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2018년도 제26회 교육방송연구대회 작품 설명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2018년도 제26회 교육방송연구대회 작품 설명서"

Copied!
4
0
0

Teks penuh

(1)

2018년도 제26회 교육방송연구대회 작품 설명서

클립형

영상학습자료 주제: 소리, 상상을 만나다

소속기관 직위 성명

소속기관 직위 성명

1

제작 동기

우리는 수많은 소리 속에 살아가고 있다. 영화나 드라마 속에서, 또는 만화책이나 동화 책의 그림들을 보며 장면 속 소리를 상상하기도 하고 때론 소리만 듣고 그 소리에 어울리 는 장면을 상상하기도 한다. 어릴 적 동화책에 그려진 천둥 치는 장면을 보면서 그 소리 를 상상하며 장면을 이해했고 유리병에 입을 대고 불어 대던 뱃고동 소리로 바다를 항해 하는 배를 떠올렸다. 우연히 드라마 주인공의 직업으로 나왔던 ‘폴리아티스트’라는 낯 선 단어를 접하며 ‘너무나 익숙했던 소리들이 전혀 다른 방법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구 나’라는 생각에 신기하고 경이로웠다.

2015 개정교육과정 3~4학년 음악교육과정에 보면 숨은 소리를 찾는 과정이 있다. 이 제 재는 우리 주변의 소리를 탐색하고 목소리나 신체 일부를 이용하거나 악기나 여러 가지 물체를 활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주변의 소리를 표현하도록 안내하고 있다. 생활 속의 소리를 타악기로 묘사한 앤더슨(르로이)의 ‘고장난 시계’나 ‘타자기’같은 곡은 마치 음악 속에서 숨은 그림을 찾는 듯한 느낌을 주기도 하는데 이는 2015 개정교육과정의 음 악적 창의∙융합적 사고 역량을 발현하기에 충분하다. 다양한 물체를 흔들기, 문지르기, 긁기 등의 창의적 방법으로 소리를 만들고 이와 어울리는 장면을 떠올리며 다양한 음색을 탐색하고 발견하는 과정은 참 재미있으면서도 창의적이고 융합적이다.

‘들으면 장면을 떠올리고, 보면 소리를 상상한다.’라는 말처럼 소리의 마법사인 폴리 아티스트가 되어 장면과 어울리는 소리를 탐색하는 프로젝트를 설계해본다면 소리가 상 상과 만나는 신기한 경험이 교실 수업에서도 가능해질 것이다.

2

제작 목적

본 영상 학습 자료는 2015 개정교육과정 3~4학년‘숨은 소리 찾기’및 6학년 ‘소리 만들 기’제재와 같이 주변의 소리를 탐색하고 이를 간단히 표현해보는 활동보다는 국어와 음 악, 미술 등 교과 통합 프로젝트활동을 계획하여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활동을 할 수 있도 록 안내하고자 제작하였다. 직접 이야기(대본)를 쓰고 이를 학생들이 연기하고 촬영하여 제작한 영상을 토대로 영상 속에서 상상되는 소리를 탐색하는 과정을 통해 폴리아티스트 와 같이 창의성을 발현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제작함을 그 목적으로 둔다.

(2)

3

제작 일정

가. 제작 일정

제작 일정 기간

~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주제 탐구 및 연구 계획 수립

세부 콘티 제작

참고 작품 제작 및 취재

인터뷰 및 탐방

영상 촬영

영상 편집 및 오디오 믹싱

나. 제작 도구

클립형 영상학습자료를 개발함에 있어 연구계획의 수립부터 마지막 설명서 제작까지 공동 의 협의와 검토 과정을 거쳤으며 연구의 효율성을 위하여 사전 촬영 콘티 제작, 인터뷰 섭 외 및 준비, 영상 촬영 시 역할, 녹음 및 오디오 믹싱, 나레이션 대본 작성 및 진행 등 공 동 연구자 간 역할분담은 아래와 같다.

역할

연구자

연구 계획 수립

세부 콘티 제작

참고 작품 제작

인터뷰 영상 촬영

녹음 오디오

믹싱

영상 편집

나레 이션

작품설 명서 제작

연구자 1 . .

연구자 2 . .

4

공동 연구자 역할 분담

작업내용 제작 도구

영상 촬영 및 편집

ㆍ영상 촬영: 동영상(갤럭시 노트7, 캠코더 AC90), 사진 촬영(캐논 EOS 750) ㆍ편집: 영상(베가스,파워디렉터), 사진(포토샵 CS, 포토스케이프) 등

음향 녹음 및 편집

ㆍ녹음: UFO 프로, 무선마이크(UWP-V1)

ㆍ편집: 오디오 디렉터, 쿨에디터, 갤럭시 노트7 사운드앱

(3)

본 영상 학습 자료는 교실에서 쉽게 교수-학습활동을 계획할 수 있도록 크게 인트로와 엔딩과 더불어 도입과 전개, 정리부분으로 구성되어있다. 도입부분은 우리의 감각기관을 통해 시각과 청각으로 전해오는 장면이 상황에 따라 다르게 인식될 수 있음을 안내하고 이 를 통해 소리의 중요함을 강조했다. 음식의 냄새와도 같이 소리가 장면을 더욱 실감나게 해주는 요소임을 알고 이를 위해 더욱 실감나는 소리를 만드는 폴리 아티스트에 대한 이해 를 다룬다. 전개부분에서는 소리의 마법사인 폴리 아티스트처럼 학생들의 수준에서 프로젝 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단계별로 활동을 제시하고 설명하였다. 이야기(대본) 작성, 역할 극(영상) 시연, 중요한 소리 찾기, 상상의 소리 만들기 활동 순으로 전문가를 흉내 내는 것이 아닌 다양한 소리를 인식하고 이를 스스로 여러 방법으로 표현하며 즐거움을 느끼도 록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경직된 관념을 벗어나 보다 창의적인 사고를 하도록 강조했으며 2015 개정교육과정의 핵심역량인 음악적 창의∙융합 사고를 할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하였 다.

