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감사개요
○ 기 간 : 2018.06.25. ~ 06.29(5일간) ○ 대 상 : 보건환경연구원
○ 감사반 : 감사총괄담당 등 5명
○ 범 위 : 2015.12월 이후부터 감사일 현재까지 추진한 업무전반 ○ 감사중점 사항
- 예산·회계·계약 등 재정집행 운영 실태 - 복무관리, 업무추진비 집행 적정성에 관한 사항
- 연구실 및 연구원의 근무환경 개선 등 복리후생 관리 실태 - 물품 관리․운영 실태 및 시설,장비 유지관리에 관한 사항 - 보건·환경·가축·질병 업무 등의 적정운영 여부 - 도축․축산물 검사 적정 여부 등
2018년 보건환경연구원 종합감사 결과 공개
「인천광역시 감사규칙」제3조, 제4조에 따라 보건환경연구원에 대한 2018년도 정기종합감사를 실시하고, 「같은 규칙」제22조 등의 규정에 따라 감사결과 공개
Ⅱ 감사결과
가. 감사성과
○ 보건환경연구원에서 수행하는 각종 검사 및 행정전반에 대하여 법령 위반 사항, 제도개선사항 발굴, 적극행정 장려 등에 초점을 두고 종합감사를 실시한 결과,
○ 행정상으로는 21건(시정·주의 3건, 시정 5건, 주의 9건, 주 의·개선 2건, 통보 1건, 권고 1건)을 지적하였으며, 비교적 경 미하고 즉시 시정 가능한 9건에 대하여는 현지시정토록 조치 - 본처분 : 12건(시정·주의 3, 주의 6, 주의·개선 2, 통보 1) - 현지처분 : 9건 (시정 5, 주의 3, 권고 1)
〔감사결과 지적현황〕
구분
행정상(건) 재정상(천원) 신분상(명)
계 시 정
시 정
·주 의
주 의
주 의
·개 선
권 고
통
보 계 회 수
추 징
감 액
기 타 계 징
계 훈 계
주 의
계 21 5 3 9 2 1 1 0 0 0 0 0 0 0 0 0
본처분 12 0 3 6 2 0 1 현지
처분 9 5 0 3 0 1 0
나. 처분지시
[일련번호 01]
인 천 광 역 시
주의요구
제 목 담보책임의 존속기한내 하자검사 소홀 기 관 명 인천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관 계 부 서 ○○과, ○○부 등 5개부
내 용
인천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과)에서 계약을 체결하고 담보책임 존속기 간을 정하고 당해기간내에 하자검사 대상(공사․물품) 현황은 아래와 같다.
〔표〕2016. 상반기∼2018. 상반기 하자검사 대상 건수
계 2016년 2017년
2018년 상반기
상반기 하반기 상반기 하반기
121건 17건 11건 9건 23건 61건
*보건환경연구원 제출자료 재작성
「지방자치단체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제20조(계약의 담보책임)과 같은 법 시행령 제69조(담보책임의 존속기간) 및 제70조(하자검사)에 따라 지 방자치단체의 장 또는 계약담당자는 공사·물품의 도급계약을 체결할 때에는 그 담보책임의 존속기간을 정하고, 하자검사를 통하여 담보책임의 존속기간 중 목 적물에 하자가 발생한 때에는 적절한 기간을 정하여 그 하자의 보수를 요구하 거나 보수를 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또한, 지방자치단체의 장 또는 계약담당자는 연 2회 이상 정기적으로 하자를 검사(이하 “정기하자검사”라 한다)하거나 소속 공무원에게 그 사무를 위임하여 검 사하게 하여야 하며, 같은 법 시행규칙 제69조(하자검사)에 따라 담보책임의 존 속기간이 만료되는 경우에는 행정자치부장관이 정하는 바에 따라 지체 없이 따 로 검사(이하 “최종하자검사”라 한다)를 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지방자치단체 입찰 및 계약집행기준」제13장 공사계약 일반조건 제10절(공사 목적물의 하자)에 계약담당자는 하자담보책임기간이 만료되기 14일 전부터 만료 일까지의 기간 중에 따로 최종검사를 하여야 하며 최종검사에서 발견되는 하자 사항은 계약상대자가 자신의 부담으로 보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계약담당자 또는 하자검사를 위임받은 검사자는 담보책임의 존속 기간이 정해진 공사·물품에 대해 연 2회 이상 ‘정기하자검사’를 실시하여야 하고, 담보책임의 존속기간이 만료되는 경우에는 따로 ‘최종하자검사’를 실시하여야 함 에도 보건환경연구원 계약담당자는〔표 1〕에서와 같이 준공된 공사 및 납품된 물품 총 151건 중 44건에 대해 하자검사를 실시하지 아니하여 하자검사를 통해 시설물의 결함 또는 보완이 필요한 경우, 하자에 대한 보수비용을 계약상대자의 부 담으로 보수할 수 있는 기회를 상실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표 1〕2016.상반기~2018.상반기 하자검사 추진현황
(단위 : 건수)
구분 연 도 검사대상 검사실시 검사미실시 미실시율(%)
계 151 107 44 29.1%
정 기 하자검사
소계 121 101 20 16.5%
2016년 상반기 17 17 - 0%
2016년 하반기 11 0 11 100%
2017년 상반기 9 0 9 100%
2017년 하반기 23 23 - 0%
2018년 상반기 61 61 - 0%
최 종
하자검사 2016~2018년 30 6 24 80%
* 보건환경연구원 제출자료 재작성
관계기관 의견 및 검토결과
보건환경연구원(○○과)에서는 공사․물품 계약의 경우, 계약금액이 적고 내용면에서도 소규모 공사, 물품이 대부분인 점과 감사기간중 검사를 실시하지 못한 44건에 대해 하자검사를 실시한 결과 43건에 대해서는 하자사항을 발견하지 못하였고, 소각설비 보수공사 시행(계약금액 : 60,581천원, 준공일 : 2015. 9. 30.
담보기간 : 2015. 9. 30.~ 2016. 9. 30, ○○과) 1건은 경미한 하자(내화벽돌 떨 어짐)가 발생하였으나, 하자발생 시기가 2018. 4월경에 발생하였고, 해당업체(□
□□주식회사)에 문의한 결과 보수공사를 할 정도의 수준은 아니하는 자문을 받 았다는 의견과 함께 하자검사 미실시건에 대한 현장확인 결과를 증빙자료로 제 출하였다.
하자검사 대상건수 전체 151건중 검사미실시 건은 44건으로 미실시율이 29.1%에 해당하나 2017년 상반기 이후에는 하자검사를 실시해오고 있고 감사 기간중 현장확인을 통한 하자검사를 실시한 결과 하자사항을 발견하지 못하였고, 감사마감 회의시 전부서 관계자들에게 하자검사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였고, 주관부서인 ○○과에서 향후 하자검사의 철저한 시행과 선처를 구하고 있는 점 등을 고려하여 금회에 한해 엄정 주의조치하고, 재발방지를 위한 특단의 대책을 마련 할 필요가 있다.
〔조치할 사항〕
보건환경연구원장은 담보책임 존속기간이 정해진 공사․물품에 대해서는 시설물 의 안전과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위하여 연 2회의 정기하자 검사와 하자담보 책임 기간 만료되기 14일전부터 만료일까지 실시하는 최종검사를 실시하지 않는 사례 가 재발되지 않도록 주의를 촉구하니, 향후에는 연도별 검사계획을 수립하여 정례 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조치하시기 바랍니다.
