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2018학년도 제2회 재정위원회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2018학년도 제2회 재정위원회"

Copied!
15
0
0

Teks penuh

(1)

재 정 위 원 회 회 의 자 료

2018학년도 제2회 재정위원회

1. 일 시: 2018. 8. 10.(금) 11:00 2. 장 소: 대학본부 2층 회의실 3. 안 건

◆ 제1호: 재정 및 회계 운영에 관한 규정 일부 개정(안) ◆ 제2호: 2018회계년도 대학회계 제2차 추가경정예산(안)

2018. 8.

사 무 국 ( 재 무 팀 )

(2)

재정 및 회계 운영에 관한 규정 일부 개정(안)

Ⅰ 추진 배경

m 「국립대학의 회계 설치 및 재정 운영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일부 개정 (2018. 3. 2.)에 따른 개정 내용 반영

m 2018 대학기본역량진단 평가에 따라 대학 규정 재정비 및 체계화 필요

Ⅱ 주요 개정 사항

m 일반직위원임기 : ‘2년’, ‘1회 연임가능‘을 ’1년‘, ’1회 연임가능‘으로(상위법 준수) m 일반직위원 임기 만료 30일전 위촉 의뢰

m 대학 발전 기여자와 전문가의 추천 분리 (상위법 준수) m 위원 중 교원의 수가 과반을 넘지 않도록 조정 (현재, 8/15) m 당연직 위원 1명 감축, 일반직 위원 1명 증가

m 회의개최의 공개, 회의 운영의 공개, 회의록 등 결과 공개 방법의 명시 m 기타, 위원회의 개의, 의결 등 기본 운영 방법 등 추가

※ page8 <붙임1> 상세 개정내용 및 신구대조표

Ⅲ 추진 경과

m 규정 개정을 위한 기초안 마련(2. 23.) m 규정 개정(안) 의견수렴(2. 26. ~ 3. 23.) m 규정 개정(안) 수립(4. 9.)

m 예산조정위원회 심의 통과(8. 8.)

제1호 안건

(3)

2018회계연도 제2차 추가경정예산[안]

Ⅰ 추진 배경

m 2018년 국립대학 육성사업 지원액

*

및 추가 배정된 국가지원금·신규 수입대체경비 등

**

을 추가경정예산으로 대학회계 내 편입

*

국립대학 육성사업 지원액 금897,655천원

** (

국가지원금) 금32,272,090천원 (자체수입금) 수입대체경비 금214,456천원, 보조금 금12,996천원

m 2018년 예산집행 기본지침에 맞추어 e-Navi 핵심인재양성사업단 예산 비목 조정 등 각 부서의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한 예산 이용 및 조정

Ⅱ 대학회계 추가경정 예산 편성

1. 세입·세출총괄표

구분 본예산 1차 추경 2차 추경 예산현액 비고

세입

국가지원금 101,199,585 1,819,435 32,272,090 135,291,110 자체수입금 16,246,794 △1,698,671 227,452 14,775,575 정부재정지원사업 864,500 △143,799 897,655 1,618,356 합 계 118,310,879 △23,035 33,397,197 151,685,041

세출

국가지원금 101,199,585 1,819,435 32,272,090 135,291,110 자체수입금 16,246,794 △1,698,671 227,452 14,775,575 정부재정지원사업 864,500 △143,799 897,655 1,618,356 합 계 118,310,879 △23,035 33,397,197 151,685,041

(단위: 천원)

제2호 안건

(4)

2. 성립 전 예산 편성 내역

가. 편성근거: 「국립대학 회계법 시행규칙」 제18조 제2항

나. 용도가 지정되고 소요액이 교부된 경비 및 수입대체경비 중 추가경정 예산편성 전 시급히 집행이 필요한 경비를 성립 전 예산 편성 및 집행

<성 립 전 예 산 편 성 표>

3. 주요 편성 내용

가. 국가지원금 실험실 안전환경기반조성사업 4,090천원, 내진보강 사업 150백만원 배정 및 교육부 목적예비비로 국립대학 노후선박 건조사업의 선박건조 30,118백 만 원 , 부두시설 2,000백만원 추가 배정

나. 수입대체경비 1차 한국어연수반 운영 213,440천원, 전남과학축전행사에 따라 교직원식당 운영사업 1,016천원 추가 편성, 보조금 조교연구성과금 12,996천원 교부 다. 2018년 국립대학 육성사업 배정액 897,655천원 대학회계 편입

