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영 산양천에 서식하는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 (Clithon retropictum) 의 개체군 가입 및 서식환경
신상호*
⋅
이상규⋅
이창래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Population Recruitment and Habitat Environmental of the Endangered Mollusk Clithon retropictum in Sanyang River, Tongyeong, Korea
Shin Sang-ho
*, Sang-kyu Lee and Chang-rae Lee
Korea Nationlal Park Research Institute, Wonju, 26441, Korea
요약: 한국에서 멸종위기 야생동물인 기수갈고둥(C. retropictum)은 복원을 위한 정보가 부족한 실정이다. 통영시 산양천에 서식하는 기수갈 고둥의 수직적 분포에 영향을 주는 연속적인 해수노출 범위를 분석하였으며, 또한 기수갈고둥 개체군의 가입과 산란기를 추정하였다. 산양천 에 서식하는 기수갈고둥의 각고-중량의 결정계수 값보다 각폭-중량 간의 값이 높았으며, 이것은 기수갈고둥 각정 부위의 부식과 관련이 있다.
각 시기별 각폭과 중량 간의 관계분석에서 5월과 6월에 주요 산란 시기로 추정된다. 각폭과 중량의 빈도분포 분석에서 2017년 6월부터 새로운 가입 개체가 출현하기 시작하여 8월에 11mm정도 크기의 새로운 개체군이 가입되었으며, 어린 개체는 작년에 부화된 새로운 개체군으로 추 정된다. 산양천에서 기수갈고둥이 서식하는 높이(조위)를 조사한 결과, 평균 해수면 기준으로 0.68~0.96m 범위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연속 적으로 해수에 노출되는 시간은 평균 2.25~2.47시간 범위에 있었다. 다른 서식지와 비교를 위하여 여수 금오도 우실천 서식지의 높이와 연속 해수 노출시간을 계산한 결과, 높이는 0.90m, 해수 노출시간은 평균 2.50시간으로 산양천 서식지와 비슷한 수치를 보였다. 이 자료는 기수갈 고둥 서식지를 복원할 때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요어: 기수갈고둥, 멸종위기종, 서식환경, 통영 산양천
Abstract: The information of endangered mollusk in Korea, Clithon retropictum, are lacking for restoration. Clithon retropictum in Sanyang River(Tongyeong) was analyzed on the range of seawater exposure by the vertical distribution. Additionally, the recruitment and spawning period of this species were estimated. The coefficient value between width-weight of the species was higher than the value of height-weight, which was related to corrosion of the apex part. This species may be spawning from May to June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idth and weight. In the shell size-frequency distribution of the width-weight, recruitment of pop- ulation began from June 2017. The small-sized individuals on 11mm occurred in August, and were estimated hatched last year. As a result of surveying the height (tidal level) at which C. retropictum in Sanyang River. It was located in the range of 0.68 to 0.96 m based on mean sea level. The continuous exposure to seawater ranged from 2.25 to 2.47 hours on average.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height and continuous seawater exposure time of the Usil River habitat in Yeosu for comparison with other habitats, the height was 0.90m, and the average seawater exposure time was 2.50 hours which was similar to the Sanyang River.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sed as helpful information when restoring the C. retropictum habitat.
Key words Clithon retropictum, endangered species, habitat environment, Southern Coast(Sanyang River)
서론
기수(汽水)지역은 담수와 해수가 혼합되어 형성되는
지역으로 일반적으로 염분의 농도가 0.5 psu 이하인 물 은 담수(淡水), 30psu 이상은 해수(海水), 그 중간을 기수
(brackish water)라 한다(Horne and Goldman 1994).
기수Received 11 June 2021; Revised 07 January 2022; Accepted 13 January 2022
*Corresponding to 신상호(Shin Sang-ho) E-mail. [email protected]
역에는 이러한 광범위한 염분농도 변화에 적응할 수 있 는 생물들이 분포하며, 생물의 종류는 순수 해양생물이 나 담수 생물군에 비해 수가 작게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Remane 1934).
기수갈고둥(Clithon retropictum Martens, 1878)은 기 수역에 서식하는 종으로 분류학적 위치는 원시복족목 갈 고둥과에 속한다. 이 종은 알을 놓는 난생(卵生)이며, 수컷 보다 암컷의 체형이 조금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Shigemiya
and Kato 2001).
