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ASTI MARKET INSIGHT 46: 디지털 교육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ASTI MARKET INSIGHT 46: 디지털 교육"

Copied!
5
0
0

Teks penuh

(1)

01

디지털 교육

코로나 원격수업, 교육 수요의 다양화, 4G 기술 발전 등으로 매출 증대 기대

데이터분석본부 지역기업혁신팀 책임연구원

    김 기 일

Tel: 02-3299-6033 e-mail:[email protected]

KEY FINDING

1.  디지털 교육 분야는 디지털기기와 인터넷의 발전, 교육 컨텐츠의 다양화 등으로 지속적으로 성장했지만, 코로나의 영향으로 비대면  교육 등이 증가하면서 수요가 더욱 증대되었다.

2.  디지털 교육의 세계 시장규모는 2021년 115억 달러에서 연평균 32.3 % 성장해 2026년 467억 달러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3.  우리나라만 별도로 살펴보면, 2021년 8.1억 달러에서 2026년 32.7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4.  디지털 교육 관련 기업은 기술 트렌드, 교육 수요의 다양화, 정부의 지원 정책, 코로나 등으로 급속히 증대하는 수요에 더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서 디지털 관련 기술과 핵심 컨텐츠를 확보해 정확한 수요처에 맞춰서 서비스하는 타겟 마케팅으로 시장에 참여하는  전략을 구사할 필요가 있다.

ASTI MARKET INSIGHT 2022- 046

1) 시장의 개요

디지털 교육이란 디지털 환경 속에서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기존 의 교과서와 참고서 등에 수록된 컨텐츠를 멀티미디어로 통합 제공해 학 습자의 특성과 수준에 맞추어 학습이 진행되는 것을 의미한다. 

기존의 교실에서 진행되는 교육은 다양한 수요를 반영할 수 없고,  관심 컨텐츠가 충분히 확산되지 않는다. 이에 비해 디지털 교육은 디 지털기술과 인터넷기술이 연결된 원격교육의 한 형태로서 시간과 장 소 측면에서 훨씬 유연해 경제성이 확보되는 교육이라고 볼 수 있다. 

교육의 형태는 온라인 강좌, 대규모 오픈 온라인 강좌(MOOC), 온라

인 강좌와 강의실 강좌가 결합된 하이브리드 강좌 등으로 구분된다. 

디지털 리소스로는 시뮬레이션과 시청각 컨텐츠의 형태로 공급된다.

시장의 성장성과 관련하여, 우선 수많은 신규 업체들이 시장에 참 여하면서, 강한 경쟁구도를 만들어지고 있다는 점, 4G 네트워크에 대 한 광범위한 투자로 디지털 교육에 필요한 데이터 속도가 갖추어져  가고 있다는 점, 네트워크가 되는 스마트기기의 보급률이 놓아지고  있다는 점 등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다양한  온라인 교육 과정을 개설하고 있는 업체들이 수익창출을 위하여 협업 을 하기 시작했다는 점, 기업체들도 이제는 온라인 교육과정을 인정 하기 시작했다는 점, 학생들이 기존 교육과정의 고비용을 기피하여  

(2)

02 03

1)  리스킬링(Reskilling) : 새로운 직무에 필요한 스킬을 배우는 것

온라인교육과정을 찾기 시작했다는 점 등도 역시 어느 정도 시장 성 장에 기여하고 있는 요인이다. 아울러 증강현실이나 AI 등의 기술 성 숙도 디지털교육 시장을 성장시키고 있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경우 2020년에 시작된 코로나로 인하여 비대 면 교육 수요가 폭증하고, 홈스쿨링에 대한 학부모의 관심이 커지면

서, 인터넷 동영상을 보거나, 일대일 맞춤형 관리 등을 제공하는 교육 과정도 증가하고 있다. 즉, 코로나 이전에는 디지털 교육은 인터넷 강 의 수준이었다면, 이제는 AI, 빅데이터, 확장현실, 메타버스 등의 기 술을 통한 개인 맞춤형 디지털교육 과정이 개설되고 있다. 

표 1 디지털 교육의 분류

분류 종류

컨텐츠 초중등 보충교육, 리스킬링1) 및 온라인 증명,  고등교육, 시험준비, 언어 및 일상생활 최종 사용자 개인학습자, 학술기관, 기업, 정부기관

