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646 양현태 20071539 김영진
Mobile IPV6
목차
개요
• 정의 (Mobile IPV6)
• 필요성
• 특징
용어설명
기술설명
• MIPV4 vs MIPV6
• 동작원리
향후전망
Q & A
개요
정의 (Mobile IPV6)
• Moblie Internet Protocol Version 6
• 이동 통신을 위한 IPv6 프로토콜
• IPV6 주소를 사용하는 이동단말을 인증하는데 사용되는 IETF 이동 IP 표준
• 기존 IPV6 에 이동성 헤더를 추가 , 이를 통한 바인딩 관련 메시지 전송
개요
필요성
•
고품질의 인터넷 서비스 이용 요구•
휴대용 컴퓨터나 PDA 같은 이동 단말기들의 성능향상•
무선통신 기술의 발전과 사용자 수 증가•
IPV4 의 주소부족 문제 해결•
차세대 IPV6 를 이용한 이동성 제공개요
특징
•
무한대에 가까운 주소공간•
주소 자동설정 기능 : Easy to use, Always On 서비스 기능•
보안기능 : 보안기능이 프로토콜 자체 내에 포함•
라우팅 : 효율적으로 이동성환경 제공용어설명
- MN(Mobile Node) : 자신의 망 접속위치를 바꾸는 호스트 또는 라우터 - CN(Correspondent Node) : 이동노드와 통신하고 있는 호스트 또는 라우터 - Home Network : MN가 이동하기 전 홈 링크의 Prefix 를 따르는 주소의 망
- HA(Home Agent) : 이동 노드의 현재 위치로 데이터그램을 보내주는 HN의 라우터 - COA(Care of Address) : MN가 외부 네트워크로 이동시 ,HN 주소외 새로 이동한 네 트워크 주소를 생성
- Binding : MN가 외부 네트워크로 이동시 HA의 등록 주소와 해당노드의 주소를 같 게 함
- BU(Binding Update) : 이동노드가 홈 에이전트와 대응노드에게 자신의 주소를 알림 - BA (Binding Acknowledgement) : 홈 에이전트는 이동노드에게 BU에 대한 응답으 로 BA 전송
- Binding Request : 대응노드가 이동노드에게 BU를 요구할 때 전송
- Home Address Option : MN가 외부 네트워크에서 CN와 통신할 때 Datagram 의 근원지 주소로 자신의 COA를 사용
기술설명
MIPV4 vs MIPV6
항목 Mobile IPv4 Mobile IPv6 구성요소 MN,CN,HA,FA MN,CN,HA
FA 사용 필수 불필요
라우팅 최적화 Triangle
Routing 문제 Triangle Routing 해결
Home Agent
Intercept ARP 사용
Neighbor Dis- covery 사용
robustness 향상 구현의 단순화
패킷 전송
IP
encapsulation 사용
오버헤드 있음
IPv6 Routing Header
오버헤드 없음
Mobile IPv6 동작원리
Mobile Node 이동 ..
Mobile IPv6 동작원리
① 홈에이전트 등록
(Home Agent Registration)
Mobile IPv6 동작원리
② 트라이앵글 라우팅 – IPv4 한계
(Triangle Routing)
Mobile IPv6 동작원리
③ 라우팅 최적화 – Ipv6( 트라이앵글 라우팅 해결 )
(Routing Optimization)
Mobile IPv6 동작원리
Foreign Link
대응 노드(CN)
1. 이동
2. BU/BA
3. Data 전송
이동노드 이동노드(MN)
Home Link
홈 에이전트(HA)
홈주소
- CoA
5. BU/BA
6. Data(BU) Turnneling
4. Data
향후전망
향후전망
향후전망
12 년 6 월 개최된 World IPv6 Launch’ ‘ 에 Google, Facebook, Yout ube 등을 포함한 주요 글로벌 사업자들이 대거 참여하여 글로벌 IPv6 도입 확산에 대해 논의하는 한편 , 이들 사업자들의 IPv6 본격 상용화 로 글로벌 IPv6 시대가 개막함
‘11 년 5% 수준이었던 글로벌 사업자들의 IPv6 도입률이 12 ’ 년 6 월 13% 로 크게 증가했으며 IPv4 주소 고갈의 임박에 따라 주요 사업자들 의 IPv6 도입은 더욱 빠르게 확산 될 것으로 전망됨 (BT, 2012.06)
이에 따라 IPv6 관련 장비 및 End-user 단말 , 콘텐츠 및 플랫폼 관련 기술 등의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
그러나 여전히 IPv6 도입과 관련하여 국내외 사이트들의 호환성 문제 ,
보안 취약성 등 일부 문제가 남아있어 원활한 IPv6 도입을 위해서는 이
를 우선 해결해야 할 필요가 있음
Q & A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