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도 IACA (국제반부패아카데미)
교육훈련 결과보고서
2019. 6.
목 차
Ⅰ. 추진목적 ··· 1
Ⅱ. 교육훈련 및 방문기관 현황 ··· 1
1. 교육훈련 현황···1
2. 오스트리아 및 교육․방문기구 일반현황···2
3. 교육훈련 일정···6
Ⅲ. IACA(국제반부패아카데미) 교육 결과 ··· 1
1. (Session 1.)➀ Overview of Corruption in Today’s Environment ···7
2. (Session 1.)➁ Comparative Studies on Anti-Corruption Policy ··· 11
(Session 2.) Anti-curruption Collaboration in Public&Private Sectors ··· 13
3. (Session 3.) International Anti-Corruption Cooperation···15
4. (Session 4.) Corruption Risk Analysis ···16
5. (Session 5.) Organozation Integrity ···17
6. UN 마약범죄국(UNODC) 방문 현황···17
Ⅳ. 기관 적용 방안 ··· 20
국외 반부패 훈련을 통한 국제 반부패 동향 이해 및 반부패 역량 강화
2 0 1 9 년 도 IA C A (국 제 반 부 패 아 카 데 미 )
교 육 훈 련 결 과 보 고
(´19. 6. 18., 감사실)
Ⅰ 추진목적
❍ 부패방지 시책평가에서 우수 성적을 거둔 담당자에 대한 국제 반부패 교육을 통해 대상 기관의 청렴역량 견인
❍ 반부패 국제기구와의 접점을 넓혀 청렴 이슈 관련 국제적 동향을 이해하고, 청렴 선진국의 우수 시책과 경험 공유
Ⅱ 교육훈련 및 방문기관 현황
1. 교육훈련 현황
❍ 교육일자: 2019. 5. 8. ~ 5. 16., 7박 9일 ❍ 교육 참가자: 일반직 5급 전대승
※ 국민권익위원회 등 17개 기관 20명 참여 ❍ 대상국가 및 교육기관
- 국가명: 오스트리아(비엔나, 락센부르크)
- 교육기관명: IACA(International Anti-Corruption Academy), 오스트리아 감사원(ACA), UN 마약범죄국(UNODC)
❍ 교육훈련 내용
- 국제반부패아카데미(IACA) 맞춤형 강의(Tailored program) 수료 - UN 마약범죄국(UNODC) 및 오스트리아('18년 CPI순위 13위, 76점)
감사원(ACA)과 교류
※ 주요 기구들의 반부패 활동을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 및 각급 기관들에 도입 가능한 정책 내용 탐구 등
2. 오스트리아 및 교육․방문기구 일반현황
[일반현황]
▪수도 : 비엔나(Wien),
▪인구 : 약 838만명
▪면적 : 63,871㎢
▪주요도시 : 비엔나, 인스브루크, 짤츠부르크
▪주요민족 : 게르만족
▪주요언어 : 독일어 및 영어
▪종교 : 카톨릭(90%), 개신교(6%)
❍ 오스트리아는 838만명의 인구가 살고 있는 중앙유럽 알프스 산맥에 있는 내륙국이며 유럽의 중앙에 위치해 여러 나라의 국경이 맞닿아 서쪽으로는 스위스, 리히텐슈타인, 북쪽으로는 독일, 체코, 동쪽으로는 헝가리와 슬로바키아, 남쪽으로는 이탈리아와 슬로베니아, 스위스 쪽은 알프스 산맥과 도나우 강이 흐르고 있음
❍ 오스트리아는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국가 중 하나로 1인당 GDP가 높으며 시민을 위해 수준 높은 복지정책을 펴는 국가임. 수도 비엔나는 수년 연속 세계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로 선정되었으며, 오스트리아는 1955년 유엔(UN, 국제 연합) 회원국이 되었으며 1995년에는 유럽 연합 (EU)에 가입함
❍ 현재 오스트리아는 9개의 연방주로 이루어진 대표 민주주의 실현 국가 이며, 나라에서 가장 큰 도시이자 수도는 비엔나로 173만 명의 인구가 살고 있고, IAEA, CTBTO, UNODC 등 다양한 국제기구의 사무국이 빈 국제센터에 위치하고 있음
❍ 교육․방문기관 주요 현황 ▪ IACA(국제반부패아카데미)
설립일자: 2011. 3. 8.
