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6년도 종합문화예술회관 -
종 합 감 사
종 합 감 사 결 과 보 고 결 과 보 고
감 사 관 실
2016년 종합문화예술회관 종합감사 결과보고서
Ⅰ 감사개요
〈
감사 목적
〉❖
시민의 문화수요 충족과 문화예술 발전에 기여하고 인천의 문화 예술 진흥을 위한 종합문화예술회관의 운영 실태와 주요 추진사항에 등에 대한 종합감사를 실시하여,
❖
기관운영 과정에 나타난 문제점과 불합리한 요소를 도출․시정하고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행정발전에 기여하고자 함
감사대상 범위 :
2013. 5월 이후 추진업무 전반 감사기간 및 인원
❍
감사기간: 2016. 4. 8(
금) ~ 4.15(
금) 〔5
일간〕
※ 예비감사(자료수집) : 2016. 4. 4 ~ 4. 6 (3일간)
❍
감 사 반:
회계감사팀장 외3
명 감사 중점사항
❍
예술단 공연(
외부공연)
의 적정 운영여부❍
정책결정 및 예산 편성․
집행 등에서의 재량권 일탈행위❍
불합리한 예산․
회계제도 및 관행적 행정제도 등 개선사항❍
사업추진에 있어서 법령 및 내부규정 위반사항 등❍
대관 및 사용료 등 징수현황Ⅱ 감사대상기관 현황
조직 및 인력현황
❍
기 구: 3
팀38
명,
시립예술단(4
개/232
명)
관 장
기 획운영팀 (12명)
지원팀공연 (19명)
예술단운영팀 (7명)
시립예술단 (232명) 교
향 악 단
합 창 단
무 용 단
극
단
기획홍보 마케 팅 (96) (60) (45) (26) (5)
❍
인 력(2016. 2. 19 현재)
구 분 계 4급 5급 6급 7급 8급 전문경력관 나군 다군
계 37/38 1/1 3/2 10/11 15/12 2/6 4/4 2/2
기획운영팀 13/12 1/1 1/1 3/3 7/6 1/1 - - 공연지원팀 18/19 - 1/1 6/6 5/3 0/3 4/4 2/2 예술단운영팀 6/7 - 1/0 1/2 3/3 1/2 - - ※ 별도인원 : 청원경찰 9명, 공무직 3명, 사회복무요원 2명
❍
예술감독 현황구 분 창 단 일 예 술 감 독
성 명 위촉기간
교향악단 66. 6. 1 정 치 용 15. 8. 11 ~ 17. 8.10
합 창 단 81. 4. 1 김 종 현 15. 8. 11 ~ 17. 8.10 무 용 단 81. 4. 1 공 석
극 단 90. 7. 1 공 석
예산현황
❍
세 입(단위:백만원)
항 목 2015년
(본예산) % 2016년
(본예산) % 증 감
계 933 100.0 930 100.0 △3
재 산 사 용 허 가 18 1.9 18 1.9 - 기획공연등입장료 567 60.8 567 60.8 - 대 관 사 용 료 213 22.8 213 22.8 - 예 술 단 출 연 수 익 120 12.9 120 12.9 - 잡 수 입 등 15 1.6 12 1.6 △3
❍
세 출(단위:백만원)
항 목 2015년
(본예산) % 2016년
(본예산) % 증 감
계 20,318 100.0 22,487 100.0 2,169
◎ 인건비 15,568 76.6 16,398 72.9 830
- 예술단 12,922 63.6 13,472 59.9 550
- 일반직원 2,646 13.0 2,926 13.0 280
◎ 공연비 1,888 9.3 1,976 8.8 88
- 예술단 1,020 5.0 1,028 4.6 8
- 인천&아츠 587 2.9 607 2.7 20
- 기획공연 등 281 1.4 341 1.5 60
◎ 경상경비 2,862 14.1 4,113 18.3 1,251
- 예술단 운영 304 1.5 295 1.3 △9 - 공연장 운영 250 1.2 250 1.1 - - 시설물 관리 1,786 8.8 3,056 13.6 1,270 - 기본사무경비 522 2.6 512 2.3 △10