<주 요 편 성 내 역 표>

구분 세부사업 내역 예산액 집행액 잔액 비고

국가지원금 실험실 안전환경 기반조성 4,090,000 4,090,000 0

자체수입금

전남과학축전 행사 1,016,000 1,015,990 10 신규 수입대체경비 중 일부 편성 한국어 연수반 운영 169,494,000 48,567,040 120,926,960

조교 연구성과금 12,996,000 8,442,990 4,553,010 보조금 배정 소 계 187,596,000 62,116,020 125,479,980

(단위: 원)

구분 사업명 세입 예산 세출 예산

세목 예산액 세목 예산액

국가지원금

실험실 안전환경

기반조성 경상적 경비 4,090,000 자산취득비 4,090,000

내진보강 시설확충비 150,000,000 시설비 150,000,000

<단위: 원>

(5)

*

page10 <붙임2> 한국어 연수반 운영 세입·세출 예산(안)

**

page12 <붙임3> 국립대학 육성사업 세부 편성 내역

Ⅲ 대학회계 세출예산 편성 조정 및 이용

m 사고이월된 자체수입금 계정 마스터플랜 및 영향평가 용역사업 중 교통영향 평가 용역 계약(94,491천원)을 2018년도 국가지원금 계정 예산으로 대체

→ 계정대체에 따라 발생한 추가세계잉여금으로 올해 예산 부족분 확보

<자체수입금 계정 예산변동표>

선박건조 시설확충비 30,118,000,000 시설비 30,000,000,000 시설부대비 118,000,000 부두시설 시설확충비 2,000,000,000 시설비 1,999,000,000 시설부대비 1,000,000

소계 32,272,090,000 32,272,090,000

자체수입금

교직원 식당 운영

(전남과학축전 급식) 생활관 사용료 수입 1,016,000

기타직보수 112,950

급식비 903,050

조교연구성과금 경상적 경비 12,996,000 보수 12,996,000

한국어 연수반 운영 세부 사업계획서

별첨* 213,440,000 세부 사업계획서

별첨 213,440,000

소계 227,452,000 227,452,000

재정지원사업 국립대학 육성사업 지원금 897,655,000 세부 편성내역

별첨** 897,655,000

합계 33,397,197,000 33,397,197,000

구분 사업명 사업 내역 기정액 변경액 예산현액 비고

사고이월 친해양 캠퍼스 마스터 플랜 수립 추진

마스터 플랜 및 각종

영향평가 용역 18 0,5 30,540 △94,491,000 86,039,540

‘18년 사업 자체시설확충비 마스터플랜 및 각종

영향평가 용역 60,000,000 94,491,000 154,491,000

(단위: 원)

(6)

m 각 예산부서의 원활한 업무 추진을 위해 자체수입금 예산 사업 및 예산과목 변경(이용)

<자체수입금 예산 이용요구 현황>

m 국립대학 예산집행지침 준수 및 원활한 예산집행을 위해 기존 편성된 대학특성화사업 예산 과목 변경(이용)

<특성화 사업 예산과목 변경요구 현황>

연번 예산부서 사업항목 구분 목 세목 예산액 비고

1 기획처

[대학부분]

글로벌인재양성 외국어 교육프로그램

변경 전 인건비 기타직보수

14,400

강사료 세목 정정 변경 후 운영비 일반수용비

2 e-Nav.사업단 e-Nav. 어학아카데미 변경 전 인건비 기타직보수

3,000 변경 후 운영비 일반수용비

3 e-Nav.사업단 해양리더십강좌

변경 전 인건비 기타직보수

3,000 변경 후 운영비 일반수용비

4 e-Nav.사업단 평가위원회 수당

변경 전 인건비 기타직수당

1,250 변경 후 운영비 일반수용비

5 e-Nav.사업단 해양산업체현장실습 인턴십 변경 전 여비 국내여비

10,000 학생활동 변경 후 보전금 장학금 지원

(단위 : 천원)

연번 부서명 사업명 목 예산

변경사유 비고

현액 조정액 변경

1

실습선 현장실습지원 업무추진비 8,000 4,800 12,800 2학기 국제항해 리셉션 행사경비 총무과 기관공통운영 운영비 1,427,348 △ 4,800 1,422,548 지원

2 취업실습 본부

자체시설확충

업무추진비

0 1,500 1,500

실습선 신조 관련 업무추진비 마련 취업 및 창업지원 9,300 △ 1,500 7,800

(단위 : 천원)

(7)

