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사연구는 1997년에 7편의 원고(논문 3편, 기타원고 4편)를
담아 년1회 간행으로 창간되었다. 이후 빠르게 간기가 늘어나서 1998 년 반년간, 1999년부터 년 3회, 2000년 계간, 2001년부터 년5회, 2003년 이후 격월간(연6회)으로 발전하였다. 지면 규모도 빠르게 늘어 났는데, 창간호가 190쪽의 작은 규모였지만 1999년에는 호당 평균 350쪽으로 늘어났으며 이후 그 규모를 꾸준히 유지하면서 발전하여 100집까지 전체 평균 365쪽을 기록하고 있다. 게재원고 편수도 제5집 부터 12편으로 늘어나 이후 이를 평균치로 유지하고 있다.원고 집필자를 보면 전체로서는 내국인이 2/3, 외국인이 나머지 1/3 을 차지하고 있는데, 최근으로 올수록 중국계(중국, 대만, 홍콩) 원고 가 늘어나고 있다. 내국인 소속 기관은 영남지역의 비중이 조금 높지 만 전국적으로 고른 분포를 보이고 있다. 사용 언어를 보면 한글원고 가 70.8%, 중국어원고가 25.4%로서 주를 이루고 있다. 연구비 수령원 고가 전체의 26%를 차지하고 있는데, 대부분 논문원고가 지원을 받았 음을 감안하여 논문원고에서의 비율을 보면 37%로 높은 비율을 보인 다. 원고 내용을 보면 현대사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지만 다른 시대 연구성과도 고르게 게재되고 있다. 주제 성향을 보면 전체적으로는 정 치사와 사회경제사가 절반을 상회하고 있다. 그러나 2007년 이후 그
비중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고 사상종교사, 사학사, 예술사, 대외관계사 등 다양한 주제의 연구성과가 차지하는 비중이 고르게 늘어나고 있다.
중국사연구에 수록된 원고의 특징은 첫째, 「논문」
위주의 다른 학 술지와 달리 설림, 보고, 역주, 서평 등 논문 뿐만 아니라 다양한 연구 성과들을 포괄하여 수록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국내학자들의 원고 가 대부분인 다른 학술지와 달리 중국, 일본, 대만, 홍콩 등 다른 나라 연구자들의 원고 비중이 상당히 높다는 점이다. 셋째, 국내 전국규모 학술지의 대부분이 서울에서 간행되고 있음과 달리 창간호부터 지금까 지 줄곧 대구에서 간행되고 있다는 점이다.중국사연구
의 100집까지의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중국사연구 의 영역에서 보다 큰 기여를 할 수 있기 위해 필요한 점들이 무엇인지 에 대한 숙고를 하면서 전보다 나은 열정을 보태어 발전적인 향후의 모습이 나타나길 기대한다.<참고문헌목록>
(臺)姜仁圭, 「臺灣 북부 최초의 선교사 마지에 목사(Rev. George Leslie Mackay)의 선교 정책」 (中國史硏究 87, 2013.12)
(臺)黃寬重(李錫炫 譯), 「宋史 硏究의 重要 史料 -大陸에서 출토된 墓志資料를 사 례로-」 (中國史硏究 59, 2009.4)
(佛)루카 가비아니 (鄭誠一 譯), 「청대(18세기-20세기) 정신이상과 존속살해」 (
中國史硏究 60, 2009.6)
(中)王春雪ㆍ(中)陳全家ㆍ(中)盛立雙ㆍ(中)任雅鹏, 「中國天津地區舊石器遺存的新發 現與研究」 (中國史硏究 91, 2014.8)
(中)張京凱, 宋代戶絕田法制問題研究的回顧與展望」 (中國史硏究 100, 2016.2) 具範鎭, 「統計로 돌아본 東洋史學硏究 (東洋史學硏究 100, 2007.9) 金漢植, 「創刊辭」 (中國史硏究 1, 1996.12)
杉山正明(任大熙ㆍ梁寧佑 譯), 「日本에서의 遼金元時代史 硏究」 (中國史硏究 3, 1998.2)
李京姬ㆍ崔德卿, 「宋代 沈香 계통의 분류체계와 용도」 (中國史硏究 100, 2016.2)
李相九(中國 復旦大學), 「辛亥革命時期 陳獨秀의 革命活動과 安徽省 革命勢力의 成長과 限界」 (中國史硏究 96, 2015.6)
李浩賢ㆍ盧恩泳, 「중국 회사법의 변천과 근대성」 (中國史硏究 92, 2014.10) 任桂淳, 「國際都市, 香港을 통해 본 中國史」 (中國史硏究 40, 2006.2)
全京先ㆍ車喆旭, 「전시체제 하 만주국의 여성동원」 (中國史硏究 100, 2016.2) 全英珍, 「朱元璋과 張士誠의 爭覇」 (中國史硏究 1, 1996.12)
鄭哲雄ㆍ李俊甲, 「淸代 川ㆍ湖ㆍ陝 交界 山間地域의 經濟開發과 그 성격」 (中國 史硏究 41, 206.4)
鄭惠仲(日本 東京大), 「中國近代經濟史에서의 山西票號의 硏究」 (中國史硏究 8, 2000.2)
崔恩珍ㆍ柳賢貞, 「젠보짠(翦伯贊)의 역사주의를 통해 본 중국 마르크스주의 역사 학 형성의 내적 구조」 (中國史硏究 88, 2014.2)
中國史硏究 第1輯-第100輯 總目錄(刊號順)」 (中國史硏究 100, 2016.12) http://rcps.egov.go.kr:8081/jsp/stat/ppl_stat_jf.jsp.
(Abstract)
The Statistical Analysis on the Research Achievements of The Journal of Chinese Historical Researches up to 100
thJournal
Kim, Jong Geon
The Journal of Chinese Historical Researches
