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ASTI MARKET INSIGHT 45: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ASTI MARKET INSIGHT 45: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Copied!
7
0
0

Teks penuh

(1)

데이터분석본부 충청지원 책임기술원

    김 병 정

Tel: 042-869-1717 e-mail: [email protected]

KEY FINDING

1.  플렉시블(Flexible) 디스플레이는 유연성이 있는 디스플레이로서 2020년 기준 OLED 기반 세계시장 중 폴더블 스마트폰이 91.7 %를  차지하고 있다. 

2.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세계시장은 2018년 129.5억 달러에서 2026년 243.0억 달러로 연평균성장률은 8.2 %로 예상된다.  

3.  삼성전자가 생산하는 롤더블 스마트폰은 2021년 출하량 기준 890만 대이며, 세계시장의 88 %를 점유하고 있고, LG전자는 대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세계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4.  우리나라는 전자, 기계, 화학 등 다양한 분야가 융합한 산업으로서 디스플레이 산업이 경쟁국과의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범부처  차원에서 지원하기 위한 노력이 활발하다.

1) 시장의 개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를 기 반으로 유연한 재료를 사용해 디스플레이 기능을 유지하면서 휘거나,  접거나, 구부리거나 말 수 있는 유연한 디스플레이를 말한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시장은 2013년 벤더블(Bendable) 스마트폰,  2019년 폴더블 스마트폰, 2020년 롤러블 OLED TV가 출시되면서  활성화되었고, 최근에는 스트레처블(Stretchable) 디스플레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2020년 기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의 세계시장은 OLED 기반이 88 %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중 스마트

폰이 91.7 %를 차지하고 있다. 주로 폴더블 스마트폰에 장착되는 플 렉시블 디스플레이는 노트북 PC나 태블릿 등에도 활용이 가능하다.  

기술적 측면으로는 TFT(Thin Film Transistor)에서 고온상태를 견 딜 수 있는 폴리이미드(Poly-imide)가 개발되면서 플렉시블 디스플 레이 기술이 상용화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졌다. 그동안 LCD를 기반 으로 유연성이 있는 디스플레이가 개발되어 왔으나, 두 장의 유리 사 이에 액정이 들어가는 구조에서 편광판과 백라이트가 결합되어 플렉 시블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리고 OLED를 기 반으로 한 디스플레이는 백라이트가 필요없고 시야각이 넓은 장점을  더하여 필름 기판과 터치 패널이 내재된 폴더블 폰이 개발되면서 플 렉시블 디스플레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또한 LCD와 OLED의 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평판 디스플레이를 뛰어넘어

탈평판 디스플레이로 전환 가속화

(2)

분류 주요 기능 핵심기술 기본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 패널 유리 기판위에 폴리이미드를 코팅해 사용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고해상도 실감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반사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다이내믹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유연기판에 형성한 디스플레이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접거나,  말아서 사용할 수 있으며 고품질 영상재현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폴더블/롤러블 디스플레이 투명·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위한 UI/UX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유연기판이 두 방향 이상으로 변형하거나, 변형 후 원래의 모양으로

복원하는 디스플레이 기술 고신축/내구성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표 1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술 분류

반으로 유연성이 있는 필름을 사용하게 되므로 얇고 가볍고 깨지지  않는 장점을 가지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다양한 형태의 제품 개발 도 가능하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술을 분류하면, 기본형 및 다이내믹 플렉시 블 디스플레이와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로 구분하고 핵심기술로는 반 사형, 폴드블, 투명 등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로 분류할 수 있다.

분류 주요 기능 핵심기술

플렉시블 전자소재센터 (FEMC*)

플렉시블 전자소재 기반(디스플레이, 태양전지, 2차전지)의 시제품제작, 시험평가,  Pilot 양산지원, 애로기술 지원, 사업화를 위한 지원

대·중소기업 간 연계 협력지원

2015년 설립 및 운영 (계속)

디스플레이 혁신공정 플랫폼 구축사업

세계 최고의 시장점유율을 지속적으로 유지 발전시키기 위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혁신 기반 상생협력체계 구축사업으로 기반구축(혁신공정센터 설립 : 61종 장비 포함)과