또한 서식 조건이 매우 까다로워 제한된 서식지에서만 분포하여 환경부에서
‘멸종위기
야생 동물 Ⅱ급’으로 국가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우리나 라 분포는 남해안에서만 국한되어 있었으나, 제주도 북 쪽과 남쪽 일부해안에 서식하고(Noseworthy et al. 2012,2013),
동해에서는 경상남도 울진군 왕피천 하류, 강원도삼척시, 강릉시까지 넓은 서식 범위를 가지고 있다(Han
2021).
기수갈고둥 연구는 일본에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다.
Kumazawa
et al.(1991)는 갈고둥과(Neritid) 3개 종(Clithon retropictum, Nerita japonica, Nerita albicilla) 중에서 기 수갈고둥이 가장 넓은 염분 내성(광염성 생물)을 보였음 을 실험으로 밝혔으며, Nishiwaki et al.(1991)은 알 주머 니의 변화 연구를 통하여2월부터 번식이 시작되어 9월
까지 산란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Shigemiya and Kato(2001)는 기수갈고둥의 수명은 보통 4~5년 정도이며,
최대수명은 20년으로 추정하였으며, 성장은 겨울 시기에 성장 이 멈추고 5~6월부터 다시 성장하는 것을 연륜분석을 통 하여 밝혔다. 또한 Kobayashi and Iwasaki(2002)는 일본
Salgo River에서 염분농도와 개체 크기의 관련성을 분석하
였다. 국내 연구는 기수갈고둥의 분자계통분류학적 연구(Jeong
et al. 2021), 새로운 서식지 발견(Noseworthy et al,2012, 2013)
등 단편적인 연구가 있었으며, 최근에 개체군과 서식지 환경요인 관련성에 관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Lee
et al.(2018)은 남해안 연초천에서 염분과 하상입자에 따른 개체 크기와의 상관관계 분석하였으며, Han(2021) 은 염분, 하상입도, 번식시기, 계절변화 등은 기수갈고둥 의 개체크기, 개체밀도, 이동거리 등 생활사 전반에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최근 환경부에서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보전정책 방향
을 개체 복원에서 서식지 보전 중심으로 전환하는 종합 계획을 수립하였다. 기수갈고둥을 포함한
25종을 2027년
까지 개체 증식⋅보충 위주로 복원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서식지를 복원 중심으로 전환하겠다는 내용이다(Ministry ofEnvironment 2018).
성공적인 멸종위기종 서식지 복원을위하여 대상 생물의 서식 환경의 명확한 자료를 제공하 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기수갈고둥 서식지의 염분 범위 의 정보는 기수갈고둥의 수직적 분포가 담수에서 기수까 지 이어지는 강 하류에만 서식한다는 정보만 주고 있어, 대상종의 복원할 때 기수갈고둥 서식지의 환경요인에 대한 수치적인 서식범위를 제공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통영 산양천에 서식하는 기수갈고둥을 대 상으로 체형변수 간의 관계와 개체크기의 빈도분포를 추적하여 가입 시기 등 기초적인 개체군 생태학적 정보 를 제공하고, 기수갈고둥 수직적인 서식지 범위를 파악 하기 위하여 연속적인 해수노출 범위를 분석하였다. 향 후 기수갈고둥의 보전 및 복원에 요구되는 수치화된 정 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가. 개체군 조사
기수갈고둥 개체군 조사는 한려해상국립공원 지역인 미륵도 산양천(Sanyang River) 기수역에서 실시하였다
(Fig. 1).
조사시기는 2017년 3월, 5월, 6월, 8월, 9월, 10 월 총 6회 실시하였으며, 기수갈고둥 개체가 100개체 정 도 채집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환경요인 조사는 개체 군 조사 시에 수온, 염분, 산소포화도 등을 최상부(Upperstation)와 최하부(Lower station)에서 관측하였다.
이때 사용한 장비는 휴대용 다항목수질측정기(YSI-556MPS) 를 사용하였다.1) 길이와 무게
현장에서 채집한 기수갈고둥은 바로 현장에서 각 개체 별로 길이(mm)와 중량(g)을 측정하였다. 기수갈고둥의 각 고, 각폭, 각구를 측정하여 길이 자료로 활용하였으며,
측정은 디지털 버어니어캐리퍼스(측정범위
: 0.01 mm, Mitutoyo, CD-S15C)를 사용하였다.