법적지위: 국제기구
본 부: 오스트리아, 락센부르크
회 원 국: 3개의 국제기구를 포한한 70개 당사국 설립목적
- IACA는 UN 반부패 협약 등 일련의 국제 반부패 협약의 효율적인 이행을 위해, 특히 반부패 분야 연구 및 교육·훈련을 담당하는 선도 적인 기구가 필요하다는 인식 하에 UN마약범죄국, EU부패방지총국, 오스트리아 정부, 인터폴 등 다자간 공동 사업으로 시작했다. 2011년 3월 8일 기관 설립을 위한 국제 협정이 발효되면서 국제기구 지위를 얻게 됐으며, 현재 3개의 국제기구를 포함한 70개 당사국이 있음
교육과정
- IACA는 정규 프로그램, 맞춤형 프로그램, 학위 과정을 운영하고, 반 부패 종사자 간 대화와 네트워킹을 위한 기회를 제공하는 한편, 반 부패 연구의 싱크탱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 현재 진행 중인 가장 중요한 사업은 반부패 석사 과정(MACS, Master in Anti-Corruption Studies)으로 2년간 7개 모듈*(모듈별 3개월, 모듈별 2 주만 캠퍼스 강의)을 학습하고 논문 제출 후 석사 학위를 취득하게 되며, 전 세계 공무원과 국제기구, 시민단체, 언론, 학계 등의 반부패 관련자들을 대상으로 부패 척결을 위해 다양한 학문 분야와 관점에 서 반부패 정책 등을 학습하는 기회를 제공함
* 학습 모듈: ①부패의 개념과 이론 ②부패와 경제 ③정치와 부패
④기업과 부패 ⑤반부패와 법률 ⑥(반부패)법집행 ⑦(부패)예방국
▪ 오스트리아 중앙검찰청(WKSTA)
설립일자: 2009(2011년 기관확대_금융위기 이후) 기관위치: 오스트리아 비엔나
기관인원: 청장, 검사39명, 행정지원 30명
설립목적: 경제 금융 등 중요 부패사건에 대한 조사·기소 - (인력) 은행, 경제, IT 전문 검사로 구성
- (대상) 사회적 정치적 민감하고 중요사건, 500만유로 이상, 경제사범 - (감독) 시장경제관련, 세관관련, 에너지관련 기관
내부자고발시스템(BKMS: Business Keeper Monitering System): 6개 분야(부패, 경제, 사회사기, 금융, 회계자본시장, 자금세탁) 홈페이지 신고 체계 구축
▪ UN 마약범죄국
설립일자: 1990년 UN총회 결의에 의거 1991년 설립 법적지위: 국제기구
본 부: 오스트리아, 비엔나 회 원 국: 136개국
설립목적
- 국제적 마약퇴치 전략 수립 및 각국 마약퇴직 전략수립 지원 - 회원국의 마약관련 협약기준 준수를 위한 입법조치, 기술원 등 협조제공 - 마약문제에 관한 정보 및 자료 수집, 분석, 전파
- 주요 마약관련 국제협약의 이행감독 등
3. 교육훈련일정
일자 교육 내용 비고
5.8.(수) ▶ 인천 출발(12:50)
▶ 비엔나 도착(17:10) ※ 약 11시간 소요
5.9.(목)
▶ <Session 1>
① Overview of Corruption in Today's Environment ② Comparative Studies on Anti-Corruption Policy
IACA (12:30
~16:30)
5.10.(금)
▶ <Session 2>
① Anti-corruption Collaboration in Public & Private Sectors (I) ② Anti-corruption Collaboration in Public & Private Sectors (2)
IACA (09:00
~12:30)
5.11.(토) ▶ 국제기구 반부패 정책의 개별기관 적용 방안 강구
5.12.(일) ▶ 국제기구 사례와 국내 사례 비교 및 토론
5.13.(월) ▶ <Session 3>
International Anti-Corruption Cooperation
IACA (09:00
~12:30) ACA (13:30
~17:00)
5.14.(화)
▶ <Session 4>
Corruption Risk Analysis
Excursion to UNODC/Vienna International Center (VIC)
IACA (09:00
~12:30) UNODC
(13:30
~17:00)
5.15.(수)
▶ <Session 5>
① Organizational Integrity (I) ② Organizational Integrity (Ⅱ) ▶ 비엔나 출발(18:40)
IACA (09:00
~13:30)
5.16.(목) ▶ 인천 도착(11:50) ※ 약 10시간 소요
Ⅲ IACA(국제반부패아카데미) 교육
1. (Session 1.)
