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4장. 교육 및 정보화 실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4장. 교육 및 정보화 실태"

Copied!
7
0
0

Teks penuh

(1)

EDUCATION / COMPUTER AND

INTERNET USAGE

4장. 교육 및 정보화 실태

72 4.1 유치원 KINDERGARTENS

74 4.2 초등학교 ELEMENTARY SCHOOLS 76 4.3 중학교 MIDDLE SCHOOLS

78 4.4 고등학교 HIGH SCHOOLS 80 4.5 대학교 UNIVERSITIES

82 4.6 정보화 실태 COMPUTER AND INTERNET USAGE

(2)

1960년 서울의 유치원은 60개소밖에 없었으며, 유치원에 다니는 아동 수도 총 3,581명이었다. 그러나 70년대에 들어 유치원 수가 증가하기 시작하여 1971년 141 개소로 1961년 이후 10년간 2.4배로 늘어났다. 서울시 교육위원회는 1976년 처음으로 공립 유치원을 개교하고 공교육으로 인정하기 시작하였다. 유치원 수가 가 장 많이 증가한 것은 80년대로, 1983년 한 해 동안 238개의 유치원이 늘어났고, 이후 1989년까지 매해 100개 이상씩 늘어났다. 1994년 유치원 수는 1,391개로 최고를 기록한 후 점차 감소하여 2011년 현재 857개의 유치원이 있다.

유치원 수의 증가에 따라 유치원 교사 수도 현저히 증가하였다. 1961년 200명을 조금 넘던 유치원 교사는 1980년 1,000명을 넘어섰고, 2011년 현재 5,755명으 로 증가하였다.

>>>

4.1 유치원

그림 4-2. 동별 유치원 학급당 학생 수 2010 Figure 4-2. Student-to-class Ratio in Kindergartens by Neighborhood (dong), 2010

21 이하 or Under 21~21.5 21.5~22 22~22.5 22.5~23 23 초과 Over 명/실 | Person/Class

10 이하 or Under 10~15 15~20 20~25 25 초과 Over 명/실 | Person/Class

도봉구 Dobong-gu

노원구 Nowon-gu 강북구

Gangbuk-gu

성북구 Seongbuk-gu 종로구 Jongno-gu

동대문구 Dongdaemun-gu

중랑구 Jungnang-gu

광진구 Gwangjin-gu 성동구 Seongdong-gu 용산구

Yongsan-gu 중구 Jung-gu 마포구

Mapo-gu 은평구 Eunpyeong-gu

서대문구 Seodaemun-gu 강서구

Gangseo-gu

양천구 Yangcheon-gu

영등포구 Yeongdeungpo-gu

동작구 Dongjak-gu

관악구 Gwanak-gu 구로구

Guro-gu

금천구 Geumcheon-gu

서초구 Seocho-gu

강남구 Gangnam-gu

송파구 Songpa-gu

강동구 Gangdong-gu

그림 4-1. 구별 유치원 학급당 학생 수 2010 Figure 4-1. Student-to-class Ratio in Kindergartens by District(gu), 2010

그래프 4-1. 유치원 수 1961-2011 Graph 4-1. Kindergartens, 1961-2011

[ 개소 | Number ] 1,600

1,400 1,200 1,000 800 600 400 200 0

1965

1961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1

그래프 4-2. 유치원재학생 수 1961-2011

Graph 4-2. Kindergarten students, 1961-2011

0

1965

1961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1 [ 천 명 | 1,000 Persons ]

120

100

80

60

40

20

그래프 4-3. 유치원 학급당 학생 수 1961-2011

Graph 4-3. Student-to-class Ratio in Kindergartens, 1961-2011

[ 명/실 | Person/Class ] 50

40

30

20

10

In 1960, there were only 69 kindergartens in Seoul, teaching 3,581 children. The number of kindergartens grew from 1970s onwards, with 141 operating in 1971 - growing 2.4 times within 10 years. In 1976, Seoul Education Committee opened the first public kindergarten, recognizing kindergartens as part of public education. The 1980s saw the strongest growth – 238 kinder- gartens opened doors in 1983 alone, and at least 100 were set up each year until 1989. The numbers reached peak at 1,391 in 1994, but have since fallen to 857 as of 2011.

