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도 제26회 교육방송연구대회 작품설명서
주제 : 나비, 얼마나 알고 있나요?
소속기관 가곡초등학교 직위 교사 성명 심호수
1. 제작 동기
올해 3학년 담임을 맡으면서 학생들과 함께 과학 시간에 배추흰나비를 길렀다. 나비에 관심이 생긴 제자들은 나비를 만날 때마다 내게 이름을 묻곤 했다. 시골 학교라 숲 아래 학교가 위치한 덕에 많은 종류의 나비를 만날 수 있었는데, 나도 이름을 몰라 알려줄 수 없을 때가 많았다. 재미있는 사실은 동료 교사들을 비롯한 다른 많은 어른들도 아는 나비 의 이름이 그리 많지 않았다는 점이다. 나비를 싫어하는 사람은 없었는데도 말이다.
사실 나는 어렸을 때부터 쭉 곤충에 관심이 많았다. 개미나 사마귀를 길러본 적도 있 고, 군 생활 동안은 커다란 도감을 구해놓고 보이는 곤충들의 이름을 찾아보곤 했다. 그 리고 살아오는 동안 이따금 점잖은 나비를 만나면 핸드폰으로 사진이나 동영상을 찍어 두곤 했었는데, 이를 활용해서 제자들에게 나비에 대해 알려줄 수 있는 자료를 만들면 어떨까 하는 생각에 도전하게 되었다.
2. 제작 내용
이 자료의 내용은 크게 두 부분이다. 첫째는 나비와 나방을 구분하는 방법이고, 둘 째는 나비의 분류이다. 이를 초등학생들에게 적합한 수준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다음 을 고려하였다.
가. 학습자가 지루함을 느끼지 않고,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할 것 적절한 사진, 이미지, 영상을 수집하여 활용하기
다양한 색을 사용하여 영상을 감각적으로 구성하기
다양한 화면전환 기법과 음향효과를 활용하여 시각·청각적 재미를 더하기 의인화 기법을 활용하여 나비들이 직접 모둠 소개를 하는 것처럼 몰입감 높이기 나.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어려운 학문적 용어의 사용을 자제할 것
예) ‘과’, ‘무리’ 등의 분류학적 용어 대신 ‘모둠’과 같이 쉬운 낱말로 대체함
1) 더듬이의 모양, 날개의 크기, 날개의 모양, 날개의 색, 다리의 수, 몸통의 모양 등 2) 이 작품에서는 ‘과’라는 용어를 직접 다루지 않는다.
3) CC0 저작권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4) 네이버 나눔폰트, 포천 막걸리체, 티몬소리체, 배달의 민족 도현체
3. 기대 효과
가. 나비에 대해 관심을 갖게 한다.
나. 나비와 나방을 어느 정도 구분할 수 있게 한다.
다. 나비의 볼 때 살펴볼 점
1)
들을 알 수 있게 한다.라. 나비를 보고 어느 과
2)
에 속하는지 어느 정도 구분할 수 있게 한다.4. 제작 과정
가. 제작 도구분야 도구 활용 내용
편집 및 코딩
Adobe Premiere Pro CC 2018 전체 영상 및 음성 편집 Adobe Photoshop CC 2018 이미지 수정
Power Point 2013 부분 동영상 제작
나. 자료 수집
종류 출처 비고
참고서적
한반도 나비도감 / 백문기, 신유항 / 자연과 생태 / 2014 한반도의 나비 / 백문기, 신유항 / 자연과 생태 / 2010
동영상 직접 촬영
LG G5 스마트폰
사진
직접 촬영
인터넷 자료 활용
언스플래쉬 https://unsplash.com 픽스히어 https://pxhere.com/
위키피디아 커먼즈 https://commons.wikimedia.org/
무료 배포 자료 활용3) 배경음악
및 효과음
유튜브 오디오 라이브러리 프리 사운드 https://freesound.org
폰트 완전 무료 배포 폰트 활용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