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IVET Issue Brief
발행인 류장수 | 발행일 2022년 5월 17일 | 발행처 한국직업능력연구원
특성화고 학교, 학생, 교원 수 변화 동향 분석
-
- 특성화고는-2021년-기준-464개교가-운영되고-있으며,-2011년과-비교하였을-때-전체-특성화고-수의-변화- 폭은-크지-않으나-학령인구-감소로-인해-소규모-특성화고-수가-2011년-27개교에서-2021년-80개교로-큰- 폭으로-증가함.
-
- 특성화고-학생-수는-2011년-337,499명이었으나-2021년-196,067명으로-최근-10여-년간-약-41.9%-감소하였으며,- 전체-고교생-수에-비해-특성화고-학생-수-감소가-더-큰-폭으로-나타나고-있음.
-
- 특성화고-입학생-충원률은-2011년-98.5%에서-2021년-89.4%로-9.1%p-감소하였으며,-졸업생-중-무직자-및- 미상(기타)의-비율은-2020년-28.1%로-가장-높게-나타남.-
-
- 특성화고-학생-수-감소와-함께-교원-수도-감소-추세를-보이고-있으며,-지난-10여년-간-공립과-사립-특성화고- 모두-기간제-교원-비율이-높아짐.
2022
233
호I 주 I
이글은‘김종우외(2021). 『미래 환경변화에따른특성화고등학교 혁신역량진단및개선방안』, 한국직업능력연구원’에서발췌, 재정리함.
01 분석의 필요성 및 분석 자료
| 학령인구 감소, 산업구조의 변화 등 특성화고를 둘러싼 환경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어 특성화고가 처한 상황을 종합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음.
특성화고는 「초·중등교육법 시행령(시행 2021. 6. 23.)」 제76조의3 및 제91조에 따라 “특정 분야의 인재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을 전문적으로 실시하는 고등학교를 의미함.
- 2010년에 발표된 ‘고교 직업교육 선진화 방안’에 따라 직업계고는 크게 마이스터고, 특성화고, 일반고(직업 계열)로 유형이 구분됨.
- 이 중 특성화고는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면서 중등단계 직업교육의 주축을 담당하고 있음.
개편된 고교 유형을 적용하여 2011년부터 교육통계가 집계되고 있어, 10년간 축적된 자료를 토대로 특성화고의 변화 동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볼 필요가 있음.
| 분석 자료: 교육부·한국교육개발원, 「유·초·중등 교육통계 학교별 주요 현황(2011~2021)」
분석 대상: 2011~2021년 교육통계 중 직업계열 특성화고만 추출하여 분석함.
-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제91조에서 직업계열과 대안계열 특성화고를 함께 정의함에 따라 교육통계에서 고등학교 유형을 특성화고로 선택할 경우 두 계열에 해당되는 학교들이 모두 포함됨.
- 이에 특성화고 중 학교 세부 유형에서 ‘대안학교’를 제외하고 직업계열에 해당하는 학교만 분석함.
자료 기준: 해당 데이터는 매년 4월 1일을 기준으로 수집된 것이며, 입학생 수는 해당연도 3월 입학자, 졸업생 수는 해당연도 2월 졸업자 통계임.
KRIVET Issue Brief
02 특성화고 변화 추이
| 2021년 기준 특성화고는 464개교가 운영되고 있으며, 학령인구의 감소로 최근 들어 소규모 특성화고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음.
특성화고 수는 2021년 464개로 2011년 476개교에 비해서는 12개교가 줄어듦.
- 기존 일반고(직업계열)의 특성화고로의 유형 전환, 혹은 특성화고에서 마이스터고의 전환, 일부 학교의 폐교 등에 따라 특성화고 수의 변동이 있었음.
- 2021년 기준으로 공립 특성화고는 263개(56.7%), 사립 특성화고는 201개(43.3%)로 공립이 다소 많음.