Ⅲ 대학회계 세출예산 전용 및 예비비 사용 현황

1. 예산 전용 현황

연번 부서명 사업명 목 예산

변경사유 변경일자

현액 조정액 변경

1 취업실습

본부

교 원 역 량 강 화

여비 7,800 △1,600 6,200 예산과목 오류

정정 2018-05-08

운영비 0 1,600 1,600

2 취업실습

본부

직 원 역 량 강 화

여비 12,200 △3,400 8,800 예산과목 오류

정정 2018-05-08

운영비 0 3,400 3,400

3 실습선 현장실습지원

업무추진비 8,000 △3,200 4,800 예산과목 오류

정정 2018-05-08 운영비 6,000 3,200 2,800

4 기숙사 기숙사운영

지원

운영비 164,840 1,100 165,940 예산과목 오류

정정 2018-05-18 여비 1,700 △1,100 600

5 취업실습

본부 현장실습지원

운영비 48,621 290 48,911 실습생 추모석 제작을 위해 예산

과목 정정

2018-06-14 업무추진비 4,300 450 4,750

예비비 및 기타 2,000 △740 1,260

6 입학학생처 학생모집

운영비 19,380 1,800 21,180 광주전남지역 입시설명회 참가비

부족분 충당

2018-06-14 업무추진비 17,300 △1,000 16,300

보전금 11,060 △800 10,260

7 취업실습

본부

특색교육과정 운영

보전금 0 1,600 1,600 선박친숙훈련

도우미 수당 지급을 위해 예산 전용

2018-07-12 운영비 27,720 △1,600 26,120

8 입학학생처 후생복지지원

운영비 361,800 40,000 401,800 2학기 통학버스 운행 및 신축학생회관 운영

비품 구매

2018-07-18 유형자산 60,000 △20,000 40,000

예비비 및 기타 26,160 △20,000 6,160 9 국제교류본부 유학생 유치

및 지원

여비 0 2,660 2,660 외국대학과

교류협력을 위한 여비 마련

2018-08-02 운영비 18,700 △2,660 16,040

10 승선생활관 학생활동지원

운영비 3,600 7,680 11,280 예산과목 오류

정정 2018-08-02 여비 7,680 △7,680 0

11 총무과 직원역량강화

여비 122,000 3,000 125,000 직원 단기 연수 지원을 위해 불용사업 예산 전용

2018-08-02 보전금 3,000 △3,000 0

(단위: 천원)

(8)

2. 예비비 사용 현황

연번 부서명 사업명 관

예산

변경사유 변경일자

현액 조정액(

증감) 변경

1 총무과

직원역량강화 운영비 43,100 16,851 59,951 직원 하계연수 및 교무위원 워크숍

지원 경비

2018-06-26 예비비 예비비 및 기타 30,000 △16,851 13,149

2 취업실습 본부

현장실습지원 운영비 48,911 914 49,825 실습생 안전의식 제고를 위한 비석

설치

2018-07-05 예비비 예비비 및 기타 13,149 △914 12,235

3 총무과

직원역량강화 운영비 59,951 9,240 69,191 교원 하계연수 지원

경비 2018-07-18 예비비 예비비 및 기타 12,235 △9,240 2,995

(단위: 천원)

(9)

붙임 1 재정 및 회계 운영에 관한 규정 일부개정규정(안)

목포해양대학교 재정 및 회계 운영에 관한 규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4조제2항 중 “총 7명”를 “총 6명”으로, “교무처장, 입학학생처장, 기획처장, 사무국장, 취 업실습본부장, 해사대학장, 해양공과대학장”을 “교무처장, 입학학생처장, 기획처장, 사 무국장, 해사대학장, 해양공과대학장” 으로 하고, 같은 조 제3항을 다음과 같이 한다.

③ 일반직위원은 총 9명으로 하며 교원 2명, 직원 2명, 재학생 2명, 대학의 발전에 기여한 사람 2명, 학교경영에 필요한 전문성과 경험이 있는 사람 1명으로 구성한다.

제5조 제목 외의 부분을 제1항으로 하고, 제1항 본문 중 “총장이 임명 또는 위촉한다”

를 “임기만료 30일전에 총장이 임명 또는 위촉한다”로 하고, 같은 조에 제2항을 다음 과 같이 신설한다.

② 일반직위원 구성과 위원회 운영을 위하여 매년 세부추진계획을 수립하되, 추진일정 등을 반드시 포함한다.

제6조제1항 중 “2년으로”를 “1년으로”로 한다.