While the number of kindergartens increased, so did the number of kindergarten teachers. While there were little over 200 kindergarten teachers in 1961, their numbers exceeded 1,000 in 1980, and continued to rise. As of 2011, there are a total of 5,755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

4.1 KINDERGARTENS

그래프 4-4. 유치원 교원 1인당 학생 수 1961-2011

Graph 4-4. Student-to-teacher Ratio in Kindergartens, 1961-2011

[ 명/명 | Person/Person ] 25

20

15

10

5

(3)

초등학교 의무교육은 공식적으로 1950년 6월 1일 채택되었으나, 시설과 교원의 부족으로 실질적으로는 1953년 이후 단계적으로 추진되었다. 서울의 초등학교 수 는 1957년 94개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1년 591개로 6.3배로 증가하였다. 2011년 현재 약 53만 명이 초등학교에 재학하고 있고, 이들을 담당하는 교원은 29,639명에 이르고 있다. 교원 1인당 학생 수와 학급당 학생 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서울의 초등학교 교육여건은 지속적으로 개선되어 왔다.

학급당 학생 수 수준을 살펴보면, 취학 학생의 증가로 1957년 학급당 학생 수가 76.6명이었으며, 1965년 85.1명으로 최고점에 달한 이후 감소하였다. 그러나 여전 히 60년대 말까지는 학급당 학생 수가 약 80명 수준이었고, 70년대에 들어서며 80명 이하로 감소하였으나, 2011년 현재 교실당 학생 수는 26.8명 수준으로 떨어 졌다. 교원당 학생 수는 80년 65.3명, 90년 45명, 2000년 30.1명, 2011년 현재 18.1명으로 크게 개선되었다.

>>>

4.2 초등학교

그림 4-4. 동별 초등학교 학급당 학생 수 2010 Figure 4-4. Student-to-class Ratio in Elementary Schools by Neighborhood (dong), 2010

26 이하 or Under 26~27 27~28 28~29 29~30 30 초과 Over 명/실 | Person/Class

10 이하 or Under 10~15 15~20 20~25 25~30 30 초과 Over 명/실 | Person/Class

도봉구 Dobong-gu

노원구 Nowon-gu 강북구

Gangbuk-gu

성북구 Seongbuk-gu 종로구 Jongno-gu

동대문구 Dongdaemun-gu

중랑구 Jungnang-gu

광진구 Gwangjin-gu 성동구 Seongdong-gu 용산구

Yongsan-gu 중구 Jung-gu 마포구

Mapo-gu 은평구 Eunpyeong-gu

서대문구 Seodaemun-gu 강서구

Gangseo-gu

양천구 Yangcheon-gu

영등포구 Yeongdeungpo-gu

동작구 Dongjak-gu

관악구 Gwanak-gu 구로구

Guro-gu

금천구 Geumcheon-gu

서초구 Seocho-gu

강남구 Gangnam-gu

송파구 Songpa-gu

강동구 Gangdong-gu

그림 4-3. 구별 초등학교 학급당 학생 수 2010 Figure 4-3. Student-to-class Ratio in Elementary Schools by District(gu), 2010

그래프 4-5. 초등학교 수 1957-2011

Graph 4-5. Elementary Schools, 1957-2011

Mandatory elementary education was passed into law on June 1, 1950, but was only implemented in stages after 1953 because of the lack of facilities and teachers. The number of elementary schools in Seoul rose consistently, from 94 in 1957 to 591 in 2011, growing 6.3 times. As of 2011, there are 530,000 students taught by 29,639 teachers. Student-to-class and student-to-teacher ratios have continuously declined, reflecting an overall improvement in learning conditions. At its peak, there were 85.1 students per class in 1965, and the figures remained at these levels until the 1970s. Since then, the student-to-class ratio fell to 26.8 stu- dents per class in 2011. Similarly, student-to-faculty ratio fell from 65.3 in 1980, 45 in 1990, 30.1 in 2000, to 18.1 as of 2011.