각고(shell height)는 패각의 각정에서 수직인 점에 위치하는 변의 중앙까지 의 길이, 각폭(shell width)은 양 패각에서 가장 두꺼운 점 사이의 길이, 각구(aperture length)은 패각 속의 머리 와 발이 나오고 들어가는 입구의 최장 길이를 각각 의미 한다(Fig. 2). 기수갈고둥의 무게(g)로는 다시 방생하기때문에 총습중량(total wet weight)을 측정하였다.
2) 빈도분포
기수갈고둥의 각고-빈도분포도는 각장 자료를 1mm 구 간으로 구분한 다음 각 구간별로 개체수를 계수한 후 백 분율로 환산하여 막대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중량-빈도분 포도는 총습중량 자료를 0.5g 구간으로 구분하여 계수한 후 막대그래프로 나타내었다.
3) 체형변수간의 관계
기수갈고둥 체형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다 음과 같은 변수를 이용하였다. 먼저 패각의 길이 변수로 는 각고, 각폭, 각구를 그리고 무게 변수로는 총습중량
(패각 포함)을 이용하였다.
각 관계식의 매개변수들은 일차선형관계식(각고와 중량을 log-변환시킨 후)을 이용하 여 추정하였다.
(1)
각고, 각폭 및 각구 간의 관계H = a + b⋅B
B = c + d⋅A
여기서, H: 각고
(mm), B :
각폭 (mm), A: 각구 (mm),a, c:
상수(절편), b, d: 계수(기울기)
(2)
각고(각폭)과 중량 간의 관계각고(각폭)과 중량 간의 관계는
power function
식을 적용하여 구하였다.W = a⋅H
b여기서, W : 무게 (g), H : 각고 (mm) 또는 B : 각폭
(mm), a:
상수, b: 계수(기울기)나. 연속적인 수온, 염분, 조위 관측
기수갈고둥의 서식지 연속적인 환경을 조사하기 위하 여 기수갈고둥이 서식하는 한려해상국립공원에 포함된 산양천과 여수시 금오도 우실천에서 수온, 염분, 조위의 연속적인 환경요인을 측정하였다. 산양천(Sanyang River) Fig. 2. External morphology of Clithon retropictum.
Fig. 1. Usil River Map of the site.
의 기수갈고둥 수직적 분포는 명확하게 범위를 보이고 있었다. 기수갈고둥은 최상부(upper station)와 최하부
(lower station)
범위(약120m
거리)에서만 관찰되었다. 산양천 의 최상부와 최하부에2개 정점에서 연속적인 수온⋅염
분을 관측하였다. 또한 우실천(Usil River)에서도1개 정
점에서 실시하였다(Fig. 1; temperature & salinity sensorstation).
우실천 서식지는 기수갈고둥의 서식밀도가 작고 서식폭이 좁아 1개 정점에서 수온⋅염분을 관측하였 다. 연속적인 수온과 염분 측정에는 HOBO Data Logger
(U24-002-C)을 사용하였으며,
각 서식지의 조위 관측을위하여 언제나 해수에 잠기는 인근 해역에서
HOBO Water Level Data Logger(U20-001- 01-Ti)를
설치하였 다(Fig. 1; tide sensor station). 조사시기는 산양천에서2017년 5월 10일~6월 14일,
우실천에서2017년 6월 24
일~8월 3일이며, 조사간격은10분 간격으로 실시하였다.
강수량은 통영과 여수 기상청 2017년 강수량 통계자료 를 활용하였다. 기수갈고둥이 서식하는 조위는 실측 조 위와 하천에 설치한 염분센서의 반응시간을 이용하여 기 수갈고둥이 서식하는 조위 범위를 추정하였다. 산양천 과 우실천 서식지의 연속적인 해수 노출시간과 담수 노 출시간을 분석하였다.
결과
가. 기수갈고둥 개체군 조사
1) 환경 조사
산양천에서 기수갈고둥이 서식하는 최상부와 최하부 의 환경요인들을 3월부터 10월까지 측정하였다(Fig. 3).
수온은
14.75~31.1℃범위를 보였으며, 최하부에서 변동
폭이 컸다. 특히 8월에 하부에서 가장 높은 수온을 보였으 며, 상부보다 변동 폭이 가장 컸다. 염분은
0.11~7.67 psu
범위를 보였으며, 조사 시 하천 유량과 조석주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9월에 최상부와 최하부에서 가장 낮은 염분 값을 보였는데, 조사 전날 비가 내려 하천 유량이 많았다. 6월과 10월에는 바닷물이 빠지고 나서 바로 측정 한 값으로 약간 높은 값을 보였다. 용존산소(DO)는 6.58~12.76 mg/L
범위를 보였다. 10월에 높은 용존산소량을보였으며, 6월에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수소이온농도
(pH)는 7.14~8.17
범위를 보였으며, 상부가 하부보다 높은 수소이온농도를 보였다.