[일련번호 02]
인 천 광 역 시
시 정 · 주 의 요 구
제 목 물품관리업무에 관한 사항 기 관 명 인천보건환경연구원 관 계 부 서 ○○과
내 용
❍
「공유재산 및 물품관리법」제60조(재물조사 등) 및 같은 법 시행령 제59조 (정기재물조사)에 의하면,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2년마다 정기적으로 재물조 사를 실시하여야 하고 그 결과를 행정안전부장관에게 제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행정안전부 지침에 따르면, 정기 재물조사의 준비단계로 물품관리관은 당해 연도 취득 및 처분관련 장표를 당해 연도 6.30일자 기준으로 마감하여야 하 며, 미등재 또는 누락된 물품에 대하여 재물조사 전에 정리하고 휴대용 리더 기를 사용할 경우 물품관리관은 소관물품 중 전자태그 미부착 또는 인식(분 실·훼손 등)이 불가능한 물품에 대해 사전에 전자 태그를 발행하여 부착하 고, 전자태그 부착 제외물품은 “재물조사필 라벨”을 전산 출력하여 재물조사 물품에 부착하도록 정하고 있다.❍
보건환경연구원에서는 ‘2016년 정기 재물조사 지침’에 의거 재물조사반을 편 성하여 소유중인 물품의 활용실태와 변동사항을 정리하고 그 결과를 〔표1〕과 같이 시
○○
과에 보고하였다. (보건환경연구원○○
과-10322호, 2016.10.24.)〔표 1〕 2016년도 정기재물조사 결과
구 분 장부상총재물 현품 실사결과
총재물 가액(천원) 초과품 부족품
보건환경연구원 3,732 3,768 31,177,679 36 0
❍
그러나, 보건환경연구원에서는 2016년 정기 재물조사 과정에서 전자 태그 미 부착 또는 인식 불가능한 물품에 대하여 전자태그 등을 발행하여 부착하여야 함에도 일부 물품에 대해서만 부착하였고, 〔표2〕의 전자태그 부착 제외물품 55종 118개 품목에 대해서는 행정안전부 지침에 의한 “재물조사필 라벨”을 전 산출력하여 부착하여야 함에도 이를 이행하지 않았다.❍
또한, 내구년수 경과 및 노후 등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불용품 발생시 소요조회 를 하고 불용 처분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관련 조례에 따라 불용결정 승인 을 받아 처리하여야 함에도 일부 물품에 대해서만 불용 처분하고 〔표3〕의 불용처리 대상 82개 물품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불용처리 하지 않는 등 물품관 리업무를 소홀히 한 사실이 있다.〔표 2〕 재물조사 라벨 미부착 물건 현황
연번 물품분류번호 물품명 규격명 수
량 비 고
1 41115603-21144762 pH측정기 pH측정기, Denver,
DE/PH-220 1
2 41115603-22323226 pH측정기 pH측정기, Thermo fisher scientific, US/Orion Star A211 1 3 41115603-21007421 pH측정기 pH측정기, Thermo fisher
scientific, US/Thermo Orion 3-Star pH Benchtop 1 4 41115603-20591319 pH측정기 pH측정기, Thermo orion,
US/0250A3 1
5 41111613-10052556 거리측정기 거리측정장비, Sokkia,
JP/RED-2L-V 1
6 41104510-22709949 건조캐비닛또
는오븐 건조기, 대한과학,
ThermoStable OF-105, 105L 1
연번 물품분류번호 물품명 규격명 수
량 비 고
7 41104008-20591257 견본기체추출 장치또는수집 장치
가스채집기, Kimoto, JP/120HL, High volume Air
samplers 4
8 41104008-21286364 견본기체추출 장치또는수집 장치
부유분진포집기, 에이피엠엔지니어링,
PMS-111, 미세먼지연속채취기 4 9 21101906-20491395 계란검사및선
별기
계란감별세트, Tss, UK/QCM+QCR외,
종합검사시스템 4
10 42281596-22310021 고압멸균기 고압멸균기, TOMY Digital Biology CO., JP/SX-700, 79L 1 11 41109901-21091625 광합성측정장
치 광합성측정장치, Heinz walz, DE/Imaging-PAM MAXI 1
12 41115703-22371715 기체크로마토
그래프 Thermofisherscientific
CN/Trace1310(NPD) 1
13 41115703-22371715 기체크로마토
그래프 Thermofisherscientific
CN/Trace1310(PFPD) 1 14 41115404-22644731 기체크로마토
그래프 질량분석기
Thermofisherscientific
US/ISQ LT 1
15 24131501-20687404 냉장냉동겸용 장치
냉장고, 삼성전자, CRF-114CD, 1090L,
냉동냉장겸용 1
16 24131501-20564208 냉장냉동겸용
장치 냉장고, 삼성전자,
CRF-1764D, 1685L 1
17 48102103-20488249 냉장진열장 냉장진열장, 대우전자, FRS-1300RNRE, 1300L
1 18 41103906-20547103 냉장플로어원
심분리기 대용량냉장원심분리기,
한일과학산업, Combi-514R 1
19 21101899-20651514 농축산용방역 장비
농축산용방역장비, 국신엔지니어링, 주문제작, 출입문에설치,
외부출입자소독용
3
20 41113199-21590373 대기오염측정 기
대기오염측정기, Kimoto, JP/MACSAM6 (BAM1020 2대, SA731, NA721, CA751, OA711, SG742, 기상, data logger, 에어컨)
1
21 41111994-21284736 미립자계수기 미립자계수기, Hach ultra,
US/HIAC 9703 1
22 41104914-20549149 보틀탑필터또 는여과컵
여과기, Advantec toyo kaisha, JP/KG-47, Micro
filtration assemblies 1
연번 물품분류번호 물품명 규격명 수량 비 고 23 41104914-20699790 보틀탑필터또
는여과컵 여과기, Millpore,
US/YY3009000, Filter holder 2 24 41111517-21714184 분석저울 분석용전자저울, Mettler
toledo, CH/ML3002, 3200g 1
25 41111942-21458504 불투명도, 분진또는가시 도센서
부유분진분석기, Applikon,
NL/MARGA 2S 1
26 41113301-20194887 산또는염기분 석기
아미노산분석기, Hewlett packard, US/G1354A, G1313A, 1049A, G1313A, 1049A 1 27 41103704-20495745 생물학용온도
조절조 생체저온보관고, Sanyo,
JP/MPR-1410R, 1365L 1 28 56101597-22947576 서랍형수납장 서랍형수납장, 평화기업,
PHP-314, 600×600×1080mm 1 29 41113319-20926673 수질분석기 기타수질분석기, Bltec,
JP/AA3, 습식자동분석기 1 30 41113319-20195646 수질분석기 기타수질분석기, In-situ,
US/Hermit 3000 1 31 41105517-21296097 식물세포핵산
추출도구 핵산추출기, Malcom,
JP/PNE-2080, DNA Extractor 1 32 56122001-20197485 실험대 실험대, 중앙실험대에폭시판,
3000×1500×800/1800mm 8 33 41103515-23029351 실험실용가스
발생기