기술개발 지원(혁신소재, 차세대, 융복합 66개 과제) 2019-2025년

표 2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주요 지원센터

현재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폴더블 스마트폰은 화면이 안쪽으로  접히는 인폴딩(In-Folding) 방식(갤럭시 폴드, Z플립)과 화면이 밖으 로 접히는 아웃 폴딩(Out-Folding) 방식으로 구분되며, 제품군으로 는 휴대폰, TV에서 자율주행 자동차, 웨어러블 기기, 증강현실 기기  등으로 응용분야가 확대 가능하며, 서비스 관점에서는 공공용, 광고 용, 건축용, 사무용 등이 있다.

2) 정책 및 제도

한국의 디스플레이 지원정책으로는 1990년대 일본이 독점하던  LCD 기술을 우리나라가 발전시켜 LCD 디스플레이 강국으로 성장하

였고, 현재 OLED 디스플레이를 기반으로 한 폴드블 스마트폰이 세계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산업을 육성시키기 위해 소재-부 품-장비-모듈-패널로 이어지는 선순환 기술개발 체계를 갖추는 다품 종 맞춤형 디스플레이, 유연생산공정 및 소재 개발을 지원하는 정책이  있다. 그리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와 관련성이 높은 지원 사업으로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2015년에 설립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지원센터와 2019년도부터 추진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혁 신공정 플랫폼 구축사업을 들 수 있다.

* FEMC : Flexible Electronics Materials Center

그림 1 혁신형 디스플레이 구현을 위한 부처별 역할 원천기술 확보

산업 발전�확산을 위한 제품�서비스 개발 지원

패널 제조 시장창출�성장 생태계 강화 산업 확산

대학�연구소의 원천기술 연구 지원

패널 제조기술(장비,소재,소자) 개발을 위한 기업 지원

대학연구소의 디스플레이분야 전문인력 양성

창업벤처 육성 지원 시장 성잔을 위한

통상, 규제 지원 중소중견기업 성장을 지원할 인프라 구축과 정책 지원

출처 : 혁신형 디스플레이 혁신성장동력 신규분야 세부기획연구 보고서, 2019, 11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국가 주요 내용

중국

디스플레이 연구를 대학에서 산업지원 중심으로 전환하고 2025년까지 인쇄공정에 의한 AMOLED 제조기술과 플렉시블 AMOLED 제 조기술 확보 지원

2011-2015년 LCD산업 집중지원으로 세계 생산능력 1위, 시장점유율 3위 성장

2014-2016년 AMOLED 양산체계 구축 및 OLED 지원 강화

2017년 OLED 신기술 확보를 위한 광동성 프린팅 플렉시블 혁신센터 설립  

대만 • ITRI*의 DTC*에서는 플렉시블 기판, 소재부품, TFT, 패널 기술 등 6개 분야로 디스플레이 전 영역에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일본 • 2014년 INCJ**가 투자해 설립한 JOLED**을 중심으로 OLED 사업화 촉진 지원 강화

NEDO**와 FIRST**에서 백색 OLED, 고효율 OLED 소자, 롤투롤 OLED 등 개발 추진

미국 • 2015년에 설립한 NextFlex***센터를 통해 플렉시블 전자 장비 및 센서 연구와 기술사업화 추진 지원 유럽 • Horizon 2020 내의 FP7 프로젝트를 통해 디스플레이 분야 연구개발 지원

표 3 주요 국가별 디스플레이 산업육성 지원 정책

* ITRI(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DTC(Display Technology Center)

** INCJ(Innovation Network Corporation of Japan), JOLED( Japanese OLED), NEDO(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Office.), FIRST(Forum of Incident Response and Security Teams)

*** NextFlex(Flexible Hybrid Electronics Manufacturing Innovation Institute) 특히, 디스플레이 산업을 지속성장시키기 위해 디스플레이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원천기술 확보부터 산업 확산에 이르기까지 범부처 

차원에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지원정책을 발굴하여 시행하는 노력 이 활발하다.

