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01
현물 원유가격 추이
[일간 원유가격 변동] [주간 원유가격 변동]
자료: Reuters, 한국석유공사
3월 첫째 주 국제 유가는 OPEC+ 감산 규모 동결 및 미국 석유제품재고 감소 등 상승 요인과 중국의 수요 감소 우려 등 하락 요인이 교차하며 지난주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함.
∙ OPEC+가 3월 4일(목) 회의에서 현재의 감산 규모를 4월에도 거의 그대로 유지하기로 합의하는 한편, 사우디는 1백만b/d의 자발적 추가 감산을 4월까지 연장하기로 함(Reuters, 3.4; EI, 3.4).
- 러시아와 카자흐스탄에 대해서는 겨울철 국내수요 증가분 충족을 위한 추가 공급이라는 명분 으로 각각 13만b/d와 2만b/d의 감산량 축소(증산)를 허용함.
※ 양국의 감산량 축소가 3월에 비해 7.5만b/d 증가함에 따라 OPEC+의 총 감산 규모도 3월의 805만b/d에서 4월에는 797.5만b/d로 소폭 축소됨.
- OPEC+ 참여국들 중 과다 생산국에 대한 보충감산 기간은 7월 말까지로 연장함.
- OPEC+는 시장 상황과 생산 정책을 점검하기 위해 4월 1일 장관급 회의를 개최하기로 함.
- 에너지정보업체 EI는 OPEC+의 결정이 OPEC+가 4월에 1백만b/d 이상 감산 규모를 축소(증산)할 것이라는 시장 분석가들의 일반적인 예상과는 다른 것이라고 평가함.
∙ 미국 에너지정보청(EIA) 자료에 의하면, 미국 내 한파로 정제시설 가동률이 급격히 하락하면서 지난주 미국의 석유제품재고가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EIA, 3.3; EI, 3.3).
- 휘발유 등 전체 석유제품재고는 전주 대비 71.0백만 배럴 감소한 18,759백만 배럴로 과거 5년 평균에 비해 1,506백만 배럴 낮은 수준임.
- 정제가동률은 전주보다 12.6%p 하락한 56.0%를 기록했으며, 원유처리량은 EIA 자료 집계 이후 처음으로 10백만b/d를 하회함.
1. 현물 유가
2021. 2. 26. ~ 2021. 3. 5.
830
에너지경제연구원 02 ∙ 중국의 2021년 2월 제조업 구매관리지수(PMI)가 전월의 51.3에서 50.6으로 하락하면서 지난해
5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함에 따라 경기 위축과 석유수요 둔화 우려가 제기됨(Reuters, 3.1).
- 중국의 2월 제조업 PMI는 분석가들의 사전 예상치 평균인 51.1을 하회한 것임.
∙ 유로화 대비 달러 환율은 3월 5일 기준 $1.1917/€로 전주(2월 26일)의 $1.2074/€에 비해 1.3% 하락(가치 상승)함.
∙ 미국의 주간 원유생산 및 원유시추기 수가 모두 전주보다 증가함.
-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은 미국의 주간 원유생산(2월 26일 기준)이 전주(2월 19일)보다 30만b/d 증가한 1,000만b/d를 기록했다고 발표함.
- 베이커 휴즈(Baker Hughes)에 따르면, 미국의 원유시추기 수는 3월 5일 기준으로 전주(2월 26일)보다 1기 증가한 310기를 기록함.
∙ 지난주 미국 석유재고는 원유가 전주보다 증가하고, 휘발유 및 중간유분은 전주보다 감소함.
- 상업용 총 원유재고는 전주 대비 21.6백만 배럴 증가한 484.6백만 배럴을 기록했고, WTI 선물 인도지점인 쿠싱 지역 원유재고는 전주보다 0.5백만 배럴 증가한 48.3백만 배럴을 기록함.
- 미국 휘발유재고는 전주와 보다 13.6백만 배럴 감소한 243.5백만 배럴을 기록했고, 중간 유분재고는 전주 대비 9.7백만 배럴 감소한 143.0백만 배럴을 기록함.
Nymex-WTI 선물 가격 및 비상업순매수 추이
[Nymex 비상업순매수 및 유가] [WTI 월물별 선물 가격]
자료: Reuters, CFTC, Nymex
3월 2일 기준 NYMEX-WTI 선물유가는 전주(2월 23일) 대비 $1.92/배럴(3.1%) 하락한
$59.75/배럴을 기록함.
∙ 3월 2일 기준으로 NYMEX-WTI 선물가격 원월물(‘21.12월)과 최근월물(‘21.4월)과의 스프레드는
$(-)3.69/배럴로 백워데이션(backwardation)이 축소됨.
- ICE-Brent 선물가격의 원월물(‘22.1월)과 최근원물(‘21.5월) 간 스프레드는 $(-)3.60/배럴임.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가 발표한 3월 2일 기준 NYMEX의 투기성 자금에 의한 원유(WTI) 선물거래 순매수는 전주보다 7.2백만 배럴 증가한 519.0백만 배럴을 기록함.
∙ 헤지펀드 등 투기성 자금의 매수 포지션은 5.3백만 배럴 증가했고 매도 포지션은 1.8백만 배럴 감소함.
2. 선물 유가
에너지경제연구원 03 1) 석유재고(전략비축유 제외)
(단위: 백만 배럴)
일자
구분 2/5 2/12 2/19 2/26 전주대비
물량 변동률
원 유 469.0 461.8 463.0 484.6 +21.6 +4.7%
휘발유 256.4 257.1 257.1 243.5 -13.6 -5.3%
중간유분(난방유 등) 161.1 157.7 152.7 143.0 -9.7 -6.4%
중 유 33.2 32.8 32.2 31.6 -0.6 -1.9%
자료: EIA/DOE
2) 원유정제투입량
(단위: 백만 b/d)
일자
구분 2/5 2/12 2/19 2/26 전주대비
물량 변동률
원유처리량 14.79 14.82 12.23 10.00 -2.23 -18.2%
가동률(%) 83.0 83.1 68.6 56.0 -12.6 -18.4%
자료: EIA/DOE
3) 석유제품 소비
(단위: 백만 b/d)
일자
구분 2/5 2/12 2/19 2/26 전주대비
물량 변동률
휘발유 7.86 8.41 7.21 8.15 +0.94 +13.0%
중간유분(난방유 등) 4.31 4.45 3.93 3.79 -0.14 -3.6%
중 유 0.20 0.32 0.29 0.37 +0.08 +27.6%
총석유제품 20.18 20.67 18.69 18.76 +0.07 +0.4%
자료: EIA/DOE
4) 수입 및 생산
(단위: 백만 b/d)
구분
수 입 생 산
2/12 2/19 2/26 전주대비
2/12 2/19 2/26 전주대비
물량 변동률 물량 변동률
원유 5.90 4.60 6.29 +1.69 +36.7% 10.80 9.70 10.00 +0.30 +3.1%
휘발유 0.67 0.53 0.61 +0.08 +15.1% 9.03 7.74 8.30 +0.56 +7.2%
중간유분 0.36 0.30 0.32 +0.02 +6.7% 4.57 3.62 2.90 -0.72 -19.9%
중유 0.13 0.14 0.23 +0.09 +64.3% 0.21 0.21 0.18 -0.03 -14.3%
자료: EIA/DO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