실험실용가스발생기, Proton energy systems, US/Hydrogen G200, 수소, 200mL/min 1 34 41104911-22190197 실험용공기여
과시스템
가스정제장치, 에이씨티테크놀로지 ,
APS-M20P, 92㎡, 95W 4 35 41104601-20662637 실험용박스로 전기로, Lenton, GB/UAF
14/5, 1400℃ 1
36 41104601-20638349 실험용박스로 전기로, Nabertherm,
DE/L3/C6H, 1200℃ 1 37 24111894-20484144 액체질소통 액체질소통, Mve/chart,
US/XC 34/18, 34.8L 1 38 41115705-20485707 액체크로마토
그래프 ICS 5000 1
39 41104008-22644764 연속시료채취
장치 에이피엠엔지니어링, PMS-104,
미세먼지연속채취기 2
40 41119924-21067660 의료용면역형 광측정장치
의료용면역형광측정장치, bioMerieux Italia s.p.a, IT/mini VIDAS BLUE, 36test/h 1
연번 물품분류번호 물품명 규격명 수
량 비 고
41 41119955-22735799 의료용미생물 배양기
의료용미생물배양기, Becton dickinson, US/Bactec MGIT
320 1
42 41119956-20918876 의료용세포·조 직배양기
의료용세포조직배양기, Microm international,
DE/STP 120, 자동조직처리기 1 43 56101708-20384895 이동형파일서
랍 이동형파일서랍, 보루네오,
GB122FP, 392×560×587mm 2
44 41103806-22707230 자력교반기 자력교반기, 대한과학, MaXtir 500S, 80~1500rpm 2
45 56112102-21085844 작업용의자 작업용의자, 광일체어, GCA-1521,
590×610×980~1080mm 1
46 56112102-20542477 작업용의자 작업용의자, 동성Naiki, DS-OC08,
560×620×950~1050mm 4
47 56112102-20542477 작업용의자 작업용의자, 동성Naiki, DS-OC08,
560×620×950~1050mm 1
48 56112102-20494800 작업용의자 작업용의자, 한국오에이,
CH4010, 585×500×825mm 3
49 41104404-21494268 저온BOD배양
기 저온BOD배양기, 윈사이언스,
IBC-250, -10~70℃ 1
50 41111517-21162344 전자저울 Sartorius mechatronics,
DE/CPA224S, 0.0001~220g 1
51 41111720-10051456 주사전자현미
경(SEM) 주사전자현미경, Jeol, JP/JSM
5200 1
52 41104401-20198016 중력대류식범
용배양기 일반중력대류배양기, Sanyo,
JP/MIR-262 1
53 41104401-20673555 중력대류식범
용배양기 일반중력대류배양기, 대한과학,
WIG-155 1
54 41106307-10047587 중합효소연쇄 반응(PCR)최 적화제품
유전자증폭기, Applied biosystems, US/GeneAmp
PCR 2700 1
55 56101703-20550899 책상 책상, 창원소년원주문제작,
1200×700×700mm 2
연번 물품분류번호 물품명 규격명 수
량 비 고
56 56101703-20550899 책상 책상, 창원소년원주문제작,
1200×700×700mm 1
57 56101703-20550899 책상 책상, 창원소년원주문제작,
1200×700×700mm 4
58 56101507-20508379 책장 책장, 1180×390×1640mm 3
59 56101507-20269063 책장 책장, 1200×400×1800mm 2
60 56101507-20269063 책장 책장, 1200×400×1800mm 3
61 42281712-22620684 초음파세척기 초음파세척기, Branson,
US/CPX5800H-E, 9.5L 1
62 56101530-20842028 캐비닛 캐비닛, 리바트, BS5534D,
800×419×1162mm 2
63 56101530-10054992 캐비닛 캐비닛, 목제, 유리문,
여닫이형, 800×450×2280mm 2
64 56101530-22216997 캐비닛 캐비닛, 쏘피체, FBS5534,
800×419×1162mm 1
65 56101530-10055017 캐비닛 캐비닛, 한국오에이, SC6300, 800×450×1736mm, 강제,
5단(도어형) 1
66 41123002-22290092 캐비닛형데시
케이터 캐비닛형데시케이터, 굿스굿, ESD-140, 디지털, 1~60%RH 1
67 56101701-10055510 크레덴자 크레덴자, 노송가구, YJJ-786, 1240×490×1800mm 2
68 41104815-20195310 킬달질소분해 장치
킬달분해장치, 2200, 반자동스팀가열식, 250mL1개,
소요전력:2200W 1
69 41104815-21544809 킬달질소분해 장치
킬달분해장치, Foss analytical A/B, SE/Kjeltec 8400,
질소분석기 1
〔표3〕불용처분 대상 물품 현황
연번 물품분류번호 물품명 규격명 수
량 비 고
70 41103904-22383895 탁상형냉장원 심분리기
탁상형냉장원심분리기, Beckman coulter, US/Allegra X-30R, 18000rpm 1 71 41103904-20757805 탁상형냉장원
심분리기
탁상형냉장원심분리기, 한일과학산업, Combi 514R,
500mL×4 1
72 56101702-20269034 파일링캐비닛
또는액세서리 파일링캐비닛, 목제, A4-4, 395×620×1335mm, 베이지색 1 73 41119953-22146433 표본가공기 표본가공기, Thermo
shandon, GB/Themro
Scientific HistoStar, 5L 1 74 41103203-20620797 피펫세척기 피펫세척기, 화신기계,
POWERSONIC 212,
자동피펫세척기 1
75 41103706-20728033 항온수조 항온수조, 창신과학, C-WBS-D,
16L 1
76 40101715-20093988 항온항습기 중앙, CTH-6,
냉방2.10/난방11kW 1
41119957-20732116 혈액냉장고 혈액냉장고, Sanyo, JP/MPR
414F 1
77
56101706-20545380 회의용탁자 회의용탁자, 동성Naiki,
DS-MT02, 1800×900×720mm 1 78
56101706-10055178 회의용탁자 회의용탁자, 목제, 사각형,
1800×900×720mm 1
79
55종 / 118개 물품
연번 물품명 규 격 명 수량 구입연도 비고
1 개인컴퓨터
개인용컴퓨터, 삼보컴퓨터,
D r e a m S y s - C 1 2 9 GACT822-CRJF1/R64, Core 2 Duo E8400(3.0GHz), 모니터제외
28 20110322
2 개인컴퓨터
개인용컴퓨터, 삼성전자,
CN/DM-V600-PA05G, Intel Core i5 2400(3.10GHz), 모니터 제외
8 20120521
3 노트북컴퓨터 노트북컴퓨터, 삼보컴퓨터,
DreamBook, Celeron(1.2GHz)
20GB 1 20040901
연번 물품명 규격명 수량 구입연도 비고
4 노트북컴퓨터 노트북컴퓨터, 엘지전자,
T h i n k p a d - 1 1 6 9 6 K ,
Pentium3(1.0GHz) 1 20020322
5 노트북컴퓨터 노트북컴퓨터, 삼성전자,
S M 3 0 - 6 M 5 6 1 / 3 0 6 ,
Pentium4(3.06GHz) 1 20050607
6 대기오염측정기 대기오염측정기 1 20071008
7 마이크로플레이
트세척기
마 이 크 로 플 레 이 트 세 척 기 , Tecan, AT/Columbus, M8-2채
널 1 20060630