Ⅲ 감사결과
< 총 평 >
○
종합문화예술회관의 주요 업무는- 교향악단
,
합창단,
무용단,
극단으로 구성된 시립예술단을 운영 하고 있으며,
인천&
아츠 등 다양한 기획공연,
찾아가는 맞춤형 공연과 안전하고 전문적인 무대시설 관리를 통하여 시민들에게 다양한 문화예술을 향유할 수 있는 기회제공은 물론 인천문화 예술의 전당으로서의 기능 수행○
금번 실시한 종합감사는- 2013년 종합감사 이후 실시한 기관운영(3년주기) 정기 감사이며 - 예술단 운영, 예산회계, 안전관리 분야 등에 문제점들이 지적됨 ․ 예술단 운영분야에서는 단원 위촉 및 복무관리, 찾아가는 공연 등과 관련 하여 2건
․ 예산회계분야에서는 세입징수, 사업비 정산, 하자검사, 업무 추진비 집행과 관련하여 부적정한 업무추진이 7건
․ 기타 공연장 안전관리, 물품관리를 소홀히 하고 있어 개선 및 시정 등 총 11건의 위법 부당한 업무처리 사례를 적발하였음
○
따라서 종합문화예술회관에서는- 지적된 사항에 대해 관련 법령 및 규정에 따라 구체적인 조치의 이행과 함께 개선방안을 마련하고
- 향후에는 유사한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직원교육과 함께 자체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 아울러, 공연지원 무대인력에 대하여는 현재의 흐름에 맞추어 업무범위의 재설정과 전문성 강화를 위한 전문보직제 도입 등 자체 인력 개선대책을 수립하여 적극 추진하여야 할 것임.
1. 총괄현황
구분
처 분 현 황 (건 ) 행 정 상 조 치 (건 ) 재정상조치(천원) 신 분 상 조 치 (명 )
계 본
처 분 현 지
처 분 계 시정 주의 개선
권고 계 추징 회수
환급감액
등 계 징계
(중징계) 훈계 기관 경고
계 14 11 3 11 2 7 2 - - - - - - -
※ 현지처분은 “자체감사 통합메뉴얼(감사원)” 의거 현지조치사항으로 관리하되, 행정상․재정상 조치 건수 제외
2. 처분요구 목록(11건)
NO 분 야 제 목 처 분 내 역
행정상 재정상(천원) 신분상 1 행정 예술단원 위촉(채용) 절차 및 복무관리 개선 개선
2 행정 공연장 안전관리에 관한 사항 시정
3 회계
계약 공동주최 공연 사업비 정산 및 수입금 지연 처리 부적정 개선 주의
4 재산 물품관리 업무 소홀 시정
5 회계
계약 무대의상 사전제작 등 세출예산 집행절차 이행 소홀 주의 6 회계
계약 문화나눔사업 예산편성 및 세입징수 부적정 주의 7 행정 찾아가는 공연(연주회) 운영과 관련하여 개선 8 회계
계약 일용근로자 등에 관한 관리 부적정 주의 9 회계
계약 업무추진비 집행 부적정 주의
10 회계
계약 공사 및 물품제조 계약 하자검사 업무 소홀 주의 시정 11 회계
계약 임차용역계약 검사(검수)소홀 주의
3. 현지처분 목록(3건)
NO 분 야 제 목 처 분 내 역
행정상 재정상(천원) 신분상 1 회계 부가가치세 환급금 등 세입 미조치 시정
2 회계 법인카드 인센티브(적립포인트) 세입처리 미이행 주의
시정
3 계약 지연배상금 부과 부적정 주의
4. 주요 지적사항(요약)
예술단원 위촉(채용) 절차 및 복무관리에 관한 사항
❍
사무단원 위촉시 서류전형에서 자기소개서, 직무수행계획, 학력 등 각 요 소별 점수를 합산하여 합격자를 결정하기 보다는「공무원임용시험령」 을 준용 응시자가 자격기준에 적합한지 등을 심사하여 적격 또는 부적격 만을 판단하도록 심사방법 을 개선하는 것이 타당하며 전형에 참여한 심 사위원에게는 「국가시험시행 운영수당 집행기준*」에서 정한 기준보다 과도하게 회당 300,000원의 수당을 지급(*반일의 경우 200,000원)❍