➀Overview of Corruption in Today’s Environment
❍ 강사: Pawan Kumar Sinha❍ 주요 강의내용
세계화, 정보화 등의 급변하는 환경에서의 부패예방을 위한 국가 및 국제기구의 노력과 부패방지 정책 수립을 위한 빅데이터 분석등 최신기술 적용사례
❍ 부패의 정의
- 일반적 정의: 공적지위를 사적이익을 위해 사용
- 유엔반부패협약(UNCAC)에서는 법적 처벌이 가능한 행위로 규정
※ UNCAC: 기업의 리베이트(뇌물) 비용의 정식 소모비처리 차단을 위한 협약 ❍ 세계적 추세
- 자유주의, 민주주의 확산(미국등의 지원), 정부분권, 신자유주의(민영화등), 다국적 기업 변화
- 자유무역주의: WTO, OECD등 다자간․양자간 국제법과 규약등 협력활동 증가 - 다국적 기업등 뇌물수수에 대한 강력한 국내법(미국_FCTA법, 1977년)
※ FCPA(Foreign Corrupt Practices Act): 국내외 뇌물수수금지법
- 신기술을 응용한 반부패 법이행과 협력(인공지능, 빅데이터분석, 블록체인) ❍ 부패의 규모(전세계)
- 뇌물 비용: 약 1조천억달러/년(2005, World Bank), 1.5조달러~2조달러/년 (2016, IMF), 2.6조달러/년(2018, UNODC)
- 부패 자금: 3.6조달러/년(범죄 수익) 중 2.7조달러/년(자금세탁)를 사용 (2009, UNODC)
※ 개도국 개발지원자금 5천억달러의 약 3배를 뇌물로 사용(2012, CSIS) - Focus의 변화: 공공분야 → 민간분야
※ 모든 계약의 10%, 공공계약의 25%가 뇌물로 이용(2014, CSIS)
❍ 부패의 측정
- 목적: 부패지수를 측정하여 발표하는 것만으로도 시민단체 등이 정부에 개선요구등 위한 자료로 이용되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역할을 함.
