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화강 중류지역의 침수댐이 물리화학적 수질에 미치는 영향. 침수된 댐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측정 지점 간의 피어슨 상관 계수를 얻었습니다.
서론
그 중에서도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등 4대강의 수생태계에 설치된 댐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에 설치된 수중장치를 기반으로 한 물리적, 화학적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상하류 사이의 수질을 측정하였다.
재료 및 방법
시료 채취
물리·화학적 수질 분석
엽록소a의 경우 시료 100ml를 필터에 유리섬유 여과지(GF/C)를 부착하여 흡입여과하였다. 건조 여과지의 무게를 측정하고 기록했습니다.
상관관계 분석
부유물질의 양은 건조된 여과지를 칭량하고, 건조 전후의 중량차이를 측정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수질 분석 결과
- 수온(Water temperature)
- 수소이온농도(pH)
- 용존산소량(Dissolved Oxygen, DO)
- 화학적 산소요구량(Chemical Oxygen Demand, COD)
- 총 질소(Total Nitrogen, T-N)
- 질산성 질소(Nitrate Nitrogen, NO₃-N)
- 암모니아성 질소 (Ammonia Nitrogen, NH₃-N)
- 총 인(Total phosphorus, T-P)
- 인산염 인(Phosphorate Phosphorus, PO 4 3- -P)
- 엽록소 a(Chlorophyll a)
- 부유물질(Suspended Solid, SS)
Water temperature measured upstream and downstream of the submerged dam at five sampling sites in the middle reaches of the Taewha River. Dissolved oxygen (DO) measured upstream and downstream of the submerged dam at five sampling sites in the middle reaches of the Taewha River. Chemical oxygen demand (COD) measured upstream and downstream of the submerged dam at five sampling locations in the middle reaches of the Taewha River.
Total nitrogen (T-N) measured upstream and downstream of a submerged weir at five sampling sites in the middle of the Taewha River. Nitrate Nitrogen (NO₃-N) measured upstream and downstream of a submerged weir at five sampling sites in the middle of the Taewha. Ammonia Nitrogen (NH₃-N) measured upstream and downstream of a submerged weir at five sampling sites in the middle of the Taewha.
Total phosphorus (T-P) measured upstream and downstream of submerged spillway at five sampling sites in the midstream of the Taewha River. Phosphorate Phosphorus (PO43--P) measured upstream and downstream of submerged spillway at five midstream sampling sites. Chlorophyll a measured upstream and downstream of submerged spillway at five sampling sites in the midstream of the Taewha River.
상관관계 분석 결과
- 강정보 측정값 비교
- 사연2낙차공 측정값 비교
- 사연1낙차공 측정값 비교
- 망성보 측정값 비교
- 입암낙차공 측정값 비교
상류와 하류 지점 사이의 수중제트가 2단계 낙하공 지점에서 물리적, 화학적 요인으로 작용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Pearson 상관관계를 사용하였고, 상류와 하류 지점에서는 동일한 측정요소에 대한 상관계수(r)를 사용하였다. 밑줄이 그어져 있습니다 (표 3). 수소이온 농도는 0.05 수준에서 인산인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상류와 하류 지점 사이의 수중 제트가 1단계 드립홀 지점에서 물리적, 화학적 요인으로 작용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Pearson 상관관계를 사용하였고, 상류와 하류 지점에서는 동일한 측정요소에 대한 상관계수(r)를 사용하였다. 밑줄이 그어져 있습니다 (표 4).
Significance of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upstream and downstream values of the submerged plume at location KJ. Significance of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upstream and downstream values of the submerged weir at location SY2. Significance of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upstream and downstream values of the submerged weir at location SY1.
망성보 지점의 상류와 하류 지점 사이의 수중 수조가 물리화학적 요인으로 작용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Pearson의 상관관계를 사용하였고, 상류와 하류 지점에서 동일한 측정항목의 상관계수(r)에 밑줄을 그었습니다(표 5). 상부와 하부 지점 사이의 흡수빔이 입구 홀 지점에서 물리적, 화학적 요인으로 작용하는지 여부와 상부 및 하부 지점에서 동일한 게이지 요소의 상관 계수(r)를 확인하기 위해 Pearson 상관 관계를 사용했습니다. 밑줄이 그어져 있습니다. (표 6). 화학적 산소요구량은 0.05 수준에서 총질소 및 질산성질소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부유물질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Significance of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upstream and downstream values of submerged dam at MS site. Significance of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upstream and downstream values of the submerged dam at site IA.
고찰
강정보에서 입암폭포까지 연속 5개 침수지점에서 수질분석을 실시한 결과, 영양염류(질소, 인)의 농도가 전반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총질소와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는 강정보에서 망성보로 갈수록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망성위르와 입암천수공은 유사한 농도수준을 보였다. 총인과 인산인의 농도는 강보보와 사연2지점에서 유사하였고, 망성보와 입암지점은 유사하였고, 강보보와 사연2지점의 농도가 더 높았다. 망성보와 입암 드립홀에 있는 것.
이는 영양염오염원이 강정보 상류에 위치하고 있으며, 망성보까지는 강정보 상류의 오염원에 영향을 받고 있음을 의미한다. 실제로 강정보 상부의 영양염 농도는 낚시 등 사람들의 여가활동으로 인한 오염과 반천일반산업단지, 언양물사업소 등 구체적인 오염원으로 작용할 수 있는 지점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품질 향상. . 따라서 하천 수중습지의 수질에 의한 영향보다 인간활동에 따른 수질의 영향이 더 크다고 판단된다.
또한, 현재 완성된 수중의자는 환경적인 부분과 많은 부분이 균형을 이루며 하천생태계의 일부로 동화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입암 싱크홀과 동일한 지점의 수중분류는 하천수의 체류시간을 증가시켜 하천지형을 유지하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갖는다. 이는 조사 현장에 위치한 수중 제방의 존재 여부보다 상류에 위치한 오염원과의 거리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입니다.
참고문헌
Evaluation of spillway construction on water quality related to algal blooms in the Nakdong River. Relationship between coliform bacteria and water quality factors at spillway stations in the Nakdong River, South Korea. Impact of dam construction on water quality and water self-purification capacity in the Lancang River, Chi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