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태평양 권역별 해저환경특성 및 고환경 복원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태평양 권역별 해저환경특성 및 고환경 복원연구"

Copied!
132
0
0

Teks penuh

태평양지역의 해양환경특성과 고환경복원에 관한 연구. 연구과제 3년차인 2011년에는 북동태평양 지구물리자료와 인도양 적도해역 퇴적물을 조사했다.

탐사지역

탐사장비

심해저에서 긴 퇴적물 시료를 보다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수집하여 고해양 환경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수분함량이 높은 표층퇴적물을 교란하지 않고 잘 보존된 상태로 수집할 수 있는 장치로 1회에 8개의 코어를 사용할 수 있다.

탐사내용

국문요약

Introduction

For example, Tarduno et al. 1991) suggested southward movement of the Louisville plume to account for discrepancies between plate motion models and OJP paleolatitude measurements at DSDP site 289 and ODP site 807. Apparent incompatibility between the present latitude of Louisville (51S) and the average ODP bleeolatitude of OJP (25.2) S) (Riisager et al., 2004) also adds to the dilemma.

Analysis

Reconstruction of the OJN breakup

The Ellice Basin (EB) separates the OJP and the MP and displays a complex fabric of major initiation fault zones that terminates in the Nova-Canton Trough (NCT) north of the MP. The Ellice Basin fracture zones digitized in this study are shown in Figure 3-4 and will be submitted for inclusion in the GSFML database.

Absolute reconstruction of OJN origin

We note that the Hikurangi-Chatham Rise docking was constrained using the OMS-05 APM (O'Neill et al., 2005) embedded in the GPlates global rotation model. This paleolatitude deviation implies a small amount of true polar drift, but this discrepancy is likely negligible (i.e., the average OJP paleolatitude standard deviation is 3.6°).

Discussion

The WK08-D and OMS-05 models support the notion of a floating Hawaiian plume during the Imperial phase (Tarduno, 2007; Tarduno et al., 2009) by reducing OJP paleolatitude discrepancies. The Louisville seamount age progression data obtained using the OMS-05 APM predict an apparent overshoot of the Louisville hotspot (black-centered age-color curve) of 78 Ma compared to the ow-model prediction of Steinberger et al.

Conclusion

초점 참조 프레임에서 Ontong Java 고원의 이동: 122 Ma-현재. 건조한 지역에 분포하는 토양은 바람에 의해 침식되어 이동한 후 바람의 이동 경로(예: 황사)를 따라 퇴적되고, 서풍과 무역풍에 의해 운반되어 적도 해역으로 이동하여 퇴적됩니다.

참고문헌

서론

하와이-제국 능선은 고정된 열점 위의 태평양판의 이동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해석되었습니다(Wilson, 1963). 이는 태평양 판의 움직임을 해석할 수 있는 고해상도 지구물리학적 데이터가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HEB 지형특성

이는 그림 4-2에서 관찰된 해산이 상대적으로 잘 보존되어 있고 다른 중앙해령 근처의 해산과 모양이 매우 유사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를 보다 자세히 조사하려면 본 프로젝트의 데이터뿐만 아니라 클라리온 리프트 주변에서 수집된 다른 국가의 지구물리학적 데이터를 결합하여 지형의 변화를 완전히 이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참고문헌

5장 서태평양 웜풀 지역의 기후 변동성과 고기후 회복.

서론

이는 지구 기후 변화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넓힐 수 있습니다. 그러나 원양퇴적물을 이용하여 과거 해양환경을 복원하는 것은 다른 어려움을 안고 있다.

연구방법

퇴적물에 탄산염이 용해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각 코어의 탄산염 함량을 4 cm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그리고 탄산나트륨을 이용하여 생체규산염을 제거하였다.

결과 및 토의

서태평양 주상시료 (PC631, BC633)

기둥형 샘플 PC 631의 공기 중 입자의 방사성 동위원소 비율. 기둥형 샘플 PC 931의 공기 중 입자의 광물 조성 및 탄산염 함량 비교.

PC 931의 탄산염 함량, 플랑크톤 유공충의 산소 동위원소 비율 및 SPECMAP 비교. PC 931과 비교했을 때, PC 932 기둥 시료의 유공충의 산소 동위원소 조성은 빙기와 간빙기의 변화를 명확하게 나타내지 않아 SPECMAP과 비교하여 연대를 판단하기 어려웠다.