- CPI(부패인식지수): 국제투명성기구(TI: Transparency international)가 매년 발표 하는 국가별 부패지수로서 각국의 공무원이나 정치인이 얼마나 부패를 조장하거나 부패한지에 대한 인식을 나타내는 지수
❍ 부패방지를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
- 1975년 UN 총회에서 다국적기업 등의 부패방지에 대한 필요성 언급 - 1977년 다국적 기업등의 재판등 미국 회외뇌물방지법(FCPA) 제정
- 1997년 OECD 뇌물방지협약: 외국공무원에 대한 뇌물제공자의 형사처벌 및 법인에 뇌물을 주고 얻은 모든 이익을 몰수‧추징
- 1999년 유럽의회 형사법 협약, 민법협약
- 2000년 UN 초국가적 조직범죄 방지협약(UNTOC/인신매매등) - 2001, 2003년 남아프리카 개발기구, 아프리카 연합 부패방지 협력 - 2003년 UN 부패방지협약(UNCAC) / 12.9._반부패의날
- 2004년 유럽 반부패파트너(EPAC, PACI)/산티아고 협약(APEC) - 2008년 아랍, 유럽 반부패 협약
- 2010년 영국 국내외 뇌물방지법 (UK Bribery ACT) 제정 - 2011년 IACA, AACACA 조직
- 2012년 자카르타 성명(UNDP), 2014년 반부패 베이징선언(APEC)
※ 반부패 기구의 효율성 및 독립성 보장
- 2014년 국제표준화기구(ISO) 19600 준법경영 시스템 인증 제정 - 2016년 런던 반부패 정상회의
- 2016년 국제표준화기구(ISO) 37001 부패방지 경영시스템 인증 제정
※ 정부와 사기업의 부패방지 기준 제시
❍ UN 반부패 협약(UNCAC)이행
- 이행여부 점검: 최소 2개국이 상호 이행 검토 및 개선방안 발굴
※ 서명국(140개국), 단체(186단체)
❍ 국내법(국외 뇌물수수)
- 처벌 Focus 변화: 실무자 처벌(민법) → 최고경영자 처벌 및 기업 벌금(형법) - 미국-FCPA(1977), 영국-Bribery Act(2010), France-Sapin-Ⅱ, 브라질
· Clean Company Act(2014), 한국 국제상거래에 있어서 외국공무원에 대한 뇌물방지법(1998)
※ 미국 FCPA 적용 사례: 한때 세계에서 5번째로 큰 회사였던 브라질 석유화확 회사인 페트로브라스가 30년이상 지속된 부패스캔들로 인 해 기관투자자들의 손실을 가져왔으며, 미국과 브라질 정부가 공동 조사하였으며, 기업이 부패관련자 및 증거를 자체조사 제출하여 벌금 을 30억달러로 감액 합의함.
· 경영주는 19년, 룰라 다 실바 전대통령 12년 이상 징역형 선고, 미 셰우 테메르 현 대통령 뇌물 혐의
- 국가별 법률‧법률 집행기관의 현황에 따라 국내‧해외뇌물방지법 이행의 적용이 달라질 수 있음.
※ 분야별(의료, 전기, 관광…) 접근이 필요함.
- 해외 뇌물관련 사법공조를 통한 관련자 처벌 및 부패이익 환수 (UNCAC근거)
※ ex) 스위스의 경우 뇌물관련 자금을 송금한 경우에도 부패이익 환수를 통해 국고로 귀속함.
❍ 협약 및 법 효과
- 전시효과(Demonstration effect)
·부패예방효과 및 기업윤리 강화에 대한 동기유발 효과
- 기대효과(Pygmalion effect)
·
부패로 적발기업이 내부자정능력으로 개선될 시 처벌면제등 적절한 인센티브가 제공될 시 청렴한 기업으로 전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긍정적 효과
- 구인효과(Crowding-in effect)
·법의 존재로 처벌대상 행위를 자제하는 등 실제적 영향을 미치는 효과 - 거울효과(Mirror effect): 관찰학습에 의한 심리적 감시효과
❍ 최신 기술을 이용한 부패방지
- 인공지능, 빅데이터와 데이터 추출, 사물인터넷 등의 발달로 데이터 분석 용이
- 생각의 방식 변화, 혼란과 도전에 대비, 규제기술(RegTech)의 발전 에 대비한 AI전문가 영입으로 예방체계 구축
- AI 빅데이터 분석 및 활용
·인터넷, 스마트그리드 및 센서 정보, 소셜 미디어 등의 개인정보 수집 및 유형․영역 분석을 통한 부패 예방 대책 마련
- 블록체인 기술 이용을 통한 부패방지
- 한계: 기술의 고비용, AI 조작 등 비윤리적 기술 적용 가능성과 정보 공개에 대한 기준 적용의 한계 존재
※ 빅데이터 기술: 아파치 하둡(Apache Hadoop), 아파치 맵리듀스 (Apache MapReduce), 카산드라(Cassandra), 아파치 하이브(Apache Hive)
2. (Session 1.)