8 소화용기구 수동식소화기, ABC분말, 3.3kg 1 20030321
9 소화용기구 수동식소화기, ABC분말, 6.5kg 1 19870812
10 소화용기구 수동식소화기, Chong qing, CN/하론1211, A1/B4/C용,
4.5kg 3 19931229
11 소화용기구 수동식소화기, Chong qing, CN/하론1211, A1/B4/C용,
4.5kg 1 19970124
12 소화용기구 수동식소화기, 부성실업,
BS-204-1, 축압식ABC분말,
3.3kg 2 20030321
13 소화용기구 수동식소화기, 부성실업,
BS-204-1, 축압식ABC분말,
3.3kg 5 20030321
14 소화용기구 수동식소화기, 부성실업,
BS-207, 축압식ABC분말, 6.5kg 1 19830711
15 소화용기구 수동식소화기, 부성실업,
BS-207, 축압식ABC분말, 6.5kg 1 19870812
16 소화용기구 수동식소화기, 부성실업,
BS-207, 축압식ABC분말, 6.5kg 1 19931229
17 소화용기구 수동식소화기, 삼우산기,
SW-3.3, 3.3kg 1 19970124
18 소화용기구 수동식소화기, 삼우산기,
SW-3.3, 3.3kg 1 20030321
19 소화용기구 수동식소화기, 한국소방기구공
업, 축압식ABC분말, 3.3kg, 철제 2 20040428
20 실험대 실험대, 중앙실험대에폭시판,
3000×1500×800/1800mm 2 19920314
21 실험용세척기 실험용세척기, Lancer
industrie, FR/910UP 1 19990705
〔조치할 사항〕
보건환경연구원장께서는 내구년수가 경과한 불용품에 대하여 폐기 등 불용처리 하시기 바라며, 전자태그 부착 제외물품은 2018년 재물조사시 “재물조사필 라벨”
을 전산 출력하여 재물조사 물품에 부착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공유재산 및 물 품관리법」 및 행정안전부 지침에 따라 물품관리에 내실을 기하여 주시고, 향후 동일한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연번 물품명 규격명 수량 구입연도 비고
22 원자흡광분석기 원자흡수분광광도계, Varian,
US/AA280FS 1 20040902
23 유선전화기 발신자표시전화기, 엘지전자,
GS-461CWA 5 20060109
24 인장강도시험기 인장강도시험기, HandPI,
CN/HDV, 500kgf, 디지털 1 20080411
25 작업용의자 의자, 고정식, 철제,
590×795mm, 1인용, 팔걸이-2
개 1 20050613
26 작업용의자 작업용의자, 한국오에이,
CH4010, 585×500×825mm 2 20050613
27 주사전자현미경
(SEM) 주사전자현미경, Hitachi,
JP/S-3000N 1 20050914
28 중력대류식범용
배양기
일반중력대류배양기, Sankin, JP/Cariostat Box lll, 개량스나이
더시험기 1 19991216
29 중력대류식범용
배양기 일반중력대류배양기, Takara
shuzo, JP/OV-5 1 19991230
30 중력대류식범용
배양기 일반중력대류배양기, 대한과학,
WIG-050, 50L 1 20070531
31 텔레비전 텔레비전, 엘지전자,
TN-62SZ70F, 프로젝션, 157cm 3 20050607 32 팩스기기 팩스기기, 삼성전자, CF-4700 1 20080221
15종 / 82개 물품
[일련번호 03]
인 천 광 역 시
주 의 요 구
제 목 유연근무자 복무관리에 관한 사항 기 관 명 인천보건환경연구원
관 계 부 서 ○○과
내 용
❍
「국가공무원 복무 · 징계 관련 예규」안정행정부 예규 제58호(2012. 12. 12.) 제4장 유연근무제에 따라 각급 행정기관의 장은 유연근무제의 실시로 인해 공무원 복무기강이 해이해지지 않도록 운영 실태를 주기적으로 확인 · 점검하 여 복무관리를 철저히 하고, 복무관리자는 직원간의 출·퇴근 시차로 인하여 업무협조 및 일하는 분위기가 저해되지 않도록 역할을 강화하였고 「유연근 무제 운영지침」에서는 시차출퇴근, 근무시간선택, 집약근무형 이용자에 대하 여 복무관리시스템에 출·퇴근시간 등록을 의무화 하였다.❍
보건환경연구원에서는 2016년부터 현재까지 시차출퇴근제 및 근무시간선택제 유연근무제에 대해 21명이 신청하였으며, 2018년도에는 11명이 유연근무제를 신청하여 근무하고 있다.<표 1> 유연근무제 신청자 현황
※ 2018년 : 11명 신청
❍
그에 따라 보건환경연구원에서는 관련 규정 및 지침에 따라 복무관리시스템 에 의한 출·퇴근시간 등록 의무화 조치 이행여부를 확인하여야 하고, 출·퇴근신청기간 인원 ○○과 ○○부 ○○부 ○○부 ○○부 ○○부
2016년
∼ 현재 21 명 1 명 1 명 2 명 4 명 11 명 2 명
시간 등록 및 출·퇴근시간 준수를 성실히 이행하도록 유연근무자들에게 촉구 하여야 한다.
❍
금년도 보건환경연구원 유연근무제 신청자에 대해 2018.4월이후 현재까지 약 3개월간 유연근무자 출퇴근 기록자료를 살펴보면, 〔표2〕와 같이 ○○부에 근무하는 ◎◎◎의 경우 육아를 위해 2018. 3월∼6월까지 유연근무제를 신청 하였으나 출근 및 퇴근시 복무관리시스템 등록을 4회 누락하였고, ○○부에 근무하는 ◎◎◎은 육아를 위해 2018.1월∼12월까지 유연근무제를 신청하면 서 복무관리시스템 등록을 3회 누락하였으며, ○○부 ◎◎◎은 출퇴근 편의를 위해 유연근무제를 신청하면서 복무관리시스템 등록을 2회 누락하였고, ○○부에 근무하는 ◎◎◎은 육아를 위해 유연근무제를 신청하면서 복무관리시스 템 등록을 3회 누락하였으며, 또한 일부 유연근무자는 약정된 유연근무 출근 시간 보다 늦게 출근하는 경우도 있었다.
❍
보건환경연구원에서는 유연근무제를 실시함에 있어 제도의 취지를 살려 직원 들의 근무 편의를 도모함은 물론 유연근무제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 주기적으 로 확인·점검을 하고 일하는 분위기가 저해되지 않도록 평소 복무관리를 철 저히 하여야 함에도 이에 대한 업무추진에 소홀함이 있었다.<표 2> 복무관리시스템 등록 미이행 현황 신청기간 : 2018.1월~6월
※2018.4월~6월까지 출·퇴근 기록자료 참조 순
번 소속 직급 성 명 유연근무기간 유 연
근무제
사 유 유연근무시간 출퇴근
미등록 지각 여부 1 ○○부 ☆☆☆ ◎◎◎ 2018-03-12
∼ 2018-06-29 육아 월,화,수,목,금
09:30-18:30 4회 2 ○○부 ☆☆☆ ◎◎◎ 2018-01-22
∼ 2018-12-28 육아 월 9∼18 / 화7∼15 / 수 7∼18 / 목 7∼15 /
금 9∼18 3회
3 ○○부 ☆☆☆ ◎◎◎ 2018-01-08
∼ 2018-07-20 출퇴근
편 의 월 9:30∼18:30 /
화-목 8∼17 2회 2회 4 ○○부 ☆☆☆ ◎◎◎ 2018-01-01
∼ 2018-12-28 육아 월,수,금 9∼17
화 9∼22 / 목 9∼18 3회
〔조치할 사항〕
보건환경연구원장께서는 향후 동일한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지속적인 직원교 육 및 업무연찬 실시 등 각별한 주의를 촉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일련번호 04]
인 천 광 역 시
주의 요구
제 목 특허장비 유지보수용역 계약에 관한 사항 기 관 명 인천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관 계 부 서 ○○과, ○○과
내 용
□ 자동모기계측기(특허장비) 유지보수용역 계약현황
대상 수량 계약일자 계약금액 계약기간 계약자 수의계약 사유
자동모기 계측기
120대 2018.4.30. 78,314천원
(월13,052천원) 2018.5.1.