결론

탄소 동위원소 비율의 변화는 해양 순환, 표면 생산성 및 안정적인 용존 탄소 동위원소 비율에 의해 결정되며 후기 홍적세의 브뤼헤 중기 사건(MBE)과 관련하여 고려될 수 있습니다. 앞으로는 해양의 표면 생산성을 나타내는 중정석 분석 등을 통해 이를 확인함으로써 안정 탄소 동위원소 비율 변화의 원인을 보다 명확하게 밝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문헌

국문요약

농축된 입자의 Nd 동위원소 조성비는 원산지에 따라 독특한 값을 나타냈다. 에오세-올리고세 경계에 퇴적된 바람 기원 입자의 Nd 동위원소 구성(오른쪽)과 당시 발생한 적도 수렴대의 위치 변화.

Introduction

Since then, several studies have documented the northern position of the ITCZ ​​by examining source-specific properties (grain size, flux, mineral composition, elemental chemistry and radiogenic isotope ratios) of aeolian dust in deep-sea sedimentary cores: ~12°N at 8 Ma (Hyeong et al., 2005). The contour map in panel B shows terminal values ​​for the extracted terrigenous component in Pacific surface sediments 0–5 Ma (Stancin et al., 2006).

Study site and Samples

The U1334 site was located at the paleoequator (∼2°N) in the East Pacific Ocean at the E–E transition, so it could record immediate response of the atmospheric system to an extreme hemispheric asymmetry of thermal gradient. Thus, understanding atmospheric response to uni-polar ice sheet distribution at the E-O transition is also important for predicting future climate imposed by greenhouse gas forcing.

Dust sources in Pacific

Unlike Asian dust sources, the existence of dust sources for the southeastern equatorial Pacific has only been documented up to ~15 million years ago (Hyeong et al.). On the other hand, the surface and lower core sediments of the Pacific Ocean do not show the Northeast Asian American dust signal (e.g., eNd = -14, Taylor et al., 1983) with the exception of the Pacific rim areas that have been affected by hemipelagic sedimentation (Fig. 6. Stancin et al., 2006), implying an insignificant contribution from North American dust (Pettke et al., 2002).

Analytical methods

Extraction of inorganic silicate fraction

Thus, central Asian dust sources and prevailing wind regimes similar to today emerged at least from the early Miocene, probably even earlier than the late Eocene. Assuming that modern dust, especially Asian dust, and wind regimes have dominated since the late Eocene, we compare the inferred geochemical signals of extracted inorganic silicates with those of present-day dominant dust sources to determine potential dust sources.

XRD analyses

Major and trace element analyses

Nd isotope analysis

In fact, the geochemical compositions of sediments from the southeastern Pacific Ocean, originating from the volcanic arc region of Central and South America, are similar to those of volcanic material (e.g., Ziegler et al., 2007). Flux and grain size variation of aeolian dust as a proxy tool for paleoposition of the Intertropical Convergence Zone in the Northeast Pacific.

Results and discussion

참고문헌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compositions of the Northeast Equatorial Pacific Aeolian Dust and their implications for the paleolocation of the Intertropical Convergence Zone, Paleoceanogr. High-resolution (104 years) deep-sea foraminifera stable isotope records of the climate transition between the Eocene and the Oligocene.

서론

연구방법

퇴적물 깊이에 따른 원소 조성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각 시료에 대해 XRF(X-ray Fluorescent Core Scanner) 분석을 수행했습니다. 기둥형 퇴적물 시료의 분석은 분석요소별로 가속전압과 전류를 다르게 하여 3회에 걸쳐 측정하였다.

결과

최남단 NAP PC 10-4S 주 시료에서 저탁도 퇴적물이 간헐적으로 축적되는 것과 비교하여, 이 최북단 시료에서는 두꺼운 저탁도 퇴적물이 관찰되어 이 지역이 더 빈번하고 강한 저탁도 해류의 영향을 받았음을 시사합니다. 최남단 NAP PC 10-4S 컬럼 시료에서 저탁도 퇴적물이 간헐적으로 축적되는 것과 비교하여, 이 최북단 시료에서는 두꺼운 저탁도 퇴적물이 관찰되어 이 지역이 더 빈번하고 강한 저탁도 해류의 영향을 받았음을 시사합니다.

참고문헌

Referensi

Dokumen terkait

One the other hand, the training imputed data is put into a clustering algorithm to construct a training clustered data which will be used to estimate missing values in the application

So it can be concluded that firm size, return on assets, operating profit margin, earnings per share and public ownership simultaneously significant effect on Income Smoothing.. It c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