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National Park Research, Vol. 1, No. 3, pp. 213-215 (2010)
한려해상국립공원 내 팔색조(Pitta brachyura) 분포 현황
권영수1*·김한진2
1국립공원연구원, 2한려해상국립공원동부사무소
A Study on Distribution of Fairy Pittas ( Pitta brachyura ) in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Young-Soo Kwon
1* and Han-Jin Kim
21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Namwon, Korea
2Hallyeohaesang National Park Service, Office of Hallyeohaesang, Tongyoung, Korea
요 약:본연구는 2008-2009년에한려해상국립공원내학동 동백림에서서식하는 팔색조서식현황을확인하기 위
하여 수행되었다. 팔색조는 국제적인 보호종이며 환경부지정 멸종위기II급으로지정되어 있다. 조사결과 2008년과 2009년에각각 1개체의 울음소리를확인하였지만번식여부는확인되지 않았다. 학동동백림은 1959년에 3개체가확 인된 이래로지속적으로 소수가관찰되고 있는 보호지구이다. 앞으로팔색조서식지 보호를위해 지속적인 모니터 링과 관심을갖아야 할것이다. 본연구는한려해상국립공원에도래하여 서식하는 팔색조의 현황을파악하여 멸종 위기종보호및공원관리에필요한기초자료를마련하는데목적이있다.
주요어 :팔색조, 멸종위기종, 한려해상국립공원, 학동동백림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a cited literature of habitat status of Fairy pittas (Pitta brachyura) breeding at Hagdong in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Fairy pittas were designated as endangered species by Ministry of Environment. In 2008 and 2009, a call of Fairy pitta was identified in Hagdong but breeding nests were not found. Since 1959 (3 individuals identify), Hagdong dongbaekrim was designated as the natural conservation zone. These results will be provided with foundation data for conservation of Fairy pittas.
Key words :Fairy pittas, Pitta brachyura, Endangered species,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Hagdong dongbaekrim
서 론
팔색조는 전 세계 잔존개체수가 약 2,500-10,000개체이며 적색목록에 포함된 국제적 멸종위기종이다(Collar 2001; IUCN
Red data 1985). 최근 전 세계적으로 팔색조 개체수의 감
소요인은 산림벌채(일본, 20세기), 농업이나 목재를 위한 벌 채(중국), 도로 건설 등의 경제적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참새목 팔색조과 팔색조속인팔색조는 1850년에 Temminck
& Schlegel에 의해 최초로 보고되었다(Monroe and Sibley
1993). 팔색조는 우리나라에서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2급이
자 천연기념물 204호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보통 도 서지방이나 해안가에서 번식하는 흔하지 않은 여름철새이다.
주로단독생활을하며땅위를걸어다니면서먹이를찾는다. 우리나라에는 5월초에 도래하여 6-8월에번식을 하고 월동
지로 돌아간다(김 1964). 밀도가 높은 식생에서 번식하고
바위틈이나 고목 사이에 둥지를 튼다. 국제적으로는 일본, 중국 및 대만 등에서 번식하고 우리나라에서는 한려해상국 립공원의 학동(특별보호구), 제주도 한라산 남사면, 전라남 도 진도, 거문도, 우의도 등의 남부지방에서 번식한다. 우리 나라 최대 번식지는 한라산 일대이며 특히 해발 500 m 부
근에서주로번식하는것으로알려져있다(김등 2003).
본연구는한려해상국립공원에도래하여서식하는팔색조 의 현황을 파악하여 멸종위기종 및 공원 보호관리에 필요 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지역 및 방법 1. 연구 지역
주로국립공원특별보호구이자 천연기념물제 233호인 동 백림 및 팔색조 번식지인 학동 동백림 지역일대(격자 131
*Corresponding author E-mail: [email protected]
214 국립공원연구지 제 1 권 제 3 호 (2010)
지역)에서조사를수행하였으며다수의이동철새가서식하는 서이말등대가 있는 83번 격자도 일부 포함하였다. 조사 시 기는 팔색조의 번식기간을 중심으로 수행하였다(Figure 1, 2).
2. 연구 방법 1) 조사 시기
조사는 2008년과 2009년의 팔색조 번식기간인 6월에서 7 월을 중심으로 수행하였다. 2008년에는 6월 10일에서 12일 까지 3일간, 7월 2일부터 4일까지 2일간 조사하였고 2009 년에는 6월 11일부터 12일까지 7월 2일부터 3일까지 2일 간 수행하였다(Table 1).
2) 조사 방법
개체수는주로울음소리를통하여파악하였고위성항법장
치(GPSMAP 60CSx)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팔색조는 세
력권을 형성하여 생활하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서는 Playback 실험을 통하여 종을 확인하였다.
조사 결과
1) 현지조사
2008년조사에서는팔색조의번식시기인 6월 10일에서 6월
12일의 조사에서 격자 131지역에서 1개체를 확인하였지만 번식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 083번 격자에서는 팔색조를 직접 관찰하지는 못하였지만 울음소리로 확인하였다. 2009 년에는 팔색조의 번식시기인 6월 11일~6월 12일의 조사 시 격자 148지역에서 울음소리를 확인하였다. 하지만 2008년에
1개체를 확인하였던 131번 격자에서는 팔색조의 흔적을 확
인하지못하였다(Table 2).
