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2019년도 수산자원연구소 종합감사 결과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2019년도 수산자원연구소 종합감사 결과"

Copied!
41
0
0

Teks penuh

(1)

2019년도 수산자원연구소 종합감사 결과

□ 감사개요

ㅇ 인천광역시에서는 자체 감사계획에 따라 2019. 7. 8.부터 7. 12.까지(5일간) 수산자원연구소를 대상으로 2016. 6월이후 추진한 업무 전반에 대하여 정기 종합감사를 실시하였다.

ㅇ 감사결과 총 17건(본 처분 11건, 현지처분 6건)의 지적사항이 발견되어 앞으로 동일한 사례가 재발되지 않도록 시정 및 주의조치 하였으며, ㅇ 감사기간 중에 발굴한 수범사례 2건에 대해서는 산하 전 기관에 전파

하여 업무에 참고하도록 하였다.

□ 감사결과 내역

구분

처 분 현 황 (건 ) 행 정 상 조 치 (건 ) 재정상조치(천원)

본 처 분 현 지

처 분 시정 주의 개선

권고통보 추징

회수 환급 감액

17 11 6 11 8 3 - - - -

(2)

- 1 -

2019 년도 수산자원연구소 종합감사 결과

【 수 범 사 례 】

(3)

수범사례 1 유용수산물(주꾸미 ․ 갑오징어) 종자생산 방류

❖ 민간에서 종자생산이 어려운 고부가가치 어종인 주꾸미, 갑오징어를 종자생산 방류하여 어업인들의 소득증대는 물론 우량의 종자생산 으로 수산자원 증강에 기여

□ 사업개요

주꾸미 종자생산 방류

- 2019. 5. ~ 7

47

만미 종자생산 방류

갑오징어 종자생산 방류

- 2019 .6. ~ 7

5

만미 방류

□ 추진사항

주꾸미 어미 구입(360kg) 및 관리 ···2019. 5.

어린 주꾸미 1차 방류(옹진군 영흥해역/14만미) ···2019. 6. 26.

어린 주꾸미 2차 방류(강화군 주문도 남단해역/18만미) ··· 2019. 7. 2.

어린 주꾸미 3차 방류(중구 삼목해역/15만미) ···2019. 7. 10.

갑오징어 어미 구입(185kg) 및 관리 ···2019. 6.

어린 갑오징어 1차 방류(중구 삼목해역/5만미) ···2019. 7. 10.

□ 향후계획

어린 갑오징어 2차 방류(옹진군 영흥해역/5만미) ···2019. 7. 17.

옹진군 영흥해역 주꾸미, 갑오징어 방류 지역 현장 조사 ···2019. 9.

□ 수범사항

주꾸미와 갑오징어는 최근 수요량 급증으로 인한 남획 등으로 자원량과 생산량이 급감하는 어종으로 자원량 증가가 절실한 어종이나 기술적인 문제로 종자 생산하는 업체가 없어 대책이 시급한 어족자원을 종자생산 하여 방류

연구소에서는 주꾸미와 갑오징어의 종자 생산 기술 확보 및 대량생산을 통한 방류로
(4)

- 3 -

수범사례 2 안정되고 즐거운 직장 분위기 조성을 위한 시설 개선

❖ 연구소 직원들의 근무 여건이 열악하여 이에 대한 노후 시설 및 집기 등을 개선하여 안전하고 즐거운 직장 분위기 조성

□ 사업개요

❍ 15

년 이상 사용한 식당 집기류 교체

청사 방호를 위한 내

·

외부

CCTV(8

)

설치

직원의 출

·

퇴근 편의제공

(

중형 승합차 교체

)

여직원을 위한 샤워실 및 휴게실 설치

비정규직인력 근무여건 개선 및 화합 분위기 조성

-

춘계 체육행사시 비정규직 포함하여 행사 진행

□ 추진사항

❍ 2019. 3

:

장기 사용

(15

)

한 노후 집기 교체

(

탁자

,

의자

,

식기

) ❍ 2019. 3

:

외부 청사 방호를 위한

CCTV(8

)

설치

❍ 2019. 4

:

직원 탁구장 설치

(

탁구대

3,

머신

,

매트 설치

)

공공 기관 등에서 관리 전환 및 무상 임대 추진

❍ 2019. 4

:

직원 출퇴근 편의 제공

(

중형 승합차량 교체

) ❍ 2019. 5

:

여성 인력을 위한 편의시설 제공

-

여성 인력을 위한 샤워실 및 휴게실

❍ 2019. 5~6

:

비정규인력 근무여건 개선 및 화합분위기 조성

-

배양동

,

정문에 냉난방기 및 정수기 설치

-

춘계 체육행사시 비정규인력 포함하여 행사 진행

□ 수범사항

식당 내벽 도색공사 및 집기 교체로 청결한 식사 실시

청사 방호

CCTV

설치로 안심하고 일할 수 있는 근무분위기 조성

탁구장 설치로 직원 화합 도모 및 직원 체력 증진

여성 공무원에 대한 편의시설 제공으로 여직원 사기 진작

비정규인력과 함께 근무하는 직장분위기 조성
(5)

2019 년도 수산자원연구소 종합감사 결과

【 처 분 요 구 사 항 】

(6)

- 5 -

인 천 광 역 시

시 정 요 구

제 목 각종 시설공사 업무추진 소홀 기 관 명 수산자원연구소

관 계 부 서

내 용

1. 계약대가 지급절차 운영 소홀

「지방자치단체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제18조(대가의 지급)에 따라 공사․물품․용역, 그 밖에 재정지출의 부담이 되는 계약에 있어서는 검사한 후 또는 검사조서를 작성한 후에 그 대가를 지급하여야 하고 같은 법 시행령 제67조 (대가의 지급)에 따라 기성금은 검사완료일 전까지 계약상대자에게 지급청구를 하게 할 수 있고 검사완료일로부터 5일 이내 지급하며 청구내용이 부당할 때에는 사유를 명기하여 반송하며 재청구를 받은 날까지의 기간은 산입하지 아니한다고 규정되어 있다.

또한 준공금은 검사를 완료한 후 계약상대자의 청구를 받은 날부터 5일 이내 (공휴일과 토요일은 제외한다)에 검사된 내용에 따라 대금을 확정하여 지급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계약상대자의 준공금 청구접수는 행정안전부 예규「공사계약 일반조건」

등의 준공검사 절차에 따라 준공검사 완료이후 청구서를 받아서 계약대가를 지급 하여야 한다.

(7)

그런데 수산자원연구소에서는 준공검사일전에 계약대가를 청구받은 경우에는 준공절차 및 대가지급 절차를 안내하고, 감독공무원으로부터 준공검사 결과를 통지받은 이후 계약대가를 청구하도록 통지하여야 하나, 계약상대자가 준공계를 제출하면서 준공금 청구서를 동시에 제출한 경우 청구서류를 반려하지 않고 보관하고 있다가 준공검사완료 이후 임의적인 날에 계약대가를 지급하였다.

그 결과 2017년부터 감사일 현재까지 시설공사 총12건 2,771,483천원이 [표 1]과 같이 계약대가 청구를 받고도 지급기한(청구일로부터 5일이내) 보다 1일∼12일을 지연하여 계약대가를 지급하게 되었다.