제7조의2 및 제7조의3를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제7조의2(회의) ① 위원장은 위원회 회의를 소집하고, 그 의장이 된다.

② 위원회의 회의는 재적위원 과반수의 출석으로 개의하고 출석위원 과반수 찬성으로 의결한다.

제7조의3(회의 운영 등의 공개) ① 위원장은 회의를 개최할 때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명시하여 회의일 10일 전까지 위원에게 통보하여 회의를 소집하고, 홈페이지 등을 통하여 공개한다.

1. 회의 일시 및 장소 2. 회의 목적과 안건

3. 그 밖에 필요한 사항

② 위원장은 회의 운영에 대하여 참관, 녹화 등을 통하여 공개한다.

③ 위원장은 회의 일시, 장소, 발언요지, 결정사항, 참석자 등이 기록된 회의록을 작성․보존하 고, 이를 회의 개최 다음날부터 10일 이내에 대학 홈페이지 등을 통하여 공개하여야 한다.

④ 제2항과 제3항에도 불구하고 개인 사생활을 현저히 침해할 우려가 있다고 인정되는 사항 등에 대하여는 위원회의 의결로 내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공개하지 아니할 수 있다.

부칙(제000호, 2018. 00. 00.) (시행일) 이 규정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10)

신ㆍ구조문대비표

현행 개정(안)

제4조(재정위원회의 구성)

① (생략)

② 당연직위원은 총 7명으로 하며 교무처장, 입학학생 처장, 기획처장, 사무국장, 취업실습본부장, 해사대 학장, 해양공과대학장으로 구성한다.<개정 2016.1 0.24.>

③ 일반직위원은 총 8명으로 하며 교원 2명, 직원 2 명, 재학생 2명, 대학의 발전에 기여한 사람 또는 그 밖에 학교경영에 필요한 전문성과 경험이 있는 사람 2명으로 구성한다.

④ ~ ⑤ (생략)

제4조(재정위원회의 구성)

① (현행과 같음)

② 당연직위원은 총 6명으로 하며 교무처장, 입학학생 처장, 기획처장, 사무국장, 해사대학장, 해양공과대 학장으로 구성한다.<개정 2016.10.24.>

③ 일반직위원은 총 9명으로 하며 교원 2명, 직원 2 명, 재학생 2명, 대학의 발전에 기여한 사람 2명, 학교경영에 필요한 전문성과 경험이 있는 사람 1명 으로 구성한다.

④ ~ ⑤ (현행과 같음) 제5조(일반직위원의 추천 절차)

일반직위원은 다음 각 호의 추천 절차에 따라 총장이 임명 또는 위촉한다.

1. ~5. (생략) ② (신설)

제5조(일반직위원의 추천 절차)

① 일반직위원은 다음 각 호의 추천 절차에 따라 임기만료 30일전에 총장이 임명 또는 위촉한다.

1. ~5. (현행과 같음)

② 일반직위원 구성과 위원회 운영을 위하여 매년 세 부추진계획을 수립하되, 추진일정 등을 반드시 포 함한다.

제6조(일반직위원의 임기)

① 일반직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하며, 1회에 한하여 연 임할 수 있다.

제6조(일반직위원의 임기)

① 일반직위원의 임기는 1년으로 하며, 1회에 한하여 연 임할 수 있다.

<신설> 제7조의 2(회의)

① 위원장은 위원회 회의를 소집하고, 그 의장이 된다.

② 위원회의 회의는 재적위원 과반수의 출석으로 개의 하고 출석위원 과반수 찬성으로 의결한다.

<신설> 제7조의 3(회의 운영 등의 공개)

① 위원장은 회의를 개최할 때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 을 명시하여 회의일 10일 전까지 위원에게 통보하여 회의를 소집하고, 홈페이지 등을 통하여 공개한다.

1. 회의 일시 및 장소 2. 회의 목적과 안건 3. 그 밖에 필요한 사항

② 위원장은 회의 운영에 대하여 참관, 녹화 등을 통 하여 공개한다.

③ 위원장은 회의 일시, 장소, 발언요지, 결정사항, 참 석자 등이 기록된 회의록을 작성․보존하고, 이를 회 의 개최 다음날부터 10일 이내에 대학 홈페이지 등을 통하여 공개하여야 한다.

④ 2항과 3항에도 불구하고 개인 사생활을 현저히 침 해할 우려가 있다고 인정되는 사항 등에 대하여는 위원회의 의결로 내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공개하 지 아니할 수 있다.

