하였으며, 4월부터 10월 말 까지는 적은 개체 수만이 관찰되어 대부분이 학암포를 월동지로 이용한 것으 로 나타났다(Figure 4).
3. 생태지수
종 풍부도는 가장 많은 종이 기록된 5월에 가장 높게 나 타났지만, 균등도는오히려이동시기인 9월과 10월, 4월과 5 월에낮게 나타났다. 종다양도 또한 3월과 6월에가장높고
8월과 9월에 가장 낮게 나타남으로써, 뚜렷하지는 않으나
이동시기에 비교적 낮은 경향을 보였다(Figure 5). 이 시기 에는 많은 종이 관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우점종인 괭이갈 매기와 되새의 개체수가 다른 종들에 비해 월등히 많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4. 법정보호종
조사기간 중 관찰된 국내 및 국제 보호종은 총 9종으로, 환경부지정 멸종위기 야생동물 II급 6종, 문화재청 지정 천 연기념물 7종, 세계자연보전연맹 적색목록의 취약(VU)등급 5종이 관찰되었다(Table 1). 이 중 큰기러기 Anser fabalis는 1월 26일에 127개체, 흑두루미 Grus monacha는 4월 10일에
29개체가 상공을 통과하는 것이 각 1회씩 관찰된 것으로,
천수만 등 인접지역을 이용하는 개체군이 이동하면서 목격 된 것으로 추정된다.
서해안은 동아시아-대양주 이동경로를 이용하는 철새들의 중요한 길목으로(국립공원연구원 2008; Choi et al. 2013), 이동성조류의연구를위해서는도서지역및육지의이용패 턴을 유기적으로 파악하는 것이중요하다. 본 연구가 수행 된 태안학암포는사구습지와곰솔림이발달한곳으로사이 사이에 잡목림 패치가 있어 참새목 조류가 주로 이용하는 지역이다. 특히 침엽수를 먹이자원으로 이용하는 되새가 이 동시기에 대규모로 통과하는 것이 확인되어, 중간기착지로 써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조사지역에 포함되 는 학암포 북쪽 해변은 경사가 급하고 입자가굵은 모래해 안으로(국립공원연구원 2015) 도요물떼새류의 이용에는 적 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며, 주로 괭이갈매기의 휴식지로
Table 1. Birds in Hakampo designated as protected species by Korean governments and international authority.
Scientific Name Korean Name Korean governments International authority
Endangered wildlife1 Natural monument2 IUCN3
Anser fabalis 큰기러기 II LC
Falco tinnunculus 황조롱이 323-8 LC
Falco subbuteo 새호리기 II VU
Accipiter soloensis 붉은배새매 II 323-2 VU
Accipiter nisus 새매 II 323-4 VU
Grus monacha 흑두루미 II 228 VU
Otus sunia 소쩍새 324-6 LC
Bubo bubo 수리부엉이 II 324-2 VU
Ninox scutulata 솔부엉이 324-3 LC
1Endangered Wildlife (class I and II) designated by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2Designated by Cultural Herigage Administration of Korea;
3International Union of Nature (CR: Critically Endangered, EN: Endangered, VU: Vulnerable, NT: Near Threatened, LC: Least Concern) Figure 5. Monthly changes in biodiversity index (H'), richness
index (R'), evenness index (E') in Hakampo.
이용되었다. 지금까지태안해안국립공원을대상으로 실시된 국립중앙과학관생태계연구(백운기 1995)와 국립공원자연 자원조사(국립공원관리공단 1996; 2005; 국립공원연구원
2015)에서는 총 185종이 기록되어 있으며, 이번 조사에서
총 88종이 관찰되어 꿩 Phasianus colchicus, 흰날개해오라 기 Ardeola bacchus, 흑두루미, 수리부엉이 Bubo bubo, 솔부 엉이 Ninox scutulata, 큰부리까마귀 Corvus macrorhynchos, 숲새 Urosphena squameiceps, 검은머리쑥새 Emberiza scho- eniclus 등 8종이 새롭게 확인되었다.