(中國史硏究) No. 1 which contains 7 writings was published in 1997. It was published annually at first, then twice a year in 1998, three times in 1999, quarterly in 2000, 5 times in 2001, and then finally began to be published bimonthly from 2003. And the volume of the journal has increased rapidly. The first journal was just composed of 190 pages, but it increased to 350 pages in 1999, and has maintained the average volume of 365 pages to the present. The writings carried in the journal were increased to 12 from the 5th journal. Almost the same number of writings are carried in each journal today.As for the writers, 2/3 of them have been domestic scholars and 1/3 have been foreign scholars. Recently the Chinese writers take larger and larger proportion. And as for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the domestic writers’ institution, though the number of the institution in Youngnam region occupies a little higher proportion, generally a balanced distribution is
shown in this analysis.
As for the language of the writings, writings written in the Korean language occupy 70.8% of all, and those written in the Chinese language take 25.4%. 26% of all the writings carried in the journal were those written with the support of research fund. And especially 37% of the articles were written with the support of research fund, which rate is quite high.
And the periodical distribution of the research writings are relatively balanced, though the writings on contemporary age takes relatively a little high proportion.
As for the sorts of research subjects, writings of political history and socio-economic history exceed the half on the whole. However, while the writings of these two fields are decreasing today, the writings on the other research subjects like the history of thought & religion, the history of historiography, the history of art, the history of foreign relations are evenly increasing.
The unique characteristic of this journal consists first in the fact that this journal carries various kinds of writings such as research articles, research notes, reports, annotated translations, book-reviews, and others, which is unlike the other historical journals just carrying research articles. The second characteristic is that not only domestic scholars but also many foreign scholars from China, Japan, Taiwan, Hongkong and the West have their writings carried in this journal, so the proportion of the foreign scholars’ writings are quite high, which is also greatly distinguished from the other journals in which only Korean scholars’ articles are carried. The third characteristic is that while most of the nation-wide historic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