[표 1] 시설공사 준공금 지연지급 현황

연도별

총 계 2017년 2018년 2019년

비 고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총계 12 2,771,483 6 1,821,500 3 893,637 3 56,340

2. 시설공사 준공검사관 지정 운영 미흡

「지방계약법」 제17조(검사) 규정에 따르면 지방자치단체장 또는 계약담당자는 계약의 전부 또는 일부의 이행이 끝나면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계약서·설계서 및 그 밖의 관계 서류에 따라 이를 검사하거나 소속공무원에게 위임하여 검사하게 하여야 한다고 규정되어 있다.

또한, 「인천광역시시설공사검사업무규정」제4조(검사공무원의 임명)에서 정한

「별표」 ‘공사금액별 검사기준’에 따라 1천만 원 이상 공사의 준공검사관은 시 담당 (5급)을 지정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8)

- 7 -

그런데 수산자원연구소에서는 2017년 ~ 2019년 기간중 1천만 원 이상, 8건의 시설공사 준공검사관을 지정 운영하면서 아래 [표 2]와 같이 5급공무원이 아닌 ○급․○급 공무원으로 준공검사관을 지정 운영하였다.

[표 2] 시설공사 준공검사자 지정 현황

공 사 명 계약일 계약금액 준공일 업체명 준공검사자 지정

직급 성명 비고

ᄀ 공사 2017.03.20 13,673 2017.04.05 ㈜□□ ○급 A

ᄂ 공사 2017.04.03 12,323 2017.04.24 ○○ ○급 B

ᄃ 공사 2017.12.13 13,943 2017.12.26 ㈜△△ ○급 A

ᄅ 공사 2018.09.06 19,426 2018.10.16 ㈜■■ ○급 C

ᄆ 공사 2018.11.15 14,520 2018.12.14 ●● ○급 C

ᄇ 공사 2019.03.06 18,533 2019.04.03 ◎◎ ○○사 D

ᄉ 공사 2019.03.16 19,685 2019.04.10 ㈜◇◇ ○급 C

ᄋ 공사 2017.08.07 71,498 2017.10.19 ㈜◆◆ ○급 A

3. 하자담보기간 초일 적용 시점 부적정

「지방계약법」제20조(계약의 담보책임)에 따르면 공사, 용역, 물품의 도급계약을 체결때에는 그 담보책임의 존속기간을 정하여야 하고, 담보책임의 존속기간 중 목적물에 하자가 발생한 때에는 적절한 기간을 정하여 그 하자의 보수를 요구하거나 보수를 하여야 한다.

같은 법 시행령 제69조 제1항에는 담보책임의 존속기간은 전체 목적물을 인수 한 날과 제64조제1항에 따른 검사를 완료한 날 중에서 먼저 도래한 날부터 1년 이상 10년 이하의 범위에서 행정자치부령으로 정하는 기간으로 한다고 되어 있다.

(9)

하자담보책임기간은 「지방계약법 시행규칙」제68조 관련 별표1에 정한 바에 따라 공종을 구분하고, 같은 시행규칙 제70조 보증금률에 따라 보증금액을 정한다.

이에 따라 계약담당자는 계약목적물의 준공검사 완료 후 대가 지출 전에 계약상대자 에게 하자담보책임기간을 명시한 하자보수보증서를 제출받아 보관하고 보증한도액 범위에서 하자보수를 이행하도록 요구하도록 되어 있다.

계약상대자는 전체목적물을 인수한 날과 「지방계약법 시행령」제64조 제1항에 따른 검사를 완료한 날 중에서 먼저 도래한 날부터 같은 시행령 제69조에 따라 계약서에 정한기간(이하 “하자담보책임기간”이라 한다) 동안 공사목적물의 하자(계약상대자의 시공 잘못으로 인하여 발생한 하자에 한함)에 대한 보수책임이 있으며, 하자담보책임 기간은 「지방계약법 시행규칙」제68조 관련 별표1에 정한 바에 따라 공종을 구분하고, 같은 시행규칙 제70조 보증금률에 따라 보증금액을 정한다. 이에 따라 계약담당자는 계약목적물의 준공검사 완료 후 대가 지출 전에 계약상대자에게 하자담보책임기간을 명시한 하자보수보증서를 제출받아 보관하고 보증한도액 범위에서 하자보수를 이행 하도록 요구 할 수 있다.

그런데 수산자원연구소에서는 2017년부터 2019년 6월까지 총 14건의 공사에 대하여 하자담보책임기간을 설정하면서 하자담보책임기간 초일 적용시점을 준공검사를 완료한 날을 초일로 적용하여야 하나 아래 [표 3]과 같이 준공계 제출한 날 또는 준공계 제출한 다음날 등을 초일로 부적정하게 정하였다.

[표 3] 하자담보책임기간 초일 적용 부적정 현황

구 분 건 수 보증기간만료 수정보증서 징구대상 비 고

하자보증서(보증서,각서) 14건 8건 6건

(10)

- 9 -

조치할 사항 수산자원연구소장은

(시정) 하자담보기간이 만료되지 않은 6건에 대하여 하자보증서(각서)에 담보책임기간을 정정 후 징구하여 시설물 하자 발생 시 보수 받을 수 있도록 조치하시기 바라며, 향후 각종 공사 추진시에는 「지방자치단체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등을 숙지하여 준공검사관 지정, 계약대가 지급절차 이행, 하자보증서 징구에 철저히 하고 동일한 사례가 재발되지 않도록 관련업무에 철저를 기하시기 바랍니다.

(11)

인 천 광 역 시

주 의 요 구

제 목 검사장비 계약심사 및 일상감사 미이행 기 관 명 수산자원연구소

관 계 부 서

내 용

「지방자치단체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10조에 따르면 지방 자치단체의 장 또는 계약담당자는 예정가격을 결정할 때에 그 적절성과 적법성을 심사 하여야 하며,「인천광역시 계약심사업무 처리규칙」제3조에 의하면 추정금액 2천만 원 이상의 물품구매에 대하여는 계약심사를 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또한 「공공감사에 관한 법률」 제22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13조에 의하면 집행 부서의 장은 계약업무의 수행에 앞서 그 적법성·타당성 등을 점검·심사하는 일상감사를 감사기구의 장에게 의뢰하여야 하고,「인천광역시 일상감사 규정」제3조에서 정한 [별표]

‘일상감사 대상업무 및 기준’에 따라 추정금액 5천만 원 이상인 물품의 구매계약에 대하여 일상감사를 득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런데 수산자원연구소에서는 아래 [표]와 같이 “ㅈ” 계약을 추진하면서 추정 금액에 따라 계약심사 및 일상감사 대상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이행하지 않았다.

(12)

- 11 -

[표] 계약심사 및 일상감사 미이행 현황

(단위: 천 원)

연도 계약명 추정금액 계약기간 계약금액 계약업체명 비 고

2018 ᄌ 구입 110,000 2018.○.○.

~2019.○.○. 94,179 ▤▤

계약심사, 일상감사 미 이 행

조치할 사항 수산자원연구소장은

(주의) 각종 검사업무 추진을 위한 계약업무 추진 시 「인천광역시 계약심사업무 처리규칙」 및 「인천광역시 일상감사 규정」에 따른 대상사업의 계약심사 및 일상 감사가 누락되는 사례가 재발하지 않도록 관련 업무를 철저히 하시기 바랍니다.

(13)

인 천 광 역 시

주 의 요 구

제 목 기간제근로자 채용에 관한 사항 기 관 명 수산자원연구소

관 계 부 서

내 용

수산자원연구소에서는 2017년부터 2019년 6월까지 총 ○○회에 걸쳐 채용공고를 통하여 수산종자생산 및 시험연구 보조, 자연체험학습장 운영, 취사보조 기간제근로자 총 ○○명을 채용하였다.

