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 결과 및 토의
5.3.1. 서태평양 주상시료 (PC631, BC633)
- 59 -
- 60 -
Figure 5-2. PC 631 주상시료의 생물 기원 규산염과 탄산염 함량, 부유 성 유공충과 저서성 유공충의 산소동위원소비 및 SPECMAP과의 비교
풍성기원입자의 Sr, Pb, Nd 동위원소 조성은 빙하기와 간빙기에 따른 뚜렷한 함 량변화를 보이지 않았다(Fig. 5-3). 하지만 Sr 및 Pb 동위원소 값은 상부로 가면서 점 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Nd 동위원소 조성은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 을 보인다. 중국기원 풍성기원입자의 radiogenic 동위원소 조성은 연구 주상시료의 200cm 이하의 깊이에서 관찰되는 값의 범위를 특징적으로 보인다. 따라서 연구시료 에서 관찰되는 radiogenic 동위원소의 조성변화는 풍성기원입자 중 중국 기원의 상 대적 함량이 상부로 가면서 점차 감소했음을 지시한다. 광물 조성 분석에서는, 점토 광물 중 일라이트의 상대적 함량이 코아 퇴적물에서 뚜렷한 주기성을 가지며 변화 하였다(Fig. 5-4). 일라이트의 함량은 빙기에 높고, 간빙기에 낮아 탄산염 함량과 그 변화 특성이 일치한다. 일라이트의 Crystalinity Index(CI, 평균 0.41)와 Chemistry Index(CII, 0.30°)는 중국 황토고원의 값(loess: 0.22°~0.33°, palaeosol: 0.22°~0.42°)과 유사하여 이들이 중국 대륙으로부터 기원했음을 지시한다. 따라서 빙기에 동아시아 겨울 몬순이 강해져 함께 많은 양의 eolian flux가 근처 해역으로 유입되며, 이로 인 한 표층생산성의 변화가 탄산염 함량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 61 -
Figure 5-3. PC 631 주상시료 내 풍성기원입자의 방사성동위원소비
풍성기원입자의 입도분석 결과, 마지막 빙하 최성기 (Last Glacial Maximum, LGM)에 급격히 쇄설성 입자의 크기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풍성기원입자 내의 석 영/장석 비와 일라이트의 함량 역시 주상시료의 상부에서 급격한 증가를 보이며 대 륙 기원 입자에 비해 화산성 쇄설물의 상대적 함량이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 에 따르면 연구지역의 주된 풍성기원입자 기원지인 중국 및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바람의 세기가 강해졌을 가능성을 제기할 수 있다. 그러나 연구 주상시료에서 관찰 되는 Sr과 Pb 동위원소의 점진적 감소와 Nd 동위원소비의 상대적인 증가는 중국기 원 풍성기원 입자의 상대적 기여도가 감소하였음을 지시하며, 다른 기원지 (호주, 인 도네시아, 파푸아뉴기니 등)의 풍성 기원 입자의 공급이 상부로 가면서 증가했을 가 능성을 나타내었다. 연구지역은 적도수렴대 인근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기후 변화에 따라 가까운 호주 등의 남반구 기원 풍성기원입자의 공급이 증가하여 입도가 증가 하고 퇴적율이 높아졌을 가능성이 있다.
- 62 -
Figure 5-4. PC 931 주상시료 내 풍성기원입자의 광물조성 및 탄산염 함량과의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