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해양생태계 건강지수 개발을 위한 기획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해양생태계 건강지수 개발을 위한 기획연구"

Copied!
136
0
0

Teks penuh

본 보고서는 한국해양연구원에서 수행한 기관과제 연구결과 보고서입니다. 해양 생태계 건강 지수 개발을 위한 연구 설계

제 목

진해만 해양생태계의 건강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 및 건강목표치 설정 진해만생태계건강지수(JEHI) 개발 및 건강평가 발표

해양생태계 건강지수의 필요성

해양생태계 건강지수 개발 및 활용과정 다양화 가. 해양생태계 평가결과 표출의 중요성

Figure  1-1-2.  해양생태계  건강지수  개발  과정  및  활용의  다원화 가. 해양생태계  평가결과  표현법의  중요성
Figure 1-1-2. 해양생태계 건강지수 개발 과정 및 활용의 다원화 가. 해양생태계 평가결과 표현법의 중요성

해양생태계의 건강성

해양생물의 서식처에 따른 해양생태계의 유기적 관계. 해양 생태계의 용량 초과로 인한 이상 증상.

Figure  1-2-3.  해양생물의  다양한  서식지에  기반  한  해양생태계의  유기적  관계
Figure 1-2-3. 해양생물의 다양한 서식지에 기반 한 해양생태계의 유기적 관계

해양생태계 건강성의 수리적 표현

종합색인, 세부색인, 세부기사의 연결도. 제3절 해양생태계 건강지수 개발체계.

Figure  1-2-5.  종합지수 ,  세부지수 ,  세부항목의  연계  모식도
Figure 1-2-5. 종합지수 , 세부지수 , 세부항목의 연계 모식도

해양생태계 건강 진단항목 구성의 조직화

지표로는 부영양화 압력에 대한 생물학적 반응인 엽록소의 농도, 규조류와 와편모류의 개체군 비율, 인체에 해를 끼칠 수 있는 수심지표로서 유해 미세조류의 수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인구, Escherichia coli 또는 Vibrio의 밀도는 추가 지표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수질, 저서생물, 퇴적물 등의 건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많은 지표들을 동일한 맥락에서 선정하여 측정하고 있으며, 평가대상 해양지역의 생태계 특성 및 평가목적에 따라 지표의 설정이 달라질 수 있다. 평가됩니다.

해양생태계 건강 진단항목의 측정법 및 수리법 표준화

측정된 지표 중 얼마나 많은 지표가 기준값을 초과하는지에 대한 개념인 Scope(얼마나?); 빈도(얼마나 자주?)는 총 측정 횟수에서 각 지표가 기준치를 초과한 횟수의 개념입니다. 지표값이 기준값을 몇 번 초과했는지를 나타내는 진폭(얼마나?)의 개념을 수학적으로 반영해야 한다. 이 유압 방식은 캐나다, 호주 및 San에서 개발되었습니다.

해양생태계 건강 진단항목의 측정치 기준화

프란시스코만 해양환경/생태계 평가 시 적용하여 국내 지수화함. 섹션 1 해양 생태계 건강 평가의 목표 값 개념.

국내 해양생태계 건강성 평가기준 설정의 한계성

국내 해양생태계 건강성 평가를 위한 목표치 적용

생태계 관리 목표(녹조 감소). 목표 해양 생태계 관리 목표의 예.

Figure  2-1-1. 해양생태계  평가를  위한  해양환경의  가치 ,  목표 ,  목표치  설정의  연계성
Figure 2-1-1. 해양생태계 평가를 위한 해양환경의 가치 , 목표 , 목표치 설정의 연계성

체서피크 만의 Secchi 깊이와 DIN 및 DIP 표준 설정의 기초. 이해관계자의 환경적 가치, 목표 및 목표 설정 방법

Figure  2-2-1.  Chesapeake  Bay 의  Secchi  depth와  DIN,  DIP  기준치  설정  근거
Figure 2-2-1. Chesapeake Bay 의 Secchi depth와 DIN, DIP 기준치 설정 근거

Moreton Bay 건강성 평가 목표치

Moreton Bay 환경의 가치, 목표 및 목적. 호주 Moreton Bay의 해양 지역별 수질 지표 목표 값.

Table  2-3-1.  호주  Moreton  Bay  환경가치에  따른  환경목표와  목표치  (QWQG,  2001)
Table 2-3-1. 호주 Moreton Bay 환경가치에 따른 환경목표와 목표치 (QWQG, 2001)

표 3-1-1과 같이 해양데이터를 DB화하는 필드는 데이터 관련 정보인 Metadata와 관측 데이터인 Data로 구분하여 구성하였다. 해양데이터 DB를 위한 메타데이터 및 데이터 구성 항목입니다.