과정 유형 과학기술, 기업가 정신 및 비즈니스 관리, 기타 학습 유형 자가학습 온라인, 강의자 지도 온라인

그림 1 본인의 공간에서 원격수업을 받고 있는 장면

2) 정책 및 규제현황

세계는 코로나로 인하여 디지털 교육이 뉴노멀이 되는 새로운 경험 을 하고 있다. 따라서 세계 각국은 디지털 교육 환경을 재정비하는 다 양한 정책들을 입안해 추진하고 있다. EU는 디지털 교육 액션 플랜  2021-2027을 발표했으며, 여기에는 고성능 디지털 교육 환경조성,  디지털 역량 육성이 포함되어 있다. 미국에서는 학생들의 디지털 시 민성 개발을 위한 교육 전략을 수립하고 교사와 사서에게 전문성 개발  연수 기회를 제공하고, 국제교육기술협회 기준을 기반으로 디지털 시 민성 지식을 평가하는 도구를 개발하였다. 영국은 디지털문화부에서  문화의 디지털화 보고서를 발표하고 디지털문화네트워크를 구축해 문 화예술의 디지털 기술 지원과 디지털 역량 강화를 지원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디지털 기술 발전 등 사회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는 시 스템을 갖추고 학생 개인의 맞춤형 성장을 지원하기 위하여 2022 미 래교육 대전환 정책을 수립하였다. 여기에서 초중등교육에서는 미래  핵심역량을 길러주는 교육을 구현하는 정책이 수립되었고, 고등교육 에서는 개방과 공유의 가치를 기반으로 지역의 발전을 이끌 인재 양 성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평생교육에서는 국민이 원하는 시기에 교육 을 받을 수 있도록 평생교육 바우처 지원을 진행시키고 있다. 그래서 

교육부는 2022년도 교육정보화 시행계획을 발표하고, 미래 지능형  교육 환경 구축에 노력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디지털 관련 규제로 대표적인 것은 2013년도에 도입 된 대기업의 공공 소프트웨어 사업 참여 제한 제도이다. 바로 연매출  8,000억 원 이상 대기업은 사업금액 80억 원 이상 공공SW시장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제한한 것이다. 하지만 대기업 참여 제한 이후 신 기술 투자와 활용에 마중물 역할을 하는 공공SW 시장상황이 오히려  약화되고 있다는 진단과 함께 제도 개선이 부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 다. 또한 개인정보보호법, 정보통신망법, 신용정보법의 데이터 3법도  데이터 경제 활성화를 위하여 제정되었는데, 시행령이 모호해 거꾸로  규제가 되는 사례가 발생하는 등 실제 적용에 차질을 일으키면서 역 시 개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3) 시장동향 및 전망

시장 규모

세계 디지털 교육 시장규모는 2021년 115억 달러였으며, 향후  연평균 32.3 % 성장해 2026년 467억 달러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21년 8.1억 달러에서 2026년 32.7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2021년 디지털 교육의 세계 시장규모를 교육 과정별로 보면, 과

학 및 기술 과정 48.7억 달러, 기업가 정신 및 비즈니스 관리 과정  27.7억 달러, 기타 과정 38.6억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 역별로 살펴보면, 2021년 기준 북미 43억 달러, 유럽 25억 달러, 아 시아태평양(중국, 일본, 호주, 한국, 인도, 대만, 말레이시아, 인도네 시아 등)은 33억 달러, 라틴아메리카 8억 달러, 중동아프리카 6억 달 러 규모였다. 2021년 현재 디지털 교육의 최종이용자는 개인학습자 와 학술기관 60.4 %, 기업 및 정부기관 39.6 %이며, 그중에서 자가 학습자 온라인 62.9 %, 강의자 지도 온라인 37.1 %로 나타났다.  

경쟁 현황

디지털 교육 기업은 세계적으로 아주 많지만, 주요기업 5 개 가 시장의 20-25 %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세부적으로 코 세라(Coursera) 5-7 %, 이디엑스(edX) 5-7 %, 프러럴사이트 (Pluralsight) 4-6 %, 유데미(Udemy) 3-5 %, 유다시티(Udacity) 

2-4 %를 점유하므로 해당 시장은 과점에 가까운 것으로 판단된다.

코세라는 2012년에 미국에서 직원 779 명, 매출액 2.9억 달러로  설립되었는데, 비즈니스, 대학, 정부, 개인에 대한 디지털 교육 솔루 션을 제공하는 대규모 오픈 온라인 강좌(MOOC)를 개설한 기업이 다. 전세계 누구든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교육을 통해 자기  삶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으며, 현재 전 표 2 디지털 교육 시장규모 추이

구 분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CAGR(%)

세계 시장 63 84 115 150 197 260 347 467 32.3

국내 시장 4.4 5.9 8.1 10.1 13.8 18.2 24.3 32.7 32.3

출처 : Marketsandmarkets의 Digital Education Market with Covid-19 Impact Global Forecast to 2026, 국내 시장은 업계 추정을 근거로 세계시장의 0.07%로 추정함.