5

제작 내용의 구성

단계 영상자료 화면 내용

인트로 - 본 주제가 소리와 관련이 있음을 감안하여 각종 녹음 장비 및 창작 활 동 모습 등을 보여주며 주제와 관련하여 상상하기 쉽도록 구성함.

도입

- 장면을 보면 들리는 소리를 상상하게 되며, 소리만 들으면 장면을 상 상하게 됨을 TV 모습을 통해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음. 소리가 나 오지 않는 상황을 연출하여 소리가 듣는 사람의 상상에 따라 다르게 들릴 수 있음을 강조함.

- 소리가 마법을 부린다는 의미는 일반적으로 장면을 이해할 때 보이는 모습과 소리를 함께 인식하지만 소리만 들었을 때는 들리는 소리에 상 상을 더해 새로운 장면으로 인식할 수 있음을 마법과 같다고 표현하여 학습자료를 접하는 학생들의 이해를 돕고자 새로운 소리를 만드는 폴 리아티스트를 소리 마법사라는 단어로 접근함.

전개

- 도입에서 언급한 폴리와 폴리 아티스트의 개념을 명료화하고 이를 통 해 소리 마법사인 폴리 아티스트의 음향 작업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 록 전문가 인터뷰로 구성함.

- 소리 마법사 되기 1단계는 교실 수업에서의 현장 활용성을 높이기 위 해 국어와 미술, 음악을 교과 통합하여 프로젝트학습을 진행할 수 있 도록 학생들이 이야기를 직접 쓰고 이를 역할극(영상)이나 그림으로 표현하도록 안내함.

- 소리 마법사 되기 2단계는 국어시간을 통해 작성한 이야기를 역할극 (영상)으로 표현했을 때 필요한 핵심적인 소리를 찾아보는 활동으로 구성하였음.

- 소리 마법사 되기 3단계는 소리를 만들 때 우리 몸이나 주변의 다양한 물건들이 활용될 수있을 안내하고 이를 활용하여 2단계에서 찾은 영상 속의 소리와 비슷한 소리를 만들기 위해 연구하고 이를 직접 녹음하는 과정으로 구성하였음. 학생들이 직접 비슷한 소리가 나는 상황을 탐색 및 상상하고 이를 통해 영상과 비교하며 녹음하는 과정을 통해 다른 방법으로 낸 소리가 장면과 잘 어울리게 됨을 알도록 안내하였음.

(4)

교실에서 수업을 계획하고 실연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교육과정에 기반한 다양한 활동 아 이디어이다.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고 교과 간 성취기준 통합을 통해 재구성해내는 것도 교육 과정을 기반한 다양한 활동 아이디어에서 시작한다. 본 클립형 영상학습자료는 소리를 통해 프로젝트 활동에 대한 동기 유발과 아이디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국어시간에 다양한 글쓰기 지도와 병행하여 뼈대가 되는 이야기를 구성하고 역할극으로 표현해보길 권한다. 또는 학년 및 학급 수준을 고려하여 미술시간을 통해 그림책으로 표현하거나, 정지된 동작으로 표현하 여 사진을 촬영하고 이를 동화책처럼 꾸며도 무방하다. 실과시간을 활용하여 영상을 촬영해 도 좋고, 기촬영한 사진이나 그림책을 사진 편집하여도 좋다. 역할분담을 통해 전체 프로젝 트 활동을 운영하여도 되지만 전체 과정을 팀별로 협동하여 해결해 가는 과정이 더 의미가 있다. 본 자료는 생각의 고정관념을 벗어나 다양한 창의적 사고를 열어주기 위해 ‘소리’

라는 주제를 통해 이에 접근하였고 그 과정 속에서 다양한 즐거움과 융합적인 발전이 교실 에서 보여지길 바란다.

6 현장 적용 및 일반화 효과

- 소리 마법사 되기 4단계는 3단계에서 녹음한 결과를 영상과 합치고 최 종 결과물을 감상하는 과정임. 음향 제작 과정을 작은 화면으로 함께 제시하여 영상속 소리가 상상을 통해 만들어진 소리임을 다시 인식하 며 감상하도록 구성하였으며 이를 통해 실제 상황에서는 소리가 나지 않지만 상상의 소리가 더욱 장면을 실감나게 할 수 있음을 느끼도록 함.

정리 및 엔딩

- 정리 단계에서는 무한한 상상력이 새로운 소리를 만들어 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우리가 알고 있는 소리에 대한 고정 관념을 벗어나 음악적 인 창의∙융합적 사고를 할 수 있도록 다시 한번 강조함.

- 출연자 소개/저작권/도움 주신 분들 소개 및 엔딩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