➁Comparative Studies on Anti-Corruption Policy
❍ 강사: Jaesik Suh❍ 주요 강의내용
부패인식지수(CPI_Corruption Perception Index) 평가지표 선정‧
평가방식 및 국가별 부패지수의 조사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고, 대한 민국의 부패지수의 내포된 의미 파악 필요
❍ 부패인식지수(CPI)
- 국제투명성기구(TI)가 매년 발표하는 국가별 부패지수로서 국제적인 부패감시 민간단체인 국제투명성기구(TI;Transparency International) 가 1995년부터 매년 1회씩 발표하는 국가별 부패인식지수
- 세계은행(IBRD) 등 7개 독립기구의 국가별 공직자의 부패 정도에 관한 설문조사 종합․분석․평가하며,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부패 정도가 낮은 것으로 간주
- 2018년 부패인식지수 분석결과 178개국 중 덴마크(88점) 1위를 차지하 여 세계에서 가장 청렴하고 정직한 나라로 선정되었고, 10위권 이내에 는 서구권 국가가 대부분이며, 아시아권에서는 싱가포르(공동 3위)와 홍콩(76점, 14위), 일본(73점, 18위), 부탄(68점, 25위), 타이완(63점, 31 위)순 이며 한국은 57점으로 카보베르테와 함께 공동 45위를 기록함.
❍ 부패인식지수(CPI) 조사 목적
- 국가기관 공무원이 정해진 절차나 규정에 따른 법으로 공무를 수행하지 않고, 특정 집단의 이익이나 의사를 옹호하여 불특정 다수인에게 신체적 경제적 손실을 가져다 준다. 또한 이렇게 형성된 부정한 이익은 그 몫이 정당하게 돌아가야 하는 사람들의 이익을 박탈하게 됨으로써 정의 사회 구현에 막대한 지장을 주게 된다.
- 즉, 부패로 인한 피해는 국민들에게 고스란히 돌아가는 것이므로 국가의 부정부패 현상을 척결하고 극복하는 것은 국민의 전체 이익을 향상 시킬 뿐만 아니라 국제 사회에서 대한민국의 위상을 높일 수 있는 방법 으로, 부패인식지수(CPI) 조사를 통한 부패정도를 언론에 발표하거나 기타 방법으로 대중에 공개함으로써 국민들에게 부패 정도의 인식을 높이고, 대상국가의 규제 및 처벌이 아닌 평가 점수 공개로 취약한 부분을 개선하기 위함
❍ 대한민국의 부패인식지수의 의미 및 제고 방안
- 대한민국의 경우 지표 중 내‧외 설문 점수가 낮은 이유는 언론보도 등을 통한 국민의 부패에 대한 인식수준이 높아 설문 점수가 낮은 것으로 판단됨.
- 부패방지을 위한 정부의 법률적 정비 및 정부‧기업의 상호 노력으로 부패발생 시 공정한 법집행을 통한 기업 및 고위층에 대한 처벌과, 반부패 제도 및 시스템으로 국민의 인식변화 필요
2. (Session 2.)