1. 채용 공고기간 미준수

「인천광역시 공무직근로자와 기간제근로자 관리규정」제10조에는 기간제근로자를 채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정보통신망등을 활용하여 사전에 채용업무의 내용, 채용조건, 채용자격 등을 7일 이상 공고하여야 한다. 다만, 결원의 신속한 보충 그 밖의 특수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생략할 수 있다고 규정되어 있다.

그런데 수산자원연구소에서는 20○○년 채용공고에서 결원의 신속한 보충 그 밖의 특수한 사정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규정상의 채용 공고기간(7일)을 준수하지 않았다.

2. 채용 응시서류 반환 미고지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제11조와 같은 법 시행령 제4조에 따르면 구인자는 구직자의 채용여부가 확정된 이후 구직자(확정된 채용대상자는 제외)가 채용

(14)

- 13 -

서류의 반환을 청구하는 경우에는 본인임을 확인한 후에 반환하여야 하며, 채용서류의 반환 청구기간은 구직자의 채용여부가 확정된 날 이후 14일부터 180일까지의 기간 범위 내에서 구인자가 정한 기간으로 한다. 이 경우 구인자는 채용여부가 확정되기 전까지 구인자가 정한 채용서류의 반환 청구기간을 구직자에게 알려야 한다고 규정 되어 있다.

그러나, 수산자원연구소에서는 20○○년부터 20○○년 감사일 현재까지 총 ○회에 걸쳐 기간제근로자(수산종자생산 및 시험연구 보조, 자연체험학습장 운영 보조 등)를 채용하면서 채용여부가 확정된 이후 확정된 채용대상자를 제외한 ○명의 응시자에게 채용서류 반환 고지를 하여야 하나 채용서류 반환고지를 하지 않았다.

조치할 사항 수산자원연구소장은

(주의) 「인천광역시 공무직근로자와 기간제근로자 관리규정」등 관계법령을 준수하여 기간제근로자 채용공고, 응시서류 반환 고지가 되도록 업무에 철저를 기하여 향후 동일한 사례가 재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15)

인 천 광 역 시

주 의 요 구

제 목 세출예산 집행기준 미준수 기 관 명 수산자원연구소

관 계 부 서

내 용

인천광역시 수산자원연구소에서는 서해안 고부가 어패류 종자 생산, 신품종개발 등의 연구와 연구소 운영을 위해 각종 물품구입 등 세출예산을 편성·집행하였다.

1. 예산편성과목 설정 소홀

지방자치단체 예산편성운영기준(행정안전부 훈령)에 의하면 「지방재정법」 제41조 및 같은법 시행령 제47조에 따라 세입예산과 세출예산 등의 과목을 사업예산 체계로 분류·관리하여야 하고, 지방자치단체 예산편성 운영기준 및 기금운용계획 수립기준 [별표11]에서는 세출예산의 성질별로 목그룹, 편성목, 통계목으로 구분, 설정토록 되어 있으며 예산편성 시 집행방법을 고려하여 세출 과목에 적합하도록 예산을 편성하여야 한다.

「지방재정법」제47조 및 「지방자치단체 세출예산 집행기준」(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시험연구비는 사업용 및 시험연구에 소요되는 소모성 기계·기구, 기재, 약품, 비료 및 종축 등의 구입비로 집행하도록 되어 있고, 재료비의 경우 제품 또는 생산에 소비되는 물적 재화에 관한 비용, 종자 및 자재운송에 따른 조작비 등으로 집행하도록 되어 있다.

(16)

- 15 -

따라서, 세출예산을 편성 및 집행할 때에는 관련규정과 지침을 준수하여 세출 예산의 편성기준 및 성질별 분류에 맞게 예산을 집행하여야 한다.

그런데 수산자원연구소에서는 아래 [표 1]과 같이 2016년, 2018년 ○○○○ 장비 구입예산 20,954천원을 예산편성지침에 따라 성질별 예산과목을 정확히 적용하여 편성하여야 함에도 재료비 예산으로 편성하여 집행하는 등 예산편성시 예산과목 설정을 소홀히 하였다.

[표 1] ○○ ○○ 장비 예산집행 현황

연도별 사업명 품 명 구입일자 구입

수량 구매금액 지출과목 세출예산

집행기준 비 고 총 계 5회 20,954,000원

2016 ○○○ ○○

다양화 연구 ○○○○ 2016.12. 8 6개 1,470,000원 재료비 시험연구비

2018 ○○○○

생태환경조사

○○○○ 2018.06.26 10개 2,310,000원 재료비 시험연구비

○○○○ 2018.10.26 8개 1,840,000원 재료비 시험연구비

○○○○ 2018.11.14 15개 3,465,000원 재료비 시험연구비

2018 ○○○

최적생산기술

개발연구 ○○○○ 2018.12.17 10개 11,869,000원 재료비 시험연구비

2. 세출예산 집행과목 미준수

「지방재정법」 제47조 및 「지방자치단체 세출예산 집행기준」(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세출예산에서 정한 목적 이외의 경비를 사용할 수 없고, 세출예산 성질별 분류에 의한 세부집행지침에 따라 집행하여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수산자원연구소에서는 공용차량 ○○○○장치를 2019. 6. 21. 설치하면서 일반운영비 (공공운영비-차량선박비)로 지출하여야 하나 재료비(재료비)로 잘못 지출하였다.

(17)

[표 2] 관용차량 ○○○○장치 예산집행 현황

연도 적 요 지출일자 지출금액 세출과목

집행과목 적정과목 비고

2019년 관용차량 ○○○○장치 설치 2019. 6. 21. 650,000원 재료비 차량선박비

조치할 사항 수산자원연구소장은

(주의) 「지방자치단체 세출예산 집행기준」등을 준수하여 예산편성을 하도록 하고 세출예산이 정한 목적대로 예산이 집행되도록 업무에 철저를 기하시기 바랍니다.

(18)

- 17 -

인 천 광 역 시

시정․개선 요구

제 목 연구업무 수행 후 결과보고서 등 작성 소홀 기 관 명 수산자원연구소

관 계 부 서

현 황

연도별 연구현황(인천광역시수산자원연구소)

(단위 : 건수)

연도별 합 계 생산· 방류 시험연구

품 종 수산자원

조 성 기 타 비고

총계 57 22 22 10 3

2016 11 4 5 2

2017 19 5 8 5 1

2018 15 7 5 2 1

2019 12 6 4 1 1

내 용

1. 연구업무 수행 후 연구결과보고서 미작성으로 연구업무 수행 소홀

지방해양수산연구사 E는「○○○○ ○○ ○○을 위한 생물검정 연구 계획 보고」

(수산자원연구소-○○ : 2016. ○.○.)에서 ○○○○ ○○○ 생물검정 실험을 통해 생리적, 생화학적, 분자생물학적 변화를 살펴보고 독성을 규명하고자 연구일정(2016. 7.19.∼

12.31.)을 수립하고 연구비로 [표 1] 과 같이 분석시약 등의 명목으로 11,661천 원 상당 금액을 지출하여 연구를 수행(2016. 7.26.∼2017. 7.14.)하였으나, 연구종료 후 약 2년 경과한 2019. 7월 감사일 현재까지 연구결과보고서를 작성하지 않았다.

