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01
1. 현물 유가
주간 현물원유 및 석유제품 가격 추이
자료: 한국석유공사
7월 셋째 주(7.12~7.19) 국제유가는 북아프리카 지역의 지정학적 긴장이 지속되는 가운데 미 국의 양적완화 정책 조기종료에 대한 우려가 감소하면서 강보합세를 나타냄.
∙
리비아 원유수출 항구의 무장단체 습격, 수단-남수단의 갈등 고조, 이집트의 시위 지속 등 북아프 리카 지역의 정정 불안이 지속됨.- 리비아 동쪽 Zueitina 원유수출 항구에서 노동자 파업을 중단하고 수출을 재개한 몇 시간 후 무 장단체의 습격(16일)이 일어나 원유수출에 차질을 빚음.
※ 이 지역은 리비아 원유수출의 약 20%(6만~7만b/d)를 점유
- 남수단은 수단의 원유수출 송유관 폐쇄로 인하여 원유생산이 감소(20만b/d → 16만b/d)했으며, 7월말까지 생산이 전면 중단될 수 있다고 발표함(18일).
※ 남수단은 육지로 둘러쌓여 있어 원유수출을 위하여 수단의 Sudanese port(30만b/d)를 이용 ※ 남수단과 오랜 기간 대립중인 수단은 남수단이 원유수출 금액으로 수단 내 반군을 지원하
는데 반발하여 반군 지원 중지를 조건으로 8월 7일까지 송유관을 전면 폐쇄할 것을 경고 - 이집트는 무르시 전대통령 지지파와 반대파 간의 충돌이 계속되고 있으며, 만수르 임시 대통령
과 군부는 폭력을 사용하는 시위대를 더 이상 방치하지 않겠다고 경고함(18일).
2013. 7. 12~2013. 7. 19.
440
에너지경제연구원
02
2. 선물 유가
∙
미국의 버냉키 연방준비제도 이사회(FRB)의장은 의회에 출석하여 확장적 통화정책이 당분간 유지 될 것으로 증언함(17, 18일).- 버냉키 의장은 ‘현재 확장적 통화정책을 유지하고 있으며, 양적완화 조치 감축 및 종료에 대한 언급이 곧 긴축정책을 의미하는 것이 아님’을 밝힘.
※ 버냉키 의장은 지난달 연방공개시장 위원회 이후 양적완화 정책의 금년 하반기 축소 및 내 년 중반 중단 가능성을 언급(6.19)
∙
지난주 미국 석유재고는 원유는 감소한 반면 휘발유와 중간유분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미국 원유재고는 전주 대비 6.9백만 배럴 감소한 367.0백만 배럴을 기록함.
※ 쿠싱지역의 원유재고는 전주 대비 0.8백만 배럴 감소한 46.1백만 배럴
- 미국 휘발유재고는 전주 대비 3.1백만 배럴 증가한 224.1백만 배럴을 기록하였으며, 중간유분 재고는 3.9백만 배럴 증가한 127.7백만 배럴을 나타냄.
Nymex-WTI 선물가격 및 비상업순매수 추이
자료: Reuters, CFTC, 한국석유공사
7월 16일 기준 Nymex-WTI 선물유가는 전주 대비 $2.00/배럴(1.9%) 상승한 $106.00/배럴을 기록함.
∙ 7월 19일 기준 Nymex-WTI 선물유가 원월물(‘14.4월물)과 현물 WTI의 스프레드는 -$10.94/배럴로
백워데이션(backwardation) 상태를 유지함.미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가 발표한 7월 16일 기준 Nymex의 대형 투기자금에 의한 원유
(WTI)선물거래 순매수는 전주 대비 24.1백만 배럴 증가한 329.4백만 배럴을 기록함.
에너지경제연구원
03
미국 석유수급 통계
1) 석유재고(전략비축유 제외)
(단위: 백만 배럴)
일자
구분 6/21 6/28 7/5 7/12 전주대비
물량 변동률
원 유 394.1 383.8 373.9 367.0 -6.9 -1.8%
휘발유 225.4 223.7 221.0 224.1 +3.1 +1.4%
중간유분(난방유 등) 123.2 120.8 123.8 127.7 +3.9 +3.2%
중 유 39.3 38.0 37.1 37.7 +0.2 +0.5%
2) 원유정제투입량
(단위: 백만 b/d)
일자
구분 6/21 6/28 7/5 7/12 전주대비
물량 변동률
원유처리량 15.70 16.09 16.12 16.24 +0.12 +0.7%
가동률(%) 90.2 92.2 92.4 92.8 - +0.4p
3) 석유제품 소비
(단위: 백만 b/d)
일자
구분 6/21 6/28 7/5 7/12 전주대비
물량 변동률
휘발유 8.89 9.29 9.30 8.73 -0.57 -6.1%
중간유분(난방유 등) 3.89 4.45 3.84 3.82 -0.03 -0.7%
중 유 0.21 0.49 0.35 0.34 -0.01 -4.0%
총석유제품 18.97 20.39 19.24 19.47 +0.23 +1.2%
4) 수입 및 생산
(단위: 백만 b/d)
구분
수 입 생 산
6/28 7/5 7/12 전주대비
6/28 7/5 7/12 전주대비
물량 변동률 물량 변동률
원유 7.41 7.53 7.71 +0.18 +2.4% 7.27 7.40 7.49 +0.09 +1.2%
휘발유 0.47 0.49 0.72 +0.22 +45.4% 9.38 9.59 9.05 -0.54 -5.6%
중간유분 0.10 0.08 0.13 +0.05 +60.5% 4.84 5.04 5.08 +0.04 +0.9%
중유 0.11 0.09 0.22 +0.12 +130.9% 0.50 0.44 0.47 +0.03 +6.6%
자료: EIA/DO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