➀ Anti-curruption Collaboration in Public&Private Sectors ❍ 강사: Andrew Spalding❍ 주요 강의내용
각국의 공공분야와 민간의 협력을 통한 반부패 정책과 한국에 적용 가능한 반부패 정책 토의
❍ 부패예방을 위한 공공분야와 민간분야의 협력 - 공공분야: 법제정 및 집행을 통한 부패억제 - 민간분야: 자체규정 등을 통한 기업윤리 확립
※ 정부의 예산절감을 위해 민간에서 기업에서 부패방지를 위한 노력시 인센티브 부여 및 해당 사례 전파를 통한 민간의 자체 부패방지 확산 - 민간의 부패방지 노력은 자체 부패방지를 유도하여 법 위반에 따른
조사․처벌이 감소하여 예산절감의 효과가 있음
❍ 국내법(국외 뇌물수수) 유형
- 미국: 개인의 비위는 기업의 비위로 처벌하고, 벌금 등의 감경을 위해 기업의 자체조사 결과를 제출하여 국가예산의 절감 가능
※ 기업이 실제 적용하지 않는 기업의 자체윤리규정으로 법망을 피하기 쉽다고 판단하여 자체 부패방지 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부여하지 않음 - 영국: 개인의 비위는 적정한 기업의 부패예방 절차만 있으면 기업의
책임은 없음
※ 한국: 개인의 비위를 기업윤리(내부강령) 유무에 따라 기업을 처벌 - 프랑스: 기업윤리 부재자체를 처벌함(법집행 기관 설립)
※ 자체 부패방지 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는 없으며, 이를 관리할 예산필요
❍ 민간노력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의 특징
- (사법부) 개인의 뇌물증여 등 개인의 부패를 검찰에서 기소할 시 소송 등으로 자원소모가 많아 기업에서 개인의 책임을 밝혀 뇌물 증여를 방지하는 방안이 필요
·(예산절감) 개인의 비위를 기업에서 밝혀야 정부에서 기업에 인센티브를 부여 - (기업) 시간과 비용에 따른 벌률적 처벌을 산술적 또는 기업이미지를
위하여 저울질함
·(자발적 위법 인정) 범법사실을 사법기관 통보에 대한 기업이익 판단
※ 자체 적발에 대한 보상이 기업의 보상심리에 부합한 수준 필요(불기소 등) ·(정부의 법망 강화 전제) 기업의 범법행위를 적발할 것을 전제
- (부작용) 감경을 위한 기업변호사와 검사간의 내부합의 등 경제․사법부 간 유착 우려
❍ 결 론
- 공정한 법집행, 반부패 시스템과 제도, 의식과 문화의 혁신 3가지 요건이 정착되어야 청렴 반부패 문화가 형성될 수 있음
3. (Session 3.) International Anti-Corruption Cooperation
❍ 강사: Verena Wessely/Evelyn Dojnik❍ 주요 강의내용
국제사회의 부패예방을 위한 UNCAC(UN반부패협약)에 따른 오스 트리아 반부패 연방 협력기구(BAK: FEDERAL MINISTRY OF THE INTERIOR / FEDERAL BUREAU OF ANTI-CORRUPTION)의 역할
❍ UNCAC(UN반부패협약) 소개
- 국제사회 부패예방을 위한 국제적 체계 구축 목적
- UN가입 185개국 중 140개 국가가 채택하여 2005년 12월 14일에 발표
❍ 오스트리아 반부패 연합 협력기구 역할
- 소속: 법무부(근거: 반부패기구법)
- 확대: 내무부소속 / 법률(X) → (UNCAC) → 법무부소속 법률(O)
※ 부패방지를 위한 통일된 절차 준수
- 부서구성: 3개부 120명[자원․지원(40), 예방․교육(20), 수행부서(60)]
‧ 예방․교육 부서: 부패예방을 위한 교육․자문과 다양한 경력직으로 구성
되어 수사결과 분석을 통한 원인도출(개인, 제도 등) 로 예방을 위한 권고․개선 등 요구하여 조직의 체질 개선에 협력하고 있음.