Fig. 3. Water quality variables at upper and lower station in Sanyang River. (A. Water temperature, B. Salinity, C. DO: Dissolved Oxygen, D. pH : Hydrogen ion concentration)
2) 체형 변수간의 관계
산양천에서 서식하는 기수갈고둥의 체형변수(각고, 각 폭, 각구) 간의 관계를 시기별로 살펴보았다(Table 1). 각 고와 각폭 간의 관계식에서 결정계수(R2
)는 평균 0.91로
각폭과 각구 간의 결정계수보다 높은 값을 보여 각구의 형태변이가 컸음을 나타냈다. 또한 조사 시기별 각고 또는 각폭과 중량 간의 관계를 power function 관계식을 통 하여 분석하였다(Fig. 4, Table 2). 각고와 중량 간의 계 정계수는 평균 0.87이었으나, 각폭과 중량 간의 결정계 수는 평균 0.91이었다. 각폭과 중량의 관계식이 각고와 중 량의 관계식보다 좋은 적합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각폭과 중량 간의
3월에 기울기(a, c) 값이 가장 높았으며, 5월과
Date shell height-shell width shell width-aperture length
a b R2 c d R2
March 0.73 1.46 0.85 0.81 3.35 0.80
May 0.79 0.47 0.88 0.73 4.94 0.75
June 0.76 0.54 0.92 0.79 4.55 0.80
Aug. 0.76 0.51 0.93 0.89 2.82 0.90
Sept. 0.74 0.66 0.92 0.63 6.86 0.75
Oct. 0.73 0.81 0.94 0.77 4.60 0.84
AVG. 0.75 0.74 0.91 0.77 4.52 0.81
a, c: slop, b, d : a consistent, R2: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Table 1. Relationships between shell height, shell width, aperture length in each period
Fig. 4. The relations between shell height and total wet weight in each period. The parameters of curves were estimated by Ricker’s GM functional regression(1975).
6월에
낮은 값을 보였으며, 8월부터 다시 회복하는 경향 을 보였다. 각고와 중량 간의 기울기 값에서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3) 빈도분포
산양천에서 서식하는 기수갈고둥의 개체군 특성을 살펴 보기 위하여 조사 시기별 각폭과 중량의 빈도분포를 Fig.
5에 나타내었다. 6월, 8월, 10월은 채집된 기수갈고둥은 많
은 채집량을 보였으나, 강우의 영향으로3월과 9월에 적
Date shell height-weight shell width-weight
a b R2 c d R2
March 3.35 0.0001 0.78 3.47 0.0002 0.81
May 3.09 0.0002 0.89 3.03 0.0005 0.92
June 3.04 0.0003 0.94 3.05 0.0005 0.95
Aug. 3.15 0.0002 0.94 3.20 0.0004 0.97
Sept. 3.14 0.0002 0.84 3.32 0.0003 0.89
Oct. 3.19 0.0002 0.84 3.27 0.0003 0.94
AVG. 3.16 0.0002 0.87 3.22 0.0004 0.91
a, c: slop, b, d : a consistent, R2: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Table 2. Relationships between shell height, shell width, total wet weight in each period
Fig. 5. Frequency distributions of the shell width(left) and weight(right) of Clithon retropictum collected in Sanyang River.
은 채집량을 보였다.
각폭 빈도분포는 3월과 8월까지 뚜렷한 다중모드(multimode) 형태가 보였으나, 9월과 10월에는 단일모드(unimode) 형 태로 변화한 모습을 보였다. 특히 6월부터 어린 개체가 가 입하기 시작하였으며, 8월에 많은 가입량을 보여주고 있 었다. 10월에는 어린 개체가 성장하여 기존의 연령군과 구별하기 어려웠다. 전 중량 빈도분포는 여러 연령군이 포 함되어 있는 다중모드가 계속적으로 보였다.