(11)

붙임 2 한국어 연수반 운영 세입·세출예산 조정(안)

<세입·세출 예산(안)>

구분 목 세목 사업항목 산출기초 예산액

세입

평생교육기 관 등의

수업료

평생교육기 관 등의

수업료

연수생 수강료 4,790,000원×36명= 172,440

연수생 전형료 100,000원×50명= 5,000

연수생 입학금 100,000원×36명= 3,600

생활관 사용료 수입

외부인 생활관사용

연수생 생활관비 900,000원×36명= 32,400

합 계 213,440

세출

인건비

기타직보수 행정직원(급여 및 기타 수당 포함) 2,500,000원×1명×10개월= 25,000

상용임금

수석강사 수당 400,000원×1명×10개월= 4,000

강사료 35,000원×1,600시간= 56,000

담임수당 200,000원×2명×10개월= 4,000

연수생 생활 관리자 수당 200,000원×2명×10개월= 4,000

사감수당 300,000원×1명×10개월= 3,000

운영비

일반수용비

사무용 소모품 및 도서 구입 등 5,400,000원×1식= 5,400

인쇄물 및 학생증 제작 500,000원×1식= 500

방역방제 250,000원×2회= 500

공간 항균기 75,000원×8회= 600

청소용품 500,000원×2회= 1,000

의약품 500,000원×1회= 500

공공요금 및 제세

전기요금 600,000원×10회= 6,000

가스요금 200,000원×10회= 2,000

수도요금 200,000원×10회= 2,000

음식물 쓰레기 수거 50,000원×10회= 500

한국어 연수 관련 협의회 납부 500,000원×1회= 500

임차료 각종 시설장비 임차 5,000,000×1식= 5,000

시설장비

유지비 연수생 생활관 유지보수 2,000,000원×1식= 2,000 여비

국내여비 연수반 운영 관련 출장 300,000원×10회= 3,000 국외업무여비 연수생 유치,홍보 국외 출장 9,000,000원×1회= 9,000

업무추진비

사업추진비

문화체험 및 봉사활동 2,000,000원×3회= 6,000

글로벌 네트워크 프로그램 11,000,000원×1회= 11,000

자치위원회 단합대회 750,000원×2회= 1,500

학술세미나 1,000,000원×1회= 1,000

관서업무추

진비 한국어 연수반 운영 활성화 간담회 개최 500,000원*10회= 5,000

보전금 장학금 학생자치위원 지원 100,000원*2명×10회= 2,000

민간이전 기타직부담금 행정직원 4대보험 부담금 835,000원×10개월= 8,350 유형자산 자산취득비 사무실 및 생활관 집기 15,000,000원×1식= 15,000 대학 공공요금 부담분 총 사업비 중 13.6% 29,090,000원×1식= 29,090 (단위: 천원)

(12)

<예산조정위원회 심의결과 예산 조정 내역>

구분 당초 안 변경 안

산출기초 예산액 산출기초 예산액 비고

수석강사 수당 1,500,000원*10개월= 15,000,000원 400,000원*10개월= 4,000,000원

11,000천원 대학 공공요금 부담분 총 사업비의 8.4% 18,090,000원 총 사업비의 13.6% 29,090,000원 증감

(13)

붙임 3 2018학년도 1차 국립대학 육성사업 세부 편성 내역

<부서별·사업별 예산 편성표>

예산부서 세부사업 예산액 비고

교무처 연구 기반 구축 및 지원 10,650

이종 학문 콜라보레이션 9,300

입학학생처

바다애, 지역애, 인재선발 5,000

지역나눔공동체 10,000

지역민과 함께 하는 해양 교실 운영 20,000

기획처

MMU-HarEdu 10,000

교육의 질 관리 체계 구축 4,100

글로벌 전문 역량 강화 40,000

사업관리 및 운영 150,000

취업실습본부

MMU-3E 74,688

해양안전 실무교육 30,000

국제교류본부 글로벌 전문 역량 강화 70,496

대학원 대학원생 연구역량 강화 25,000

해사대학 학부(과) 특성화 사업 64,437

해양공과대학 학부(과) 특성화 사업 25,563

정보전산원 학습지원시스템 고도화 90,000

승선생활관 기숙형 해양캠퍼스 17,000

교수학습지원센터

PBL 환경 구축 11,400

교수지원 활성화 102,951

교육의 질 관리 체계 구축 37,500

기숙형 해양캠퍼스 42,050

지역나눔공동체 11,700

학생상담센터 기숙형 해양캠퍼스 35,820

합 계 897,655

(단위: 천원)

