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ived 8 August 2022; Revised 19 September 2022; Accepted 23 September 2022
*Corresponding to 권영수(Young-soo Kwon) E-mail. [email protected]
한려해상국립공원 홍도와 태안 난도의 괭이갈매기 번식현황
김미란1
⋅
이용순2⋅
최세준3⋅
김양모3⋅
김재훈3⋅
황보연3⋅
권영수3*1바닷새연구실, 2㈜동아기술공사, 3국립공원연구원
Status of Black-tailed gulls breeding on
Hongdo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and Nando Island
Miran Kim
1, Yong-soon Lee
2, Se-jun Choi
3, Yang-mo Kim
3, Jae-hun Kim
3, Bo-yeon Hwang
3and Young-soo Kwon
3*1Seabirds Lab. of Korea, 2Dong-a ENG., 3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요약: 전세계적으로 350여종의 바닷새가 있으며 이 중 10여 종이 우리나라에서 번식한다. 바닷새는 개체군이 감소할 경우 느린 성장과 작은 한배산란수로 인해 회복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본 연구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한려해상국립공원 홍도와 태안군 난도에서 괭이갈매기 집단번식지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조사는 2022년 5월에 수행되었으며 괭이갈매기(Black-tailed gulls, Larus crassirostris)의 알크기, 한배산란수, 둥지 밀도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한배산란수는 홍도에서 1.89±0.57, 난도에서 1.91±0.48 로 나타났다. 알크기는 홍도에서 59.22±5.47㎤, 난도에서 59.63±3.96㎤로 유사하였다. 둥지 밀도는 홍도(1.27±0.18개/㎡)가 난도 (0.54±0.15개/㎡)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번식 면적으로 추정된 번식개체군 크기는 홍도가 56,729쌍, 난도가 14,112쌍으로 산정되었다.
번식개체군 장기모니터링은 괭이갈매기 번식지 보호를 위해 번식 개체군 변동을 파악하는데 필요하다.
주요어: 한려해상국립공원, 괭이갈매기, 집단번식지, 홍도, 난도
Abstract: Seabirds take a long time to recover if their population decreases due to slow growth and small clutch siz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llect basic data of breeding status of Black-tailed gulls (Larus crassirostris) on Hongdo Island of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and and Nando Island. These two breeding colonies are designated as natural monuments. We investigated egg vol- ume, clutch size and nest density in May 2022. As results, clutch size was 1.89±0.57 in Hongdo Island and 1.91±0.48 in Nando Island.
The egg volume was also similar between Hongdo Island (59.22±5.47) and Nando Island (59.63±3.96). The nest density was sig- nificantly higher in Hongdo Island (1.27±0.18/㎡) than in Nando Island(0.54±0.15/㎡). Breeding population was estimated as 56,729 pairs in Hongdo Island while 14,112 pairs in Nando Island based on the proportion of breeding areas. Long-term monitoring is re- quired to know the trends of Black-tailed gulls to protect breeding colonies.
Key words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Black-tailed gull, breeding colony, Hongdo Island, Nando Island
서론
바닷새(seabirds)는 생활사 대부분을 바다에 의존하여 살아가는 조류이다. 이들은 평소에는 바다와 해안 등에 서 서식하다가 번식기가 되면 집단으로 모여 먼바다의 섬이나 해안 등 포식자나 인간의 간섭이 적은 곳에서 번 식한다. 집단으로 번식하므로 번식하는 섬에 질병이 퍼
지거나 육상 포식자가 유입되었을 경우 집단 전체가 영 향을 받을 수 있는 위험이 있다. 특히, 바닷새는 육상 조류 에 비해 적은 수의 알을 낳고 성체가 될 때까지 오랜 시 간이 걸리므로 개체군이 급감했을 경우 회복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오염, 서식지 파괴, 혼획 등으로 전 세 계 바닷새
350여 종 중 약 36%가 이미 위험에 처해있거
나 위험에 처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류되었다(CroxallHongdo Island Nando Island
Fig. 1. Locations of study sites (Hongdo Island and Nando Island)
et al., 2012).
우리나라에서는 일부 바닷새 집단번식지를 보호지역 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환경부에서는 일부 번식 지를 특정도서로 지정하여 정밀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있 으며 문화재청에서도 바닷새 번식지를 천연기념물로 지 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국립공원에서는 다도해해상국립 공원 칠발도, 한려해상국립공원 홍도 등의 바닷새 번식지 에서 장기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있다(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2021).