<표 1> 설립 유형별 특성화고 수
(단위: 개교, %)
구분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전체 476 475 470 475 473 472 466 464 463 464 464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공립 279 280 274 275 273 273 268 267 265 263 263 (58.6) (58.9) (58.3) (57.9) (57.7) (57.8) (57.5) (57.5) (57.2) (56.7) (56.7) 사립 197 195 196 200 200 199 198 197 198 201 201 (41.4) (41.1) (41.7) (42.1) (42.3) (42.2) (42.5) (42.5) (42.8) (43.3) (43.3)
폐교 수 - 1 3 2 1 - 3 1 3 - -
특성화고가 위치한 지역 유형별로 살펴보면, 시 지역(특별시, 광역시 포함)에 위치한 학교는 2021년 기준 306 개교로 전체 464개 중 65.9%를 차지함.
- 시 지역을 제외하면 읍 지역보다 면 지역에 위치한 특성화고가 더 많으며, 특수 지역1)에 속한 특성화고도 해마다 10개 내외의 규모를 보이고 있음.
[그림 1] 지역 유형별 특성화고 수
학령인구 감소로 인해 소규모 특성화고 수도 점차 늘어나 2021년 기준 총 80개교에 달함.
[그림 2] 소규모 특성화고 수 및 비율 I 각주 I
1) ‘도서·벽지교육진흥법시행규칙 별표’에따라해당되는지역 I 주 I
전체특성화고수에서폐교는 제외함.
I 주 I
1) 소규모특성화고수는교육부 (2015.12.31.)에서발표한‘적 정규모학교육성권고기준’에 따라시지역은학생수 300명 이하학교, 읍지역은학생수 180명이하학교, 면지역및 특수지역은학생수 60명이하 학교수를합한값임. 2) 비율은<표 1>의연도별전체특
성화고수대비소규모특성화고 수비율임.
학교수 비율 시지역 읍지역 면지역 특수지역
550 500 450 400 350 300 250 200 150 100 50
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개교)
(66.6%)317 (15.3%)73 (16.4%)78 (1.7%)8
(66.3%)315 (14.7%)70 (17.3%)82 (1.7%)8
(66.0%)310 (15.1%)71 (17.0%)80 (1.9%)9
(65.7%)312 (14.3%)68 (17.9%)85 (2.1%)10
(65.5%)310 (14.6%)69 (17.8%)84 (2.1%)10
(65.3%)308 (14.2%)67 (18.0%)85 (2.5%)12
(65.7%)306 (14.2%)66 (17.8%)83 (2.4%)11
(65.7%)305 (14.0%)65 (17.9%)83 (2.4%)11
(66.3%)307 (14.3%)66 (17.1%)79 (2.4%)11
(66.2%)307 (14.4%)67 (17.2%)80 (2.2%)10
(65.9%)306 (14.9%)69 (17.0%)79 (2.2%)10
100 90 80 70 60 50 40 30 20 10 0
20.0 18.0 16.0 14.0 12.0 8.0 6.0 4.0 2.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0.0
27 5.7
25 5.3
21 4.5
22 4.6
24
5.1 32
6.8 35
7.5 48
10.3 58
12.5 75
16.2 80 17.2
(개교) (%)
2022. 5. 17
I 주 I
충원율 = 입학자÷입학정원
I 주 I
1) 진학률및입대자, 무직자및미상 비율은전체졸업생대비비율을 뜻함.
2) 취업률은취업자÷ (졸업자-(진 학자+입대자))로산출하였으며, 2020년부터는고용, 건강보험 등공공 DB와연동하여직업계 고졸업자취업통계가별도로공 표되고있어, 교육통계자료와 다소차이가있을수있음. 3) 2011~2019년에는‘무직자및
미상’으로집계되었으며 2020~
2021년에는‘기타’로집계됨.
03 특성화고 학생 변화 추이
| 특성화고 학생 수, 입학정원, 입학자, 졸업생 수는 최근 10여년 간 계속해서 감소하고 있음.