근무시간이 10:00 ~ 15:00임에도 예술단별 연습시간이 상이하고 개인연습 을 할 수 있는 공간제약 등으로 통합적인 관리에 어려움이 있어 수시 복 무점검이 필요하나 월 1회 정례적인 복무점검을 실시하고 있으며 감사기 간중 복무점검에서 단체협약사항을 근거로 예술감독의 지시하에 일부예 술단원 전원이 퇴근하였으며, 단원이 외부공연 또는 강의시 사전에 허가 를 받아야 하고 허가 이후 일정 변경시에는 변경(취소)허가를 받아야 하 나 변경사항을 신고하지 않음▶
처분요구⇨
행정상 개선 공연장 안전관리에 관한 사항
❍
공연법에 따라 매년 공연장 재해대처계획 수립 관할 행정기관에 제출 하여야 하고, 지정된 안전진단 전문기관에 3년 주기의 정기안전검사와 9년 주기의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하여야 하며 이를 이행치 않을 경우 6개월 이내의 공연장 운영 정지와 2천만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됨에도 감사당일 까지 재해대처계획 담당자 지정은 물론 계획을 수립하여 관할 행정기 관에 미신고❍
정기안전점검과 정밀안전진단을 동시에 받아야 할 경우 정밀안전진단 으로 대체가 가능하여 정밀안전진단 용역을 발주하여야 하나 이미정기안전검사 용역이 진행중에 있어 진행중인 용역을 설계변경 정밀안 전진단 용역을 실시하여야 함에도 미이행하고 있어 예산낭비 우려
▶
처분요구⇨
행정상 시정 공동주최 공연 사업비 정산 및 수입금 지연 처리 부적정
❍
기획사 제안에 따라 공동주최 공연시 사업비 일부(10~25%)를 분담하고 수입은 티켓판매 후 수입금 기준으로 사업비 분담비율에 따라 배분❍
용역의 대가를 지급할 때에는 공연 계약서(약정서)의 총사업비 산출내역 대로 각각의 사업비가 적정하게 투입되어 집행되었는지 확인하고 기획사의 사업비가 과소 집행되었을 경우 사업비 분담비율에 맞게 정산하여야 함에도 회관의 사업비 분담비율이 낮다는 이유로 집행에 대한 확인 없이 대가 지급❍
수입금은 공연종료 후 정산보고와 보고 후 14일 이내에 징수하여야 하나 담당자 부주의로 인하여 최소 7일에서 최대 260일이 지난 후에 납부 고지서를 교부 징수조치▶
처분요구⇨
행정상 주의 물품관리 업무 소홀
❍
소관물품중 전자태그가 미부착 및 인식 불가능한 경우 전자태그를 부 착하여야 함에도 이를 이행하지 않고 있고, 내구년수 초과나 사용이 불 가능한 물품은 소요조회 후 불용처분하여야 함에도 창고 등에 방치하고 있으며 비품으로 관리되어야 할 소모품이 물품관리 프로그램에 등재되어 폐기 처리된 이후에도 물품대장이 정리되지 않고 있어 총재물과 실재 수량이 불일치❍
회관소유의 물품을 외부로 반출할 경우 물품관리책임자의 승인을 받고 반출입대장에 등재 후 반출하여야 하나 교향악단에서 고가의 악기를 무단반출▶
처분요구⇨
행정상 시정 무대의상 사전제작 등 세출예산 집행절차 이행 소홀
❍
세출예산을 집행할 때에는 재무회계 규칙의 집행절차를 이행하고 지출의 원인이 되는 계약을 체결하여야 하나 공연 의상과 소품을 제작하면서 예산의 집행품의 단계에서 과업을 이행토록 하여 예산이 적법한 절차 이행 전에 제작이 선행되는 사례가 발생 회계 관계규정 등에 대한 충분한 검토 없이 이미 제작되고 있는 물품에 대하여 계약을 체결한 결과를 초래, 계약의 원칙을 위반▶
처분요구⇨
행정상 주의 문화나눔 사업 예산편성 및 세입징수 부적정
❍
한국문화예술연합회 복권기금을 재원으로 “문예회관과 함께하는 방방 곡곡 문화공감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2013년도 복권기금 지원사업비로교부된 34,800천원을 예산에 편성하여 집행하여야 하나 세입세출외현
