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8 12 16 20 24 28
Winter Spring Summer Autumn
PHI
제 1절 마산만 부유생물지수
1. 부유생물지수의 계절별 변화
마산만에서 대표정점을 4개 선정하여 2006년 2월, 5월, 8월, 11월에 E. coli를 제외한 부 유생물 지표를 측정했다 (장 2006). 이 조사결과를 토대로 부유생물지수를 산출하여 계절 별 비교를 시도했다 (Fig. 5-1-1). 단, E. coli 자료 부재로 HB의 포식자로 HB 밀도와 상관 성이 깊은 섬모충 개체수를 지표로 대치하여 평가했다. 섬모충 개체수의 목표치는 2006-2008년 까지 측정된 자료를 근거로 정규분포로부터 중앙값에 해당하는 1x104 cells L-1 을 적용하였다.
2006년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춘계에 가장 높은 PHI 값, 22를 기록하였으며 등급은 최 하등급인 D에 해당했으며 문제의 지표는 유해성 미세조류, 종속영양 박테리아, 섬모충 개 체수로 모두 목표치를 2배 이상 초과하였다. 반대로 부유생물 건강성이 가장 양호한 계절 은 추계로 PHI 값이 8로 A등급에 해당하며 모든 지표가 목표치를 초과하지 않아 부유생 태계의 건강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Fig. 5-1-1).
Figure 5-1-1. 부유생물지수의 계절 변화 (2006년 자료 근거)
사결과를 토대로 부유생물 건강지수를 산출하여 연도별 비교를 시도했다. 계절별 비교와 마찬가지로 E. coli 대신 섬모충 개체수를 지표로 설정하여 평가했다.
2004년에서 2007년 사이의 PHI는 지속적인 소폭의 상승 추세를 보였다 (Fig. 5-1-2).
2004년 13, 2005년 14.5, 2006년 15, 2007년 16의 지수 값이 산출되었다. 추계와 동계보다 춘계와 하계에 부유생물 건강성 악화가 두드러졌으며 2004-2005년에는 chl. a 농도와 HMS 개체수가 목표치 초과를 보였고, 2006년에는 HMS와 HB, 2007년에는 chl. a, HB, 섬모충이 각각 목표치 초과를 보였다. 즉, 2004년에서 2007년으로 진행하면서 유기물 오염의 압력에 의한 부유생물 관련 지표가 건강성 악화의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이 같은 결과를 토대로 미래 마산만의 해역 건강성 회복을 위해서 유기물 오염원의 관리가 요구된다고 제 안할 수 있다.
4 8 12 16 20 24 28
2004 2005 2006 2007
PHI
Figure 5-1-2. 부유생물 건강지수(PHI)의 연도별 변화
제 2절 마산만 저서생물지수
마산만의 저서생물군집 자료는 한국해양연구원이 수행한 기본사업 (남해 특별관리해역 의 환경위해성평가 연구)의 일환으로 2004년 2월부터 2006년 5월까지 1개월 간격으로 6개 정점에서 조사된 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04년부터 2006년까지 6개 조사 정점 에서 계절 조사를 실시한 자료를 바탕으로 마산만의 저서생물의 건강도를 3개 저서생물지 수 (BPI, AMBI, BIBI)로 평가해 보았다. 각 지수의 건강도 평가기준은 Table 5-2-1과 같다.
Table 5-2-1. 대형저서동물 군집 건강도 평가기준
Condition / Index BPI AMBI Condition / Index BIBI
Normal ≥60 0-1.2 Meets restoration goals ≥3.0
Slightly polluted 40-60 1.2-3.2 Marginal 2.7-3.0
Moderately polluted 30-40 3.2-5.0 Degraded 2.0-2.7
Highly polluted 20-30 5.0-6.0 Severely degraded ≤2.0 Very highly polluted ≤20 6.0-7.0
1. 저서오염지수 (BPI)
저서오염지수는 2004년 2월에는 전체의 50%인 6개 정점 중 3개 정점에서 극심하게 오 염된 군집상태를 보였고, 2개 정점에서 약간 오염된 군집상태를 보였고, 가장 외해에 위치 한 정점 21은 건강한 군집상태를 보였다 (Fig. 5-2-1). 2004년 5월에는 가장 안쪽에 위치한
정점 1에서만 극심한 상태의 오염이 나타났고, 정점 12와 정점 21은 건강한 상태를 보였
다. 8월 조사에서는 hypoxia 현상으로 정점 5, 8, 12에서 종이 출현하지 않았다. 그리고 오 염지시종인 다모류의 Paraprionospio pinnata가 출현한 정점 1에서도 극심한 오염 상태를 보 였다. 11월 조사에서는 4개 정점에서 극심하게 오염된 군집상태를 보였고, 정점 21에서만 건강한 군집 상태를 보였다. 2005년 2월에는 6개 조사정점 중 5개 정점에서 극심하게 오염 된 군집상태를 보였고, 외해에 위치한 정점 21에서만 건강한 군집상태를 나타냈다 (Fig.
5-2-2). 5월에는 정점 5에서만 극심한 수준의 오염이 나타났고, 8월에는 hypoxia 현상으로
정점 1과 5에서 종이 출현하지 않아 극심한 수준의 오염이 나타났다. 11월 조사에서는 마
산만 내부에 위치한 4개 정점에서 극심한 수준의 오염이 나타났고, 외해의 정점은 약간 오 염된 상태 혹은 건강한 군집상태를 보였다. 2006년 2월 조사에서는 마산만 내부에 위치한 정점 1, 5, 8에서 극심한 수준의 오염이 나타났고, 5월 조사에서는 정점 1에서만 극심한 수 준의 오염이 나타났다 (Fig. 5-2-3). 마산만을 3년 동안 계절조사를 하여 저서생물 건강도를 알아 본 결과, 봄철에 가장 건강한 군집조성을 보였고 여름철에는 hypoxia 현상으로 인하
여 심각한 수준의 오염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외해에 인접한 정점 (정점 21) 에서는 모든 조사계절에서 건강한 군집상태를 보였다.
Figure 5-2-1. 2004년 마산만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저서오염지수 (BPI).
Figure 5-2-2. 2005년 마산만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저서오염지수 (BPI).
Figure 5-2-3. 2006년 마산만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저서오염지수 (B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