>>>

4.2 ELEMENTARY SCHOOLS

600

500

400

300

200

100

0

1965

1957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1

그래프 4-6. 초등학교 재학생 수 1957-2011

Graph 4-6. Elementary School Students, 1957-2011

1,200

1,000

800

600

400

200

0

1965

1957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1

그래프 4-8. 초등학교 교원 1인당 학생 수 1957-2011

Graph 4-8. Student-to-teacher Ratio in Elementary Schools, 1957-2011

80

60

40

20

0

1965

1957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1 그래프 4-7. 초등학교 학급당 학생 수 1957-2011

Graph 4-7. Student-to-class Ratio in Elementary Schools, 1957-2011

100

80

60

40

20

0

1965

1957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1

[ 개소 | Number ] [ 천 명 | 1,000 Persons ]

[ 명/실 | Person/Class ] [ 명/명 | Person/Person ]

(4)

중학교 시설은 한국 전쟁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1957년 97개에서 2011년 377개로 3.9배로 증가하였다. 학교 수의 확충에 따라 교원 수도 1961년 1,886명 에서 2011년 18,652명으로 약 10배로 증가하였다. 학교당 학급 수는 1957년 10.4개에서 1982년 34.4개로 증가했다가, 1980년대 후반 이후 점차 줄기 시작하 여 2011년 현재 26.7개이다.

학급당 학생 수는 1983년 69.5명으로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감소하기 시작하여 2011년 현재 32.8명이다. 교원당 학생 수는 1978년 45.2명에서 2011년 현재 17.7명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

4.3 중학교

그림 4-6. 동별 중학교 학급당 학생 수 2010 Figure 4-6. Student-to-class Ratio in Middle Schools by Neighborhood (dong), 2010

30 이하 or Under 30~31 31~32 32~33 33~34 34~35 35~36 36 초과 Over 명/실 | Person/Class

20 이하 or Under 20~25 25~30 30~35 35~40 40 초과 Over 명/실 | Person/Class

도봉구 Dobong-gu

노원구 Nowon-gu 강북구

Gangbuk-gu

성북구 Seongbuk-gu 종로구 Jongno-gu

동대문구 Dongdaemun-gu

중랑구 Jungnang-gu

광진구 Gwangjin-gu 성동구 Seongdong-gu 용산구

Yongsan-gu 중구 Jung-gu 마포구

Mapo-gu 은평구 Eunpyeong-gu

서대문구 Seodaemun-gu 강서구

Gangseo-gu

양천구 Yangcheon-gu

영등포구 Yeongdeungpo-gu

동작구 Dongjak-gu

관악구 Gwanak-gu 구로구

Guro-gu

금천구 Geumcheon-gu

서초구 Seocho-gu

강남구 Gangnam-gu

송파구 Songpa-gu

강동구 Gangdong-gu

그림 4-5. 구별 중학교 학급당 학생 수 2010 Figure 4-5. Student-to-class Ratio in Middle Schools by District(gu), 2010

The number of middle schools rose consistently after the Korean War, from 97 schools in 1957 to 377 schools in 2011, growing by a factor of 3.9. With the opening of new schools, the number of schoolteachers grew ten-fold, from 1,886 in 1961 to 18,652 in 2011. The number of classes per school started from 10.4 classes in 1957 to 34.4 in 1982. After the late 1980s, these figures slowly declined and, in 2011, currently stand at about 26.7 classes per school.

The student-to-class ratio reached its peak at 69.5 students per class in 1983, and gradually decreased to the current levels of 32.8 students per class. The student-to-teacher ratio decreased from the peak of 45.2 in 1978 to 17.7 as of 2011.

>>>

4.3 MIDDLE SCHOOLS

그래프 4-9. 중학교 수 1957-2011 Graph 4-9. Middle Schools, 1957-2011

400

300

200

100

0

1957 1965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1

그래프 4-10. 중학교 재학생 수 1957-2011

Graph 4-10. Middle School Students, 1957-2011

700 600 500 400 300 200 100 0

1957 1965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1

그래프 4-12. 중학교 교원 1인당 학생 수 1957-2011

Graph 4-12. Student-to-teacher Ratio in Middle Schools, 1957-2011

70

30 60

20 50

10 40 그래프 4-11. 중학교 학급당 학생 수 1957-2011

Graph 4-11. Student-to-class Ratio in Middle Schools, 1957-2011

80 70

50 60

20 30 40

10

[ 개소 | Number ] [ 천 명 | 1,000 Persons ]

[ 명/실 | Person/Class ] [ 명/명 | Person/Person ]

(5)

>>>

4.4 고등학교

고등학교 시설은 1957년 72개에서 2011년 314개로 4.4배 증가하였다. 고등학교 교원 수도 1957년 1,476명에서 2011년 현재 23,052명으로 15.6배로 늘어났 다. 학교당 학급 수는 1957년 7.7개에서 1989년 최대 43.1개까지 늘어났으나, 이후 감소하여 2011년 현재 33.6개이다.