나. 연속적인 수온⋅염분 분석
수온⋅염분센서 반응과 조위센서를 이용하여 산양천과 우실천의 기수갈고둥의 적정 서식 높이(조위)를 추정하 였다(Figs. 6, 7). 기수갈고둥이 서식하는 산양천에서 최상 부는 해수면으로부터
0.95m이었으며,
최하부는 0.68m로28cm
수직적 범위를 보였다. 우실천은 평균 해수면으로부터0.90m에 서식 높이였다.
산양천 최상부에서 수온은 16.33~Fig. 6. Variations of tidal level from mean sea level, salinity, daily precipitation in Sanyang River.
20.42℃ 범위를 보였으며,
염분은 0.01~29.85psu 범위를 보였다. 최하부에서 수온은 14.56~29.47℃ 범위를 보였으 며, 염분은 0.15~29.26psu 범위를 보였다(Fig. 6). 우실천에 서 수온은 19.63~35.00℃ 범위를 보였으며, 염분은 0.00~29.45psu
범위를 보였다(Fig. 7). 또한 산양천 자료 분석에 서 대조시에 약 6일간 연속적으로 20psu 이상 높은 염분 을 유지하고 있었으며, 소조시 약 7일간 연속적으로 해수에 노출되지 않는 시기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산양천과 우실천에서 기수갈고둥의 서식지의 조위를 계 산하였다. 산양천 서식지의 조위는 평균해수면 기준 68~
96cm
범위를 보였으며, 우실천의 조위는 90cm에서 기수갈고둥이 서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10분 단위로 관측 된 조위자료를 이용하여 연속 해수노출 시간을 계산하였 다(Table 3). 산양천 최상부에서 연속적으로 담수에 노출
Fig. 7. Variations of tidal level form mean sea level, salinity, daily precipitation in Usil River.
Station Elevation from M.S.L.(cm)
Duration of Continuous Fresh Water Exposure Duration of Continuous Sea Water Exposure
day(d) hour(h) day(d) hour(h)
Sanyang River
(Upper) 96
AVG. 1.041 25.0 AVG. 0.094 2.25
MIN 0.007 0.17 MIN 0.007 0.17
MAX 7.750 186.0 MAX 0.167 4.00
Sanyang River
(Lower) 68
AVG. 0.454 10.88 AVG. 0.103 2.47
MIN 0.007 0.17 MIN 0.007 0.17
MAX 3.146 75.5 MAX 0.194 4.47
Usil River 90
AVG. 0.846 20.31 AVG. 0.104 2.50
MIN 0.007 0.17 MIN 0.007 0.17
MAX 6.73 161.5 MAX 0.186 4.50
Table 3. Tidal level and duration of continuous sea water and fresh water exposure at each station
된 시간은 평균 1.041d이었으며, 최소
0.007d,
최대 7.750d 계산되었으며, 최하부에서는 평균 0.454d이었으며, 최소0.007d,
최대3.146d
계산되어 최상부보다 노출 시간이 짧 았다. 우실천에서 연속적인 담수 노출시간은 평균 0.846d 이었으며, 최소 0.007d, 최대 6.73d로 계산되어 산양천 최 상부 아래에 위치하였다. 반대로 연속으로 해수에 노출시 간은 산양천 최상부에서 평균0.094d이었으며,
최소0.007d에서 최대 0.167d이었으며,
최하부에서 평균0.103d이었으며,
최소0.007d에서 최대 0.194d로 계산되
었다. 우실천에서 연속 해수 노출시간은 평균 0.104이었으 며, 최소 0.007d에서 최대0.186d으로 계산되었다.
결과적 으로 기수갈고둥이 서식하는 연속적으로 해수에 노출되 는 시간은 평균 0.103d (2.47h) 이상으로 시간으로는2시
간 28분에 해당되며, 최소10분,
최대4시간 28분
동안 해 수에 노출되는 곳에서 서식한다는 결과를 얻었다.고찰
미륵도 산양천에서 서식하는 기수갈고둥의 각고(shell
height),
각폭(shell width), 각구(aperture length) 간의 관 계식에서 평균 각고가20.78mm(전체 개체수)로 가장
컸 으며, 평균 각구가 17.15mm, 평균 각폭이16.35mm
순이 었다. 보통 각장(shell length)은 대상종의 가장 긴 거리 를 나타내었으나, 복족류의 경우, 각고(각정에서 가장 먼 거리인 수관부 끝)가 가장 긴 거리를 나타내어 혼용하여 쓰이고 있다. Hitomi and Keiji(2014)의 기수갈고둥 개체 군 구조 연구에서는 shell length(각고로 추정됨)으로 측 정하였으며, Kobayashi and Iwasaki(2002)는 shell width 를 측정하여 연구하였다. 기수갈고둥의 성체의 경우, 각 정 부분이 침식(corrosion)되는 많은 개체가 관찰되었다(Fig. 8).