2) 팔색조 서식지 추정지역
번식기간을 중심으로 두 해 동안 조사한 결과 팔색조의 서식지 혹은 번식지 추정 지역은 학동리 일대의 고산지역 과 서이말 등대 일대로 판단된다(Figure 3). 두 지역에서는 번식기간동안 세력권 방어 및 배우자 선택에 필요한 울음 소리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특별보호구가 있는 학동일 대에서는 최소 3년간 팔색조의 직접 목견 및 울음소리가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이 일대에서 번식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고 찰
2007년과 2008년에거제지역의 131번 격자에서 팔색조의
서식이 확인(목견)되었지만 번식 둥지는 관찰하지 못하였다.
다만, 번식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일정 지역에서 관찰되는 것으로 볼 때 번식할 확률이 높다고 판단된다. 2009년에는 이전에 확인되었던 거제지역의 131번 격자에서 팔색조의 서식 여부가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본 조사에서는 이전 에 관찰되지 않았던 148번 격자의다대저수지 주변에서 울 음소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조사 시기에 따라 확인될 수 있는 가능성이 달라지므로 추후 더 자세한 조사 가 필요하다. 이전 기록을 살펴보면, 학동 동백림 일대에서 는 1981년 14번 국도가 건설되기 전까지는 매년 다수의 팔색조가 번식하였다. 하지만 그 이후 개체수가 감소하다가
2003년에는 확인이 전혀 안되었다. 그 후 2006년에 14번
국도에서 로드킬된 팔색조 1개체가 관찰되었고 현재까지 소수의 개체만이 확인되고 있는 실정이다(Table 3). 이와 같이 팔색조가 학동림에서 지속적으로 관찰되는 이유는 먹 이와 관련이 있다. 주로 지렁이를 취식하며 딱정벌레 등도 Table 1. Survey periods.
Year Survey period (day) Sites (grid) Note 2008 6. 10~6. 12(3days) 131, 83 Early breeding
7. 02~7. 04(2days) 131, 83 middle breeding 2009 6. 11~6. 12(2days) 131, 83, 148 Early breeding
7. 02~7. 03(2days) 131, 83, 148 middle breeding Table 2. Observation frequency of Fairy Pittas (Pitta brachyura).
Year Survey period (day) Site (grid) Identify 2008
6. 10~6. 12(3days) 131 1 individual 6. 10~6. 12(3days) 083 Identify call 7. 02~7. 04(2days) 131, 083 Unidentify 2009 6. 11~6. 12(2days) 148 Identify call
7. 02~7. 03(2days) 131, 083 Unidentified
Table 3. Yearly observation list of Fairy Pittas in Hagdongri, Dongbekrim.
Year Number of individual Note
1959 3 individuals (female 1, male 1, juvenile 1) Initial discovery
1971 Some individuals Designated natural monument of habitat (No. 233)
1989 5 individuals Unidentify
2002 5 individuals Survey Heritage Administration
2003 Unidentify -
2004 2 individuals Nature environmetnal survey, Nakdonggang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05 Unidentify -
2006 1 individuals death by roadkill NGO
2007 1 individual Resource monitoring of national parks
2008 1 individual Resource monitoring of national parks
한려해상국립공원 내 팔색조(Pitta brachyura) 분포 현황 215
즐겨먹는다(Lin et al. 2007).
팔색조의분포범위는 해발 100 m~800 m지대까지였고해 발 약 400 m~500 m지역에서 주로 서식한다(김 등 2003).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개체수가 도래하는 곳은 제주도 한 라산 일대이며 다도해나 거제도 일원에서 일부 개체가 번식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131번 격자 내의 학동 동백림 지역에는 14번 국도가 지나가고 있어 팔색조의 서식에 가 장 큰 위협과 방해를 주고 있다. 이 도로에서 때로 팔색조 의 로드킬도 발생하고 있다.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본 지역 에 대한 정밀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팔색조가 안정된 번식지 로 이용할 수 있는 보호·관리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은미, 오홍식, 김상범, 김원택. 2003. 제주도에서팔색조(Pitta nympha)의분포와서식환경. 한국조류학회지. 10(2): 77-86.
김헌규. 1964. 팔색조의생태. 한국문화연구원논총 5: 235-240.
원병오. 1968. 한라산및홍도천연기념물제182호학술조사보고
서: 한라산의동물편. pp. 225-281
원병오. 1981. 한국동식물도감: 제25권동물편(조류생태). 문교부. 삼화서적. 서울. 1126p.
원병오. 1987. 한국조류목록. 동물편.
원병오. 1993. 한국의조류. 교학사. 서울. 447p.
Collar NJ. 2001. Threatened Birds of Asia; The Bird Life International Red Data Book, BirdLife International, Cambridge, UK, pp. 1937-1938.
IUCN. 1985. United Nations List of National Parks & Protected Area, cited by Lucas, P.H.C.(1992), Protected Landscape, London, Champman & Hall: 4
Lin RS, CT Yao, PF Lee. 2007. The Diet of Fairy Pitta Pitta nympha Nestlings in Taiwan as Revealed by Videotaping. Zoological Studies 46(3): 355-361.
Monroe BL, CB Sibley. 1993. A world checklist of birds. Yale Univ.
Press. New haven and London. 393pp.
(2010년 7월 9일 접수; 2010년 7월 15일 채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