(19)

지방해양수산연구사 E는 연구내용중 잔류염소 농도별 폐사율, 여과율 등의 실험을 완료하였으나, 데이터 해석 미비로 종합 연구결과보고서를 미작성하였다고 진술하였다.

그러나 연구결과보고서는 계획수립 목적 관련 연구 시행에 따른 결과물(성과물)로서 연구의 성공 유무여부에 상관없이 작성하여 관리하여야 하나 연구업무수행에 소홀하였다.

[표 1] 「○○○○ ○○ ○○을 위한 생물검정연구시험」연구비 집행내역

(단위 : 천원)

구입일자 품 명 금 액 비고

총계 11,661

2016. 6.21. 동죽 444

2016. 6.30. 실험용품(BOD bottle, pipette tip) 2,331

2016. 6.22. 밀폐용기 151

2016. 6.28. 실험선반용 앵글 452

2016. 7. 6. 실험수조용 상자 333

2016. 6.30. 분석시약(Sodium hypochlorite 외 9종) 1,645 2016. 7.14. 분석시약(DPD reagent), 실험용품(Vial) 1,276

2016. 8.12. 항산화효소 분석용 kit 5,029

또한 지방해양수산연구사 E는「○○○ ○○ ○○○ 해수온 모니터링을 위한 수온 연속관측 조사 계획 보고」(수산자원연구소-○○ : 2017. ○.○.)에서 서식 생물변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으나, 수온관측이 이루어지지 않아 조사기간(2017. 9. 1.∼2027.

8.31.)동안 수온변화 관측 계획을 수립하여 [표 2]와 같이 2017년과 2018년 수온연속측정 장비 등의 물품과 측정장비 설치에 따른 선박임차비(2회) 명목으로 총13,603천 원을 집행하였다. 구입한 수온연속측정장비를 총 12개 지점에 설치하였고, 항로표지용 등부표1)에 와이어로 부착한 수온연속측정장치가 풍랑 등으로 떨어져 유실되어 수온연속측정장치를 추가 구입후 여러 차례 재설치하였다.

1) 등부표 : 항로를 가리키는 표지의 한 가지. 둘 이상의 방향등을 이용하며, 암초나 얕은 곳 따위를 알리는

(20)

- 19 -

2019. 2. 1. 업무 분장으로 후임자에게 인계후 2019. 3.26. 점검시 수온연속측정 장비 6개가 남아 있어 추가 설치하여 현재 수온연속측정장비 총 49개 구입후 잔고 6개를 보유중에 있다.

지방해양수산연구사 E는 2017. 8. 8.부터 본 연구에 착수하였고 수온변화는 장기간에 걸쳐 관찰되어야 경향성을 파악할 수 있어 수온변화 데이터가 더 누적되면 보고서를 작성하고자 작성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약 1년 6개월간 수행한 연구에 대해 2019. 2. 1. 업무인계이후 2019. 7월 감사일 현재까지 그간 수집한 수온 데이터 자료 등을 토대로 분석·정리한 중간보고서(성과물)를 후임자에게 인계하지 않아 연구업무 수행에 소홀하였다.

[표 2] 「○○○ ○○ ○○○ 해수온 모니터링을 위한 수온연속관측 조사 계획」관련 예산 집행 현황

(단위 : 천원)

구분 구입일자 구입수량 단가 총 구매금액 비고

총계 13,603

수온연속측정장치

2017년 7월 15 245 3,680

2017년 11월 9 245 2,208

2018년 6월 10 231 2,310

2018년 10월 15 231 3,465

무게추 2017년 9월 - 254

수온연속측정장치

부착용 물품 - - 186

선박임차비 2017년

10월/11월 2회 750 1,500

2. 연구보고서 등의 기초가 되는 사육일지를 기관장 변경에 따라 작성 또는 미작성 사육일지는 수생생물을 사육하는 과정에서 환경조건, 먹이, 성장상태, 기타사항 등을 기록해 놓은 생물의 관리 기록물로써, 사육환경 변화 등에 따른 생물 상태를 지속적 으로 관찰, 향후 다른 환경변화 등에 따라 앞으로의 생물 변화 사항 등 추정, 전염병

(21)

발병 및 대량폐사 발생시 원인을 추정할 수 있는 근거 자료 등의 기능을 한다. 따라서 사육일지를 토대로 생물의 사육시 최적의 사육환경을 유지함으로써 최대의 연구 성과를 달성 할 수 있다.

따라서 수산자원연구소는 수산종자 생산 및 방류 등의 업무를 수행하면서 예산 으로 구입한 산란용 어미 등의 수산생물(물품)의 성장 상태, 먹이량, 수조의 수온 등을 사육일지에 지속적으로 기록관리하여 종자 배양 및 방류 목적을 달성 하고, 사육일지는 수산생물의 사육과 종자생산·시험연구사업 보고서 등의 작성시 기초자료 등으로 활용한다.

그러나 2016년에는 인천광역시수산자원연구소장의 결재없이 자율적으로 작성 하라는 지시에 따라 사육일지를 미작성하였다. 2017년에는 기관장 변경후 사육일지 기록관리(결재 받음), 2018년에는 기관장 변경후 다시 사육일지 미작성하였다. 이후 2019년에는 사육일지 기록관리 및 결재처리중이다.

사육일지는 담당자로서 사육중인 어종에 대한 기초적인 이력관리로 기관장 등의 결재여부와 상관없이 담당자 전결로 지속적으로 관리되어야 하는 자료임에도 2016년과 2018년에는 작성하지 않아 종자생산관리에 소홀하였다.

한편 ○○○는 수정란 판매처가 없어 수정란 확보를 위해서 어미를 자체 관리 하여야 하는 어종이다. 지방해양수산연구사 E는 전임자로부터 ○○○ 방류(2018. 7. 5.)후 남긴 ○○○ 1년생을 인계받은 후, 2019. 2. 1.부터 2019년 7월 감사일 현재까지 종자 생산·방류를 위해 ○○○ 어미를 배양중에 있다.

그러나 ○○○의 폐사가 지속되어 자체 수산생물 전염병검사를 의뢰하여 이상없음의

(22)

- 21 -

에서도 유사 폐사 사례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2019년 7월 감사일 현재 ○○○ 어미 약 500미 가운데 80%가 폐사한 상태이다. 그러나 2019년 사육일지에는 이에 대한 기록이 전혀 없어 형식적으로 사육일지를 관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조치할 사항 수산자원연구소장은

(시정) 연구업무 수행후 미작성된 보고서를 작성하도록 하고 추후 동일한 사례가 발생 하지 않도록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개선) 내실있는 사육일지 작성을 의무화하도록 내부방침 등을 마련하시기 바랍니다.