조사기간 중 학암포 사구습지는 확인되지 않은 이유로 일 부 작은 웅덩이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말라있는 상태가 지속 되었다. 앞으로도 자연적으로 수량이 회복되지 않는다면 서 식지 다양성 확보를 위해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사 사
본 연구는 국립공원연구원에서 실시하는 조류조사·연구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되었습니다.
참고문헌
국립공원관리공단. 1996. 태안해안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 국립 공원관리공단, 서울.
국립공원관리공단. 2005. 태안해안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 국립 공원관리공단, 서울.
국립공원연구원. 2008. 2008 조류조사연구결과보고서. 국립공원 연구원철새연구센터, 신안.
국립공원연구원. 2015. 2014 태안해안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 국 립공원관리공단국립공원연구원, 원주.
국립생태원. 2015. 2014 전국무인도서자연환경조사. 휴먼컬처아 리랑, 양평.
권영수. 2004. Some aspects of the breeding biology of the black tailed-gull(Larus crassirostris). 경희대학교박사학위논문. 김진한, 박진영, 이정연, 유병호, 이길철. 1999. 철새이동경로및도
래서식조사. 국립환경연구원, 서울.
김창회, 강종현, 이윤경, 김동원, 서재화, 김명진. 2010. 제 2 차전 국자연환경조사결과분석을통한멸종위기조류의국내분포
현황. 한국조류학회지, 17(1): 67-137.
백운기. 1995. 태안해안국립공원생태계연구. 국립중앙과학관,
대전.
백인환, 진선덕, 유재평, 백운기. 2010. 태안해안국립공원의번식 기조류상과관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4(2): 139-146.
박종길. 2014. 야생조류필드가이드. 자연과생태, 서울.
박창욱, 서슬기, 이승연, 조숙영, 박세영, 권영수. 2014. 다도해해상 국립공원흑산도의조류현황. 국립공원연구지 5(4): 130-142.
원병오. 1991. 철새도래지및번식지학술조사보고서. 경희대한
국조류연구소, 서울.
원일재, 박종길, 홍길표, 김성진, 최창용, 빙기창, 남현영, 채희영. 2010. 홍도와흑산도의철새도래경향. 국립공원연구지. 1(1):
29-44.
유승화, 김인규, 강태한, 조해진, 유재평, 이시완, 이한수. 2008. 천 수만에서월동하는조류군집과먹이자원과의관계. 한국환경 생태학회지. 22(3): 301-308.
이기섭. 2000. 한국의서해안에도래하는수조류의실태와개체수
변동. 경희대학교박사학위논문.
이우신, 구태회, 박진영. 2014. 한국의새. LG상록재단, 서울. 한국조류학회. 2009. 한국조류목록. 한국조류학회, 서울.
Baillie J, C Hilton-Taylor, SN Stuart. 2004. 2004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a global species assessment. IUCN.
Bibby CJ, ND Burgess, DA Hill. 1997. Bird Census Techniques.
Academic Press, London.
Choi YS, SH Kim, JS Son, SG Kang, WH Hur, SH Han. 2013.
Seasonal patterns of bird migration at a stopover site during the migratory period. The Korean Journal of Ornithology. 20(1):
49-65.
Margalef R. 1951. Diversidad de especies en las comunidades naturales. Publicaciones del Instituto de Biología Aplicada en Barcelona. 9: 83-118.
Pielous EC. 1966. Shannon’s formula as a measure of species diversity: Its use and misuse. The Ameriacn Naturalist. 100:
464-465.
Shannon CE, W Weaver.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2015년 11월 13일접수; 2015년 12월 2일채택)
Appendix. Average number of birds observed in Hakampo.
Scientific Name Korean Name 2014 2015 Dom.