주요 국가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지원정책을 살펴보면, 세계 시장 점유율 2위인 중국은 2011년부터 대학 중심에서 산업지원 중심으로 지 원방향을 전환하였고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전문기업인 BOE(Beijing  Oriental Electronics)와 스마트폰 제조 전문기업인 화웨이(HUAWEI) 를 성장시켰고, 대만, 일본, 미국에서도 디스플레이 산업육성을 위한 지 원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유럽의 경우 1984년 벨기에에 세계 최고의 

나노 전자 분야(반도체/디스플레이, 센서, 태양전지 등)의 연구기관인  IMEC(Inter-Univesity Micro Electronics Center)을 설립해 소량 소 자생산이 가능한 팹(Fab)서비스, 시제품 제작, 소자공정 개발과 대량생 산업체로부터 기술을 이전받는 등 유연한 비즈니스 모델을 적용해 자립 화가 가능한 연구기관으로 성장하고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 ASTI MARKET INSIGHT 2022- 045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 ASTI MARKET INSIGHT 2022- 045

(3)

3) 국내외 시장동향

시장 규모 및 전망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세계시장은 2018년 129.5억 달러에서 

2026년 243.0억 달러로 연평균성장률은 8.2 %로 예상되며, 이중  OLED 시장은 2018년 111.5억 달러에서 2026년 216.7억 달러로  연평균 8.7 %로 성장성이 매우 높으나 LCD는 2018년 18.0억 달러 에서 2026년 26.2억 달러로 연평균성장률이 4.8 %로 OLED 보다  상대적으로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출처 : MARKETS AND MARKETS , KISTI 재조정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CAGR(%)

OLED 11,155 12,734 14,509 16,109 17,135 18,115 19,332 20,524 21,677 8.7

LCD 1,800 1,944 1,971 2,036 2,163 2,288 2,408 2,521 2,625 4.8

계 12,955 14,678 16,480 18,145 19,298 20,403 21,740 23,045 24,301 8.2

표 4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시장규모 및 전망 (단위 : 백만 달러)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CAGR(%)

스마트폰/테블릿 10,499 11,796 13,314 14,655 15,493 16,288 18,310 11,155 19,262  7.9

TV 187 316 418 512 626 737 844 957 1,075 24.4

스마트워치 290 365 424 424 424 500 517 531 543 8.2

사이니지 98 119 98 175 184 191 202 213 223 10.8

기타 79 139 206 282 339 398 454 513 574 28.1

계 11,155 12,734 14,509 16,109 17,135 18,115 19,332 20,524 21,677 8.7

표 5 OLED 기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시장규모 및 전망 (단위 : 백만 달러)

제품군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시장을 살펴보면, 2018년 세계시장 점 유율이 94.1 %인 OLED 기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시장의 주요 제품은  스마트폰/테블릿이며, 2018년 104.9억 달러에서 2026년 192.6억 달

러로 연평균성장률은 7.9 %로 예상되고, 다음으로 성장률이 높은 제품 은 TV가 24.4 %, 시장규모가 큰 제품으로는 스마트워치로 2018년 2.9 억 달러에서 2026년 5.4억 달러로 연평균성장률이 8.2 %로 예상된다.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CAGR(%)

북미 6,735 7,025 6,994 7,125 7,241 7,333 7,582 7,791 7,955 2.1

유럽 38 45 67 91 116 143 167 193 220 24.8

APAC 4,379 5,660 7,443 8,886 9,771 10,632 11,575 12,532 13,492 15.1

기타 4 4 5 6 7 7 8 7.8 7.9 10.3

계 11,155 12,734 14,509 16,109 17,135 18,115 19,332 20,524 21,677 8.7 한국 시장 3,703 4,156 4,416 5,291 5,697 6,060 6,507 6,949 7,384 9.0

비율(%) 33 33 30 33 33 33 34 34 34 -

표 6 OLED 기반 지역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시장규모 및 전망 (단위 : 백만 달러)

지역별 시장규모로는 2018년 기준 세계시장이 가장 높은 시장은  북미시장으로 2018년 67.3억 달러에서 2026년 79.5억 달러로 연평 균성장률은 2.1 %로 예상되고, 다음으로는 APAC시장으로 2018년 

43.7억 달러에서 2026년 134.9억 달러로 연평균성장률이 15.1 % 로 예상된다. 한국의 경우에는 2018년 37.0 달러(33 %)에서 2026 년 73.8억 달러(34 %)로 연평균성장률이 9.0 %로 예상된다.

