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2017년 3월 인천시 고용동향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2017년 3월 인천시 고용동향"

Copied!
5
0
0

Teks penuh

(1)

2017년 3월 인천시 고용동향

❖ 이 자료는 전국 표본조사구 약 33,000가구 중 인천지역 2,000가구의 15세 이상 가구원을 대상으로 2017년 3월 12일부터 18일까지 1주간의 경제활동상태를 경인지방통계청에서 조사한 결과임

❖ 통계표에 수록된 자료는 반올림되었으므로 전체 수치와 표내의 합계가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음.

❖ 본문에 수록된 자료는 통계청 홈페이지(http://kostat.go.kr), 경인지방통계청 홈페이지(http://kostat.go.kr/giro) 및 국가통계 포털(http://kosis.kr)을 통해 이용하실 수 있음.

일자리정책과

2017. 4. 12.(수) 통계청 공표

(2)

2017 2017 2017 2017 2017 2017 2017 2017 2017 2017년 년 년 년 년 년 년 년 년 년 3 3 3 3 3 3 3 3 3 3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인천시 인천시 인천시 인천시 인천시 인천시 인천시 인천시 인천시 인천시 고용동향 고용동향 고용동향 고용동향 고용동향 고용동향 고용동향 고용동향 고용동향 고용동향 2017년 3월 인천시 고용동향

□ 경제활동인구는 1,602 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1 천명 (0.7%) 이 증가

-

경제활동참가율은 64.4%로 전년동월 대비 0.2%p 하락

□ 고용률은 61.1% 로 전년동월대비 0.1%p 하락

-

취업자는 1,519천명으로 전년동월에 비해 14천명(0.9%) 증가

※ 15 ∼ 64 세 고용률 (OECD 비교기준 ) 은 66.8% 로 전년동월 대비 66.4% 증가

□ 실업률은 5.2% 로 전년동월 대비 0.2%p 하락

-

실업자는 83천명으로 전년동월 대비 3천명(△3.5%) 감소

▢ 인천지역 고용동향

(단위 : 천명, %, %p) 구 분 ’16. 3 ’17. 2 ’17. 3 전년동월대비 전월대비

증감 증감률 증감 증감률

15세이상인구(생산가능인구) 2,460 2,484 2,486 26.0 1.1 2.0 0.1 경제활동인구 1,591 1,605 1,602 11.0 0.7 △3.0 △0.2 (참가율) (64.6) (64.6) (64.4) (△0.2) (△0.2)

취 업 자 1,505 1,503 1,519 14 0.9 16 1.1

(고용률) (61.2) (60.5) (61.1) (△0.1) (0.6)

업 별

농림어업 9 4 5 △4 △44.4 1 25.0

광공업 345 344 345 0 0 1 0.3

․ 제조업 344 343 344 0 0 1 0.3

사회간접자본 및 기타

서비스업 1,151 1,155 1,170 19 1.7 15 1.3

․ 건설업 125 124 121 △4 △3.2 △3 △2.4

․ 도․소매,음식․숙박업 340 342 346 6 1.8 4 1.2

․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 488 489 508 20 4.1 19 3.9

․ 전기․운수․통신․금융업 199 199 195 △4 △2 △4 △2.0

연 령 별 취 업 자

15 ~ 29세 239 240 239 0 0 △1 △0.4

30 ~ 39세 340 339 338 △2 △0.6 △1 △0.3

40 ~ 49세 398 393 390 △8 △2 △3 △0.8

50 ~ 59세 356 361 365 9 2.5 4 1.1

60세 이상 172 170 188 16 9.3 18 10.6

실 업 자 86 103 83 △3 △3.5 △20 △19.4

(실업률) (5.4) (6.4) (5.2) (△0.2) (△1.2)

비경제활동인구 870 879 885 15 1.7 6 0.7

※ 본표는 산식에 의해 천명 미만 단위에서 반올림되었으므로 전체 수치와 합계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

(3)

▢ 시․도별 고용동향

(단위 : 천명, %)

구 분

15세 이상 인구

경제활동 참 가 율

실업률 고용률

경 제 활 동 인 구

비 경 제 활동인구

15세 이상 15~64세 (OECD 비교기준)