(23)

인 천 광 역 시

시 정 요 구

제 목 고가의 장비 확보 후 종자생산방류 효과조사 소홀 기 관 명 수산자원연구소

관 계 부 서

현 황

방류효과조사 목적

- 혼획률2)·재포획률3) 및 유전학적 조사(친자관계)를 통한 종자방류의 효과 규명 - 경제성 분석 및 평가 등

종자생산·방류실적(최근 4년)

(단위 : 미)

연도 종 류 별 방류실적 방 류 어 종 방류지역 비고

2016

소 계 388

일반 300 참조기, 꽃게, 조피볼락, 동죽 ○○, ○○ 해역

시험연구 88 민꽃게, 참담치, 개불, 갯벌참굴 ○○, ○○ 해역

2017

소계 363

일반 274 참조기, 꽃게, 조피볼락, 동죽 ○○, ○○ 해역

시험연구 89 민꽃게, 참담치, 해삼, 개불, 갯벌참굴 ○○, ○○ 해역

2018

소계 470

일반 341 점농어, 참전복, 꽃게, 참조기, 조피볼락, 동죽,

해삼 ○○, ○○, ○○ 해역

시험연구 129 주꾸미, 갑오징어, 참담치, 개불

2019

소계 162

일반 162 점농어, 꽃게, 조피볼락, 해삼, 주꾸미 ○○, ○○, ○○ 해역

시험연구 - - 방류 준비중

*국비사업으로 군·구에서 매입·방류한 효과조사는 매년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에서 실시

2) 혼획률 : 어획 대상종에 섞여서 함께 어획되는 다른 품종 비율

(24)

- 23 -

내 용

1. 장비 부재로 정착성 어종 위주의 제한적 방류 효과조사 불가피

「수산자원관리법」제41조제1항제4호 및 제2항에는 수산종자의 방류사업 등의 수산자원 조성 사업을 시행한 행정관청은 수산자원조성사업을 시행한 수면에 대하여 필요하면 수산자원조성 효과를 조사ㆍ평가하여야 한다. 또한 인천광역시수산자원연구소 설치 목적 및 업무에는「인천광역시 행정기구 설치 조례」제74조 및 제75조에서 신품종 종묘생산기술 개발과 첨단양식기법을 연구하고 지역특성에 적합한 고급어종의 종묘를 인공적으로 생산보급하고 수산종묘 방류 및 효과조사 등의 업무를 수행하도록 하고 규정하고 있다.

방류한 어종들의 혼획률·재포획률 및 유전학적 조사를 통한 효과조사로 경제성 분석 및 평가 등이 가능하다. 인천광역시수산자원연구소는 방류효과조사 방법 중 하나인

『염색이나 표지 방류』등은 신뢰성이 떨어지고 과학적인 조사 방법을 위해서는『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을 통한 “친자 감별법”이 필요했다.

인천광역시수산자원연구소는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기’를 보유하지 않아 [표 1]과 같이 최근 2016년부터 2018년간 생산 방류하였고 효과조사가 다소 용이한 정착성 어종 (참담치, 개불, 동죽)중에서 참담치와 개불의 방류효과조사를 제한적으로 실시하였다.

반면에 이동성 어종(일반어류·꽃게 등)의 경우 방류효과 조사가 없었다.

[표 1] 2016년부터 생산·방류한 정착성 어종의 효과조사 현황

어종 2017년 2018년 2019년 비고

참담치 2회 - -

개불 2회 1회 -

동죽 - - -

(25)

2. 2019년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기’ 구입 관련 어미 유전자 확보 방안을 마련하지 않아 2020년 방류효과조사 차질

인천광역시수산자원연구소는 2018년 수산생물병성감정 실시기관 지정이후에 [표 2]와 같이 타기관으로부터 병성감정 등을 의뢰 받아 2018년 29건과 2019년 44건을, 연구소내 배양 종자의 정기검사를 2018년 1건과 2019년 20건을 처리하였다.

[표 2]와 같이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기’는 수산생물병성감정 실시기관의 권장 장비이지만, 종자생산·방류 효과조사의 필수장비로서 인천광역시수산자원연구소는 2019년 예산확보로 190백만 원 상당(시비100%)의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기’를 확보하여 2019년 생산·방류하는 치어(새끼)의 어미로부터 유전자를 추출 보관하고 2020년 바다에서 포획 된 치어(방류후 성장) 유전자와 대조를 통해 친자관계를 규명함으로써 방류효과를 측정할 수 있게 되었다.

[표 2]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기’의 기능

용도별 필수

여부 기 능 비고

수산생물병성 감정

권장 장비

1. 세균성 질병 검사시 염기서열 분석기를 통한 정확한 세균 판명 2. 질병 원인지(세균, 곰팡이, 바이러스, 기생충)의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을 통한 수산생물의 백신, 제어기술 개발 등 생 산 · 방 류

종묘의 방류 효과조사

필수 장비

1. 유전자 직접 검사를 통한 검사비 절감 및 시료의 오염 최소화 2. 어미 유전자 관리를 통한 우성(우량) 종자 생산 가능

3. 확실한 방류 효과 조사 입증

한편 인천광역시수산자원연구소 지방해양수산연구사 F는 190백만 원에 상당하는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기’ 구입 계획(수산자원연구소-○○ : 2019. ○.○.)을 수립하여 수산생물병성감정과 종자생산·방류의 효과조사를 추진하기로 하였다.

이후 연구사별 업무조정으로 지방해양수산연구사 F가 주꾸미와 갑오징어 종자

(26)

- 25 -

약 3개월이 지나 일상감사 요청(수산자원연구소-○○ : 2019. ○.○.)하였다. 이후 조달청에 외자조달요청(2019. 6.18)하여 2019. 9월경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기’를 확보할 예정으로 구입이 지연되어 지방해양수산연구사 F는 [표 3]과 같이 2020년 방류어종의 생물 어미 로부터만 유전자를 확보 가능한 것으로 알고 2020년 방류어종의 효과조사를 2021년에 실시한다고 별도의 계획없이 생각하고 있었다.

[표 3]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기’ 확보에 따른 방류 효과조사 실시 일정

구 분 장 비

확보시기 어미유전자

추출법

방류 어종의 어미유전자 추출 가능 시기

방류효과

조사시기 비 고

인천수산 연구소 장비 운영

계획

(문서없음) 2019년 9월

생물 2020년 2021년

2019년 생산·방류어종의 죽은 어미는 폐기물처리 위해 일반 냉동고에 보관중

가능한 계획

생물 또는 초저온급속냉 동보관상태

2019년 2020년

친자감별을 위해 일반적으로 생물뿐만 아니라 초저온급속냉동 방식(장비보유중) 으로 보관된 어미로부터 유전자 손상없이 유전자 추출이 가능하다. 따라서 2019년 방류 어종의 어미를 초저온급속냉동 방식으로 보관하였다가 2019년 9월경 장비 도입후 유전자를 추출하여 2020년부터 방류효과조사가 가능하다.

그러나 2019. 7월 감사일 현재까지 2019년부터 생산·방류하는 어종의 어미 유전자를 어떻게 보관해두었다가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기’를 도입되면 2020년부터 방류 효과 조사를 실시한다는 장비운영 등의 구체적인 계획수립이 없어 유전자 추출용도로 2019년 상반기 방류어종의 어미에 대한 보관을 하지 않았다.

한편 수산자원연구소는 [표 4]와 같이 2019년 상반기 생산·방류어종의 어미 등을 냉동보관(일부 종자의 어미 소실)하고 일정처리량이 모아지면, 폐기물처리업체를 통해

(27)

배출할 예정이었다. 이것은 초저온급속냉동(영하 70℃) 방식이 아닌 일반냉동 방식 (영하 18∼20℃)으로 보관한 것으로 어미 유전자 추출에 사용 할 경우 실제로 손상없는 유전자 추출이 가능할지 불확실하다.

