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2021년 제4차 국립공원 정책개발 워크숍 계획(안)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2021년 제4차 국립공원 정책개발 워크숍 계획(안)"

Copied!
2
0
0

Teks penuh

(1)

2021

20212021202120212021202120212021202120212021202120212021년 년 년 년 년 년 년 년 년 년 년 년 년 년 년 제제제제제제제제제제제제제제제444444444444444차 차 차 차 차 차 차 차 차 차 차 차 차 차 차 국립공원 국립공원 국립공원 국립공원 국립공원 국립공원 국립공원 국립공원 국립공원 국립공원 국립공원 국립공원 국립공원 국립공원 국립공원 정책개발 정책개발 정책개발 정책개발 정책개발 정책개발 정책개발 정책개발 정책개발 정책개발 정책개발 정책개발 정책개발 정책개발 정책개발 워크숍 워크숍 워크숍 워크숍 워크숍 워크숍 워크숍 워크숍 워크숍 워크숍 워크숍 워크숍 워크숍 워크숍 워크숍 계획계획계획계획계획계획계획계획계획계획계획계획계획계획계획(((((((((((((((안안안안안안안안안안안안안안안)))))))))))))))

2021년 제4차 국립공원 정책개발 워크숍 계획(안)

최근 신설(‘20.12.)된 “자연공원 기본원칙”에 대한 대내외적 공감대 형성(이해 강화)

“자연공원 기본원칙”을 반영한 효과적인 공원 관리 구현 방향 논의

“자연공원 기본원칙” 신설에 따른 “공원 관리 정책적 철학” 정립 모색

1

개 요

워크숍 제목 : 자연공원 기본원칙과 국립공원 정책방향

일시 / 장소 :

- `21. 6. 28.(월), 15:00~17:30 / 본사 대강당

참석인원 : 총 120여명 (대면 40여명 이하, Youtube 중계 약 80여명) - (본 사) 이사장, 관련 임직원 등 25명

- (연구원) 본부장, 실장, 정책개발실 및 타실 관련분야 연구자 등 15명 - (사무소, 일반 국민) 관심 있는 직원 및 일반 국민

주관 : 국립공원연구원(정책개발실)

❍ 주요 내용 (발표 및 토론)

- 자연공원 기본원칙에 따른 공원관리 구현방향(안) (연구원 정책개발실) - 지정 토론자(안) : 좌장 포함 5명

김동필 교수 (국시모 대표, 부산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

제종길 대표 (前 환노위 위원, 前 안산시장, 도시와 자연 연구소) 조홍섭 기자 (한겨레신문, 환경전문기자)

손용훈 교수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최승운 본부장 (국립공원연구원)

(2)

- 2 -

2

워크숍 일정(안)

□ 워크숍 일정표(안) : 6월 28일 (월)

시 간 내 용 진행 (발표)

14:30 ~ 15:00 워크숍 등록

15:00 ~ 15:15

참석자 소개 정책개발실장

인 사 말 이사장

15:15 ~ 15:45 자연공원 기본원칙에 따른 공원 관리

구현방향(안) 허학영 정책연구부장

15:45 ~ 15:55 휴 식

15:55 ~ 17:25

지정 토론(약 5~10분/인) 및 자유 토론 - 김동필 교수 (중점: 원칙1, 원칙4, 기타) - 제종길 대표 (중점: 원칙1, 원칙2, 기타) - 조홍섭 기자 (중점: 원칙2, 원칙4, 기타) - 손용훈 교수 (중점: 원칙3, 원칙5, 기타) - 최승운 본부장(중점: 원칙3, 원칙5, 기타) - 참석자 자유토론

- Youtube 참석자 Q & A

좌장: 김동필 교수

17:25 ~ 17:30 사진 촬영

※ 모든 원칙에 대한 균형 잡힌 논의를 위해 중점 토론 분야 선정

자연공원법 제2조의2(기본원칙) 자연공원은 다음 각 호의 기본원칙에 따라 지정·보전 및 관리되어야 한다.

1. 자연공원은 모든 국민의 자산으로서 현재세대와 미래세대를 위하여 보전되어야 한다.

2. 자연공원은 생태계의 건전성, 생태축(生態軸)의 보전·복원 및 기후변화 대응에 기여하도록 지정·관리되어야 한다.

3. 자연공원은 과학적 지식과 객관적 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해당 공원의 특성에 따라 관리되어야 한다.

4. 자연공원은 지역사회와 협력적 관계에서 상호혜택을 창출할 수 있도록 관리되어야 한다.

5. 자연공원의 보전 및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국제협력은 증진되어야 한다.

[본조신설 2020.6.9] [[시행일 2020.12.10]]

Referensi

Dokumen terkait

[r]

국립공원 주요 아고산대 상록침엽수 분포실태 조사 - 설악, 오대, 태백, 소백, 덕유, 지리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 박홍철1*·이호영2·이나연1·이 호1a·송재영1 1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 2한길숲연구소 a현재소속: 국립공원공단 오대산국립공원사무소 Survey on the Distribution 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