다음은 LCD시장으로 2018년 기준 전체시장에서 94.8 %를 치지 하고 있는 TV/사이니지는 2018년 17.0억 달러에서 2026년 20.4억  달러로 연평균성장률은 2.3 %로 예상된다. 다음으로 연평균성장률

이 높은 제품은 자동차용으로 48.2 %이며, 2026년 대비 시장규모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제품으로는 스마트홈기기로 2018년 0.1억 달 러에서 2026년 2.4억 달러로 연평균성장률이 43.3 %로 예상된다.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CAGR(%)

스마트 웨어러블 37.4 44.6 45.1 41.8 42.4 43.4 44.5 45.2 45.8 2.6 TV, 디지털 사이니지 1,706.7 1,799.1 1,766.9 1,757.6 1,777.1 1,878.1 1,942.6 1,998.1 2,043.3 2.3 랩톱, PC 모니터 29.7 42.8 59.1 76.3 104.9 114.6 130.7 147.4 164.4 23.8

자동차용 4.7 11.7 20.6 31.4 60.3 65.6 79.7 94.5 110.0 48.2

스마트 홈 기기 13.8 36.5 69.0 116.9 165.9 172.9 196.5 221.0 246.0 43.3

기타 7.7 9.3 10.4 11.4 12.3 12.8 13.4 14.0 14.6  8.3

계 1,800 1,944 1,971 2,036 2,163 2,288 2,408 2,521 2,625 4.8

표 7 LCD 기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시장규모 및 전망 (단위 : 백만 달러)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CAGR(%)

북미 155.4 164.1 162.5 163.9 170.0 175.3 181.4 186.7 191.0 2.6

유럽 161.8 174.3 176.3 181.7 192.6 203.1 213.4 223.1 231.9 4.6

APAC 1,437.3 1,557.0 1,583.4 1,640.1 1,747.8 1,853.8 1,955.0 2,050.7 2,139.5 5.1

기타 45.7 48.8 49.1 50.2 52.8 55.3 57.8 60.1 62.1  3.9

계 1,800 1,944 1,971 2,036 2,163 2,288 2,408 2,521 2,625 4.8

한국 시장 594 624.1 615.1 617 636 652 672 688 701 2.1

비율(%) 33 32 31 30 29 29 28 27 27 -

표 8 LCD 기반 지역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시장규모 및 전망 (단위 : 백만 달러)

시장점유율이 가장 높은 지역으로는 APAC으로 2018년 14.3억  달러에서 2026년 21.3억 달러로 연평균성장률은 5.1 %로 예상되 고, 다음은 유럽시장으로 2018년 1.6억 달러에서 2026년 2.3억 달

러로 연평균성장률이 4.6 %로 예상된다. 한국의 경우에는 2018년  기준 5.9억 달러(33 %)에서 2026년 7.0억 달러(27 %)로 연평균성 장률이 2.1 %로 예상된다.

경쟁현황

국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삼성전자는 2014 년도에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인 갤럭시 노트 엣지를 최초로 출시한 후  2016년 롤러블 디스플레이 시제품 제작, 2017년 양방향 신축이 가능 한 9.1 인치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시제품 제작, 이어서 2019년 폴더

블 폰을 출시해 50만대 판매, 2020년 폴더블 폰Z Fold2, 2021년 폴 더블 폰 Z Fold3 및 플립형 Z Flip3를 출시하면서 세계시장 점유율이  2020년 86%, 2021년 88 %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시장을 주도하 고 있다. 그리고 CES 2022에서 안으로 두 번 접는 플렉스 G를 공개해  향후 세계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4)

LG전자는 2014년 세계 최초로 투명 플렉시블 OLED TV 개발 기 술을 확보한 후 2017년 77 인치 투명 플렉시블 시제품 개발, 2019 년 롤러블 TV, 2020년 투명 OLED 디스플레이, 2021년 롤러블 폰,  CES 2022에서 선보인 플렉시블 OLED 솔루션인 ‘버추얼 라이드 (Virtual Ride)’와 ‘미디어 체어(Media Chair)’를 출시하였다. 제품사 양으로는 대형 OLED 스크린과 운동기구를 합친 개념으로 55 인치 