※ 교육담당(6명)이 9개주 공무원 및 경찰 40여만명의 교육을 위하여 교 육자료 제공 및 수시 업데이트를 통하여 통일된 교육 실시
‧ 수행부서: 법률상 수사 가능한 항목(부패관련) 수사(경제 검찰청과 협조유지)
※ 지방 수사기관은 해당 부패건이 발생시 즉시보고 체계 구축, 지휘
※ 20198년 총 900건 접수하여 300건 수사
- 대외협력업무
‧ 부패경험(인식) 평가(CPI) 및 부패인식 개선방안 마련, 부패예방사례 공유
※ 2017.10. 오스트리아 일반인 1,000명(유럽 280,000명)
‧ 인터폴 및 유로폴 등 업무연락(수사공조는 하지 않음)
4. (Session 4.) Corruption Risk Analysis
❍ 강사: Drago Kos❍ 주요 강의내용
부패 유형의 파악과 그에 따른 방지 대책 마련의 매카니즘을 알고, 이를 조직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 토의
❍ 용어설명
- (부패) 공적 권한을 사적 이익을 위하여 남용하는 것
- (윤리) 도덕적으로 받아들이는 선, 또는 가치
- (청렴) 개인, 조직, 제도적 수준의 부패에 저항하거나, 특정 위치에서
비롯된 유혹에 저항하는 경향 ❍ 부패 유형 파악 및 대안도출
- 목적: 공직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부패에 대한 비용을 낮춤
- 방법: 조직 구성원이 느끼는 부패의 다양한 유형을 파악하기 위해 인터뷰를
통해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음
※ 계획→위험요소분석→기존예방방법 분석(내부직원 인터뷰/취약점 파악)
→보완방법 소개→최종결론
- 적용: 새로운 정책 적용시 신규 리스크 발생에 대한 대비 필요하고, 신규
부패방지 정책은 속도와 타이밍이 중요함(너무 빠르거나 느리면 부작용이 있음)
❍ 이해충돌 및 부패대응 행동방침
- 이해충돌: 내부규정, 조직내 조직간 관계, 개인적·정치적 관계
- 도덕적 관계: 이해관계자의 방문을 사전에 차단, 이해관계자의 요구에 대한
대응 등 다양한 방법의 해결책 모색 필요
‧ 뇌물의 수단이되는 (돈)의 접촉 사전금지 시스템 도입
‧ 뇌물의 증여(대상)을 접촉하지 못하게 하는 시스템 도입
‧ 혜택(사적이용)을 회피하기 위한 업무배제 또는 변화
※ 어떠한 부패위험요소에 (노출)되어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
5. (Session 5.) Organozation Integrity
❍ 강사: Katalin Pallai❍ 주요 강의내용
주제: 조직의 청렴성
․ 청렴에 대한 정의
․ 윤리경영에 대한 접근법
❍ 부패 삼각도
- 부패는 “기회, 동기, 정당성”의 3가지 요인으로 구성됨
① 기회(부정의 기회) : 시스템 제도가 갖추어지지 않았다면, 부정·부패의 기회가 될 수 있음
② 동기 및 압력 : 부정을 저지르게 되는 동기 및 개인 또는 기관에서 어쩔 수 없이 하게끔 하는 압력도 포함
③ 정당화 : 사회적인 분위기로 인한 합리화
※ (예시) 나만 그런 것이 아니다, 어쩔 수 없는 환경에서 그랬다 등
❍ SMORC(Simple node of rational crime)
- 행동(범죄·법칙)에 대한 실익을 따지는 현상에 대한 연구
- 행동에 대한 부담(벌칙등)이 클 경우 범칙·범죄를 일으킬 확률이 낮아짐
- 동일한 상황에도 개인의 이성적 행동은 개인이 가지고 있는 감정적 동기
에 의해 발현된다.(개인윤리 중요)
- 예) Arthur Andersen(미회계법인) and The Enron scnda: 시카고 기반
으로 회사가 시작될 때 부정회계 요청을 거절하는등 코 앞의 이익보다는 양심을 선택하여 이후 회사가 크게 성장하였으나, A·A가 죽고 나서 , Enron사태의 회계를 맡아 도운 결과 세계적 불황을 초래함
※ 개인윤리(행동강령)이 조직 및 조직원의 행동을 지배함
- 예) 윤리의 약화: 주차위반 시 벌금5만원이 충분히 감당이 될 경우 죄책
감 없이 지불하고 그 행위를 함.
