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를 통해 지금까지의 결과에 대한 의미를 공유하고, 향후 더 나은 학술지로 나아가기 위해 검토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합니다. 특히 국제학술대회 등에 참여한 논문을 특별판으로 정리한 간호학은 평소보다 페이지 수가 늘어났다. 다양한 사본의 번역 출판물이 해당 범주에 포함되었습니다.
비고란에 참고할 수 있도록 국제회의 이후에 개최된 특별이슈의 세부 내용을 추가하였습니다. 특정 이슈의 경우 처음에는 일반 원고 없이 정리됐다.
원고 집필자 소속기관
하지만 국제학술회의 특별판의 경우, 한글 원고가 적은 경우가 많습니다. 나머지 1/3은 외국 기관 소속 연구자가 게재한 원고로, 국내 어느 저널보다 외국 원고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연도 한국 중국 대만 홍콩 일본 싱가폴 구미 합계.
전반적으로 국내 연구자의 논문 비중은 다소 적은 반면, 외국 논문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한국 중국 대만 홍콩 일본 싱가포르껌. 영남지역이 조금 더 많고 강원도와 제주도가 작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전체적인 지역균형은 상당히 잘 반영되고 있다.
연도 서울 경기지역 충청지역 호남지역 강원지역 경북지역 경남지역 제주지역 합계. 간은 서울 지역의 사본이 상대적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과거에 비해 경기와 호남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진 것을 보여준다.
2010년 이후에는 서울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감소하였지만 전국적으로 고르게 분포하는 모습으로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한글 사본의 비중이 높으나, 최근에는 그 비율이 다소 감소하여 상대적으로 한문 사본이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국연구재단(구 한국연구재단)을 포함한 정부자금은 정부항목으로, 저자 대학의 지원은 내부항목으로 계산하였다. 정부 자금이나 국내 외부 기업, 대학 부설 재단 등으로부터 지원을 받은 경우는 기타 항목으로, 외국 정부나 기관으로부터 지원을 받은 경우는 해외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다른 연구프로그램과 연계되어 있더라도 연구비 지원이 명시되지 않은 경우는 아래 표에 추가하지 않습니다.
그 비중이 적지 않고, 최근 그 비중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위진수당사, 명청사, 근대사 순으로 대부분 기록된 것으로 추정된다. 특집이라 독특한 모습이다. 전체적으로 보면 필사본이 특정 연령층에 지나치게 집중되지 않고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연도 고급 위진수당 송교원 명청 현대 구문 합계. 연도별 추이를 보면 첨단한사의 경우 2008년까지 점유율이 높았으나 이후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2007년에 이슈가 너무 적었던 것은 개항특징으로는 현대사 비중이 높았고, 출토유물특징으로는 고대사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았던 것과 관련이 있다.
28) 기타 항목으로는 분류하기 어려운 사례나 폭넓은 주제를 다룬 사례를 모았다. 방대한 양의 연구 결과를 세세하게 살펴보는 것은 본질적으로 현명하지 못한 일이라는 점을 명심해야 하지만, 전반적인 추세를 파악하는 데는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간호정치 사회경제사 이념 종교 미술 대외관계 기타 총계입니다.
이러한 예외를 제외하고는 다양한 주제의 원고가 호마다 고르게 게재되었다. 연도 정치 사회경제사 사상 종교 예술 대외관계 기타 합계. 출간 전후로 책의 비중이 크게 늘었고, 그 이후에도 자체 맥으로 이어지고 있다.
2007년 개항장 특집호가 나올 당시에는 대외관계 역사가 상당히 높은 비중을 차지했지만, 2011년 이후로는 평균이 떨어지지 않았다.
결언
사상·종교사, 역사사, 미술사, 대외관계사 등 다양한 주제의 연구 성과 비중이 비례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셋째, 국내 대부분의 국내 학술지가 서울에서 발간되는 것과 달리 창간호부터 오늘까지 대구에서 발간되고 있다. 중국사 연구 100권까지의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중국사 연구 분야에 더 큰 공헌을 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지 반성하면서 이전보다 더 많은 열정을 더해 발전적인 미래를 기대해 본다. .
Statistical Analysis on the Research Achievements of the Journal of Chinese Historical Research up to the 100th Journal. And as for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the institution of local writers, although the number of the institution in the Youngnam region occupies a slightly higher proportion, it is generally a balanced distribution. Regarding the language of writings, writings written in Korean account for 70.8% of all and those written in Chinese account for 25.4%.
26% of all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were written with research fund support. In particular, 37% of the articles were written with the support of a research fund, which is quite a high rate. And the periodical distribution of research records is relatively balanced, although records of the modern era have a relatively high proportion.
The second feature is that not only domestic scholars, but also many foreign scholars from China, Japan, Taiwan, Hong Kong and the West have their writings in this journal, so the percentage of writings by foreign scholars is quite high, which it's also a lot. are distinguished from other journals in which only articles by Korean scholars are ke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