특성화고 학생 수는 2011년 337,499명이었으나 2021년 196,067명으로 최근 10여 년간 약 41.9% 감소함.
- 반면 전체 고교생 수는 1,943,798명에서 1,299,965명으로 약 33.5%가 감소하여 전체 고교생 수에 비해 특성화고 학생 수 감소가 더 큰 폭으로 나타남.
학급 당 학생 수는 2011년 28.6명이었으나 2021년 18.9명으로 9.7명 감소함.
<표 2> 특성화고 학생 수
(단위: 명, %, 개)
연도 특성화고
학생 수(A) 전체
고교생 수(B) 특성화고
학생 비율(A/B) 특성화고
학급 수(C) 특성화고 학급 당 학생 수(A/C)
2011 337,499 1,943,798 17.4 11,798 28.6
2012 327,908 1,920,087 17.1 11,656 28.1
2013 317,445 1,893,303 16.8 11,473 27.7
2014 310,599 1,839,372 16.9 11,505 27.0
2015 299,223 1,788,266 16.7 11,288 26.5
2016 287,772 1,752,457 16.4 11,142 25.8
2017 271,446 1,669,669 16.3 10,932 24.8
2018 249,430 1,538,576 16.2 10,780 23.1
2019 227,331 1,411,027 16.1 10,628 21.4
2020 209,574 1,337,312 15.7 10,568 19.8
2021 196,067 1,299,965 15.1 10,351 18.9
특성화고 입학정원은 2011년 119,225명이었으나 2021년 69,663명으로 41.6% 감소하였으며, 충원율은 98.5%에서 89.4%로 9.1%p 감소함.
- 특히 신입생 충원율은 2017년에서 2018년 사이 가장 큰 폭으로 하락하였으며, 2021년에는 처음으로 90%
이하를 보임.
<표 3> 특성화고 입학생 현황
(단위: 명, %)
구분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입학정원 119,225 113,331 107,400 105,605 101,102 98,716 91,582 85,050 81,197 76,338 69,663
입학자 117,468 111,371 107,317 104,086 99,203 97,312 88,228 77,534 74,732 69,528 62,299 충원율 98.5 98.3 99.9 98.6 98.1 98.6 96.3 91.2 92.0 91.1 89.4
특성화고 졸업생 수는 2011년 113,896명이었으나 2021년 69,905명으로 38.6% 감소함.
- 진학률은 2011년 60.9%로 가장 높았으나 점차 감소하여 2017년 32.4%까지 하락하였으며, 2018년부터 다시 상승하기 시작하여 2021년에는 47.4%가 됨.
- 무직자 및 미상의 비율이 2011년 이후 2020년까지 계속해서 증가하였는데, 특히 2020년에 28.1%로 가장 높게 나타남. 이는 코로나19 발병 초기인 2020년 2월에 졸업한 학생들이 졸업 후 진로를 정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음을 보여줌.
- 또한 최근 2년 사이에 졸업자 중 입대자 수가 큰 폭으로 증가한 것도 주요 특징 중 하나로 보임.
<표 4> 특성화고 졸업자 현황
(단위: 명, %)
구분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졸업자 113,896 107,885 104,708 105,612 100,941 100,337 95,131 90,921 89,146 80,253 69,905 진학자 69,358 53,781 43,338 39,668 36,028 34,778 30,839 32,372 37,642 35,703 33,164 (60.9) (49.9) (41.4) (37.6) (35.7) (34.7) (32.4) (35.6) (42.2) (44.5) (47.4) 취업자 29,729 41,694 42,768 47,519 46,760 46,716 47,946 37,954 27,865 20,854 18,474 (68.5) (78.2) (70.3) (72.5) (72.4) (71.7) (75.1) (65.4) (54.8) (48.1) (52.1)
입대자 1,138 776 538 444 347 420 425 484 693 1,181 1,294
(1.0) (0.7) (0.5) (0.4) (0.3) (0.4) (0.4) (0.5) (0.8) (1.5) (1.9) 무직자및
미상(기타) 13,671 11,634 18,064 17,981 17,806 18,423 15,921 20,111 22,946 22,515 16,973 (12.0) (10.8) (17.3) (17.0) (17.6) (18.4) (16.7) (22.1) (25.7) (28.1) (24.3)
| 세종특별자치시 시청대로 370 세종국책연구단지 사회정책동 | 전화 : 044-415-5000/5100 | www.krivet.re.kr |
|
KRIVET Issue Brief
04 특성화고 교원 변화 추이
| 특성화고 교원은 공립과 사립 모두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사립 특성화고의 기간제 교원 비율이 공립 특성화고에 비해 높게 나타나고 있음.