보고서에 게재된 종이 지도 상의 관측 지점(a)은 GIS를 이용하여 수치적으로 추출한 후 GIS 기본 지도(b)에 표시하였다.

Figure  3-1-1.  보고서에  게재된  종이  지도상의  관측지점 (a)을  GIS를  이용하여  수치로  추출한  후  GIS  기본도상에  올려  그려진  관측  지점도 (b)
Figure 3-1-1. 보고서에 게재된 종이 지도상의 관측지점 (a)을 GIS를 이용하여 수치로 추출한 후 GIS 기본도상에 올려 그려진 관측 지점도 (b)

유해미세조류(HMS)에 해당하는 대부분의 종은 와편모류에 속한다(Kim 2005). 진해만 생태계 건강성 평가를 위한 부유생물 지표 및 대상.

Figure  3-2-1.  표준점수 (Z-score)의  정규분포에  따른  자료의  분포  범위  설정
Figure 3-2-1. 표준점수 (Z-score)의 정규분포에 따른 자료의 분포 범위 설정

Azti의 BioIndices 및 BioIntegration Indices는 예시만 사용합니다. 결과적으로 Azti의 생물학적 지수는 건강한 식민지에 긍정적입니다.

Table  3-2-3.  AMBI와  BIBI를  득량만에  적용한  결과  나타난  정상상태의  지수값과  기존  기준치와의  비교
Table 3-2-3. AMBI와 BIBI를 득량만에 적용한 결과 나타난 정상상태의 지수값과 기존 기준치와의 비교

일반적으로 서해 연안과 남해 연안의 평균 농도는 비슷하지만 발트해 연안은 비슷하다. 한편, 남해와 발트해 연안지역의 용존무기질소 농도 기준은 유사하다.

Table  3-2-5.  연안역별  엽록소 (Chl.  a),  용존무기질소 (DIN),  용존무기인 (DIP)  자료의  기본  통계량.
Table 3-2-5. 연안역별 엽록소 (Chl. a), 용존무기질소 (DIN), 용존무기인 (DIP) 자료의 기본 통계량.

퇴적물을 기준으로 품질 농도를 결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퇴적물의 오염 물질 농도와 관찰된 생물학적 영향 사이의 관계를 기반으로 합니다.

Table  3-2-8.  퇴적물  환경기준  개발에  이용되는  방법론  비교  (한국환경정책 ․ 평가연구원 ,
Table 3-2-8. 퇴적물 환경기준 개발에 이용되는 방법론 비교 (한국환경정책 ․ 평가연구원 ,

저서오염지수 (BPI)

8월 진해만에서 출현한 거대저서동물군을 이용한 3가지 지표(BPI, AMBI, BIBI). 본 연구에서는 진해만 득량만의 저서생물을 이용하여 잠정적으로 수립한 저서오염지수 기준을 적용하여 저서건강성을 평가하였다.

Azti's 생물지수

남해안 특별관리구역인 마산만과 연결되어 있는 진해만은 남쪽으로는 거제도, 동쪽으로는 외해와 연결된 반폐쇄해역이다. 이와 같이 AMBI와 BPI는 저서군락이 상대적으로 깨끗한 해역보다 오염된 해역에서 유사한 경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Figure  4-2-1.  1998년  5월과  2007년  8월에  진해만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저서오염 지수  (BPI).
Figure 4-2-1. 1998년 5월과 2007년 8월에 진해만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저서오염 지수 (BPI).

저서생물 통합지수 (BIBI)

본 연구는 통합수질평가를 위한 방법론적 사례로서 향후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유기물 오염의 공기중 지표로 정착세균과 관련하여 DOC를 수질지수에 포함시켜 평가를 시도하였다.

Table  4-3-1.  진해만  수질  평가를  위해  설정된  각  수질  요소들의  기준  농도 ,  점수표 (score)  및  등급표 (grade)
Table 4-3-1. 진해만 수질 평가를 위해 설정된 각 수질 요소들의 기준 농도 , 점수표 (score) 및 등급표 (grade)

진해만 표층 퇴적물의 중금속 및 유기오염물질 농도. 진해만 표층 퇴적물의 유기오염물질 및 중금속 분포.

Figure  4-4-1.  진해만  표층퇴적물  중  유기오염물질  및  중금속의  분포
Figure 4-4-1. 진해만 표층퇴적물 중 유기오염물질 및 중금속의 분포

진해만 퇴적물의 환경지수 산출

각종 퇴적물 권고기준으로부터 산정된 진해만의 퇴적물 환경지수(a). 진해만 표층퇴적물에서 PCDD/Fs와 TBT의 공간분포.