Jul. Aug. Sep. Oct. Nov. Dec. Jan. Feb. Mar. Apr. May. Jun. (%)
GALLIFORMES 닭목
Phasianidae 꿩과
Phasianus colchicus 꿩 ● ● ● ● ● ● ● ● ● ● ● ● 1.1
ANSERIFORMES 기러기목
Anatidae 오리과
Anser fabalis 큰기러기 ● 0.4
Anas poecilorhyncha 흰뺨검둥오리 ● ● ● ● 1.8
Mergus serrator 바다비오리 ● 0.0
CICONIIFORMES 황새목
Ardeidae 백로과
Butorides striata 검은댕기해오라기 ● ● 0.0
Ardeola bacchus 흰날개해오라기 ● 0.0
Ardea cinerea 왜가리 ● ● ● ● 0.0
Ardea alba 중대백로 ● ● ● ● ● ● 0.0
PELECANIFORMES 사다새목 Phalacrocoracidae 가마우지과
Phalacrocorax capillatus 가마우지 ● ● ● ● ● 0.1
FALCONIFORMES 매목
Falconidae 매과
Falco tinnunculus 황조롱이 ● ● ● ● 0.0
Falco subbuteo 새호리기 ● ● ● ● ● 0.1
Accipitridae 수리과
Accipiter soloensis 붉은배새매 ● 0.0
Accipiter nisus 새매 ● ● ● ● 0.0
Buteo buteo 말똥가리 ● ● ● ● ● ● 0.1
GRUIFORMES 두루미목
Gruidae 두루미과
Grus monacha 흑두루미 ● 0.3
CHARADRIIFORMES 도요목
Laridae 갈매기과
Larus crassirostris 괭이갈매기 ● ● ● ● ● ● ● ● ● ● ● 21.1
Larus vegae 재갈매기 ● ● ● ● ● ● ● ● ● ● 0.4
Larus cachinnans 한국재갈매기 ● ● 0.0
COLUMBIFORMES 비둘기목
Columbidae 비둘기과
Streptopelia orientalis 멧비둘기 ● ● ● ● ● ● ● ● ● ● ● ● 1.7
CUCULIFORMES 두견이목
Cuculidae 두견이과
Cuculus canorus 뻐꾸기 ● ● ● ● 0.2
Cuculus saturatus 벙어리뻐꾸기 ● 0.0
STRIGIFORMES 올빼미목
Strigidae 올빼미과
Otus sunia 소쩍새 ● ● 0.0
Bubo bubo 수리부엉이 ● ● 0.0
Ninox scutulata 솔부엉이 ● ● 0.0
APODIFORMES 칼새목
Apodidae 칼새과
Apus pacificus 칼새 ● ● 0.4
CORACIIFORMES 파랑새목
coraciidae 파랑새과
Eurystomus orientalis 파랑새 ● ● ● ● 0.2
Alcedinidae 물총새과
Alcedo atthis 물총새 ● 0.0
Appendix. Average number of birds observed in Hakampo.
Scientific Name Korean Name 2014 2015 Dom.
Jul. Aug. Sep. Oct. Nov. Dec. Jan. Feb. Mar. Apr. May. Jun. (%)
Upupidae 후투티과
Upupa epops 후투티 ● ● 0.0
PICIFORMES 딱다구리목
Picidae 딱다구리과
Dendrocopos kizuki 쇠딱다구리 ● ● ● ● ● ● ● ● ● ● ● ● 0.8
Dendrocopos major 오색딱다구리 ● ● ● ● ● ● ● ● ● ● ● ● 1.2
Picus canus 청딱다구리 ● ● ● ● ● ● ● ● ● ● ● 0.2
PASSERIFORMES 참새목
Laniidae 때까치과
Lanius tigrinus 칡때까치 ● 0.0
Lanius bucephalus 때까치 ● ● ● ● ● 0.1
Lanius cristatus 노랑때까치 ● 0.1
Oriolidae 꾀꼬리과
Oriolus chinensis 꾀꼬리 ● ● ● ● ● 0.2
Corvidae 까마귀과
Garrulus glandarius 어치 ● ● ● ● ● ● ● ● ● ● ● ● 1.3
Cyanopica cyanus 물까치 ● ● ● ● ● 0.7
Pica pica 까치 ● ● ● ● ● ● ● ● ● ● ● ● 3.5
Corvus macrorhynchos 큰부리까마귀 ● ● ● ● ● 0.1
Paridae 박새과
Parus major 박새 ● ● ● ● ● ● ● ● ● ● ● ● 12.7