OLED 패널 3 대를 연결해 바닥에서 천장까지 ‘ㄱ’자 형태의 스크린 으로 구성한 제품이다. 특히, 버추얼 라이드는 사용자의 시야각에 맞 게 스크린 전체가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어 실제 야외를 누비는 것을  경험할 수 있다. 향후 대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분야에서는 세계시 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모델명 Galaxy Fold Galaxy Fold2 Galaxy Z Fold3 Galaxy Z flip3 Flex G

제품사진

화면크기 7.3인치 7.6인치 7.6인치 6.7인치 12.4인치

출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판매량(만대) 50 290 890 1,690(예상)

시장 비중(%) 0.03 0.2 0.6 1.1

표 9 삼성전자 플렉시블 폴더블 스마트폰 제품

출처 : 삼성디스플레이뉴스룸, 카운터포인트 리서치 

모델명 시그니처 올레드 TV R 투명 OLED LG Rollable Virtual Ride

제품사진

SPEC 65인치 롤러블 TV 55인치, 40% 고투과율  6.8인치 55인치 3개

출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표 10 LG전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출처 : LG디스플레이뉴스룸

해외시장을 살펴보면, 중국은 한국에 이어 디스플레이를 생산하는  국가로 패널을 전문으로 제조하는 BOE는 2020년 LCD 부문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였고, 중소형 OLED 시장에서도 빠르게 진입하 고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생산하는 화웨이는 BOE의 OLED 를 공급받아 폴드블 스마트폰으로 2019년 Mate X, 2021년 폴드블 폰 P50 포켓 등을 출시하였고, Honor, 오포(OPPO), TCL에서도 폴 더블폰을 출시하였다. 

4) 분석자 인사이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산업에 대한 산학연의 역할을 살펴보면, 대 기업에서는 표준형 플렉시블 패널이나 모듈을 개발해 폴드블 스마 트폰과 대형 TV 등을 직접 생산하고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중소·

중견기업에서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소재, 부품, 장비 그리고  HUD(Head Up Display), CID(Center Information Display)와 같 은 자동차용 응용제품을 개발하고, 학계·연구소에서는 플렉시블 디스 플레이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기초연구나 기업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으로 예상된다.

국가별 디스플레이 산업은 일본을 거쳐 한국으로 왔다가 중국으로 

이행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일본은 현재 패널 생산이 미미한 수 준이나 소재나 장비 분야는 활발하다. 우리나라의 디스플레이 산업은  패널 산업이 강세를 보이는 현재 소재와 장비도 함께 고도화하고 경 쟁력을 키워나가야만 지속 성장이 가능 할 것으로 예상된다. 

디스플레이 패널로는 LCD와 OLED가 차별화되고 있으며, 현재  OLED가 디스플레이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나 지속적인 신기술 개발 과 이를 기반으로 한 고부가 가치형 제품에 대한 수요에 대응하는 제 품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OLED 기술을 바탕으로 폴더블폰이 본격적 으로 양산화되면서 한국이 독점하고 있으나 기능적인 측면에서 슬라 이더형 및 롤러형 디스플레이,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등의 제품을  고도화하여 기술을 선점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업체명 HUAWEI Honor OPPO TCL

모델명 Mate X Mate Xs Mate X2 Mi Mix Fold 폴더블폰

P50 포켓 Honor

Magic V 파인드N 폴더블폰

제품사진

화면크기 8.0인치 8.0인치 8.0인치 8.0인치 7.9인치 6.45인치 7.1인치 8.0인치

출시 2019년 2020년 2021년 2020년 2021년 2022년

표 11 중국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제품

업체명 AUO(대만) 로욜(미국) 모토롤라(미국)

모델명 마이크로 LED

프로토타입 잉크젯 인쇄 OLED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LED

(자동차용) FlexPai Razr 5G

제품사진

SPEC 12.1인치 17.3인치 9.4인치 7.8인치 6.2인치

출시 2018년 2019년 2020년 2018년 2020년

표 12 대만, 미국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제품

대만의 디스플레이 전문기업인 AUO(AU Optronics)에서는 2014 년에 플렉시블 AMOLED 시제품을 개발하였고 2020년에 차량용 마 이크로 LED를 개발하였다. 미국의 로욜(Royole)은 2018년에 7.8 