∼10.31 (6개월)
㈜□□□(장비 제조사)
지방계약법 시행령 제25조제1항제4호 바목 해당물품을 제조·
공급한 자가 직접 그 물품을 설치, 조립 또는 정비하 는 경우
‣ 과업내용
- 자동모기계측기 정기점검(월1회) 및 수시점검, CO2 실린더 및 소모품 교체 - 측정데이터 현황 파악, LTE라우터와의 통신상태 점검
1. 수의계약 체결 부적정
「지방자치단체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제9조에 따르면 계약 담당자는 계약을 체결하려는 경우에는 이를 공고하여 일반입찰에 부쳐야 하며, 다만, 계약의 목적·성질·규모 등을 고려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면 참가자를 지명 (指名)하여 입찰에 부치거나 수의계약을 할 수 있다고 규정되어 있고,
같은 법 시행령 제25조제1항제4호, 제30조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34조에 따르면 특정인의 기술·용역 또는 특정한 품질·성능·효율 등으로 경쟁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수의계약을 할 수 있고, 수의계약을 체결하려는 경우에는 2인 이 상으로부터 견적서를 받아야 하며, 영 제25조제1항제4호에 따라 수의계약을 체 결하는 경우에는 그 적용 사유에 해당되는지를 입증할 근거서류를 갖춰야 한다 고 규정되어 있다.
한편,「지방자치단체 입찰 및 계약 집행기준」제4장 제한입찰 운영요령에 따르면 용역 계약을 함에 있어 특수한 설비·기술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기술 보 유자(특허 통상실시권자는 제외)와 기술지원 협약을 체결한 후, 계약담당자는 협 약내용을 입찰공고에 명시하여 경쟁입찰을 실시하고, 낙찰자 결정 후 낙찰자에 게 그 사본을 제공하여 낙찰자와 기술보유자가 기술사용 협약을 원활히 이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보건환경연구원에서는 자동모기계측기 유지보수용역의 과업내용을 분석하여 특별한 전문지식과 기술이 요구되는 것인지 특수한 장비나 공법이 요 구되는 것인지를 먼저 검토한 후, 해당 특허장비 제조사만이 유지보수용역을 수 행할 수 있다면 객관적이고 타당한 근거 서류를 구비한 후 수의계약을 체결하여 야 하며, 유지보수용역 과업내용 중 일부만 신기술 등이 요구된다면 기술지원 협약 체결 후 경쟁 입찰을 하여야 한다.
그러나, 보건환경연구원에서는 수의계약 적정 여부 및 기술지원 협약에 대 한 검토를 소홀히 하였고, 수의계약 근거서류를 갖춰 두지 않은 채 해당 장비 제조사와 수의계약을 체결하였다.
2. 계약금액 결정 부적정
「지방자치단체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8조 및 제10 조에 따르면 계약담당자는 입찰이나 수의계약 등에 부칠 사항에 대하여 해당 규 격서 및 설계서 등에 따라 예정가격을 작성하여야 하며, 예정가격은 거래실례가 격, 원가계산에 의한 가격 등을 기준으로 하여 결정하여야한다고 규정되어 있다.
또한,「지방자치단체 입찰 및 계약 집행기준」제5장 수의계약 운영요령에 따르면, 천재지변 등에 따른 1인 견적서 제출 가능 수의계약 대상에 대하여는 계약상대자와 협상을 통하여 거래실례가격, 원가계산에 따른 가격, 유사거래실례 가격 등을 비교 검토하여 예정가격 이하 범위 안에서 계약금액을 적정하게 결정 한다고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보건환경연구원에서는 자동모기계측기가 운영되고 있는 타 시·도 의 유지보수 용역비 조사와 함께 원가계산에 따른 용역비 산정을 실시한 후 예 정가격 이하의 범위 안에서 계약금액을 적정하게 결정하여야 한다.
그러나, 보건환경연구원은 타 시·도의 해당 장비 유지보수 용역비 조사 및 원가계산에 따른 용역비 산정을 하지 않았으며, 추정가격 5천만원을 초과하는 수의계약이었음에도 예정가격을 작성하지 않은 채 계약상대자가 제출한 견적금 액을 기준으로 계약금액을 결정하였다.
〔조치할 사항〕
보건환경연구원장은 향후 동일한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관련 공무원들에게 지 방계약 관련법령 및 예규에 대한 업무연찬과 주의를 촉구하시기 바랍니다.
[일련번호 05]
인 천 광 역 시
주의·개선 요구
제 목 유사·중복사업 통합 발주에 관한 사항 기 관 명 인천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관 계 부 서 ○○○
내 용
□ 실시간 유전자 진단장비(중합효소 연쇄반응기) 구입현황
입찰 공고명 발주부서 공고일 개찰일 구입장비(영문명)
실시간 유전자 진단장
비 구매 ○○○ 2018.02.28 2018.03.07 7500 Fast Real-Time PCR System with Laptop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
응 최적화제품 구입 ○○○ 2018.03.05 2018.03.09 7500 Fast Real-Time PCR System with Laptop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
응기 구매 ○○○ 2018.03.09 2018.03.15 7500 Fast Real-Time PCR System with Laptop 실시간 유전자 진단장
비 구매 ○○○ 2018.03.14 2018.03.27 7500 Fast Real-Time PCR System with Laptop 행정안전부 예규「지방자치단체 세출예산 집행기준」제2장 세출예산 운영을 위한 일반지침에 따르면, 사업내용이 유사하거나 중복되는 사업은 법령의 범위 내에서 통합발주를 위하여 적극 노력함으로써 지출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여 야 한다고 규정되어 있다. 또한, 예산 집행과정에서 단일사업으로 예상되는 경우 에도 통합발주 하여야 하며, 물품을 일괄하여 구매 또는 제조·구매하는 것이 예 산절감이 예상됨에도 특별한 사유 없이 이를 시기적으로 나누어 구매하여서는 아니 된다고 규정되어 있다.
한편,「인천광역시 재무회계 규칙」제4조에 따르면 市 직속기관 등의 추정 가격 5천만 원을 초과하는 물품 제조·구매 입찰은 市 회계담당관실에서 계약 사
무를 통합 운영하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보건환경연구원 ○○과는 ◉◉◉과 등 4개과의 2018년도 자산취득 비 예산에 편성된 실시간 유전자 진단장비(◉◉◉과, ◉◉◉과) 및 실시간 중합 효소 연쇄반응 최적화제품(◉◉◉과),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기(◉◉◉과) 등 이 모두 동일 장비임을 사전에 파악하지 못함으로써, 해당 장비 4대의 추정가격 합계금액이 5천만 원을 초과함에도 市 ▣▣▣실에 계약 요청하지 않았고, 각각 자체 발주하여 구입하였다.
〔조치할 사항〕
보건환경연구원장은 향후 동일한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관련 공무원들에게 주 의를 촉구하시기 바라며, 보건환경연구원 연구장비 명칭에 대한 표준화 방안을 마 련하시기 바랍니다.
