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황해 저층냉수괴의 거동과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황해 저층냉수괴의 거동과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연구"

Copied!
8
0
0

Teks penuh

(1)

요 약 문

Ⅰ. 제 목

황해 저층냉수괴의 거동과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연구

Ⅱ.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1. 연구개발의 필요성

○ 황해저층냉수(Yellow Sea Bottom Cold Water)(수온<10℃)가 황해 유용어류자

원의 주요 먹이인 요각류 Calanus sinicus의 over-summering site임이 밝혀지

면서 황해 저층냉수괴의 생태계 구조와 기능 및 가치의 해석 필요성이 대두되 고 있음

○ 우리나라에서는 황해저층냉수괴를 기초로 한 해양환경특성 연구가 전무한 상태 이며, 황해저층냉수괴의 특성이 가장 뚜렷한 하계절의 생태계 수직구조 특성 연 구 또한 전무한 상태임

2. 연구개발의 목적

○ 황해저층냉수괴 내 부유생태계 먹이망 구조 및 환경특성 그리고 상호관계 파악

○ 황해저층냉수대의 시공간적 거동과 생태계 end-to-end 먹이망 구조와의 상호 관계 규명

○ 황해저층냉수괴 발달 전과 후의 동물플랑크톤 분포 특성 파악

○ 황해저층냉수괴 대표종인 Calanus sinicus 이외의 잠재적 주요종 탐색

○ 황해저층냉수괴 형성/발달에 따라 크릴 Euphausia pacifica를 포함한 동물플랑

크톤의 크기별 섭식 생태 비교 및 역할 변화 규명

○ 황해저층냉수괴 내의 주요 동물플랑크톤의 생존 전략을 음향산란층의 표층-저 층 수직 구조와 환경자료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규명

○ 황해저층냉수대 유무에 의한 생태계 구조(먹이망) 특성 규명을 하기 위해 주요 생물종에 대한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수행하여 에너지흐름 및 영 양단계를 파악

Ⅲ.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1. 연구기간

(2)

2014년 1월 1일 ~ 2014년 12월 31일

2. 연구내용 및 범위 가. 물리분야

나. 생태계 모델링

다. 이화학 특성 및 식물플랑크톤 라. 동물플랑크톤

마. 크릴 및 최상위포식자 바. 생물음향

사. 먹이망 구조

Ⅳ. 연구개발결과

가. 물리분야 나. 생태계 모델링

다. 이화학 특성 및 식물플랑크톤 라. 동물플랑크톤

마. 크릴 및 최상위포식자 바. 생물음향

사. 먹이망 구조

Ⅴ.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가. 물리분야 나. 생태계 모델링

다. 이화학 특성 및 식물플랑크톤 라. 동물플랑크톤

마. 크릴 및 최상위포식자 바. 생물음향

사. 먹이망 구조

(3)

S U M M A R Y 및 KEYWORDS

Ⅰ. Title

The study on the impact of the Yellow Sea Bottom Cold Water Mass to the ecosystem

Ⅱ. Necessities and Objectives of the Study

1. Necessities of the Study

- The Yellow Sea ecosystem needs management in terms of large marine ecosystem's view because environmental capacity of the ecosystem is nearly on the edge of their tolerance by inappropriate anthropogenic activities.

-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ies of oceanographic structures considering YSBCW characteristics are required for sustainable and systematic management of environment in the Yellow Sea.

2. Objectives of the Study

- Surveys about oceanographic features of YSBCW, which support marine fishery resources, could be practical data for making estimates of major fisheries resources in the Yellow Sea.

- The sustainable investigation of characteristics of YSBCW is available to induce public interest which help to conserve and protect the ecosystem from the marine pollutant, overfishing and drifting sewage problems.

Ⅲ. Contents and Scopes of the Study

1. Research period

January 1, 2014 - December 31, 2014

2. Contents and scopes of the study

(4)

a. Physical system b. Ecological modelling

c. Chemical factors and Phytoplankton d. Zooplankton

e. Krill and Fish f. Bio-acoustic

g. Food-web structure

Ⅳ. Results

1. Physical system 2. Ecological modelling

3. Chemical factors and Phytoplankton 4. Zooplankton

5. Krill and Fish 6. Bio-acoustic

7. Food-web structure

Ⅴ. Application plans of the study results

1. Physical system 2. Ecological modelling

3. Chemical factors and Phytoplankton 4. Zooplankton

5. Krill and Fish 6. Bio-acoustic

7. Food-web structure

(5)

C O N T E N T S

Summary ···

Chapter 1. Outline of the study ···

Section 1. Necessities of the study ···

Section 2. Objectives and contents of the study ···

Chapter 2. States of technical trends and outlook ···

Section 1. Trends of study in Korea ···

Section 2. Trends of study in foreign countries ···

Section 3. Weak point of current technology status ···

Chapter 3. Results of the study ···

Section 1. Physical system ···

Section 2. Ecological modelling ···

Section 3. Chemical factors and Phytoplankton ···

Section 4. Zooplankton ···

Section 5. Krill and Fish ···

Section 6. Bio-acoustic ···

Section 6. Food-web structure ···

Chapter 4. Achievements of objectives and contributions to the related area ···

Section 1. Achievements of objectives ···

Section 2. Contributions to the related area ···

Chapter 5. Application plans of the study results ···

Chapter 6. References ···

(6)

Appendix ···

(7)

목 차

요약문 ···

제 1 장 서론 ···

제1절 연구개발의 필요성 ···

제2절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제1절 국내 연구동향 ···

제2절 국외 연구동향 ···

제3절 기술상태의 취약성 및 전망 ···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

제1절 물리환경분야 ···

제2절 생태계 모델링 ···

제3절 이화학특성 및 식물플랑크톤 ···

제4절 동물플랑크톤 ···

제5절 크릴 및 어류 ···

제6절 생물음향 ···

제7절 먹이망 구조 ···

제 4장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및 대외 기여도 ···

제1절 목표 달성도 ···

제2절 대외 기여도 ···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제 6 장 참고문헌 ···

(8)

부록 ···

Referensi

Dokumen terkait

I would like to thank you and your officers for acknowledging and reporting upon the significant work the Department of Home Affairs the Department and Australian Border Force ABF has

The agreement of Matthew and Luke at this point makes a rather strong case for their use of a source which placed a visit of Jesus to Nazareth early in the gospel story.. This sou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