‧ 규제(벌금)으로 윤리기준에 대한 제제 시에 벌금이 충분히 지불하고 그
것이 행위자에게 합리화가 될 경우 윤리기준은 완화가 된다.
❍ 행동에 대한 대응법
- (범칙·벌칙) 거짓의 가능성 최소화
- (수사) 적발 가능성 최대화
- (법령) 처벌 강화
※ 행동에 대한 부담(벌칙등)이 클 경우 범칙·범죄를 일으킬 확률이 낮음
❍ 조직 내 부패 위험요소 감소 방안
- 소규모 조직: 투명성 및 익명성 유지를 위한 담당자 필요
- 중규모 조직: 청렴교육 및 조사를 위한 담당부서 필요
※ 조직 시스템의 구조를 파악하여 각 단계별 부패방지 장치 필요
- 감사실의 독립적 지위 마련
6. UN 마약범죄국(UNODC) 방문 현황
❍ UN 마약범죄국 현황- 설립목적: 세계적으로 유통되는 마약, 부패 등 범죄에 대한 국가간 공조 대처
- 주요활동: 마약범죄예방 및 부정부패 및 국제적 테러 방지 활동 수행
- 조직현황
‧ 집행국장실 외 4개과
‧ 본부 외에 연락사무소(뉴욕, 브뤼셀), 21개 지역 사무소
‧ 운용인원: 600여명
❍ UN반부패 협약(UNCAC)
- 배경: 부패가 세계화 되면서 부패척결을 위한 국가간의 협력 중요성 대두
- 연혁: 2003년 우리나라를 포함한 120여개국 ‘UN부패방지협약’ 최종 채택
Ⅳ 기관 적용 방안
1. 추진배경
❍ 자체감사 감사인력 및 감사수행이 종합감사등 감사수행과 부패방지 업무 등에 집중되어 있으며, 감사기법에 의한 조직의 비리·비위 및 업무상 과실 등에 대한 신분상 처분 및 제도적 개선은 가능하나, ❍ 사전적 예방을 위한 감사결과분석 결과 원인파악 및 제거 등 조직의
리스크 저감과 체질개선 시도는 전무한 실정임
2. 적용내용
❍
오스트리아 반부패 연방 협력기구
(BAK)의
3개부서 중 예방교육부서 에서는 범죄종류
,범죄자의 환경
,범죄 외적환경분석 등을 통하여 조직 리스크 분석을 통해 권고
·개선 처분을 통하여 조직의 체질 개선 역할을 하고 있음
❍
외부기관의 협조요청 시 다양한 경력직으로 구성된 리스크 분석팀을 지원하여 기관 자체조사에 민감한 조직의 업무환경
(관련자
,제도등
)을 분석하여 원인규명이 가능함
- 국립공원공단 감사실에 부패사건 원인분석을 위한 별도팀을 구성하여 사전
예방을 위한 제도마련 등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구성이 어려울 시 상급기관에 컨설팅 및 협조요청 등을 통하여 조 직 리스크 경감이 가능함
3. 기대효과
❍ 부패사건의 원인분석을 통하여 기관의 부패 사전예방을 위한 제도개 선 및 리스크 제거등 선제적 대응이 가능함.
별첨 1. IACA 교육 수료증 1부.
2. 현황사진 1부. 끝.
[별첨 1.]
IACA 교육 수료증
[별첨 2.]
현 황 사 진
교육현황(IACA)
교육현황(IACA)
UN 방문 IACA 수료 단체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