[표 4] 2019년 상반기 생산·방류어종의 냉동 어미보관 현황(폐기물처리용)

(단위: 만미 / 2019. 7. 2.현재)

품종별 방류

실적 방류일자 어미의

냉동보관여부 방류지역 비고

470

점 농 어 19 2019. 4. 1 해당없음 ○○ ○○○ 선착장 수정란 사용

107 2019. 6.11 일반냉동보관 ○○○ ○○해역 해상

주 꾸 미 14 18

2019. 6.26

2019. 7. 2 ○○○ ○○해역 해상

○○○ ○○해역 해상

조 피 볼 락 20 2019. 6.25 ○○ ○○○ 해역

2 2019. 4.19 일부일반냉동보관 ○○○ ○○ 해역 어미 사육중

* 수정란 사용 : 어미관리에 비용 등이 수반되어, 수정란을 도입하므로 어미가 없어 방류효과 조사 불가

따라서 2019년 장비 구입예산을 확보하였으나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기’ 구입을 지연하고, 지연에 따른 종자생산·방류 어미의 유전자 확보방안을 마련하지 않아 2019년 방류한 어종에 대한 2020년 효과조사는 일부분만 가능하게 되어 190백만 원 상당의 고가의 장비를 구입하고도 방류효과조사 업무수행에 소홀하였다.

조치할 사항 수산자원연구소장은

[시정] 2019년 상·하반기 생산·방류한 어종의 어미 유전자중 확보 가능한 것들을 보관 하고 세부추진계획 등을 마련하여 고가 장비의 확보에 따른 2020년 방류효과조사가 능률적·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도록 하시고, 추후 예산투입후 사업효과성이 저하되는 유사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28)

- 27 -

인 천 광 역 시

시 정 요 구

제 목 특허 등 취득 후 사업화 촉진 소홀 기 관 명 수산자원연구소

관 계 부 서

현 황

[표 1] 수산자원연구소 특허 등 보유 현황

(단위 : 건수)

종류별 권리권자별 보유건수

시 단독 공동 비고

총계 20 9 11

*3건 : 별도 출원 진행중

꽃게 14 9 5

잘피 3 - 3

새우 3 - 3

* 특허 17건, 실용신안 1건, 디자인 1건, 상표 1건

내 용

「공유재산 및 물품관리법」제2조제1호·제43조의5부터 제43조의10까지 및 같은 법 시행령 제52조의2부터 제52조의2까지에는 지식재산(「특허법」의 발명,「실용신안법」의 고안 등) 관리 및 처분의 특례를(2015. 1.20.신설) 규정하고 사용·수익허가 또는 대부 방법, 사용료 산정기준과 감면, 처분 등을 정하고 있다.

또한「인천광역시 지식재산의 진흥에 관한 조례」제8조제1항에는 지식재산에 대하여 원활한 사업화를 위하여 관계기관의 협력강화 시책을 강구하여야 한다고 규정

(29)

하고 있고,「인천광역시 행정기구 설치 조례」제74조 및 제75조에는 인천수산자원 연구소는 신품종 종묘생산기술 개발과 첨단기술양식기법 등을 연구하고 수산진흥에 대한 기술교육 및 훈련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수산자원연구소는 [표 1]과 같이 2011년부터 특허 등을 20개 보유하고 있고 이 중의 9개는 단독 권리권자이고, 11개는 ▨▨ 등과 공동 권리권자이다. 특허 등 등록시 1∼

3년차 등록료 일괄 납부하고 4년차부터는 [표 2]와 같이 종류별로 상이한 권리 유지료를 납부하고 있으며, 20건 중 16건은 수산자원연구소, 4건은 ▨▨에서 납부 중에 있다.

인천광역시수산자원연구소는 2018년 지급기준의 경우 ‘○○○○○ ○○○’ 등 5건 총 959천 원을 건별 69,000원에서 366,000원을 납부하고 있으며, 2020년에는 4년차가 도래 하는 10건(붙임 참조)에 대해 매년 추가 납부하여야 한다.

한편 「특허법」, 「실용신안법」 등의 목적은 산업발전에 이바지함이고,「인천 광역시 지식재산의 진흥에 관한 조례」제8조에 따른 지식재산의 사업화 촉진을 감안하여 등록된 특허 등은 실용화로 이어져야한다.

인천광역시수산자원연구소는 특허 등의 등록후 인천내 타기관이 주관하는 설명회 등에 참석하여 관련 업체들이 이를 실용화하도록 시도하려고 했다고 주장하나, 실제로 소개한 사례는 없으며 단지 특허 등의 등록에 관한 홍보에 그쳐 2011년부터 등록한 20건의 특허 등은 실제 사업화 실적은 없다. 따라서 특허 등의 등록까지 투입한 연구비 등의 예산, 인건비, 등록비와 연간 유지비 등의 예산 투입에도 불구하고 지식재산의 사업화 촉진에 소홀하였다.

(30)

- 29 -

[표 2] 인천수산자원연구소 연간 등록료 납부 현황(일부 발췌)

(단위 : 원)

발명의 명칭 납부연차 납부일 납부금액 비고

제8년차

(2017.4.13-2018.4.12) 2017. 2.28 366,000 제9년차분

(2018.4.13-2019.4.12) 2018. 4. 5 366,000 제10년차분

(2019.4.13-2020.4.12) 2019. 5. 7 643,750

제5년차분

(2016.11.8-2017.11.7) 2016. 9.21 62,000 제6년차

(2017.11-2018.11월) 2017. 9.11 62,000 제7년차분

(2018.11.08-2019.11.07) 2018. 8.27 138,000

제5년차분

(2016.7.14-2017.7.13) 2016. 9.21 62,000 제6년차

(2017.7-2018.7월) 2017. 9.11 65,720 제7년차분

(2018.7.14-2019.7.13) 2018. 5.10 69,000

제7년차

(2017.1.13-2018.1.12) 2017. 2.28 337,840 제8년차

(2018.1.13-2019.1.12) 2017.11.27 328,000 제09년차분

(2019.01.13-2020.01.12) 2018.11.16 164,000

제8년차

(2017.1.26-2018.1.25) 2017. 2.28 105,060 제9년차

(2018.1.26-2019.1.25) 2017.11.27 102,000 제10년차분

(2019.01.26-2019.07.03) 2018.11.16 222,000

제4년차분

(2019.7.26-2020.7.25) 2019. 5.14 150,000

※ 일괄납부 : 특허 등록시 1-3년차 등록료를 일괄 납부하여 상기 외의 건은 2020년부터 납부예정 (붙임 참조)

조치할 사항 수산자원연구소장은

(시정) 「인천광역시 지식재산의 진흥에 관한 조례」제8조 제1항에 따라 특허 등의 사업화 촉진 시책을 마련하시기 바랍니다.