Parus venustulus 노랑배진박새 ● ● ● ● ● ● 0.3
Parus ater 진박새 ● ● ● ● ● ● ● ● ● ● 0.2
Parus varius 곤줄박이 ● ● ● ● ● ● ● ● ● ● ● ● 0.6
Parus palustris 쇠박새 ● ● ● ● ● ● ● ● ● ● ● 0.7
Hirundinidae 제비과
Hirundo rustica 제비 ● ● ● 0.2
Aegithalidae 오목눈이과
Aegithalos caudatus 오목눈이 ● ● ● ● ● ● 0.2
Pycnonotidae 직박구리과
Hypsipetes amaurotis 직박구리 ● ● ● ● ● ● ● ● ● ● ● ● 2.6
Sylviidae 휘파람새과
Urosphena squameiceps 숲새 ● 0.0
Cettia diphone borealis 휘파람새 ● ● 0.1
Phylloscopus fuscatus 솔새사촌 ● 0.0
Phylloscopus inornatus 노랑눈썹솔새 ● ● ● ● 0.1
Phylloscopus borealis 솔새 ● ● 0.1
Phylloscopus coronatus 산솔새 ● ● 0.1
Timaliidae 붉은머리오목눈이과
Paradoxornis webbianus 붉은머리오목눈이 ● ● ● ● ● ● ● ● ● ● ● 8.2
Reguliidae 상모솔새과
Regulus regulus 상모솔새 ● ● ● ● ● ● 0.2
Troglodytidae 굴뚝새과
Troglodytes troglodytes 굴뚝새 ● ● ● 0.0
Sturnidae 찌르레기과
Sturnus cineraceus 찌르레기 ● ● 0.0
Turdidae 지빠귀과
Zoothera aurea 호랑지빠귀 ● ● ● 0.0
Turdus hortulorum 되지빠귀 ● ● ● ● 0.3
Turdus pallidus 흰배지빠귀 ● 0.1
Turdus naumanni 노랑지빠귀 ● ● ● ● 0.7
Turdus eunomus 개똥지빠귀 ● 0.4
Muscicapidae 솔딱새과
Luscinia calliope 진홍가슴 ● 0.0
Appendix. Average number of birds observed in Hakampo.
Scientific Name Korean Name 2014 2015 Dom.
Jul. Aug. Sep. Oct. Nov. Dec. Jan. Feb. Mar. Apr. May. Jun. (%)
Luscinia sibilans 울새 ● 0.0
Tarsiger cyanurus 유리딱새 ● ● ● 0.3
Phoenicurus auroreus 딱새 ● ● ● ● ● ● ● ● ● ● ● 0.7
Saxicola torquatus 검은딱새 ● ● 0.1
Monticola solitarius 바다직박구리 ● ● ● ● ● 0.1
Muscicapa griseisticta 제비딱새 ● 0.1
Muscicapa sibirica 솔딱새 ● 0.0
Muscicapa dauurica 쇠솔딱새 ● ● 0.1
Ficedula zanthopygia 흰눈썹황금새 ● ● 0.0
Cyanoptila cyanomelana 큰유리새 ● ● 0.0
Passeridae 참새과
Passer montanus 참새 ● ● ● ● ● ● ● ● ● ● ● ● 5.7
Motacillidae 할미새과
Motacilla cinerea 노랑할미새 ● ● 0.0
Motacilla alba 알락할미새 ● ● ● ● 0.0
Anthus hodgsoni 힝둥새 ● ● ● ● ● ● ● ● 1.6
Fringillidae 되새과
Fringilla montifringilla 되새 ● ● ● ● ● ● ● 18.4
Carduelis sinica 방울새 ● ● ● ● ● ● ● ● ● ● ● 2.1
Carduelis spinus 검은머리방울새 ● ● ● ● ● ● 0.5
Eophona migratoria 밀화부리 ● ● 0.1
Emberizidae 멧새과
Emberiza cioides 멧새 ● ● ● 0.0
Emberiza tristrami 흰배멧새 ● ● 0.0
Emberiza chrysophrys 노랑눈썹멧새 ● 0.0
Emberiza rustica 쑥새 ● ● ● ● 0.1
Emberiza elegans 노랑턱멧새 ● ● ● ● ● ● ● ● ● ● ● ● 5.8
Emberiza spodocephala 촉새 ● ● ● 0.3
Emberiza schoeniclus 검은머리쑥새 ● 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