취업자 실업자

전국 43,666 27,409 26,267 1,143 16,257 62.8 4.2 60.2 66.1

7대평균 2,798 1,737 1,656 81 1,061 62.1 4.3 59.2 64.7

서울 8,506 5,355 5,091 264 3,152 63.0 4.9 59.8 3 65.8 2 부산 2,962 1,738 1,658 81 1,224 58.7 4.6 56.0 7 63.0 7

인천 2,486 1,602 1,519 83 885 64.4 5.2 61.1 1 66.8 1

대구 2,093 1,293 1,230 63 800 61.8 4.9 58.8 5 65.2 3

광주 1,274 766 745 21 509 60.1 2.7 58.5 6 63.1 6

대전 1,288 801 772 29 487 62.2 3.7 59.9 2 65.2 3

울산 974 602 579 23 371 61.9 3.9 59.5 4 63.7 5

경기 10,750 6,920 6,613 307 3,830 64.4 4.4 61.5 67.2

강원 1,284 773 754 19 510 60.2 2.5 58.8 65.8

충북 1,349 844 823 21 505 62.6 2.5 61.0 68.3

충남 2,019 1,262 1,224 38 757 62.5 3.0 60.6 67.2

전북 1,533 918 883 35 615 59.9 3.8 57.6 63.9

전남 1,510 947 907 40 563 62.7 4.2 60.0 64.5

경북 2,295 1,464 1,412 52 832 63.8 3.5 61.5 67.4

경남 2,814 1,746 1,686 60 1,068 62.0 3.4 59.9 65.7

제주 528 379 372 6 150 71.7 1.7 70.5 75.6

고용률(%) : 인천(61.1)> 대전(59.9) > 서울(59.8) > 울산(59.5) > 대구(58.8)> 광주(58.5)> 부산(56.0) ․ 15~64세 고용률(%):인천(66.8)> 서울(65.8) > 대구·대전(65.2) > 울산(63.7) > 광주(63.1) > 부산(63.0)

실업률(%) : 인천(5.2)> 서울·대구(4.9) > 부산(4.6) >울산(3.9) >대전(3.7) >광주(2.7)

경제용어 설명

·경제활동참가율 : 만15세이상 인구 중 경제활동인구(취업자+실업자)가 차지하는 비율 (경제활동인구÷15세 이상인구×100)

·고용률 : 만 15세 이상 인구 중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율 (취업자 수÷15세 이상인구×100)

·실업률 : 실업자가 경제활동인구(취업자+실업자)에서 차지하는 비율 (실업자 수÷경제활동인구×100)

(4)

고 용 률 추 이

실 업 률 추 이

(5)

▢ 청년고용현황(2017. 1/4분기 )

(단위 : 천명, %, %p)

구 분

전국(15세~29세) 7대 도시(15세~29세) 인천(15세~29세)

’16.

1/4 ’17.

1/4

전년동분기 ’16.

1/4 ’17.

1/4

전년동분기 ’16.

1/4 ’17.

4/4

전년동분기

증감 증감률 증감 증감률 증감 증감률

청년인구 9,452 9,395 △57 △0.6 630 622 △8 △1.3 548 544 △4 △0.7 청년경제활동인구 4,409 4,394 △15 △0.3 302 297 △5 △1.7 270 268 △2 △0.7 취업자 3,911 3,921 10 0.3 266 265 △1 △0.4 238 236 △2 △0.8 실업자 498 472 △26 △5.2 36 32 △4 △11.1 32 32 0 0 청년비경제

활동인구 5,043 5,001 △42 △0.8 329 325 △4 △1.2 279 276 △3 △1.1 경제활동참가율 46.6 46.8 0.2 0.4 45.5 45.6 0.1 0.2 49.2 49.2 0 0 · 실업률 11.3 10.8 △0.5 △4.4 11.5 9.9 △1.6 △13.9 11.8 11.9 0.1 0.8 · 고용률 41.4 41.7 0.3 0.7 40.3 41.1 0.8 2.0 43.4 43.3 △0.1 △0.2

청년 고 용 률

청년 실 업 률

Referensi

Dokumen terkait

독일의 경우 이원화 제도dual system1를 통해 현장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청년층을 교육·훈련하고, 신 입직원의 현장적응을 위해 다양한 직무연수를 제공하여 경쟁력을 높이고 청년층의 이직률을 낮추고 있음.. 이 글에서는 한국과 독일의 자동차정비 분야에서 신입직원2의 현장 적응 기간과 채용 방식, 현장적응 프 로세스 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