각정 침식현상의 이유로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각정 부분을 측정하는 개체군 연구에 각폭보다 정확 성을 떨어뜨리고 있다. 각고-중량, 각폭-중량의 관계식
(Table 2)에서
결정계수 값은 각고-중량의 관계가 낮아각정 침식 현상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앞으로 개체군 구조 연구에서 각장을 각폭으로 사용하는 것이 각고보다 좋을 것이라 판단된다. 그리고 단점을 보완하
기 위해 각장으로 각구(aperture length)를 사용하였으나,
Table 1의 결과에서 보듯이 각고-각폭 관계보다 각폭-각
구의 결정계수 값이 낮았다. 각구는 “복족류에서 패각 속 의 머리와 발이 나오고 들어가는 입구”로 정의(Min etal, 2004)되어 있으나, 입구의 형태가 부정확하여 정밀하
게 측정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각폭과 중량 간의 관계는 높은 결정계수 값(0.91)을 보여 좋은 접합도를 나타내었다. 기울기는(c)는
3월 가장
높았으며, 5월에는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Table 2, Fig.4). 6월부터 다시
회복하는 경향을 보였다. 패류 연구에서각장과 중량간의관계는 산란시기를 유추할 수 있다. 5월 과 6월에 낮은 기울기를 보여 주요 산란 시기로 추정된다.
일본 오사카 하구에서는
6월을 주 산란시기로 보고하였
으며(Hitomi and Keiji, 2014), 일본 후쿠오카에서 생식선 발달과정 관찰로 4월에서7월을 산란 시기로 보았다 (Kobayashi and Iwasaki 2002).
우리나라에서는 4월에서8
월을 산란시기로 보고하고 있어 본 연구와 거의 비슷한 시기를 나타내었다(Han 2021).각폭과 중량의 빈도분포 자료(Fig. 4)에서
2017년 6월
부터 새로운 가입 개체가 출현하기 시작하여8월에 11mm
정도 크기의 새로운 개체군이 가입되었다. 10월에는 새 로운 가입 개체가 성장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9월 조 사는 큰 폭우로 하천 유량이 많았으며, 빠른 유속으로 많은 기수갈고둥을 관찰되지 않았다. 일본 오사카 하구에 서는9mm
크기의 어린 개체가6월에 발견되어(Hitomi and Keiji 2014),
본 연구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새로Fig. 8. Clithon retropictum with corroded apex
가입된 개체군의 특성은
Kobayashi and Iwasaki(2002)
의 연구에서 잘 보여주고 있다. 후쿠오카 하천에서 그 해 부화된 2mm 크기의 어린 개체가10월부터 나타나기 시
작하여 성장하여 다음 해 6월에 평균6mm까지 성장하
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Salgo 강 하구에서 상류로500m
거리 위치한 정점(Site 4)에서 많은 어린 개체가 발생하는 양상도 볼 수 있다. Kobayashi and Iwasaki(2002) 의 연구 결과를 미루어 보면, 본 연구의
8월부터 나타난
11mm
크기(각폭)의 어린 개체는 작년에 부화된 새로운개체군이 가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염분 센서를 이용하여 35일 동안 기수갈고둥 서식지 의 염분 변동을 살펴보았다(Figs. 6, 7). 본 모니터링에서 기수갈고둥의 염분에 대한 적응정도를 알 수 있었다. 소 조 시(neap tide) 7일 동안 낮은 염분 값을 보였고, 대조 시(spring tide) 6일간 동안 20psu 이상 높은 염분을 유지 하고, 22일 동안에는 하루에 두 번씩 급격한 염분변화를 받고 있다. 기수갈고둥은 광염성 생물로 하구종(estuarine
species)보다 적응할 수 있는 염분 변화 폭(5.0~18.0psu)이
더욱 크다. 보통 이런 변화 폭에 서식하는 종은 극히 일부 이며,
생물다양성이 아주 낮은 것이 특징이다(Remane 1934).하구 서식지 저서동물은 이러한 열악한 환경조건을 극 복하기 위한 적응기작을 가지고 있다. 종이 환경에 대한 고유한 적응정도에 따라 분포대가 형성된다(Swinbanks
and Murray 1981).