지속적인 학교시설 공급에도 불구하고 80년대 초까지는 취학 청소년이 더 급속하게 증가하여 학급당 학생 수는 70년대 후반까지 60명 내외 수준을 유지하였다. 이 후 80년 후반부터는 청소년인구의 감소로 감소추이를 보여 2011년 현재 33.6명이다.

전문 교원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던 1960년도와 1986~1993년에 교원당 학생 수는 평균 40명 선을 넘었었다. 하지만 이후 청소년인구의 감소로 교원당 학생 수가 감소하였으며, 2011년 교원당 학생 수는 15.3명의 수준을 보이고 있다.

33 이하 or Under 33~34 34~35 35~36 36~37 37 초과 Over 명/실 | Person/Class

20 이하 or Under 20~25 25~30 30~35 35~40 40 초과 Over 명/실 | Person/Class

도봉구 Dobong-gu

노원구 Nowon-gu 강북구

Gangbuk-gu

성북구 Seongbuk-gu 종로구 Jongno-gu

동대문구 Dongdaemun-gu

중랑구 Jungnang-gu

광진구 Gwangjin-gu 성동구 Seongdong-gu 용산구

Yongsan-gu 중구 Jung-gu 마포구

Mapo-gu 은평구 Eunpyeong-gu

서대문구 Seodaemun-gu 강서구

Gangseo-gu

양천구 Yangcheon-gu

영등포구 Yeongdeungpo-gu

동작구 Dongjak-gu

관악구 Gwanak-gu 구로구

Guro-gu

금천구 Geumcheon-gu

서초구 Seocho-gu

강남구 Gangnam-gu

송파구 Songpa-gu

강동구 Gangdong-gu

그림 4-8. 동별 고등학교 학급당 학생 수 2010 Figure 4-8. Student-to-class Ratio in High Schools by Neighborhood(dong), 2010

• 학급당 학생 수=학생 수/학급 수

그림 4-7. 구별 고등학교 학급당 학생 수 2010 Figure 4-7. Student-to-class Ratio in High Schools by District(gu), 2010

>>>

4.4 HIGH SCHOOLS

그래프 4-13. 고등학교 수 1957-2011 Graph 4-13. High Schools, 1957-2011

350

250 200 300

150 100 50 0

1957 1965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1

그래프 4-14. 고등학교 재학생 수 1957-2011 Graph 4-14. High School Students, 1957-2011

700 600 500 400 300 200 100 0

1957 1965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1

그래프 4-16. 고등학교 교원 1인당 학생 수 1957-2011

Graph 4-16. Student-to-teacher Ratio in High Schools, 1957-2011

50

20 40

10 30

0

1957 1965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1 그래프 4-15. 고등학교 학급당 학생 수 1957-2011

Graph 4-15. Student-to-class Ratio in High Schools, 1957-2011

80 70

50 60

20 30 40

10 0

1957 1965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1

[ 개소 | Number ] [ 천 명 | 1,000 Persons ]

[ 명/실 | Person/Class ] [ 명/명 | Person/Person ]

The number of high schools rose from 72 schools in 1957 to 314 in 2011, increasing 4.4 times. The number of teachers also rose, from 1,476 in 1957 to 23,052 in 2011, by a factor of 15.6.

Despite continued efforts to expand facilities, the number of schools could not match the explosive growth in students, and the student-to-class ratio remained around 60 until the late 1970s. Student-to-class ratio decreased from the late 1980s onwards, due to the decline in the youth population, to the current figures of about 33.6 students per class. The student-to- teacher ratio also fell due to the decline in youth population and currently stands at 15.3 students per teacher as of 2011.