[일련번호 06]
인 천 광 역 시
시정․주의 요구
제 목 지정 및 의료폐기물 처리․관리 부적정 기 관 명 인천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관 계 부 서 ○○과,
◍◍◍
부내 용
❍
보건환경연구원 지정 및 의료폐기물 처리현황구분 2015 2016 2017 2018. 6. 비고
지정폐기물 3,940kg 8,550kg 6,070kg 2,130kg 일반폐기물
(폐토사) - - 10,000kg -
의료폐기물 8,077kg 12,089kg 13,076kg 767kg
1. 의료폐기물 운반관리 부적정
❍
보건환경연구원 ○○과에서는 가축 등의 질병 및 전염병 관련하여 검사 업무 시 월 평균 70kg의 의료폐기물이 발생하고 있다.❍
「폐기물관리법 시행령」제7조(폐기물의 처리기준 등) 및 「같은 법」시행 규칙 제14조(폐기물 처리 등의 구체적인 기준방법)에 규정에 따라 의료폐기물 의 수집․운반의 경우 전용용기에 넣어 밀폐 포장된 상태로 의료폐기물 전 용 운반차량으로 수집․운반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보건환경연구원 ○○과에서는 가축 등의 질병 및 전염병과 관련하여 검사 업 무 시 발생하는 의료폐기물을 의료폐기물 전용 운반차량으로 운반 하여야 함에도, 오후 퇴근 시 관용차량을 이용하여 보건환경연구원으로 운반하여 처리한 사실이 있다.2. 지정폐기물 처리 부적정
❍
「폐기물관리법 시행령」제7조(폐기물의 처리기준 등) 및 「같은 법」시행 규칙 제14조(폐기물 처리 등의 구체적인 기준방법)에 따라 “지정폐기물 배출자는 그의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지정폐기물 중 폐산, 폐알칼리, 폐유, 폐유기용제 등의 보관이 시작된 날로부터 45일을 초과하여 보관하여서는 아니된다. 다만, 천재지변이나 그 밖의 부득이한 사유로 장기 보관할 필요성이 있다고 관할 시·도지사가 인정하는 경우와 1년간 배출하는 지정폐기물의 총량이 3톤 미만인 사업장의 경우에는 1년의 기간 내에서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지정 및 의료 폐기물은 각각의 폐기물운반차량으로 등록된 차량으로만 운반할 수 있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지정폐기물 년도별 처리일자 현황지정폐기물 종류 2015 2016 2017 2018. 6.
폐유기용제
처리일자 10. 2.
11. 24.
5. 26.
9. 8.
12. 7.
4. 4.
9. 1.
12. 13. 4. 18.
폐 산
처리일자 10. 2. 5. 26.
9. 8.
12. 7.
4. 4.
9. 1.
12. 13. 4. 18.
폐알칼리
처리일자 10. 2. 5. 26. 4. 4.
9. 1.
12. 13 4. 18.
❍
보건환경연구원에서는 위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정폐기물량이 연간 3톤 을 초과함에도 불구하고, 보관기간 45일을 초과하여 보관한 사실이 있다.3. 의료폐기물 표기 부적정
❍
「폐기물관리법 시행령」제7조(폐기물의 처리기준 등) 및 「같은 법」시행 규칙 제14조(폐기물 처리 등의 구체적인 기준방법)에 따라 의료폐기물 전용 용기에는 포장의 바깥쪽에는 의료폐기물임을 나타내는 도형 및 취급시 주의 사항을 표기하여야 하고, 배출자, 의료폐기물의 종류 및 성질과 상태, 사용개시연월일(의료폐기물을 전용용기에 최초로 넣은 날), 수거자 등을 기록하여야 한다.
❍
보건환경연구원 및 ◉◉◉(○○○과)에서는 의료폐기물 전용 용기에 배출자 및 사용개시 연월일을 표기하지 아니하고 의료폐기물을 배출한 사실이 있다.〔조치할 사항〕
보건환경연구원장은
◍◍◍
과의 가축 등의 질병 및 전염병 검사 업무시 발생하는 의료폐기물에 대해 배출장소에서 직접 의료폐기물 수집․운반 업체로 하여금 의료 폐기물 전용운반차량으로 운반․처리할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하여 추진하시기 바 랍니다. 앞으로는 각 부서의 시험․연구시 발생하는 지정폐기물에 대하여 보관기 간(45일)을 준수하여 보관․처리하시기 바라며, 각 부서에서 배출하는 의료폐기 물에 대해서는 의료폐기물 전용용기에 배출자(부서명) 및 사용개시 연월일을 표 기하여 배출하도록 하시고, 향후 유사한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관련 업무에 철저를 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일련번호 07]
인 천 광 역 시
주의 요구
제 목 동물위생시험소 폐기물 소각시설 운영관리 부적정 기 관 명 인천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관 계 부 서 ◎◎◎◎소(○○과)
내 용
❍
소각시설 현황구분 부서명 소재지 소각용량 설치년도 소각대상 물질
폐 기 물
소각시설 ◎◎◎ 서구 가정로 **번길
**(가좌동) 195kg/hr 2003.4.15. 동물의 사체
❍
소각시설 운영 현황❍
「폐기물관리법」제29조(폐기물처리시설의 설치) 및 「같은 법 시행규칙」제38조(설치신고대상 폐기물처리시설)에 따라 일반 소각시설로서 1일 처리 능력 100톤 미만인 시설은 설치신고대상 폐기물처리시설로 정하고 있으며,
❍
「폐기물관리법」제29조(폐기물처리시설의 설치) 및 「같은 법 시행규칙」제37조(폐기물처리시설 설치 승인․신고의 제외 대상 등)에는 학교․연구 기관 등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자(국․공립연구기관)가 시험․연구목적으로 설치․운영하는 폐기물처리시설은 승인․신고의 제외 대상으로 관리되고 있다.
년도별 소각시설 가동횟수 소각량(톤) 소각온도
2016 11회 6.32
589 ~ 734 ℃ 평균 : 약 650 ℃
2018 29회 21.8
2018 4회(6월 현재) 1.87
합계 29.99
❍
또한, 「폐기물관리법」제31조(폐기물처리시설의 관리) 및 「같은 법 시행규칙」제42조(폐기물처리시설의 관리기준) [별표11]의 규정에는 폐기물처리시설을 설치․운영하는 자는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폐기물처리시설의 관리기준에 따라 그 시설을 유지 관리하여야 한다.
[별표11] 폐기물처리시설의 관리기준(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 제42조)
폐기물 처분시설 또는 재활용시설의 관리기준(제42조제1항 관련) 1. 공통기준 : 생략
2. 개별기준
가. 중간처분시설의 경우 1) 소각시설
가) 공통기준
(1) 해당 시설에서 처분이 가능한 폐기물만을 소각하여야 한다
(2) 연소실에 폐기물을 투입하려는 경우에는 보조연소장치나 그 밖의 방법을 사용 하여 섭씨 800도(「대기환경보전법」 제32조에 따른 측정기기를 붙이고 같은 법 시행령 제19조에 따른 굴뚝자동측정관제센터와 연결하여 정상적으로 운영 되는 의료폐기물 외의 폐기물을 대상으로 하는 소각시설의 경우에도 섭씨 600도, 종이·목재류만을 소각하는 경우에는 섭씨 450도)까지 온도를 높인 후 폐기물을 투입하여야 하고, 시설의 가동을 멈출 때에는 폐기물이 완전히 연소한 후 온도를 낮추어야 한다.