보호지역에 서식하는 바닷새를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번식현황을 파악하고 관리와 보호 정책 마련에 활용하고 있다(Korea NationalPark Research Institute, 2013).
국내에 서식하는 바닷새는
60종 내외가 있으며 이중 괭이갈매기를 비롯하여,
한국재갈매기, 검은머리갈매기, 뿔제비갈매기, 쇠가마우지, 가마우지, 민물가마우지, 뿔쇠오리, 바다쇠오리, 바다제 비 및 슴새 등
10 여종의 바닷새가 번식하는 것으로 알려
져 있다(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2013). 국 내 바닷새 번식지 현황은 잘 알려져 있지 않은 곳이 많다.번식지가 육지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하여 조사자가 번식지에 접근하는 것이 어렵고 관련 예산과 전문가 부 족 등에 의해 조사가 많이 수행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바닷새 집단번식지를 조사하는데 있어 기초가 되는 항 목은 번식개체수의 파악이다. 번식지마다 번식개체수를 통해 중요한 번식지를 선정하고 이에 따르는 적절한 보 호와 관리를 하기 때문이다. 또한 번식개체군 변동이나 건강성 등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번식 둥지의 밀도, 한배 산란수, 알크기, 번식성공률, 부화성공률 등의 기초 자료 수집이 필요하다. 괭이갈매기는 국내 바닷새 중 대표적 인 조류로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고 있다. 그동안 괭이 갈매기 집단번식지는 국내 바닷새 번식지 중 비교적 많 은 연구와 모니터링이 수행되었으나(Kwon et al., 2006;
Kang
et al., 2008) 최근 현황에 대한 자료는 드물게 보고 되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표적인 바닷새인 괭이갈 매기를 대상으로 보호지역인 홍도와 난도의 번식개체군 현황을 파악하여 향후 서식지 관리에 적용하고자 수행 되었다.재료 및 방법
1. 조사지역
본 조사는 괭이갈매기 집단번식지
2곳에서 번식하는
괭이갈매기를 대상으로 수행되었다(Fig. 1). 괭이갈매기 포란기에 맞추어 홍도는5월 3일,
난도는 5월 10일에 조사 를 수행하였다. 경남 통영시에 위치한 홍도(34°32'13.43"N,128°43'58.01"E)는 한려해상국립공원 특별보호구,
천연 기념물 제335호이자 환경부 특성도서로 지정되어 보호
되고 있다. 홍도의 면적은98,390㎡이고 육지에서 20km
정도 떨어져 있는 무인도서이다. 충청남도 태안군에 위치 한 난도(36°39'36"N, 125°49'25"E)는 태안해안국립공원 에 인접해 있으며 천연기념물 제334호로 지정되어 보
호되고 있다. 난도의 면적은 47,603㎡로 육지에서 27km 정도 떨어져 있는 섬이다. 난도에서 번식하는 바닷새는 괭이갈매기를 비롯하여 슴새, 바다제비 등3종이 있다
(Kim
et al., 2017).Fig. 2. Proportion of clutch size in Black-tailed gulls breeding on Hongdo and Nando Island
Fig. 3. Egg volume (㎤) of Black-tailed gulls breeding on Hongdo (n=155) and Nando (n=67) Island
2. 조사 및 분석 방법
둥지 밀도, 한배산란수, 알크기를 통해 조사하였다. 알 크기는 향후 부화될 새끼의 성장률에 영향이 미치는 것 으로 알려져 있다. 알크기가 클수록 번식성공률이 높다 고 알려져 있다(Kwon, 2004). 먼저 둥지 밀도는 번식지 내에 방형구(5m×5m)를 설치하고 방형구 내 둥지수를 기 록하였다. 한배산란수(clutch size)는 둥지 내에 있는 알 의 수를 둥지마다 기록하였다. 또한 둥지 내 알의 장경
(length)과 단경(breadth)을 측정한 후 공식(Harris, 1964)
에 따라 크기(volume)를 산정하였다. 알의 장경과 단경 은 디지털버니어캘리퍼스를 이용하여 0.01mm까지 측정 하였다. 평균 알크기는 각 둥지에서 제일 큰 알의 크기의 평균으로 하였다. 괭이갈매기에 있어서 보통 첫 번째로 산란한 알이 가장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Kwon, 2004).알크기(㎤) = 0.476×장경(㎜)×단경(㎜)2
/1000
각 섬마다 괭이갈매기 번식 개체군 크기는 번식지 별 번식 가능한 면적을 문헌조사 및 현장조사를 통하여 구 한 뒤 번식 밀도를 곱하여 산정하였다.
