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 -
2020년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도시 리빙랩 사업 계획 요약
지자체명 연 수 구 신청부서 소통정책실
담 당 자
(정) 스마트도시담당 직 급 시설 6급 성 명 박 성 철 (032-749-6801, [email protected])
(부) 스마트도시담당자 직 급 전산 9급 성 명 김 승 원 (032-749-6802, [email protected])
사 업 명 2020년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도시 리빙랩 사업
(부제 : 함박마을 스마트도시 쓰레기 무단 투기 방지 시스템 )
사업개요
▪추진배경 및 필요성
주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쓰레기 무단 투기방지의 필요 쓰레기 무단투기 사전 방지를 통한 도시 환경개선 비용절감
▪추진방향
스마트도시 쓰레기 투기 방지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반 조성 - 주민생활밀착형 수요자중심의 지속가능한 리빙랩 사업을
위한 구청과 기존 주민 커뮤니티간의 연계
- 기술적 적용을 위한 구축 사례 및 함박 마을의 쓰레기 무단 투기 현장 상황에 대한 조사 작업 및 보고서 작성 - 실증 테스트 기반을 위한 저가 3D Lidar센서정보를 활용한 머신러닝 쓰레기 무단투기 영상인식 데모시스템 제작
▪성과 목표 등
- 리빙랩 사업을 위한 주민/구청 간 커뮤니티의 구성
- 스마트도시 쓰레기 무단투기 방지 시스템의 국내외 구현 사례분석, 함박마을 쓰레기 무단투기 현황조사 결과보고서 - 저가3D Lidar센서 쓰레기무단투기인식 데모시스템 구현
- 4 -
주요내용
▪지역 현황 및 문제점
무단으로 투기되는 쓰레기에 의한 수거비용의 발생, 악취, 미 관상의 환경문제로 지역주민 삶의 질의 저하
▪스스로해결단 구성 및 운영 계획
- 지역사회 구성원과 이미 긴밀한 연락망을 확보한 통장, 환경관리인 등의 주민 대표 참여
- 향후 사업의 지속이 가능하도록 정책 검토, 예산 확보 등의 2차, 3차 년도 사업지속에 도움이 될 구의원 참여
- 주민이 선택할 수 있는 서비스 모델 제시,
선정된 모델의 기술적 구현을 할 인천대학교 연구개발진 - 스스로해결단 활동 지원 등 연수구 행정 지원
▪주민, 전문가 주요 의견 및 반영사항
- 주민과의 온라인·오프라인 커뮤니티 형성을 통한 원활한 의견수렴
- 전문가의 다양한 기존 구축 사례 제시
▪사업수행 관련 기술・서비스 동향 및 적용 계획
국내외 구축사례 다수,다양한 여건에 따른 다양한 모델 존재
▪주민, 전문가 주요 의견 및 반영사항
「본문」참조▪사업수행 관련 기술・서비스 동향 및 적용 계획
「본문」 참조▪예산 집행 및 홍보 계획
구 분 소요예산
주민 커뮤니티 2,000,000
홍보 및 주민 공청회 등 운영 6,000,000 공청회 준비비용포함 기술 조사 및 데모 시스템 제작 22,000,000
합계 30,000,000
- 5 -
기대효과
▪사업 매뉴얼 작성 계획 등
크게 3 가지의 사업 결과 산출물을 제출 한다.
1) 지역 주민과의 커뮤니티 현황에 대한 보고서 작성 2) 스마트 시티 국내외 구축 사례 분석 보고서 작성
3) 오픈 소스 기반의 YOLO 등을 활용한 쓰레기 무단투기 인공 지능 영상 인식 프로그램 제출과 프로그램 사용 매뉴얼 작성
▪기대효과
1) 향후 다양한 추가 리빙랩 사업이 가능하도록 주민과 구청간의 커뮤니티 생성
2) 주민생활밀착형 수요자 중심의 체감이 가능한 쓰레기 무단 투기 시스템 구축을 위한 요구사항 수요조사
3) 쓰레기 수거 비용의 절감을 위한 스마트시티 쓰레기 무단 투기 방지 플랫폼 구현을 위한 기반 기술 기반 확보
▪서비스 활성화 및 사후 관리 방안 등
본 사업에서 형성된 커뮤니티(온라인, 오프라인 등)를 활용한 홍보 및 지역 주민의 사용 후기를 통한 유지보수 및 시스템 개선 활성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