(3) 삭제 <2008.1.28>
(4) 시간당 처분능력이 2톤 이상인 생활폐기물 소각 시설의 경우에는 일산화탄소 농도를 4시간 평균 50피피엠(표준산소농도 12퍼센트로 환산한 농도로서 4시 간 평균치를 말한다) 이내로 배출되도록 유지·관리하여야 한다.
(5) 소각시설의 연소실·열분해실(가스화실을 포함한다) 또는 고온용융실의 최종 출구온도를 연속적으로 측정·기록하여야 하며, 시간당 처분능력이 2톤 이상 인 소각시설의 경우에는 대기오염 방지시설 중 최초 집진시설(전기·여과집진 시설이 설치되어 있으면 전기·여과집진시설을 최초 집진시설로 본다)의 입구 온도 및 배출가스 중의 일산화탄소·산소·분진농도를 연속적으로 측정·기록 하여야 한다. 다만, 「대기환경보전법」 제32조에 따라 측정기를 붙이고 이를 같은 법 시행령 제19조에 따른 굴뚝자동측정관제센터와 연결하여 정상적으로 운영하는 경우에는 연속적으로 측정·기록한 것으로 본다.
(6) 대기오염 방지시설 중 최초 집진시설에 흘러드는 연소가스는 섭씨 200도(시 간당 처분능력이 2톤 미만인 시설의 경우에는 섭씨 250도) 이하로 유지·관 리하여야 한다. 다만, 시간당 처분능력이 200킬로그램 미만인 시설로서 대기 오염 방지시설의 처리공정상 연소가스의 냉각이 필요하지 아니한 경우는 제외 한다.
(7) 소각시설의 유지·관리를 위하여 운전관리자를 선임하고 운전지침서를 갖추어 두어 운전 중에는 운전관리자가 계속 머물면서 운전지침서에 따라 운영하도록 하여야 한다.
(8) 폐냉매물질 등 기체상 폐기물을 처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기체상 폐기물을 연소실·열분해실·고온용융실로 직접 투입하여 외부로 새어 나가지 아니하도 록 운영하여야 한다.
나) 개별기준 (1) 일반소각시설
(가) 연소실(연소실이 둘 이상인 경우에는 최종 연소실)의 출구온도는 섭씨 850 도(의료폐기물을 대상으로 하는 소각시설 외의 시설로서 시간당 처분능력 이 200킬로그램 미만인 경우에는 섭씨 800도, 종이 또는 접착제·폐페인 트·기름 및 방부제 등이 묻어있지 아니한 순수한 목재류만을 소각하는 경우에는 섭씨 450도) 이상을 유지하여야 한다. 다만, 기계고장·이물질 유입 등으로 불가피한 경우에는 출구온도를 기준온도보다 20도 낮은 온도 의 범위에서 장애제거와 정상가동에 필요한 시간 동안 일시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나) 연소실은 연소가스가 2초(의료폐기물을 대상으로 하는 소각시설 외의 시설 로서 시간당 처분능력이 200킬로그램 미만의 경우에는 0.5초, 시간당 처분 능력이 200킬로그램 이상 2톤 미만인 경우에는 1초)이상 체류하여야 한 다.
(다) 바닥재의 강열감량이 10퍼센트(지정폐기물 외의 폐기물을 소각하는 시설로 서 시간당 처분능력이 200킬로그램 미만인 소각시설의 경우에는 15퍼센 트) 이하가 되도록 소각하여야 한다. 다만, 2008년 1월 1일 이후 가동이 시작되는 생활폐기물 소각 시설은 강열감량이 5퍼센트(시간당 처분능력이 200킬로그램 미만의 경우에는 10퍼센트) 이하가 되도록 소각하여야 한다.
“이하 생략”
❍
따라서, 일반소각시설의 관리기준에 따라 일반 소각시설의 연소실의 출구 온도는 섭씨 850도이상을 유지하여야 하며, 연소실의 연소가스가 2초(의료 폐기물을 대상으로 하는 소각시설 외의 시설로서 시간당 처분능력이 200킬로 그램 미만의 경우에는 0.5초, 시간당 처분능력이 200킬로그램 이상 2톤 미만인 경우에는 1초)이상 체류하여야 한다.❍
보건환경연구원 ◇◇◇에서는 2016년부터 2018년 감사일 현재까지 29.99톤 의 소각물질을 소각하면서 소각온도를 섭씨 589~734도(평균 약 650℃)로 운영․관리한 사실이 있다.〔조치할 사항〕
보건환경연구원장은 가축 등의 질병 및 전염병과 관련하여 검사 업무에 따라 발 생하는 가축 폐기물을 소각하는 경우 폐기물처리시설(소각시설) 관리기준을 준 수하여 관리하시기 바랍니다.
[일련번호 08]
인 천 광 역 시
시정·주의 요구
제 목 의약품폐기물 처리 부적정 기 관 명 인천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관 계 부 서 ○○○과
내 용
❍
폐의약품 소각 현황구분 소각일자 소각장소 소각량 총 합계
폐의약품 (◎◎◎과)
2016.08.04. △△△△△ 12 kg
118 kg 2017.05.08. 〃 55 kg
2017.11.02. 〃 40 kg 2018.06.12. 〃 11 kg
❍
「폐기물관리법 시행령」제7조(폐기물의 처리기준 등) 및 「같은 법」시행규칙 제14조(폐기물 처리 등의 구체적인 기준방법) 규정에 따라 폐의약품을 처분하 는 경우에는 소각하여야 하며, 다만, 액체상태의 폐의약품 중 중화․산화․환 원 등의 방법으로 처분이 가능한 경우에는 중화․산화․환원 등의 방법으로 처 분할 수 있다.❍
「시험․검사 등 잔여 검체 처리규정」(식품의약품안전처 예규 제11호, 2018.6. 1.시행) 제8조에 따라 처리부서의 장은 폐기물처리업자와 폐기물 위탁처리 계약 시 “잔여 검체의 재활용 방지”에 관한 사항 등을 명시하고, 폐기물처리 업자에게 폐기 처리한 결과를 증빙하는 자료(폐기 증거사진 등 포함)를 요청 하고 이를 확인(필요 시 현장조사 포함)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
그러나, 보건환경연구원 ○○○과에서는 사업장 일반폐기물로 분류되는 폐 의약품(분류번호 51-42-00)을 적법한 폐기물처리업자에게 위탁처리 하지 아니하고, 소각시설을 보유한 ☆☆☆에 의뢰하여 소각처리를 한 사실이 있으며, 폐의약품 폐기 처리 후 처리한 결과를 증빙하는 자료(폐기 증거사진 포함)를 요청하거나 이를 확인하는 절차(필요 시 현장조사 포함)를 이행하지 않은 사실이 있다.〔조치할 사항〕
보건환경연구원장은 자체계획을 수립하여 폐의약품 처리 시 적법한 폐기물처리업 자와의 위탁처리 방안을 마련하시고, 폐기물처리업자와 폐기물 위탁처리 계약 시
“잔여 검체의 재활용 방지”에 관한 사항 등을 명시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앞으로는 폐의약품의 폐기 처리 후 처리한 결과를 증빙하는 자료를 요청하 거나 이를 확인하는 절차를 이행하시기 바라며, 향후 유사한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관련 업무에 철저를 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일련번호 09]
인 천 광 역 시
주의 요구
제 목 환경측정기기 정도검사 업무 소홀 기 관 명 인천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관 계 부 서 ○○○과
내 용
❍
환경측정기기 정도검사 미실시 현황장비명 규격 장 비 취득일자
내용 연수
정도검사 (주기법정)
정도검사일 최근 검사일 검사받아야
할 기간 탄화수소분석
및 탐지기 Dasibi,
US/302 2004.06.25. 10 2 2016. 4. 4. 2018. 3. 5.