염분센서 반응과 조위센서를 이용하여 산양천과 우실천의 기수갈고둥의 적정 서식 높이(조 위)를 구하였다. 산양천 서식 범위는 최상부 평균 해수면 으로부터
0.95m이었고,
최하부는 0.68m로 28cm 범위에 서 서식하고 있었다. 우실천에서는 평균해수면으로부터0.90m
높이로 산양천 범위안에 속하였다. 기수갈고둥의서식 높이 결정은 해수의 노출 또는 침수의 시간과 관련 성이 있다. 두 서식지의 직접적인 비교를 위하여 높이를 해수에 노출되는 시간을 계산하였다. 연속적으로 해수에 노출되는 시간은 산양천에서 평균 2.47시간이었으며, 우 실천에서는 평균 2.50시간으로 거의 같았다. 이러한 연 구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자료가 쌓이면, 우리나라 기수갈고둥 서식지를 복원할 때 유용한 핵심 정보로 활 용될 것이라 기대된다.
참고문헌
Han Seungpil. 2021. Studies on Distribution and Ecology of Clithon retropictus(Martens, 1879) in South Korea.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23(4): 317-326.
Hitomi M., Keiji W. 2014. Spatial distribution in relation to life history in the neritid gastropod Clithon retropictus in the Kanzaki River Estuary, Osaka, Japan. Plankton &
Benthos Research. 9(4): 207-216.
Horne, A, J.,C.R. Goldman. 1994. Limnology (2nd edition).
p. 576. McGraw-Hill, New York, etc.
Jeong J.Y., Sang K.S., Park J.E., Song D.K., Hong C., Kim Y.T., Sin H.J., Hwang H.J., Jung S., Park S.Y., Kang S.W., Lee J.S., Han Y.S., Park H.S., Lee Y.S., Kim W.
2021. Molecular Phylogenetic Study of Clithon retro- pictus using metallothionein gene. Korean J. Malacol.
37(2): 69-74.
Kobayashi, S., Iwasaki, K. 2002. Distribution and Spatio-tem- poral Variation in the Population Structure of the Fluvial Neritid Gastropod Clithon retropictus. Benthos Research.
57(2): 91-101.
Kumazawa N, Iwao K., Ikura K., Kawasaki Y., Mitani M., 1991. Salinity preference of three neritid gastropods(In Japanese). Venus. 50: 61-67.
Lee S.D., Kim M. J., Kim J.S. 2018. Ecological Characteristic of Clithon retropictus inhabitating in Yeoncho River in Southern Coastal Area. Journal Environment Ecology.
32(6): 591-602. (in Korean).
Min Duk-ki, Jun-Sang Lee, Dong-Bum Koh and Jong-Geel Je. 2004. Molluks in Korea. p. 566. Min Molluscan Research Institute. (in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2018. Comprehensive plan for con- servation of endangered wildlife 2018~2027. p. 227.
Nishiwaki S, Hirata T, Ueda H, Tsuchiya Y, Sato T. 1991.
Egglaying season and monthly change in egg capsule production of Clithon retropictus (Prosobranchia : Neritidae) in the Naka River of Izu Peninsula. Venus. 50: 197-201.
(in Japanese).
Noseworthy, R. G., Lee, H. J., Choi, K. S., 2013. The occur- rence of Clithon retropictus (v. Martens, 1879) (Gastropoda:
Neritidae) in an unusual habitat, northern Jeju Island, Republic of Korea. Ocean Science Journal. 48(3): 259- 262.
Noseworthy, R. G., Mondol, M. R., Ju, S. J., Choi, K. S., 2012. The occurrence of Clithon retropictus (von Martens in Kobelt, 1879, Gastropoda: Neritidae) in Jeju Island, Republic of Korea.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28(2): 81-90.
Remane A. 1934. Die Brackwasserfauna. Zool Anz. 7(Suppl):
34-74.
Shigemiya Y., Kato M. 2001. Age distribution, growth, and lifetime copulation frequency of a freshwater snail, Clithon retropictus(Neritidae). Population Ecology. 43(2):
133-140.
Swinbanks, D.D. and J.W. Murray. 1981. Biosedimentological zonation of Boundary Bay tidal flats, Fraser river delta.
British Columbia, Sedimentolgy. 28: 201-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