금으로 수납하고 집행
❍
2014년도 복권기금 사업비 30,000천원을 예산에 편성하였으나 전체사업 비중 1차 교부된 12,000천원은 세입세출외현금으로 수납하여 집행하고 사업종료 후 보조금 정산과정에서 1차 교부된 12,000천원이 세입 처리 되지 않았음을 인지 예산에서 10,200천원을 지출한 후 이를 세입으로 징 수하고 세입징수 대상금액 12,000천원중 부족한 1,800천원은 출납폐쇄 전 회관 세입담당자가 자비로 세입 조치▶
처분요구⇨
행정상 주의 찾아가는 공연(연주회) 운영과 관련하여
❍
선정기준에 따라 내부심의를 거쳐 최종대상자 선정하고 있으나 사업취 지에 부합하지 않는 기관들이 중복적으로 선정되었고 내부심의 과정에 서 충분한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아 동일한 조건의 신청대상중 탈락한기관이 발생하는 등 대상자 선정 검토 소홀
❍
찾아가는 공연은 수요자가 희망하는 예술단 공연, 희망일시 등을 기재하 여 신청하도록 되어 있으나, 신청 안내에는 예술단별 공연 계획이 명시 없이 예술단만을 지정 선정과정에서 일정 등이 맞지 않아 비 선정되는 사례가 다수 발생, 사업목적상 문화소외계층이 주요대상으로 공연이 진 행되어야 하나 홍보부족으로 대상 계층 신청 저조❍
공연 종료 후 공연에 대한 성과분석을 통해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함에도 공연 종료 후 별도 결과보고 없이 연간 공연에 대한 공연일자, 장소, 수요기관 등 형식적 결과 보고만 하여 실질적인 공연결과에 대한 분석이 미흡▶
처분요구⇨
행정상 개선 일용근로자 등에 대한 관리 부적정
❍
기획공연의 홍보를 위한 포스터 부착시 거래실례가격이나 견적가격 등 을 기초로 예정가격을 결정하고 용역계약을 체결하여야 하나 가격산출 에 대한 근거 없이 개인과 약정서만을 작성 예산을 집행하였으며, 기획 공연 포스터 부착 인부임, 공연장 관리안내원, 무대장치 보조원 등 1개월 미만의 일용근로자를 채용할 경우에는 근로계약을 체결하고 계약서를 교부하여야 하며 근로내용 확인서를 사유가 발생한 날의 다음달 15일까지 고용노동부에 제출 고용보험 및 산재보험에 가입될 수 있도록 조치하 여야 하나 이를 이행치 않음▶
처분요구⇨
행정상 주의 업무추진비 집행 부적정
❍
연간 집행계획을 수립하고 집행계획에 따라 투명하고 엄정하게 집행하 여야 하나 연간 집행계획을 수립하지 않고 있으며, 부서 전체직원의 사기 앙양과 과 운영비 등 부서운영 공통경비로 사용되어야 할 부서운영업무추진비를 부서장 위주로 49건(3,660천원), 기관운영업무추진비 또는 시책추진업무추진비 정원가산업무추진비 등으로 집행하는 것이 적합함 에도 별다른 검토 없이 11건(1,318천원)을 부서운영업무추진비로 집행
▶
처분요구⇨
행정상 주의 공사 및 물품제조 계약 하자검사 업무 소홀
❍
담보책임의 존속기간 중 연2회 이상 정기적인 하자검사와 담보책임의 존속기간이 만료되기 전 최종검사를 하여야 하나 회관에서는 6개월마다 정기 하자검사계획을 수립하면서 계약금액 1천만원 이상인 일부 공사 만을 검사대상으로 한정하여 36건의 공사계약과 6건의 물품제조 계약에 대하여 정기하자검사와 최종 하자검사를 실시하지 않음▶
처분요구⇨
행정상 주의,
시정 임차용역계약 검사(검수) 소홀
❍
공연장비 임차는 공연진행과 함께 이행이 완료되고 공연 후에는 임차기 기가 반출되어 이행여부를 검사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공연이 진행되 는 현장에서 과업이행여부를 우선검사하고 추후 계약상대자에게 거래 명세서 등의 내역서와 증빙자료를 제출받아 확인한 후 용역 완료검사 서류를 남겨야 하나 거래명세서에는 인수자 확인이 되어 있지 않고 현 장사진은 공연시 무대전체만을 촬영하여 계약내역대로 임차되어 운영 되었는지 확인할 수 없음▶