(단위: 억 달러)

지역별 디지털 교육의 시장규모 교육과정별 디지털 교육의 시장규모 그림 3

그림 2

출처 : Marketsandmarkets의 Digital Education Market with Covid-19 Impact Global forecast to2026 참고 KISTI 작성 2021년

115억 달러 (100%)

2021년 115억 달러

(100%)

과학 및 기술과정 48.7억 달러

42%

북미 43억 달러

37%

유럽 25억 달러

22%

아시아태평양 33억 달러

29%

기업가정신 및 비즈니스 관리 과정

27.7억 달러 24%

기타 과정 38.6억 달러

34%

라틴아메리카 8억 달러, 7%

중동아프리카 6억 달러, 5%

2021년 115억 달러

(100%)

2021년 115억 달러

(100%)

과학 및 기술과정 48.7억 달러

42%

북미 43억 달러

37%

유럽 25억 달러

22%

아시아태평양 33억 달러

29%

기업가정신 및 비즈니스 관리 과정

27.7억 달러 24%

기타 과정 38.6억 달러

34%

라틴아메리카 8억 달러, 7%

중동아프리카 6억 달러, 5%

디지털 교육 | ASTI MARKET INSIGHT 2022- 046 디지털 교육 | ASTI MARKET INSIGHT 2022- 046

(3)

04 05

세계 회원수가 9천만 명에 이르고 2020년에만 5천900만 명의 회원

으로 등록했다. 주로 수요는 북미에서 발생하고 있지만, 관련 서비스 는 전세계로 제공되고 있다.

 이디엑스는 오프소스 플랫폼으로 강좌를 무상으로 제공하는 유일 한 비영리 기업이다. 과학, 기술, 인문학 등 다양한 영역의 1,000 개  이상의 강좌를 개설하고 있다. 플루럴사이트(Pluralsight)는 2004년  미국에서 설립된 기술 특화 온라인 강좌 플랫폼 기업이다. 기술 혁신,  효율성 향상에 관심이 있는 개인과 회사원이 사용하는 온라인 강좌 이다. 7,000여 개 강좌, 1,500 명 이상의 전문가가 참여하고 있으며,  직원수는 1,700 명이다. 유데미는 2010년 미국에서 직원수 1,013  명, 매출 4.3억달러인 기업으로, 분야 대표 강사와 학생을 연결해 주 는 기업이다. 3.5만 명의 강사와 2천4백만 명의 학생이 연결되어 있 고 8만 개의 비디오 강좌가 50 개 언어로 구축되어 있다.

유다시티는 2011년 미국에서 설립된 온라인 러닝 플랫폼과 디지 털 교육을 제공하는 기업으로서 16만 명의 개인 수강자와 100 개 의 강좌 업체가 연계되어 있다. 개설 강좌로는 인공지능(AI), 데이 터 과학, 프로그래밍, 비즈니스 등을 비롯해 자율운전 자동차, 비행  자동차, 로보틱스 관련 시뮬레이션 등이 있다. 그 외에도 에듀레카 (Edureka), 앨리슨(Alison), 링크드 러닝(LinkedIn Learning), 지그 소 아카데미(Jigsaw Academy), 아이버서티(iversity) 등이 세계시 장에 참여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20년부터 코로나 확산으로 비대면 수요가 커지면 서, 디지털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그래서 인터넷 동영상 시청

과 일대일 맞춤형 관리 등을 제공하는 교육 서비스가 급증했다. 관련  사례를 보면 천재교과서의 밀크T, 웅진씽크빅의 스마트올, 아이스크 림에듀의 아이스크림 홈런 등이 있으며, 각각 10만~15만 명의 회원 을 확보하고 있다. 분야별로 보면 학습지 및 스마트 러닝 시장은 교원 그룹, 대교그룹, 웅진씽크빅 등이 업계 상위군에 속하고, 아이스크림 에듀와 천재교육 등이 그 후위 그룹에 속해 있다. 영어교육에서는 시 원스쿨이 야나두, 스피킹맥스, 뇌새김 등과 경쟁하고 있으며, 공무원 수험서 시장에서는 에스티유니타스가 우세를 보이고 있다.

4) 애널리스트 인사이트

디지털 교육은 전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지원 정책이 수립되어  있다. 그리고 관련 규제 또한 혁신이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성인을  포함한 다양한 계층의 다양한 교육 수요가 코로나로 인하여 더욱 급 격하게 구현되어야만 하는 환경에 직면하게 되었다. 또한 인터넷 이 용율은 증가하고 있으며, AI, 클라우드, 증

강현실 등의 기술 발전 속도는 일반인 들은 따라가기 힘들 정도이다. 반면에  비대면 교육 환경 구축 비용은 감소하 고 관련 효율성, 편의성, 유연성은 증 대되면서 디지털 교육 인프라의 구축 은 매우 용이해졌다.