(6)

1957년 당시 서울에 있었던 대학은 총 13개였다. 서울의 대학은 1961~1962년 1년간 10개소가 늘어나고, 1964~1965년 사이에 다시 17개가 늘어나 1965년 39개가 된 후 큰 변화가 없다. 이는 1970년대 시행된 수도권 인구분산시책에 따라 대학의 신·증설이 억제되었기 때문이다. 2011년 현재 서울에는 37개의 대학교 가 있다. 대학에 진학한 학생 수는 1987년 31만 명이었으며,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1년 현재 대학생 수는 471,648명이다.

대학교 1개교당 학생 수는 1950년대 말 평균 3,000~4,000명 수준이었으나 2000년대에 들어서는 10,000명을 넘었다. 대학교원의 수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1년 현재 12,000명을 넘어섰으며, 교원 1인당 학생 수는 30명 수준이다.

>>>

4.5 대학교

그림 4-9. 대학교 2012

Figure 4-9. Universities, 2012

종합대학(학생정원) Universities(Enrollment Capacity)

전문대학 College

서울과학기술대학교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삼육대학교

Korea Sahmyook University 서울여자대학교 Seoul Women's University

한국외국어대학교

Hankuk University of Forieign Studie 광운대학교

Kwangwoon University

경희대학교 KyungHee University 서경대학교

Seokyeong University 국민대학교

Kookmin University 상명대학교

SangMyung University

성균관대학교 SungKyunKwan University 한성대학교

HanSung University

한국방송통신대학교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감리교신학대학교 Methodist Theological University

한국체육대학교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Physical Education 이화여자대학교

Ewha Women's University 추계예술대학교 Chugye University for the Arts

연세대학교 Yonsei University

홍익대학교 Hongik University 서강대학교 Sogang University

숙명여자대학교 SookMyung Women's University

동덕여자대학교 Dongduk Women's University 성신여자대학교

Sungshin Women's University

동국대학교 DongGuk University

한양대학교

Hanyang University 세종대학교

Sejong University

장로회신학대학교 Presbyterian College and Theological Seminary 건국대학교

KonKuk University 고려대학교

Korea University 서울시립대학교 The University of Seoul

성공회대학교 Sung Kong Hoe University

숭실대학교

Soongsil University 중앙대학교

ChungAng University 총신대학교 Chongshin University

가톨릭대학교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서울대학교 Seoul National University

서울교육대학교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한영신학대학교

Hanyoung Theological University 그리스도대학교

Korea Christian University

덕성여자대학교 Duksung Women's University

한국성서대학교 Korean Bible University

서울기독대학교 Seoul Christian University

명지대학교 MyongJi University 5,000 이하 or Under

5,000~10,000 10,000 초과 Over

그래프 4-17. 대학교 수 1957-2011 Graph 4-17. Universities, 1957-2011

그래프 4-18. 대학교 재학생 수 1957-2011 Graph 4-18. University Students, 1957-2011

그래프 4-19. 대학교 학교당 학생 수 1957-2011 Graph 4-19. Students per University, 1957-2011

그래프 4-20. 대학교 교원당 학생 수 1957-2011 Graph 4-20. Student-to-Faculty Ratio, 1957-2011

>>>

4.5 UNIVERSITIES

50

30 40

20

10

0

1957 1965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1 [ 개소 | Number ]

100

40 80

20 60

[ 천 명 | 1,000 Persons ] 500

400

300

200

100

0

1957 1965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1

[ 명/대학교 | Person/University ] 14,000

10,000 12,000

4,000 6,000 8,000

2,000

[ 명/명 | Person/Person ]

In 1957, there were a total of 13 universities in Seoul. From 1961 to 1962, 10 universities opened doors within a year, and 17 more universities opened between 1964 and 1965 for a total of 39. The number of universities has remained at these levels due to the government's population decentralization policies and the discouragement of the further university expansions.

Today in 2011, there are 37 universities in Seoul. The number of students has increased consistently, from 310,000 in 1987 to 471,648 students today. In the late 1950s, there were about 3~4,000 students per university. In the 2000s, the average student count came to exceed 10,000 students, ushering in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faculty members. As of 2011, the student- to-faculty stands at about 30.