특성화고 교원은 2021년 기준 공립 학교가 13,529명, 사립 학교가 10,791명임.
특성화고 교원 1인당 학생 수는 2011년 12.5명에서 2021년 8.1명으로 4.4명 감소함.
<표 5> 특성화고 교원 현황
(단위: 명, %)
구분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공립 15,381 15,349 14,942 14,971 14,763 14,649 14.406 14,298 14,092 13,865 13,529 사립 11,558 11,511 11,386 11,527 11,375 11,205 10,999 10,830 10,795 10,844 10,791 교원 1인당 학생 수 12.5 12.2 12.1 11.7 11.4 11.1 10.7 9.9 9.1 8.5 8.1
지난 10여년 간 공립과 사립 특성화고 모두 기간제 교원 비율이 높아졌으며, 특히 사립 특성화고의 기간제 교원 비율이 공립에 비해 크게 증가함.
- 공립 특성화고는 2011년 정규 교원이 89.3%, 기간제 교원이 10.7%였으나 2021년에는 정규 교원이 84.5%, 기간제 교원이 15.5%로 기간제 교원 비율이 4.8%p 증가함.
- 사립 특성화고는 2011년 정규 교원이 88.4%, 기간제 교원이 11.6%로 공립과 비슷한 비율이었으나, 2021년에 는 정규 교원이 67.2%, 기간제 교원이 32.8%로 기간제 교원 비율이 21.2%p 증가함.
[그림 3] 특성화고 정규 교원 및 기간제 교원 비율
05 시사점
지난 10여 년간 특성화고 수 자체의 감소는 크지 않았지만, 학생 수가 감소하면서 소규모 특성화고가 늘어나고 있음.
- 2021년 기준 전체 특성화고의 34.1%가 읍·면 지역과 특수 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향후 지속적으로 입학생 모집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됨.
- 소규모 특성화고의 운영 방안을 탐색하고, 더 나아가 지역사회에서 특성화고의 역할과 기능에 대해 새로운 모델 발굴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학생 수 감소로 인해 교원 수도 함께 감소하고 있으며, 특히 사립 특성화고를 중심으로 정규 교원보다 기간제 교원 비율이 증가하고 있음.
- 산업구조 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고, 내실 있는 교육과정 운영이 그 어느 때보다 요구되는 시점이나, 고용 형태가 불안정한 기간제 교원이 증가할수록 특성화고의 대응 역량이 취약해질 수 있음.
김 종 우(한국직업능력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김 남 희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부연구위원) I 주 I
교원 1인당학생수 = (정규교원 + 기간제교원) ÷특성화고학생수
정규교원 기간제교원
10.7 11.4 12.4 12.8 13.7 12.8 12.6 12.8 14.0 15.1 15.5
89.3 88.6 87.6 87.2 86.3 87.2 87.4 87.2 86.0 84.9 84.5 100
80 60 40 20
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
공립
11.6 13.4 14.8 16.0 18.8 20.5 21.5 23.3 27.1 30.1 32.8
88.4 86.6 85.2 84.0 81.2 79.5 78.5 76.7 72.9 69.9 67.2 100
80 60 40 20
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
사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