처분요구⇨
행정상 주의Ⅳ 수범사례
(1)
공동기획 공연 유치를 통한 수익 창출▢
개선 내용❍
“기획공연”사업의 일환으로 운영되고 있는 대형공연 뮤지컬은 대중성 이 담보되어 공동기획이 가능한 유일한 장르임. 다만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기 때문에, 현 예산상황으로는 자체 단독기획이 불가능한 상황 으로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민간기획사와의 공동기획을 추 진하여 흥행성면에서도 선전한 사업으로 평가됨.▢
공동기획 공연 현황❍
뮤지컬 <셜록홈즈-앤더슨가의 비밀> → 2011년 초연된 창작뮤지컬로 초연 3일 만에 전석 매진 기록을 세움과 동시에 화려한 수상경력을 갖고 있는 작품유치로 회관의 이미지 제고❍
뮤지컬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 국보급 제작진이 탄생시킨 프랑스 대형 뮤지컬로 탄생 80주년을 맞아 2015년 아시아 초연❍
뮤지컬 <명성황후> → 아시아 최초로 뉴욕 브로드웨이와 웨스트 엔드에 진출한 대한민국 대표 뮤지컬이자, 제작 20주년을 맞는 뮤지컬 <명성 황후>를 초청하여 인천시민에게 명작 뮤지컬에 대한 문화향수 욕구에 부응(단위 : 명 , 천원)
공연일 공연명 총소요예산 회관예산 관람객수 입장료수입 수익률
2013.3.29.-31 셜록홈즈:
앤더슨가의 비밀 110,590 55,000(50%) 2,064 33,000 60%
2015.4.3.-5 바람과함께사라지다 303,000 60,600(20%) 3,216 54,192 89.4%
2015.10.9.-10 명성황후 254,000 63,500(25%) 4,682 81,236 134,1%
▢
기대효과❍
“기획공연” 사업은 “인천&아츠” 사업으로 담기 힘든 대형공연과 더불어 작품성과 대중성을 겸비한 프로그래밍으로 시민들에게 다양한 프로그 램을 선사하여 큰 호응을 이끌어 냈음.❍
또한 많지 않은 지분 참여로 세외수입 창출에 큰 도움을 줌❍
다양한 장르의 수준 높은 공연을 통하여 시민들의 높아진 문화 욕구를 소비계층으로 유도하여 지역 문화 활성화에 기여하였음.(2)
대관절차 개선을 통한 공연장 대관 활성화 및 세외수입 증대▢
개선내용❍
인천아트센터 개관 및 아시아경기대회 경기장 활용 등 주변 공연장 대관 환경변화에 신속히 대처하고, 1994년 개관 후 약 20년 동안 관행 처럼 지속된 정기대관 절차를 과감히 개선하여 침체되어 있는 공연문 화 활성화와 함께 세외수입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안임▢
문제점 및 개선방향 문제점⇒
개선방향
❍ 회관 자체 공연
(기획 및 예술단) 및 시 행사 등에 정기대관우선권 부여❍
우선권으로 인한 일반대관 신청 점차 감소❍
일반대관 감소에 따른 사용료 감소❍
정기대관 신청절차 개선 (모든 공연 동시 공고 및 접수)❍
대관사용료 인상 및 일부 정액 제도 도입(특례제도 폐지)❍
시립예술단 공연의 합리적 개선- 일반대관 신청 및 감소에 따른 사용료 징수액 감소
연 도
시 설 2015년 2014년 2013년 2012년 2011년
계 187,248 174,804 193,526 206,673 220,559
대공연장 154,195 134,942 141,954 160,565 180,593
소공연장 33,053 39,862 51,572 46,108 39,966
▢
조치계획❍