괭이갈매기 번식 개체수
=
번식 가능 면적(㎡) × 번식 밀도(둥지수/㎡)
번식지 간의 비교는 SPSS 2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 검정, Kruskal-Wallis 검정 등을 사용하였다. 모든 현장 조사 내용은 관련 기관의 허가 하에 수행되었다.
결과
1. 한배산란수(clutch size)
두 번식지의 평균 한배산란수는 1.89±0.543(n=227)였 다. 번식지별로는 홍도가 1.89±0.57 (n=159)이었고 난도 가 1.91±0.48(n=68)로 지역 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 다(t225
=-0.237, p=n.s.)(Fig. 2).
홍도가 난도에 비해 괭이갈매기 한배산란수가 3인 둥지나 1인 둥지의 비율이 높 았다(Fig. 3). 홍도에서는 한배산란수가
4와 5인 과산란
둥지(SNCs, Super Normal Clutch)가 각각1개씩 확인되
기도 하였다.2. 알크기(egg volume)
평균 알크기는 홍도에서
59.22±5.47㎤(n=155),
난도에서
59.63±3.95㎤(n=67)로 지역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
다(t220
=-0.561, p=n.s.)(Fig. 4).
3. 둥지 밀도(nest density)
괭이갈매기 둥지 밀도는 번식지 별로 차이가 있었다.
Hongdo Island Nando Island References
Nest density(no. nests/㎡) 1.27±0.18 0.54±0.15
Total area(㎡) 98,390 47,603
Proportion of breeding area(%) 45.4 54.9 (Kim et al., 2017)
(Tongyeong City, 2018)
Breeding area(㎡) 44,669 26,134
Breeding pairs 56,729 14,112
Breeding individuals 113,459 28,224
Table 1. Estimated breeding population of Black-tailed gulls on Hongdo and Nando island in 2022 Fig. 4. Clutch size of Black-tailed gulls breeding on Hongdo (n=159)
and Nando (n=68) Island
홍도에서는 25㎡ 당 평균 31.8±4.44개(1㎡ 당 평균 1.27±
0.18, n=5)였던 반면에 난도에서는 25㎡ 당 평균 13.6±
3.85 (1㎡
당 평균0.54±0.15, n=5)개의 둥지가 있었다.
홍도의 둥지 밀도가 난도에 비해 약 두 배 정도 더 유의 하게 높았다(t8
=6.929, p<0.001) (Table 1).
4. 번식개체군 크기(breeding population size)
둥지 밀도가 확인된 홍도와 난도에서 번식하는 괭이 갈매기 개체수를 산정하였다. 홍도에서 밀사초와 물피가 분포하는 지역에 주로 번식하는데 전체 면적의
45.4%
(Tongyeong City, 2018)를
차지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산정한 홍도의 번식 개체수는 총 56,729쌍(113,458개체) 이었다. 난도에서 괭이갈매기는 돌피가 분포한 곳(54.9%) 에 주로 번식하므로 이 지역을 번식 가능 면적으로 보았 다(Kim et al., 2017). 이를 이용하여 산정한 번식 개체수 는 총14,112쌍(28,224개체)이었다.
고찰
한배산란수는 홍도와 난도에서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 다. 과거 자료와 비교해 보면 홍도의 경우 한배산란수가
20여 년 전의 평균인 1.89±0.68(Kwon
et al., 2006)와 비 슷하였다. 홍도에서는 알이4개 이상 있는 과산란둥지
(SNCs)가 두 둥지 확인되었다.