(14)

<세부사업 설명표>

사업구분 세부 사업설명

고등교육 역량 및

공공성 강화

[목표] : 고등교육 역량 강화 및 공공성 확보

◦바다애(愛) 지역애(愛) 인재 선발

- 우수 지역인재 선발을 위한 전형 방법의 개발 - 지역인재 양성을 위한 장학금 지급

◦교수지원 활성화

- 디지털 강의 콘텐츠, M-MOOC 설계 지원을 통한 수요자 중심 교육 기 반 마련 및 확대 운영

- 수업 컨설팅, 교수 공동체를 통한 직접적인 교수 역량 강화 지원

◦PBL 환경 구축

- 창의력, 문제해결 능력 제고를 위한 PBL 기반 구축 및 운영

◦교육의 질관리 체계 구축

- 교육 성과 환류 및 교육 수요자 의견 수렴을 위한 체계 보완

대학 연구역량

강화

[목표] : 연구 역량 강화 및 공동 연구 활성화

◦연구 기반 구축 및 지원

- 연구관련 제도 개선을 통한 연구 실적 제고의 원동력 구축

- 연구윤리 세미나, 연구 제안서 작성법 특강과 같은 다양한 연구제도와 연구자의 윤리 교육을 통한 연구 역량 강화

◦대학원생 연구역량 강화

- 대학원생 대상의 부족한 장학 제도 개선

◦이종 학문 콜라보레이션

- 학술적 시너지 제고를 위한 이종 학문간 콜라보레이션 기반 구축 지원 - 도출된 연구 성과의 구체화 및 확산을 위한 지원

지역사회 발전기여

및 네트워크

활성화

[목표] : 산업체 및 지역 공동체와의 협력 강화

◦지역민과 함께 하는 해양 교실

- 대학이 보유한 인적·물적자원을 활용하여 지역민 대상의 해양 안전 프 로그램 운영

- 지역 청소년 대상의 해양 교육 및 인성 교육 함양 캠프 운영

◦MMU-HarEdu 구축

- 지역 5개 국립대학 간의 교류 협력을 위한 교류프로그램 발굴 - 향후 세부적인 교류 협력 프로그램 운영

◦MMU 3E 구축

- 대학-산업체-공공기관 간의 협력을 위한 기반 구축

- 선사방문, 취업박람회 개최 등을 통한 실질적인 교류 협력 프로그램 운영

◦지역나눔 공동체

- 대학의 교직원, 학생이 함께 참여하는 봉사 공동체 구성 - 지역아동센터 봉사, 지역민을 위한 음악회 개최

대학자율 사업

[목표] : 글로벌 역량 및 해양 특성화 강화

◦글로벌 전문역량 강화

- 학생 교류를 위한 외국 대학과의 협약 체결

- 학생 개인의 외국어 역량 강화를 위한 어학 프로그램 운영

(15)

- 유학생-재학생간 문화 교류 및 유학생의 대학 적응 지원을 위한 교류 프로그램 운영

◦학습지원시스템 고도화

- 학습자 편의 도모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의 품질 개선

- 학습 지원 시스템의 관리 효율화를 위한 강의실 등 PC 가상화 구축

◦기숙형 해양캠퍼스 구축

- 정주시설에서 생활하는 90%이상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전공 및 인성 함 양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

- 멘토링, 리더십 교육, 1인 1특기, 심리 상담 등 전공 실무 및 인성 함양 프로그램 운영

◦해양안전실무교육

- 해사/해양인으로서 반드시 이수해야 할 기초 안전 교육 실시

- 선박 및 선원의 안전을 위해 필요한 선박중급보안교육을 체계적으로 운 영하기 위해서 전담교원을 양성

◦학부(과) 특성화 사업

- 대학의 중장기 발전 계획과 학부과 특성화 방향의 연계 필요

- 학부(과)별 특성을 고려한 자율 사업을 도출하여 운영함으로써 대학 전체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

Referensi

Dokumen terkait

※ 단, 설사ㆍ배탈 등 긴급사항 발생으로 시험 도중 퇴실 시 재입실이 불가하고, 시험 시간 종료 전까지 시험 본부에서 대기해야 합니다.. ◦ 응시자는 감독위원의 지시에 따라야 하며, 부정한 행위를 한 응시자에게는 해당 시험을 무효로 하고, 이미 합격한 자의 경우 화장품법 제3조의 4에 따라 자격이 취소되고 처분일로부터 3년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