2017년 상반기 정기대관 공고 시 회관자체(기획 및 예술단) 및 모든 단체(개인)에 동등한 신청기회 제공대관신청 절차 개선
⇒
동등한 기회 부여
⇒
세외수입 증가
회관기획· 시립예술단, 시 주최·문화재단, 민간단체·개인 공연·전시
동시 공고 및 접수
❍
대관사용료의 개선을 위한 조례개정 추진- 물가상승률을 반영한 현실적인 대관사용료 개선
- 영화 및 흥행성 공연을 위한 사용료의 특례 폐지 및 정액제 도입
※ 대관사용료 인상과 별도로 연도별 특례사용료의 평균 사용료를 정액제로 징수(콘서트 등)
❍
시립예술단 공연의 합리적․효율적 개선- 반기 1회 이상 시립예술단의 기획(합동)공연 추진으로 일반대관 확대
[조정 전]
월 화 수 목 금 토 일
7 8 9 10 11 12 13
3월
일반대관 시립합창단무대준비 시립합창단제149회정기연주회 일반대관 일반대관 일반대관
14 15 16 17 18 19 20
정기휴관 일반대관 일반대관 시립교향악단 무대준비
시립교향악단 제352회
정기연주회 일반대관 일반대관
⇓ [조정 후]
월 화 수 목 금 토 일
7 8 9 10 11 12 13
3월
시립교향악단무대준비 시립합창단무대준비 시립합창단제149회정기연주회
시립교향악단 제352회
정기연주회 일반대관 일반대관
14 15 16 17 18 19 20
정기휴관 일반대관(대형 뮤지컬, 오페라, 대중가수 콘서트 등 일반대관 선택의 폭 확대)
※ 예를 들어 3월 2주차 목요일 시립합창단 공연과 3월 3주차 금요일 시립교향악단 공연을 같은주 목요일(합창단), 금요일(교향악단)로 조정하여 일반단체(개인) 대관 기회 확대
▢
기대성과❍
조례개정 및 대관신청 환경변화를 통한 세외수입증대- 대구문화예술회관은 그간 물가상승률 및 대관료 현실화를 위해 계명대 연구용역을 실시 후 2013년에 10%의 사용료 인상, 추가 10% 인상 예정
※ 기타 광주․울산 예술회관은 공연장 리모델링시 대관료 인상 예정 (리모델링 계획 미정)
- 향후 회관 정기대관 공고시 회관 자체 공연 및 시 행사, 일반단체(개인) 등에 동등한 신청 기회 제공시 약 5% 이상의 세외수입증가 전망
⇒ 따라서, 회관 사용료 인상에 따른 조례개정 및 대관신청 환경변화시
최소 15~20% 이상의 세외수입 증대 예측
(3)
시립예술단 예술감독 채용방식 개선▢
개선내용❍
공개모집 또는 추천에 의한 지명심사방식으로 추진되었던 시립예술단 예술감독 채용방식을 객원연주회를 통한 종합평가방식으로 개선함.▢
현 황❍
관련 근거 : 「인천광역시립예술단 설치 조례」제8조- 예술감독은 단장이 분야별 해당 관계전문가 7명 이내로 구성된 자문 위원회의 자문을 받아 추천한 사람 중에서 시장의 승인으로 관장이 위촉한다.
※ 채용방식에 대한 별도의 규정은 없음
▢
운영성과❍
2015. 8월 : 교향악단 및 합창단 예술감독 위촉❍
2016. 4월 : 무용단 및 극단 예술감독 객원안무(연출) 추진중▢
개선 세부내용[
기 존]
공개모집
지명추천
⇒
자문위원회
추 천
⇒
시장 승인⇒
관장 위촉❍
공개모집의 경우, 투명성과 객관성은 담보되는 반면 최종합격자에 대한 검증이 부족함.❍
지명추천의 경우도 단원이나 예술회관 실무자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아 실제 위촉 이후 단원과 화합되기 어려운 측면이 있음.[
개선 후]
추천의견
수 렴
⇒
후보자
명단 확정
⇒
객원연주회
기회 부여
⇒
종합 평가⇒
자문위원회
추 천
⇒
시장 승인⇒
관장 위촉❍
객원연주회를 통한 평가방식을 도입한 결과, 예술감독 위촉 이후에도 감독과 단원간 화합이 매우 잘 되며 이전보다 연습 및 연주회 완성도가 높아짐.※
예술단 운영의 고질적인 문제(
예술감독과 단원 간 불화)
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