과산란둥지는 주로 둥지밀도가 높을 경우 발생되며 원인은 주변의 알을 자신의 둥지로 끌어당겨 품는 경우 혹은 암-암 한쌍(female-fe-
male pairs)으로 번식하면서 한 둥지에
두 개체 이상의 암컷이 알을 낳는 경우이다. 이 경우 무정란이거나 부화 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Ryder and Somppi, 1979; Kwonet al., 2006). 번식개체군 내에 과산란둥지의 비율이 증
가할 경우 번식성공률이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 에서는 한배알수에 따른 번식 성공률을 확인하지 못했 다. 향후 번식지별 과산란둥지의 비율을 모니터링 해 볼 필요가 있다. 20여 년 전 조사된 난도 한배산란수 1.63±
0.75(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01)와 비교해
볼 때 2022년에 더 높았다. 재갈매기(Larus argentatus)에 있어서 알크기가 클수록 새끼의 생존률이 높아지는 것 으로 보고되었다(Parsons, 1970). 또한 번식지 먹이에 따 라 알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Svagelj et al., 2015). 2022년 홍도와 난도의 괭이갈매기 알크기는 비숫한 것으로 나 타났다.홍도의 둥지 밀도는 2008년 조사결과(16.3둥지/25㎡;
Kang
et al., 2008)에 비해 두 배 정도 높았다. 이에 따라 산정된 번식 개체군은 56,000여쌍으로2008년의 32,000
여쌍에 비해 1.7배 증가한 것이다. 홍도 인근의 거제와 통영의 전체 어류종 어획량이 증가추세에 있어(Korea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2021)
먹이 증가에 따 른 개체군 증가와 더불어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이후 서 식지 관리와 보호로 불법 알수집 근절, 인간 간섭 감소 등이 개체군 증가에 영향을 주었을 수 있다. 현재 홍도의 번식지 과밀을 우려하기도 하지만 바닷새 집단번식지에 서 적정 수용 개체수 이상으로 번식 밀도가 높아질 경우 자연스럽게 부화성공률 감소나 개체간 경쟁 증가로 개 체군 내에서 적성 수준이 유지될 수 있다. 향후에도 괭이 갈매기 개체군 변동을 파악하기 위한 지속적인 모니터 링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난도는 둥지 밀도가2008년
조사 결과(15.1둥지/25㎡)(Kang et al., 2008)에 비해 약간 낮았다. 그러나, 20여 년 전 조사된 결과(32.75둥지/25㎡,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01)보다는 현저 히 낮은 수치이다. 난도의 번식 개체수는
2022년 14,112
쌍으로
2008년(14,376쌍)의 결과와 비슷하였다.
둥지 밀도가 낮아졌으나 번식 개체수가 비슷한 것은 과거 조사 에서는 번식가능 면적을
50%로 산정한 반면에 본 조사
에서는 괭이갈매기가 주로 번식하는 돌피가 있는 지역의 면적(전체 번식지의54.9%)를 적용하여 산정하였기 때
문이었다. 둥지밀도를 이용하여 번식 가능 면적에 대한 산정으로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2001년 조사에서는 난 도의 번식 둥지수를1,735개로 산정하였다.
둥지 밀도가 높음에도 전체 번식 둥지수가 낮은 것은 번식 가능 면적을
3%(1,324㎡)로 보았기 때문이다.
번식 개체수 산정에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은 번식 가능 면적의 산정이다.
괭이갈매기는 경사가 급한 지역에는 번식하지 않거나 번식 밀도가 감소하므로 경사도 등을 고려하여 번식 가 능 면적을 정확하게 산정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 평면 이 미지의 지도로는 정확한 번식 면적을 산정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무인항공기(드론) 등을 활용한
3D
영상 등을 활용하는 방법이 추천된다. 영광군 칠산도 괭 이갈매기 번식지에서도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항공영상 으로 번식개체수 변동을 모니터링하고 있다(NIE, 2022).번식지에서 촬영한 영상은 정확한 개체수 산정뿐 아니라 홍도에서 나타나는 선인장 군락의 확산 여부 등 식생 변 화를 분석하고 관리하는데에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 을 것이다.
최근 난도에서 2.8km 거리에 있는 무인도인 궁시도에
새로운 괭이갈매기 번식지가 형성되었다. 아직 궁시도 에서 번식하는 괭이갈매기가 어디에서 온 개체인지는 확 인되지 않았으나 난도에서 개체군이 증가함에 따라 궁시 도에 유입되면서 난도의 번식개체군은 유지되고 있을 가 능성과 주변 괭이갈매기 번식지가 감소되면서 난도 외에 다른 지역에서 유입되었을 가능이 있다. 괭이갈매기 번 식 개체군의 증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많은 번식지에 대한 발굴과 모니터링을 통한 개체군 증감 파 악이 필요하다.