~ 2018. 5. 4.
다중가스 검 출 기
messtechnikRbr
DE/MK6000 2012.05.09. 10 2 2016. 3.21. 2018. 2. 20.
~2018. 4. 20.
❍
「환경분야 시험․검사 등에 관한 법률」제11조(측정기기의 정도검사) 및「같은 법 시행규칙」제7조(정도검사의 기준과 주기)에 따라 형식승인을 받 았거나 수입신고를 한 측정기기를 사용하거나 사용하고자 하는 자는 형식 승인한 내용대로 구조와 성능이 유지되는지 여부에 대하여 환경부장관이 실시하는 정도검사를 받아야 하며,
❍
측정기기를 사용하는 자는 사용 전에 최초 정도검사를 받아야 하며, 최초 정도검사를 받은 날부터 국립환경과학원장이 정하여 고시하는 기간마다 그 끝나는 날의 30일 전부터 끝나는 날의 30일 후까지의 기간에 검사기관에서 정도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또한, 환경측정기기의 형식승인·정도검사 등에 관한 고시[국립환경과학원고 시 제2017-62호,(시행 2018. 1. 1.)]제7조 제4항 관련 [별표7], [별표7-1]의 환 경측정기기 정도검사 주기에 따라 검사를 실시하여 기기의 구조와 성능이 유지되도록 하여야 한다.❍
보건환경연구원 ○○○과에서는 탄화수소분석기에 대하여 2018. 5. 4.이전까 지 정도검사를 받아야 하고, 다중가스검출기는 2018. 4. 20.까지 정도검사를 받아야 함에도 감사일 현재까지 정도검사를 받지 않은 사실이 있다.〔조치할 사항〕
보건환경연구원장은 환경측정기기의 분야별 대상기기에 따라 정도검사 주기에 맞게 검사를 실시하여 기기의 구조와 성능이 유지되도록 검사업무를 실시하시기 바라며, 앞으로는 유사한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관련 업무에 철저를 기하여 주 시기 바랍니다.
[일련번호 10]
인 천 광 역 시
통 보
제 목 집단급식소 운영에 관한 사항 기 관 명 인천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관 계 부 서 ◯◯과
내 용
❍
보건환경연구원 집단급식소 운영현황급식소명 소 재 지 대표자 면적(㎡) 급식인원 (1회) 보건환경연구원
구내식당 중구 서해로 ** ☆☆☆ 86.76 50명 내외
❍
식품위생법제2조에 의하면 “집단급식소”란 영리를 목적으로 하지 아니하면서 특정다수인에게 계속하여 음식물을 공급하는 시설로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이 해당되며 같은법 시행규칙제2조(집단급식소의범위)에 의거 1회 50명 이상 에게 식사를 제공하는 급식소를 말한다.❍
이에 동규정에 포함되는 시설은 식품위생법제88조(집단급식소) 및 같은법 시 행규칙 제94조(집단급식소의 신고등)에 의거 시설을 갖춘 후 시장.군수.구청 장에게 신고하여야 하며, 같은 법 제51조, 제52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36조, 제37조에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는 집단급식소에는 영양사 및 조리 사를 두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음.❍
그러나 보건환경연구원에서는 1회 급식인원이 50명 이상이면 관할구청인 중 구청에 신고를 하고 급식소를 운영해야 한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었음에도주변에 식당들이 많지 않고 직원들의 실험시간 고려 등 복지향상을 이유로 1회 급식인원 50명 이상 식사를 제공하는 경우가 수회 있음에도 불구하고 연구원 건물 1층(면적: 86.76㎡)에 집단급식소를 설치․운영하면서 설치신고 를 득하지 아니한 상태로 운영중이며, 운영중인 집단급식소에는 급식 시설 의 위생적 관리 등을 위하여 영양사와 조리사를 두아야 하나 아무런 자격도 없는 종업원(1명, 월 급여 80만원 지급)을 감사일 현재까지 근무하게 하고 있는 상태임.
〔조치할 사항〕
보건환경연구원장은 식품위생법령을 준수하여 1회 급식인원이 50명 이상일 경우 집단급식소 신고 및 영양사·조리사 면허를 가진자를 고용하여 운영하시기 바랍 니다.
[일련번호 11]
인 천 광 역 시
주 의 요 구
제 목 연구활동종사자 안전관리에 관한 사항 기 관 명 인천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관 계 부 서 ○○과
내 용
1. 연구활동종사자 교육·훈련시간 미이수
❍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제6조, 제18조 제2항 및 같은 법 시행 규칙 제9조에 따르면 연구주체의 장은 연구실 안전기술 지도를 위하여 연구 실 안전환경관리자를 지정하고 매년 연구실 안전에 관한 전문교육을 받도록 하여야 하며, 연구활동종사자에 대하여는 연구실 사용 관리에 필요한 교육․훈련을 이수하여야 한다.
연구활동종사자 교육ㆍ훈련의 시간 및 내용(제9조제1항 관련)
교육 과정 교육 대상 교육 시간 교육 내용
1. 신규 교 육ᆞ훈련
근로자 가. 영 제9조제1항에 따른 연구실에 신 규로 채용된 연구 활동종사자
8시간 이상 (채용 후 6 개월 이내)
ᆞ연구실 안전환경 조성 법령에 관한 사항 ᆞ연구실 유해인자에 관한 사항 ᆞ보호장비 및 안전장치 취급과 사용
에 관한 사항
ᆞ연구실 사고사례 및 사고예방 대책 에 관한 사항
ᆞ안전표지에 관한 사항 ᆞ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사항 ᆞ사전유해인자위험분석에 관한 사항 ᆞ그 밖에 연구실 안전관리에 관한 사항 나. 영 제9조제1항에 따
른 연구실이 아닌 연구실에 신규로 채 용된 연구활동종사 자
4시간 이상 (채용 후 6 개월 이내)
❍
그러나 보건환경연구원에서는 2017년 기간제로 근무하였던 연구활동종사자 4명 은 2017년 1월에 채용되었으나 채용후 6개월 이내 받아야할 신규교육 및 반 기별 받는 정기교육을 실시하지 않고 2018.5월에 최초 교육을 받았음《표1》 연구활동종사자 안전사고 예방 교육 실시 현황
2. 유해인자 취급근무자 “특수건강검진” 미실시
❍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 제18조 제4항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 10조에 따르면 연구주체의 장은 인체에 유해한 위험물질 및 바이러스 등에 노 출될 위험성이 있는 연구활동 종사자에 대하여 유해물질 및 유해인자마다 적용 되는 특수건강검진의 시기 및 주기에 따라 특수건강검진을 실시하여야 한다.특수건강진단의 시기 및 주기
❍
그러나 보건환경연구원에서는 유해물질 및 유해인자를 취급하는 특수건강검진 대상자 20명은 6개월 주기를 초과하여 특수건강검진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구분 대상 유해인자 시 기
배치 후 첫 번째 특수 건강진단 주기
1 벤젠 2개월 이내 6개월
2. 정기 교 육ᆞ훈련
가. 영 제9조제1항에 따른 연 구실에 근무하는 연구활동 종사자
반기별 6시 간 이상
ᆞ연구실 안전환경 조성 법령에 관한 사항 ᆞ연구실 유해인자에 관한 사항 ᆞ안전한 연구개발활동에 관한 사항 ᆞ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