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명: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해양공원 현장 맞춤형 직접 일자리사업 발굴 및 제공
부서 담당자
1. 추진 배경 및 목적
□ 코로나19 지속상황에 따른 도서지역 탐방객 감소, 일자리 부족 등 지역경제 위축 ○ 코로나19 여파로 사업장 폐업, 외지 지역민 귀향 등 경제활동 수요 증가 ○ 사회적거리두기, 지역이동 자제 등 코로나19 확산방지 추세로 탐방객 수 급감
* 탐방객 수: 전년대비 △45.9%(‘19년: 394천명 →‘20년: 213천명)
□ 지역주민 경제여건 극복을 위한 소득 주도형 직접 일자리 제공 확대 ○ 도서지역별 공원사업을 연계한 지역경제 활성화 추진사업 발굴 ○ 공원관리 수요 특성을 반영한 지역민 대상 맞춤형 직접 일자리 제공
2. 추진내용 □ 과제개요
추진 방향
공원사업 참여 공원 환경관리 유관기관 협력
도서지역 공원사업 유형별 주민 인력풀 확보 및 일자리 창출
주민 참여형 공원환경 개선사업 추진 경제적·생활편익 지원
탐방환경·인프라 조성 민관 협력 및 지역주민 일자리 제공 확대
실행 과제
∙ 도서생태계 복원사업 참여
∙ 법정관리종 제거사업 참여
∙ 현장관리 공개채용 일자리 확대
∙ 명품마을 탐방로 및 경관 정비
∙ 공원 내 존치마을 환경개선
∙ 마을 인접 보호구역 서식지 관리
∙여름철 해변 안전관리 인력 확대 편성
∙ 자생식물 복원 협력사업 추진
∙ 해안사구 침식 예방사업 추진
공원관리 참여형 직접 일자리 제공 확대로 주민 소득 및 공원관리 이해도 증진
□ 세부추진 내용
○ [공원사업 참여] 도서지역 공원사업 유형별 주민 인력풀 확보 및 지역주민 일자리 창출
실행과제 주요 실적
도서생태계 복원사업 참여
∙ 도서 훼손지 및 생물종 서식지 복원사업 지역주민 일자리 제공
* 우이도 풍성사구 유입식물 제거 및 관리: 연인원 50명 참여(5일×10명)
* 진도군 해안 해조류(뜸부기) 서식지 조성 및 복원: 연인원 7명 참여
법종관리종
방제사업 참여 ∙ 진도군 남동리 일원 해양생태계교란 법정관리종 제거·모니터링 참여
* 농한기 지역주민 대상 갯벌 위해식물 갯줄풀 제거 참여: 연인원 9명
현장관리 공개채용
일자리 확대 ∙ 현장관리 직원 공개채용 확대를 통한 인력풀 확보 및 고용 증대
* 탐방로 보수, 공원순찰, 해양양쓰레기 수거 등 현장관리 인력 확대: 82명
우이도 풍성사구 유입식물 제거 해조류 서식지 복원 법정관리종 갯줄풀 제거 해양쓰레기 정화활동
○ [공원 환경관리] 주민 참여형 생활환경 개선사업 추진을 통해 경제적·생활편익 지원
실행과제 주요 실적
명품마을 탐방로·경관개선
∙ 명품마을 노후 탐방인프라 정비 및 탐방환경 개선사업 추진
* 영산도 명품마을 탐방로 및 공용시설 정비: 연인원 8명(2일×4명)
* 관매도 마실길 정화활동 및 탐방환경 개선 활동: 연인원 35명(5일×7명)
존치마을
환경개선 ∙ 공원 내 존치마을 주민 생활환경 및 정주여건 개선활동 참여
* 흑산도 암동마을 해안 유입 해양쓰레기 수거 등 환경개선사업: 연인원 30명
보호구역
서식지 관리 ∙ 흑산도 장도마을 인접 습지 특별보호구역 서식지 저해요소 제거
* 마을 주요자원인 습지 진입로 풀베기 등 서식지 관리: 연인원 30명(3일×10명)
영산도 명품마을 공용시설 정비 관매도 마실길 정비 암동마을 해양쓰레기 수거 장도습지 탐방로 관리
○ [유관기관 협력] 탐방환경·인프라 조성을 위한 민관 협력 및 일자리 제공 확대
실행과제 주요 실적
여름철 해변 안전관리 인력 확대 편성
∙ 여름철 3개 지구 해변 탐방관리를 위한 지자체 협업 체계 구축
* 지자체 협력 코로나 대응 및 안전관리 인력 확대 배치: ‘19년 17명→‘20년 44명
* 탐방인프라(야영장) 관리 인력 및 해변 환경관리 인력 신규 고용: 6명
자생식물 복원
협력사업 추진 ∙ 홍도지구 특정식물(홍도원추리) 서식지 확대 조성사업 추진
* 탐방객밀집지역에대한특산식물홍보및서식지조성사업참여: 연인원140명(7일×20명)
해안사구 침식
예방사업 추진 ∙ 관매도 해변 사구포락 및 해송림 훼손 방지사업 협력 참여
* 지자체 예산 3억원 투입 예방시설 연장 설치 및 지역기술자 고용: 연인원8명(2일×4명)
민관협력 코로나 대응센터 운영 수익시설 관리 인력 신규 채용 지자체 홍도원추리 복원 사업 지자체 사구침식 예방사업 참여
3. 추진성과
□ 도서지역 특성을 반영한 일자리 제공 확대로 경제적 직접 지원 및 소득원 창출 - 공원사업 참여 , 현장관리 , 기관협력 사업 등 9 개분야 맞춤형 일자리 확대 제공
* 공원관리 직접 일자리 수: ‘19년 233개→‘20년 367개
* 기관협력사업발굴을통해지자체 예산 확보 및일자리 창출 투입 특산식물복원68백만원, 사구침식예방사업300백만, 안전관리145백만원 - 서식지 복원으로 지역주민 고부가가치 작물 소득 증대
* 해조류(뜸부기) 유입·수확량: ‘19년 30kg→‘20년 40kg
* 해조류(뜸부기) 판매 소득 증대: ‘19년 3백만원→‘20년 4백만원 장 애 요 인
▶
극 복 방 안
▶
주 요 성 과
•코로나19로 탐방객 수 감소
•일자리 감소, 지역경제 침체
•공원관리 연계, 신규 일자리 사업 발굴
•일자리 창출을 위한 민∙관협력체계 구축
•주민의 직접 공원관리참여로 이해도 증진
•지역경제 활성화 및 주민 소득 증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