표 3 디지털 교육 시장의 신 사업기회 분석

Policy Market

국가 차원의 지원 정책

• 국가별 디지털 교육 지원 정책 수립

• 관련 규제 혁신 정책 수립

다양한 교육 필요성으로 수요 증대

• 소규모 러닝 수요 증가

• 게임 기반의 교육 수요 증가

• 전세대에 걸친 교육 수요 발생

Society Technology

교육 인프라 구축 용이화

• 인프라 비용 감소(비대면 교육 환경 구축비 감소)

• 디지털로 교육의 효율성, 편의성, 유연성 증대

기술트렌드와 부합

• 증가하는 인터넷 이용율

• 클라우드, IoT 등 첨단기술로 시너지 효과 증대

디지털 교육 시장에서의 주요 영향력 강도를 사회적인 요구, 현지 국가 지원 정도, 기술트렌드와의 부합성, 시장적인 측면(시장 확대가 능성, 시장진입장벽, 잠재 수요자 관심), 사회적인 요구 등으로 구분 해 평가하고 평가의 주요요인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이와 관련하여  디지털 교육 시장 진출을 모색하는 국내 중소 중견기업들이 고려해 야 할 주요 사업전략방향을 고찰하였다. 

➀  AI 혹은 디지털 기술 혹은 컨텐츠 보유 업체와의 제휴 : 디지털  기술, 교육 컨텐츠, 교육 관련 경험 등이 융합한 디지털 교육의  매출액을 증대시키면서, 타 업체와의 제휴 등으로 경쟁력을 확 보해 시장에 진출할 사업기회가 창출되고 있다. 웅진씽크빅은  실리콘밸리 AI 스타트업 키드앱티브의 지분을 인수했고, 미국 의 온라인 교육 플랫폼 유데미의 한국 독점 사업권 계약을 체결 했다. 교원은 코딩 교육 관련 럭스로봇과 제휴했다. 대교는 수학  스타트업 노리를 인수했다. 천재교육은 에듀테크센터를 열어 스 타트업 발굴에 나섰고 아이스크림에듀도 AI 전문 스타트업과 협 업을 준비중이다.

➁  개인별 맞춤형 교육 시장 참여 : 과거에는 디지털 교육이 인터넷  강의 수준이었다면, 이제는 컨텐츠의 디지털화, AI, 빅데이터, 확 장현실, 메타버스 등을 통하여 개인 맞춤형 교육이 가능해졌다. 

즉, 개인의 수준 차이나 학습 수준 달성 등이 체계적으로 축적 관 리될 수 있는 시대에 도달한 것이다. 바로 이 신시장에 대한 시장  참여가 요망된다.

➂  평생 교육 수요 부응 : 교육업체는 학령인구 감소로 대부분 성인 교육 시장에서 새로운 수요를 개척하고 있다. 따라서 재교육, 평 생교육에 초점을 맞추어 교육 컨텐츠 및 환경 개발에 노력할 필요 가 있다.

➃  지원정책 활용 : 우리나라는 정부 차원에서 기존의 디지털 교육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을 다양하게 전개하고 있고, 또한 코로 나 팬데믹을 극복하기 위한 원격교육 일상화 정책도 많이 수립하 고 있다. 따라서 정부 정책에 힘입어 시장에 참여하는 것도 하나 의 전략이 될 수 있다. 아울러 4차 산업혁명과 업체간 경쟁적 투 자로 교육 시장이 기존의 도서와 대면 중심에서 비대면 디지털로  급속히 전환되고 있으므로 해당 분야에 진출할 계획이라면 빠른  결정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판단된다.   

3)  주요 요인 분석의 항목에 대한 척도는 1점: 매우 낮음, 2점: 낮음, 3점: 보통, 4점: 높음, 5점: 매우 높음 등의 5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관련 제품의 일본 시장 전문가를 인터 뷰를 통해 정성적으로 평가되었음. 

그림 4 디지털 교육 시장의 주요 요인 분석2)

자료 : 시장전문가 인터뷰를 기반으로 KISTI 작성 사회적 요구

잠재바이어 관심도

시장 진입 용이성

현지국가지원 정도

기술 트렌드 브합성 5

4 3 2 1 0

시장 확대 가능성

디지털 교육 | ASTI MARKET INSIGHT 2022- 046 디지털 교육 | ASTI MARKET INSIGHT 2022- 046

(4)
(5)

본원 (우) 34141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학로 245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T. 042) 869-1004,1237 F. 042) 869-1091

분원 (우) 02456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로 66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T. 02)3299-6114 F. 02)3299-6244

Referensi

Dokumen terkait

부경대학교 조선해양시스템공학연구소 김사라 동의대학교 용접인력양성센터 전유란 연구원 교육 프로그램 교육 혜택 현장실습 프로그램 운영 실제 업무관련 프로젝트 공동 수행 용접절차서 국제인증실무 중소기업 사업화 지원 실무 교육 후 개월 간 진행 예정 자격시험 스터디 그룹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 집중교육까지 수료한 교육생 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