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해양공원 현장 맞춤형 직접 일자리사업 발굴 및 제공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해양공원 현장 맞춤형 직접 일자리사업 발굴 및 제공"

Copied!
2
0
0

Teks penuh

(1)

과제명: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해양공원 현장 맞춤형 직접 일자리사업 발굴 및 제공

부서 담당자

1. 추진 배경 및 목적

□ 코로나19 지속상황에 따른 도서지역 탐방객 감소, 일자리 부족 등 지역경제 위축 ○ 코로나19 여파로 사업장 폐업, 외지 지역민 귀향 등 경제활동 수요 증가 ○ 사회적거리두기, 지역이동 자제 등 코로나19 확산방지 추세로 탐방객 수 급감

* 탐방객 수: 전년대비 △45.9%(‘19년: 394천명 →‘20년: 213천명)

□ 지역주민 경제여건 극복을 위한 소득 주도형 직접 일자리 제공 확대 ○ 도서지역별 공원사업을 연계한 지역경제 활성화 추진사업 발굴 ○ 공원관리 수요 특성을 반영한 지역민 대상 맞춤형 직접 일자리 제공

2. 추진내용 □ 과제개요

추진 방향

공원사업 참여 공원 환경관리 유관기관 협력

도서지역 공원사업 유형별 주민 인력풀 확보 및 일자리 창출

주민 참여형 공원환경 개선사업 추진 경제적·생활편익 지원

탐방환경·인프라 조성 민관 협력 및 지역주민 일자리 제공 확대

실행 과제

∙ 도서생태계 복원사업 참여

∙ 법정관리종 제거사업 참여

∙ 현장관리 공개채용 일자리 확대

∙ 명품마을 탐방로 및 경관 정비

∙ 공원 내 존치마을 환경개선

∙ 마을 인접 보호구역 서식지 관리

∙여름철 해변 안전관리 인력 확대 편성

∙ 자생식물 복원 협력사업 추진

∙ 해안사구 침식 예방사업 추진

공원관리 참여형 직접 일자리 제공 확대로 주민 소득 및 공원관리 이해도 증진

□ 세부추진 내용

○ [공원사업 참여] 도서지역 공원사업 유형별 주민 인력풀 확보 및 지역주민 일자리 창출

실행과제 주요 실적

도서생태계 복원사업 참여

∙ 도서 훼손지 및 생물종 서식지 복원사업 지역주민 일자리 제공

* 우이도 풍성사구 유입식물 제거 및 관리: 연인원 50명 참여(5일×10명)

* 진도군 해안 해조류(뜸부기) 서식지 조성 및 복원: 연인원 7명 참여

법종관리종

방제사업 참여 ∙ 진도군 남동리 일원 해양생태계교란 법정관리종 제거·모니터링 참여

* 농한기 지역주민 대상 갯벌 위해식물 갯줄풀 제거 참여: 연인원 9명

현장관리 공개채용

일자리 확대 ∙ 현장관리 직원 공개채용 확대를 통한 인력풀 확보 및 고용 증대

* 탐방로 보수, 공원순찰, 해양양쓰레기 수거 등 현장관리 인력 확대: 82명

우이도 풍성사구 유입식물 제거 해조류 서식지 복원 법정관리종 갯줄풀 제거 해양쓰레기 정화활동

(2)

○ [공원 환경관리] 주민 참여형 생활환경 개선사업 추진을 통해 경제적·생활편익 지원

실행과제 주요 실적

명품마을 탐방로·경관개선

∙ 명품마을 노후 탐방인프라 정비 및 탐방환경 개선사업 추진

* 영산도 명품마을 탐방로 및 공용시설 정비: 연인원 8명(2일×4명)

* 관매도 마실길 정화활동 및 탐방환경 개선 활동: 연인원 35명(5일×7명)

존치마을

환경개선 ∙ 공원 내 존치마을 주민 생활환경 및 정주여건 개선활동 참여

* 흑산도 암동마을 해안 유입 해양쓰레기 수거 등 환경개선사업: 연인원 30명

보호구역

서식지 관리 ∙ 흑산도 장도마을 인접 습지 특별보호구역 서식지 저해요소 제거

* 마을 주요자원인 습지 진입로 풀베기 등 서식지 관리: 연인원 30명(3일×10명)

영산도 명품마을 공용시설 정비 관매도 마실길 정비 암동마을 해양쓰레기 수거 장도습지 탐방로 관리

○ [유관기관 협력] 탐방환경·인프라 조성을 위한 민관 협력 및 일자리 제공 확대

실행과제 주요 실적

여름철 해변 안전관리 인력 확대 편성

∙ 여름철 3개 지구 해변 탐방관리를 위한 지자체 협업 체계 구축

* 지자체 협력 코로나 대응 및 안전관리 인력 확대 배치: ‘19년 17명→‘20년 44명

* 탐방인프라(야영장) 관리 인력 및 해변 환경관리 인력 신규 고용: 6명

자생식물 복원

협력사업 추진 ∙ 홍도지구 특정식물(홍도원추리) 서식지 확대 조성사업 추진

* 탐방객밀집지역에대한특산식물홍보및서식지조성사업참여: 연인원140명(7일×20명)

해안사구 침식

예방사업 추진 ∙ 관매도 해변 사구포락 및 해송림 훼손 방지사업 협력 참여

* 지자체 예산 3억원 투입 예방시설 연장 설치 및 지역기술자 고용: 연인원8명(2일×4명)

민관협력 코로나 대응센터 운영 수익시설 관리 인력 신규 채용 지자체 홍도원추리 복원 사업 지자체 사구침식 예방사업 참여

3. 추진성과

□ 도서지역 특성을 반영한 일자리 제공 확대로 경제적 직접 지원 및 소득원 창출 - 공원사업 참여 , 현장관리 , 기관협력 사업 등 9 개분야 맞춤형 일자리 확대 제공

* 공원관리 직접 일자리 수: ‘19년 233개→‘20년 367개

* 기관협력사업발굴을통해지자체 예산 확보 및일자리 창출 투입 특산식물복원68백만원, 사구침식예방사업300백만, 안전관리145백만원 - 서식지 복원으로 지역주민 고부가가치 작물 소득 증대

* 해조류(뜸부기) 유입·수확량: ‘19년 30kg→‘20년 40kg

* 해조류(뜸부기) 판매 소득 증대: ‘19년 3백만원→‘20년 4백만원 장 애 요 인

극 복 방 안

주 요 성 과

•코로나19로 탐방객 수 감소

•일자리 감소, 지역경제 침체

•공원관리 연계, 신규 일자리 사업 발굴

•일자리 창출을 위한 민∙관협력체계 구축

•주민의 직접 공원관리참여로 이해도 증진

•지역경제 활성화 및 주민 소득 증대

Referensi

Dokumen terkait

당화활성 효소 특성 분석 및 효소 믹스 활성 평가 발굴된 각각의 유전자원은 재조합 단백질로 생산하기 위해 신호서열을 제외한 단백질 코 딩 영역을 PCR poymerase chain reaction 방법으로 증폭시켰으며, 증폭된 유전자들은 발현벡 터 expression vector인 pET-24a+ 혹은 pMal 등에 클로닝

◦ 이는 전문대학 재학생들의 기초학습능력 부진, 인성교육의 부재, 취업 경쟁력 미달이라는 사회적 인식 개선과 학생별 수준을 고려한 맞춤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재학생들의 교육 만족도를 높이고자 함이며, ◦ 전문대학의 본 설립 목적대로 산업체의 주문식 교육 맞춤형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전문기술을 습득한 기술력 있는 현장 실무 맞춤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