(7)

2012년 서울시의 인터넷 이용률은 78.4%이고, 가구당 컴퓨터보유율은 82.3%이다. 2000년대 초반 급격한 증가 이후 증가세가 둔화되었지만 여전히 지속적으 로 증가하고 있다. 서울시의 인터넷 하루 평균 사용시간은 2011년 『서울서베이』 결과를 기준으로 1.94시간이다. 성별로는 남성, 연령별로는 20대의 인터넷 사용시 간이 더 길게 나타나고 있다. 2시간 이상의 이용률을 보인 자치구는 강서구, 서대문구, 마포구, 강북구, 노원구, 중랑구, 강남구, 광진구, 금천구, 송파구로 나타난다.

이동전화 가입자 수는 2000년에 26,816,398명에서 2011년 현재 52,104,108명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 중 53%인 27,686,473명이 수도권 가입자 수이다. 통신산업의 발달로 인해 향후 이동전화의 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4.6 정보화 실태

그림 4-10. 인터넷 사용시간 2011

Figure 4-10. Hours of Internet Usage, 2011

1 이하 or Under 1~3 3~5 5 초과 Over 시간 | Hour

1.5

1.7

1.8

1.8

2.0

2.0

2.0

1.9 1.9 2.4

2.5 2.3

1.9

1.7

1.7 1.7

1.6 2.1

2.1

2.1

2.0 1.6

1.6

2.3

2.2

• 원 안의 숫자는 구평균 사용시간

>>>

4.6 COMPUTER AND INTERNET USAGE

그래프 4-21. 인터넷 이용자 및 이용률 2000-2012 Graph 4-21. Number of Internet Users &

Usage, 2000-2012

[ 천 명 | 1,000 Persons ] 6,000

5,000

3,000

2,000 4,000

1,000

0

19901991 1992 19931994 1995 1996 1997 19981999 20002001 20022003 2004 2005 20062007 20082009 2010 2011 그래프 4-22. 이동전화 가입자 수 1990-2011

Graph 4-22. Mobile Subscribers, 1990-2011

전국 가입자 수 Subscribers(Nationwide) 수도권 가입자 수 Subscribers(Metropolitan area)

[ 백만 명 | 1,000,000 Persons ] 45

30

20

65 25

70 35 75

40

10 55

15

60

5 50

0 45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 % ]

인터넷 이용자 Internet Users 인터넷 이용률 Internet Usage Rate

• 인터넷 이용률은 ‘만 3세 이상 인구 중 최근 1개월 이내 인터넷을 이용한 자’의 비율

As of 2012, the Internet usage rate stands at 78.4%, while 82.3% of homes have access to personal computers. After seeing precipitous growth in the early 2000s, usage rates now show slowed growth. According to 2011 Seoul Survey, the average number of hours spent daily on the Internet is 1.94, with longer hours of internet use among males and people in their 20s.

The number of mobile phone service subscribers in Korea has risen consistently from 26.9 million in 2000 to 52.1 million in 2011, with about 53% of these subscribers from the metropolitan area. This figure is projected to continue to grow with the development of the telecommunication industry.

Referensi

Dokumen terkait

Dengan National Taiwan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NTUST) dan National Taipe University of Technology (NTUT) Taiwan untuk Program Studi Teknik Sipil (S1 dan

Tropez, Perancis, Yayasan Mata Air Biru memberikan beasiswa kepada 14 mahasiswa FTUI, Workshop on Electrochemical Energy bekerja sama dengan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184 National Taiwan University of Arts College of Fine Arts MA Program of Chinese Arts For International Student Master. 185 Nano Science and Technology

Abdullah 1University Kuala Lumpur, Royal College of Medicine Perak, Ipoh, Malaysia 2Faculty of Pharmacy, Jordani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Jordan 3Indira Gandhi

Application of Current Mode Signal Processing: ADC So Youn Park1, Hyung Min Kim2, Daniel-Ju Hun Lee3 and Seong Kweon Kima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E-mail

Lomonosov State University, Moscow, Russia,32Department of Physics, Ulsan National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UNIST-gil, Ulsan, Korea,33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Low-complexity compressive sensing with downsampling Dongeun Lee1, Jaesik Choi2a, and Heonshik Shin1 1School of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Ltd., Seoul, Korea ****Hydro science and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Goyang, Korea 배후수위 저감효과를 가진 신기능 잠제의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