Table 4-4-2. 진해만 조사정점 중 화합물별 퇴적물 권고기준을 초과하는 빈도  (%)
Table 4-4-2. 진해만 조사정점 중 화합물별 퇴적물 권고기준을 초과하는 빈도 (%)

진해만 생태계 건강지수 및 건강등급

반대로 생태계 건강도가 가장 좋은 수역은 서해역과 중부해역으로 모든 하위지표가 A등급 또는 B등급에 속하였다. 꼭지점별 세부지표의 건강성 평가와 진해만 생태계 건강성 평가에 의한 세부지표 통합을 통한 진해만 생태계 건강성 평가 지도.

Table  4-5-2.  2007년  8월  진해만  조사결과  WQI,  PHI,  SQI,  B-IBI의  정점별  등급
Table 4-5-2. 2007년 8월 진해만 조사결과 WQI, PHI, SQI, B-IBI의 정점별 등급

부유생물지수의 연도별 변화

5월에는 극심한 오염 수준이 피크 5에서만 나타났고 8월에는 저산소증이 나타났습니다. 종은 정점 1과 5에서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는 극단적인 오염 수준을 나타냅니다.

Figure  5-1-2.  부유생물  건강지수 (PHI)의  연도별  변화
Figure 5-1-2. 부유생물 건강지수 (PHI)의 연도별 변화

Azti's 생물지수 (AMBI)

2004년 마산만에서 출현한 거대저서동물 생물통합지수(BIBI). 2005년 마산만에서 출현한 거대저서동물 생물통합지수(BIBI).

Figure  5-2-5.  2005년  마산만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Azti
Figure 5-2-5. 2005년 마산만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Azti's 생물지수 (AMBI).

결론

환경 보호 지역의 생물다양성 보전 조간대 생물지표. 습지 보호 수역에서 습지 생물다양성 보호 갯벌의 생물학적 지표.

Figure  5-3-1.  마산만  수질지수 (WQI)의  연도별  계절  변화
Figure 5-3-1. 마산만 수질지수 (WQI)의 연도별 계절 변화

남해 해역별 이용 특성에 따른 환경목표의 차별화

해역구분 환경목표평가 차별화 특별관리원 오염물질 집중처리 미세조류 발생지수. 어패류 생산 지정 구역에서 어패류 안전 보장 어패류 지표.

Figure  2-3-1 .  34개  항만환경  인자를  사용한  상대적인  항만의  환경  유사도  지수  (부산항  기 준 ).
Figure 2-3-1 . 34개 항만환경 인자를 사용한 상대적인 항만의 환경 유사도 지수 (부산항 기 준 ).

남해생태계 건강성 평가의 구분

제2절 남해생태계 건강성 평가 추진체계.

상세한 해양 생태계 건강 평가 지수의 복합 시스템. 남해생태계 데이터베이스 및 건강 목표 산출.

Figure  6-3-1. 해양  생태계  건강성  평가의  세부지수의  구성  체계
Figure 6-3-1. 해양 생태계 건강성 평가의 세부지수의 구성 체계

사업추진체계

남해생태계 건강지수 산정 및 건강불량요인 발굴 남해생태계 관리 연계방안 수립 남해생태계 데이터 DB 구축 및 건강목표치 산정 남해생태계 건강지수 산정 및 이상요인 탐지 남해생태계 관리 연계 방안 수립

온·오프라인 서비스 체계 구축 남해생태계 모니터링 및 분석 가이드라인 구축 제4절 남해생태계 건강성평가 결과 활용방안.

온라인 서비스

오프라인 서비스

해역 관리방안 서비스

진해만 대형 저서생물 분석에 의한 저서환경 평가. 해양 저서 식물군에 의한 환경 평가(해양 환경 기술 관리에 관한 보고서).

Figure  6-3-2.  해양  생태계  모니터링 ,  건강진단 ,  해역관리의  순차적  시스템
Figure 6-3-2. 해양 생태계 모니터링 , 건강진단 , 해역관리의 순차적 시스템

Gambar

Table  1-2-1.  해양생태계  건강검진  결과표의  예시
Figure  1-2-5.  사람의  종합  건강검진  결과표
Figure  1-2-5.  종합지수 ,  세부지수 ,  세부항목의  연계  모식도
Figure  1-3-1.  해양생태계  서식지별  기반  요소의  상호  관계
+7

Referensi

Dokumen terkait

Thus: “This is my body, which is given for you.” These words Christ says to all who receive the Lord’s Supper, therefore you must cleave to them by faith, and say, I come and desi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