인치 풀컬러 디스플레이 FlexPai를 출시하였고, 모토롤라(Motorola) 는 2020년에 6.2 인치 슬림형 폴더폰 Razr 5G를개발하였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 ASTI MARKET INSIGHT 2022- 045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 ASTI MARKET INSIGHT 2022- 045

(5)

[1] 중소기업 전략기술로드맵 2022-2024 플렉시블 전자회로

[2] 플렉시블 전자소재 산업 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Vol 36, no 3, 2021 [3] 플렉시블 디바이스의 기반 기술 및 미래, 고려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4] 웨어러블/플렉시블 전자 소재 연구동향, 재료마당 Vol 28, No 6, 2015

[5] 혁신형 디스플레이 혁신성장동력 신규분야 세부기획연구보고서, 2019, 11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6]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최신 기술 동향,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Vol 18, no 5, 2017

[7] 미래 디스플레이 : 평판 디스플레이를 뛰어넘어 탈평판 디스플레이로, KEIT PD 이슈리포트, 2020 Vol 20-3 [8]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술동향, 2015, 한국산업은행,

[9] Flexible Electronics & Circuit Market GLOBAL FORECAST TO 2026, Marketsandmarkets [10] Flexible Display Market GLOBAL FORECAST TO 2022, Marketsandmarkets

[11] Microled-info (https://www.microled-info.com) [12]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 (http://www.kdia.org) [13] LG디스플레이뉴스룸 (https://news.lgdisplay.com) [14] 삼성디스플레이뉴스룸 (https://news.samsungdisplay.com)

참고문헌

촉진요인 저해요인

• 스마트폰이나 웨어러블 기기 등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수요증가

• 아시아 지역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원자재 수급 효율화로 신제품 개발 용이

기회요인 위협요인

• 기존의 스마트폰 시장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스마트폰 시장 으로 급속도로 전환 가능

• 의료 및 헬스케어, 가전제품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수요 증가

• 디스플레이 소재, 장비 수입에 따른 수급 어려움 잔존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제조는 기술적 전문지식과 막대한 자본 필요

• 플렉시블 패널 제조업체에 대한 의존도가 높음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기술집약적이면서 고급장비 중심

• 기존의 유연성 없는 전자제품 시장의 확립

• 고온 저항성을 가진 기판의 높은 제조비용과 높은 가격 표 13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SWOT 분석

기술적인 측면으로는 기존의 디스플레이는 화소 형성과 구동기술  개발로 대면적, 초고해상도 기술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으나 앞으로는  빛의 성질에 대한 연구를 통해 입체적 표현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기 술개발과 광위상 변조 방식과 같은 새로운 방식의 디스플레이 구현을  위해 광학에 기초·응용기술 개발도 필요하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산업은 국가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되므로 웨어러블 의료기기, 스마트폰과 TV, IoT 기기, 자동차용  등의 응용분야에 대한 연구개발로 상품화한다면 세계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6)
(7)

분원 (우) 02456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로 66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T. 02)3299-6114 F. 02)3299-6244

Referensi

Dokumen terkait

또한 환경 영역의 폐기물 범주에는 폐기물 재활용 비 율 관련 진단항목도 포함되어 있어 기업들이 폐기물 처리 및 재활용 에 책임있는 활동을 촉구하고 있다.. 중견·중소기업의 경우 과도한 투자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 내 에서 개선 가능한 기본 점검 진단 항목을 선별하여 제시함으로써 중 견·중소기업의 ESG 대응 역량을 강화할 수

커넥티드카, 웨어러블 기기, 로봇 시장의 성장은 기존의 기기 제어, 명령 실행 등을 지원하는 음성 인식 서비스 시장을 지속적으로 견인 할 것이며, 최근 비대면 업무 증가는 음성 기록 서비스의 수요를 크게 증가시킬 것이다.. 하지만 공개된 API 활용 또는 AI 플랫폼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새로운 서비스를 발 굴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