(31)

(붙임) 특허 등의 세부 권리권자 및 납부자 현황

(2019. 7.10.현재)

품종 연

번 제 목 등록일자 등록번호 권리권자 등록료

납부자 비

꽃 게

1 ㉮ 2011. 1.12 10-******* 인천광역시 인천수산

자원연구소 2 ㉯ 2011. 7.11 10-******* 인천광역시,◉◉,

H, I ◉◉

3 ㉰ 2011.12. 8 10-******* 인천광역시,◉◉,

H, I “

4 ㉱ 2011.12. 8 10-******* 인천광역시,◉◉,

H, I “

5 ㉲ 2012. 7.13 10-******* 인천광역시 인천수산

자원연구소 6 *㉳ 2013. 6.20 10-******* 인천수산자원

연구소장

자원연구소인천수산 (일괄납부) 7 *㉴ 2012. 8.17 10-******* 인천수산자원

연구소장 “

8 ㉵ 2016. 8.24 10-******* 인천수산자원

연구소장 “

9 ㉶ 2016. 8.24 10-******* 인천수산자원

연구소장 “

10 ㉷ 2016. 8.24 10-******* 인천수산자원

연구소장 “

11 ㉸ 2018.12.28 10-******* 인천수산자원

연구소장 “

12 ㉹ 2019. 1.14 10-******* 인천수산자원

연구소장, ㈜◩◩ “

13 ㉺ 2017. 9.8 30-*******

인천수산자원 연구소장,

㈜◩◩

14 ㉻ 2018. 1.16 40-******* 인천수산자원

연구소장 “

(32)

- 31 - 품종 연

번 제 목 등록일자 등록번호 권리권자 등록료

납부자 비

잘 피

15 ⓐ 2010.4.12 10-******* 인천수산자원

연구소장,

㈜◨◨

인천수산자원연구소

16 ⓑ 2010.1.25 20-*******

인천수산자원 연구소장,

㈜◨◨

17 ⓒ 2012.11.7 10-*******

인천수산자원 연구소장,

㈜◨◨

새 우

18 ⓓ 2016.7.25 10-******* 인천수산자원

연구소장, ♢♢ “

19 ⓔ 2017.6.14 10-******* 인천수산자원

연구소장, ♢♢

인천수산자원연구소 (일괄납부)

20 ⓕ 2017.2.23 10-******* 인천수산자원

연구소장, ♢♢

인천수산자원연구소 (일괄납부)

* 한국식품연구원에서 권리권 이양(2016년)

※ 일괄납부 : 특허 등록시 1-3년차 등록료를 일괄 납부하여 2020년부터 납부 예정

※ 총 20건(특허 17건, 실용신안 1건, 디자인 1건, 상표 1건)

 

(33)

인 천 광 역 시

시 정 요 구

제 목 유해인자 취급근무자 특수건강진단 미실시 기 관 명 수산자원연구소

관 계 부 서

내 용

인천광역시 수산자원연구소(이하 “연구소”라 한다)에서는 수산생물 병성감정 등 각종 검사 및 연구 업무를 수행하면서 메틸 클로로포름, 벤젠, 아세토니트릴, 포름 알데히드 등 유해물질을 취급하고 있다.

「산업안전보건법」 제43조제1항에 사업주는 근로자의 건강을 보호․유지하기 위하여 고용노동부장관이 지정하는 기관 또는 「국민건강보험법」에 따른 건강검진을 하는 기관에서 근로자에 대한 건강진단을 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산업안전 보건법 시행규칙」 제98조의2에 따르면 건강진단의 실시 시기 및 대상을 기준으로 일반 건강진단․특수건강진단․배치전건강진단․수시건강진단 및 임시건강진단을 실시하여야 한다고 되어 있다.

또한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99조제2항과 제4항에 따르면 사업주는 특수건강진단 대상업무에 종사하는 근로자에 대해서는 별표 12의3에서 특수건강진단

(34)

- 33 -

사업주가 별표 13에서 정한 특수건강진단의 검사항목2)을 모두 포함하여 실시한 건강진단을 실시한 경우에는 그 근로자에 대해서는 규칙에 따른 해당 유해인자에 대한 특수건강진단을 실시한 것으로 본다고 하였으며, 특수건강진단대상업무에 근로자를 배치하려는 경우에는 해당 작업에 배치하기 전에 배치전건강진단을 실시하여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한편,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제10조제1항과 제4항에 따르면 연구주체의 장은 유해물질 및 유해인자를 취급하는 연구활동종사자에 대하여 일반 건강검진, 특수건강검진을 실시하여야 하고 특수건강검진은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특수 건강진단기관에서 관계법령에서 정한 특수건강진단의 시기 및 주기와 검사항목을 포함 하여 실시하여야 한다.

그리고 「산업안전보건법」 제43조제5항에 따르면 건강진단 결과 근로자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작업장소 변경, 작업 전환, 근로 시간 단축, 야간근로의 제한, 작업환경측정 또는 시설ㆍ설비의 설치ㆍ개선 등 적절한 조치를 하도록 되어 있어 사후관리에 대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유해인자를 취급하는 기관의 장은 특수건강진단 대상 업무에 종사하는 모든 근로자에게 대하여 정기적으로 “특수건강검진”을 실시하고 인사이동 또는 신규로 채용되어 유해물질이 배출되는 실험실 업무에 종사할 근로자에 대하여는 “배치전건강 진단”을 실시하여야 하며 진단결과 추적검사, 근무중 치료, 보호구 사용 등 의사소견이 있는 근로자에 대하여는 적절한 사후관리를 하여야 한다.

그런데 연구소에서는 [표]와 같이 3명에 대하여 감사일 현재까지 특수건강진단을 받지 않은 채 유해물질을 취급하는 업무에 종사하고 있는데도 이에 대한 조치가 없었다.

1)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벤젠, 1,1,2,2-테트라클로로에탄, 사염화탄소, 아크릴로니트릴, 염화비닐, 석면·

면 분진, 광물성 분진, 나무 분진, 소음 및 충격소음 등

2) 직업력 및 노출력 조사, 주요 표적기관과 관련된 병력조사, 임상검사 및 진찰

(35)

[표] 특수건강진단 미실시자 명단

연 도 직 급 성 명 해당업무 근무기간 근무부서 담당업무 실시여부

2017

수산연구관 J 11. 1. ~ 12. 31. ○팀 병성감정 미실시

수산연구사 K 11. 1. ~ 12. 31. ○팀 병성감정 미실시

수산연구사 L 11. 1. ~ 12. 31. ○팀 병성감정 미실시

2018

수산연구관 J 1. 1. ~ 12. 31. ○팀 병성감정 미실시

수산연구사 K 1. 1. ~ 12. 31. ○팀 병성감정 미실시

수산연구사 L 1. 1. ~ 12. 31. ○팀 병성감정 미실시

2019

수산연구관 J 1. 1. ~ 현재 ○팀 병성감정 미실시

수산연구사 K 1. 1. ~ 현재 ○팀 병성감정 미실시

수산연구사 L 1. 1. ~ 현재 ○팀 병성감정 미실시

자료: 수산자원연구소 제출자료 재구성

조치할 사항 수산자원연구소장은

(시정) 특수건강진단을 받지 않은 직원에 대하여 「산업안전보건법」 제43조제1항과 같은 법 시행규칙 제98조의2 등 규정에 따라 조속히 건강진단을 실시하시기 바랍니다.

(36)

- 35 -

인 천 광 역 시

시 정 요 구

제 목 석면건축물 관리 소홀 기 관 명 수산자원연구소

관 계 부 서

내 용

「석면안전관리법」 제3조제1항에 따르면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석면으로 인한 환경과 국민건강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석면의 안전관리에 필요한 시책을 수립 하고 시행하여야 한다고 되어 있다.

한편, 같은 법 제22조제3항에 석면건축물의 소유자는 석면으로 인하여 인체에 미칠 위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석면건축물 관리기준을 지켜야 한다고 하였으며, 제23조제1항에 석면건축물의 소유자는 본인, 해당 건축물의 점유자 또는 관리자 중 1명 이상을 “석면건축물안전관리인”으로 지정하여야 하고 이를 특별자치시장․특별 자치도사․시장․군수․구청장에게 신고하여야 하되 변경하는 경우에도 같다고 규정 하고 있다.