괭이갈매기 번식지의 경우 불법 알수집이 빈번하게 일 어난다. 서해안의 번식지 중 한 곳인 칠산도 역시
2003
년에 불법 알수집이 확인되었으며(Kim, 2004) 최근 난 도와 궁시도의 경우 대규모 불법 알수집이 확인되기도 하 였다(이은파, 2019; 2021). 한려해상국립공원 홍도의 경 우 2011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곳으로 과거 불법 알수 집이나 출입이 빈번했던 곳이지만 현재는 한려해상국립 공원의 관리하에 엄격히 불법 행위들이 통제되고 있다.또한 국립공원연구원에서는 기후변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괭이갈매기 번식 개체군에 대한 장기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있다. 이처럼 괭이갈매기 번식지에 대한 지속 적인 관리와 연구는 생태계 변화를 파악하는데 기초자 료로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사사
본 연구는 국립공원연구원에서 수행하는
‘도서생태계
조류서식환경 장기모니터링’과‘국립공원 기후변화 생
태계 모니터링’ 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되었다.참고문헌
이은파. 2019. 천연기념물 난도서 괭이갈매기 알 약 1천600개 불법채집. 연합뉴스.
이은파. ‘괭이갈매기’ 산란지 ‘태안 궁시도 몸살…알 70% 불 법채집 반출. 연합뉴스.
Croxall JP, SHM Butchart, B Lascelles, AJ Stattersfield, B
Sullivan, A Syme s, P Taylor. 2012. Se abird conse rvation status, threats and priority actions: A global assessment.
Bird Conserv. Int. 22: 1-34.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01. The study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breeding colony protected as na- tional monuments. p. 203.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Harris MP. 1964. Aspects of the breeding biology of the gulls Larus argentatus, L. fuscus and L. marinus. IBIS 106:
432-456.
Kang JH, TH Kang, HJ Joe, SW Lee, I Kim. 2008. Study on the breeding status of the Natural Monument Islet (Chilbaldo, Sasudo, Nando, Hongdo). Korean Journal of Ornithology. 15(2):169-175.
Kim I. 2004. Chapter 3. Breeding colony of Black-tailed gulls, Chinese egrets and Black-faced spoon-bills on Younggwang Chilsando Island. 2004 bird habitat monitoring report of special national monument.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Kim M, YS Kwon, KB Nam, Ho Lee, HH Myeong, HS Noh.
2017. Breeding population and habitat of Black-tailed gulls (Larus crassirostris) on Nando Island, Natural Monument.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2: 134-142.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2013. Managements of bird habitat on uninhabited island in Korea National Park (case studies of marine birds). p. 99. Korea National Park Service,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2021. Monitoring im- pacts of climate change on ecosystem of National Parks.
Pp. 243-290.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Wonju.
Kwon, YS. 2004. Some aspects of the breeding biology of the Black-tailed gull. p. 200. Ph.D. thesis. Kyung Hee Univ. Seoul.
Kwon YS, HS Lee, JC Yoo. 2006. Clutch size and breeding success of Black-tailed gulls (Larus crassirostris) at Hongdo Island, South east coast of South Korea. Ocean and Polar Research. 28(2): 201-207.
NIE. 2022. Habitat survey for sustainable protection of sea- bird breeding colony on specified islands. p. 119. NIE.
Person J. 1970. Relationship between egg size and post-hatch- ing chick mortality in the Herring gull (Larus argenta- tus). Nature. 228: 1221-1222.
Ryder JP, PL Simppi. 1979. Female-female pairing in Ring- billed gulls. The Auk. 96(1): 1-5.
Svagelj W, N Lisnizer, PG Borboroglu, P Yorio. 2015. Variation in the size of e ggs of Ke lp gulls (Larus dominicarius) at two colonies in Patagonia, Argentina. Waterbirds. 38(1):
92-98.
Tongyeong City. 2018. The study of monitoring and manage- ment of Black-tailed gulls on Hongdo Island of Toyeong.
p. 102. Tongyeong City, Tongye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