또한, 같은 법 시행령 제33조에 따르면 석면건축물의 소유자는 석면건축물안전 관리인을 지정하여 석면건축물을 관리하여야 하고, 석면건축물에 대하여 6개월마다 석면 건축물의 손상 상태 및 석면의 비산 가능성 등을 조사하여 같은 법 시행규칙 제28조에 따라 석면의 위해성 정도를 고려하여 보수, 밀봉, 구역 폐쇄 등 필요한 조치를 실시 하여야 한다.

(37)

따라서 수산자원연구소에서는 석면건축물에 대하여 안전관리인을 지정하고 6개월 마다 석면건축물의 손상 상태 및 석면의 비산 가능성 등을 조사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하여야 했다.

그런데 수산자원연구소의 석면건축물 관리실태를 확인해 본 결과,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석면건축물 담당자가 변경되는 경우 관할 행정청에 변경 신고가 이루어지다 2019. 2. 1. 인사발령으로 인하여 담당자가 현재의 담당자로 변경되었음에도 석면건축물 안전관리인 변경 신고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석면건축물에 대하여 6개월마다 정기적으로 석면건축물의 손상 상태 및 석면의 비산 가능성 등을 조사하여야 하는 규정 또한 인지하지 못하여 2018. 11. 3. 조사를 마지막으로 감사일 현재까지 조사를 실시하지 아니하면서 석면건축물 관리에 소홀하였다.

조치할 사항 수산자원연구소장은

(시정) 「석면안전관리법」 제23조의 규정에 따른 석면건축물의 손상 상태 및 석면의 비산 가능성 등 조사를 조속히 실시하여 필요한 조치를 하시기 바라며, 앞으로 석면 건축물안전관리인 미신고 및 정기조사 미실시의 사례가 재발되지 않도록 관련 업무를 철저히 하시기 바랍니다.

(38)

- 37 -

인 천 광 역 시

시 정 요 구

제 목 물품관리 업무 소홀 기 관 명 수산자원연구소 관 계 부 서

내 용

「공유재산 및 물품 관리법」(이하 “공유재산법”이라 한다) 제66조에 따르면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물품의 관리에 관한 사무를 전산화 하여 물품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야 하고, 「인천광역시 물품관리 조례」(이하 “조례”라 한다) 제24조와 제25조 및 같은 조례 시행규칙 제17조에 따르면 물품출납원은 물품카드 등록부를 비치하고 정리하되 전산입력처리로 장부작성에 갈음하며 이를 물품관리관이 유지한다고 되어 있다.

조례 제3조에 물품관리관은 물품의 관리․청구․검수․반환․수리 기타 출납 보관에 관한 사무를 처리한다고 규정하면서 같은 조례 시행규칙 제2조에 물품관리관은 시 소속 행정기관의 경우 관서의 장이 된다고 명시하고 있다.

따라서 수산자원연구소(이하 “연구소”라 한다)의 물품관리관은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로써 사무에 종사하여야 할 의무가 있으며 관계법령에 따라 물품관리대장을 전산화 하여 관리하되 특히 물품을 신규 취득할 때에는 취득과 동시에 물품분류번호, 품명, 규격, 취득일, 취득가격 등을 물품관리대장에 등재하여야 한다.

(39)

그런데 연구소에서는 [표]와 같이 자산취득비목으로 구입한 초저온냉동고 등 6종 86건, 31,816,140원에 대하여 감사일 현재까지 물품관리대장에 등재를 누락하여 관리함 으로써 물품관리를 소홀히 하였다.

[표] 물품관리대장 미등재 품목 현황

(단위: 건, 원)

연번 구입연도 품목 수량 구입금액 비고

86 31,816,140

1 2017 초저온냉동고 1 19,050,000

자산취득비 2

2018 호흡용공기충전기 1 4,980,000

3 CAD 프로그램 1 492,640

4

2019

냉난방기 3 3,933,500

5 식탁(구내식당) 16 1,120,000

6 의자(구내식당) 64 2,240,000

자료: 수산자원연구소 제출자료 재구성

또한 공유재산법 제75조에 따라 소관 물품 중 사용할 필요가 없거나 사용할 수 없는 물품이 있을 때에는 그 물품에 대하여 불용의 결정을 하여야 하나, 연구소 소관 물품 중 내구연수 경과 및 노후 등으로 사용하기 곤란한 불용품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소요조회, 불용결정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해야 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품목의 경우 별다른 조치 없이 보관창고에 방치한 사실이 있다.

조치할 사항 수산자원연구소장은

(시정) 물품관리대장에 미등재된 물품에 대하여는 시도행정정보시스템에 즉시 등록․

관리하고 내구연수를 초과하거나 사용이 불가한 물품은 「공유재산 및 물품 관리법」

제75조에 따라 소요조회 후 불용처분하시기 바라며, 앞으로 유사한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직원 교육과 물품 관리에 철저를 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40)

- 39 -

인 천 광 역 시

시 정 요 구

제 목 공공조달 유류구매카드 적립포인트 세입조치 소홀 기 관 명 수산자원연구소

관 계 부 서

내 용

조달청에서는 2012년 물가관계 장관회의에 따라 국내 석유시장 경쟁촉진과 유류 가격 인하를 위하여 공공부문 차량용 유류(휘발유, 경유) 물량을 통합하여 공동구매를 추진하였고, 이에 따라 공급자와 연간 단가계약을 체결하여 시중 주유소 판매단가 약 4%

(즉시할인 3.04% + 포인트 적립 1.1%) 할인된 가격으로 전국 2,200여개 협약주유소에서 주유가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나라장터를 통하여 6개월마다 수요기관에 적립 포인트 내역을 알려 주고 있다.

「지방자치단체 세출예산 집행기준」에 따르면 공공운영비(201-02)의 차량․선박비로 차량용 유류를 구입할 경우 원칙적으로 공공조달 유류구매카드(이하 “유류카드”라 한다)를 활용하여 조달청에 등록된 주유소에서 구매하여야 하며, 지방자치단체구매카드 사용으로 인해 발생한 카드사용 인센티브(포인트, 마일리지, 적립금 등)는 사적으로 사용할 수 없고 해당 자치단체에 연 1회 이상 세입조치 하여야 한다고 규정되어 있다.

(41)

수산자원연구소(이하 “연구소”라 한다)에서는 2015년 2개의 유류카드를 발급 받아 감사일 현재까지 사용하였으며 2015. 11. 30.부터 2019. 7. 3.까지 총 212,314원의 유류카드 포인트를 적립하였다.

따라서 연구소에서는 적립된 포인트를 나라장터 등에서 확인하여 연 1회 이상 세입조치를 하여야 했음에도 감사일 현재까지 약 3년간 적립된 포인트를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표]와 같이 세입조치를 하지 아니하는 등 유류카드 사용 관리에 소홀하였다.

[표] 공공조달 유류구매카드 적립포인트 현황

(단위: 원)

연번 카드번호 포인트 적립기간 적립포인트 세입미조치 비고

1 9410-****-****-**48

2015. 11. 30. ~

2019. 7. 3. 212,314 212,314 - 2 9410-****-****-**37

자료: 수산자원연구소 제출자료 재구성

조치할 사항 수산자원연구소장은

(시정) 공공조달 유류구매카드 사용으로 적립된 포인트 212,314원은 「지방자치단체 세출예산 집행기준」에 따라 즉시 세입조치 하시기 바랍니다.

Gambar

[표  1]  시설공사  준공금  지연지급  현황
[표  2]  시설공사  준공검사자  지정  현황
[표  1]  ○○  ○○  장비  예산집행  현황
[표  2]  관용차량  ○○○○장치  예산집행  현황
+7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