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 예비과학자
CODE BOOK
자료번호 A1-2007-0108
연구책임자 김환석
연구수행기관 한국과학기술학회 조사년도 2007 년
자료서비스기관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자료공개년도 2014 년
코드북 제작년도 2014 년
출처는 자료명이 최초로 언급되는 부분이나 참고문헌 목록에 명시할 수 있습니다.
자료를 이용, 참고,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이정환. 2007. 「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 예비과학자 」 . 연구수행기관:
한국산업인력공단. 자료서비스기관: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자료공개년도: 2014년.
자료번호: A1-2007-0108.
코드북을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한국사회과학자료원. 2014. 「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 예비과학자
CODE BOOK 」 . pp. 1-50.
이 자료의 코드북에 대한 모든 권한은 KOSSDA에 있으며 KOSSDA의 사
전허가 없이 복제, 송신, 출판, 배포할 수 없습니다.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 예비과학자
Q01
실험실 구성원 수: 총 인원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명 0 1 0.1 0.1
1명 1 2 0.3 0.3
2명 2 6 0.9 0.9
3명 3 20 2.9 2.9
4명 4 30 4.4 4.4
5명 5 60 8.8 8.8
6명 6 63 9.2 9.2
7명 7 76 11.1 11.1
8명 8 56 8.2 8.2
9명 9 83 12.2 12.2
10명 10 56 8.2 8.2
11명 11 34 5.0 5.0
12명 12 77 11.3 11.3
13명 13 23 3.4 3.4
14명 14 25 3.7 3.7
15명 15 38 5.6 5.6
16명 16 6 0.9 0.9
18명 18 4 0.6 0.6
19명 19 1 0.1 0.1
20명 20 3 0.4 0.4
21명 21 3 0.4 0.4
26명 26 1 0.1 0.1
28명 28 2 0.3 0.3
30명 30 1 0.1 0.1
40명 40 3 0.4 0.4
50명 50 4 0.6 0.6
51명 51 1 0.1 0.1
52명 52 1 0.1 0.1
84명 84 1 0.1 0.1
무응답 99 1 0.1 0.1
682
100.0 100.0 1. 귀하의 실험실 성원은 총 몇 명입니까?
Q02_1
실험실 구성원 수: 남자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명 0 12 1.8 1.8
1명 1 18 2.6 2.6
2명 2 50 7.3 7.3
3명 3 72 10.6 10.6
4명 4 106 15.5 15.5
5명 5 91 13.3 13.3
6명 6 72 10.6 10.6
7명 7 92 13.5 13.5
8명 8 65 9.5 9.5
9명 9 34 5.0 5.0
10명 10 22 3.2 3.2
11명 11 11 1.6 1.6
12명 12 13 1.9 1.9
13명 13 3 0.4 0.4
14명 14 5 0.7 0.7
15명 15 3 0.4 0.4
16명 16 2 0.3 0.3
18명 18 1 0.1 0.1
32명 32 1 0.1 0.1
34명 34 2 0.3 0.3
42명 42 2 0.3 0.3
43명 43 1 0.1 0.1
44명 44 1 0.1 0.1
45명 45 1 0.1 0.1
49명 49 1 0.1 0.1
무응답 99 1 0.1 0.1
682
100.0 100.0 2. 다음은 실험실의 구성에 대한 질문입니다. 귀하의 실험실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습니까?
[성별]
1) 남자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 예비과학자
Q02_2
실험실 구성원 수: 여자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명 0 91 13.3 13.3
1명 1 112 16.4 16.4
2명 2 94 13.8 13.8
3명 3 101 14.8 14.8
4명 4 92 13.5 13.5
5명 5 69 10.1 10.1
6명 6 56 8.2 8.2
7명 7 19 2.8 2.8
8명 8 19 2.8 2.8
9명 9 12 1.8 1.8
10명 10 5 0.7 0.7
11명 11 1 0.1 0.1
12명 12 3 0.4 0.4
14명 14 2 0.3 0.3
16명 16 1 0.1 0.1
18명 18 1 0.1 0.1
19명 19 1 0.1 0.1
20명 20 2 0.3 0.3
무응답 99 1 0.1 0.1
682
100.0 100.0
Q02_3
실험실 구성원 수: 학위-학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명 0 405 59.4 59.4
1명 1 121 17.7 17.7
2명 2 69 10.1 10.1
3명 3 46 6.7 6.7
2. 다음은 실험실의 구성에 대한 질문입니다. 귀하의 실험실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습니까?
[성별]
2) 여자
2. 다음은 실험실의 구성에 대한 질문입니다. 귀하의 실험실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습니까?
[학위]
1) 학부
5명 5 4 0.6 0.6
6명 6 5 0.7 0.7
7명 7 5 0.7 0.7
8명 8 1 0.1 0.1
10명 10 1 0.1 0.1
무응답 99 1 0.1 0.1
682
100.0 100.0
Q02_4
실험실 구성원 수: 학위-석사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명 0 50 7.3 7.3
1명 1 62 9.1 9.1
2명 2 119 17.4 17.4
3명 3 165 24.2 24.2
4명 4 104 15.2 15.2
5명 5 68 10.0 10.0
6명 6 55 8.1 8.1
7명 7 26 3.8 3.8
8명 8 8 1.2 1.2
9명 9 6 0.9 0.9
10명 10 7 1.0 1.0
19명 19 1 0.1 0.1
26명 26 1 0.1 0.1
27명 27 2 0.3 0.3
30명 30 1 0.1 0.1
31명 31 2 0.3 0.3
33명 33 2 0.3 0.3
36명 36 1 0.1 0.1
41명 41 1 0.1 0.1
무응답 99 1 0.1 0.1
682
100.0 100.0 2. 다음은 실험실의 구성에 대한 질문입니다. 귀하의 실험실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습니까?
[학위]
2) 석사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 예비과학자
Q02_5
실험실 구성원 수: 학위-박사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명 0 58 8.5 8.5
1명 1 95 13.9 13.9
2명 2 117 17.2 17.2
3명 3 93 13.6 13.6
4명 4 72 10.6 10.6
5명 5 52 7.6 7.6
6명 6 39 5.7 5.7
7명 7 56 8.2 8.2
8명 8 42 6.2 6.2
9명 9 18 2.6 2.6
10명 10 13 1.9 1.9
11명 11 5 0.7 0.7
12명 12 8 1.2 1.2
13명 13 6 0.9 0.9
14명 14 1 0.1 0.1
16명 16 1 0.1 0.1
17명 17 2 0.3 0.3
18명 18 2 0.3 0.3
70명 70 1 0.1 0.1
무응답 99 1 0.1 0.1
682
100.0 100.0
Q02_6
실험실 구성원 수: 학위-포닥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명 0 379 55.6 55.6
1명 1 195 28.6 28.6
2명 2 77 11.3 11.3
2. 다음은 실험실의 구성에 대한 질문입니다. 귀하의 실험실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습니까?
[학위]
5) 포닥
2. 다음은 실험실의 구성에 대한 질문입니다. 귀하의 실험실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습니까?
[학위]
3) 박사
4명 4 16 2.3 2.3
5명 5 1 0.1 0.1
7명 7 1 0.1 0.1
9명 9 1 0.1 0.1
10명 10 1 0.1 0.1
무응답 99 1 0.1 0.1
682
100.0 100.0
Q02_7
실험실 구성원 수: 국적-외국인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명 0 497 72.9 72.9
1명 1 124 18.2 18.2
2명 2 37 5.4 5.4
3명 3 9 1.3 1.3
4명 4 7 1.0 1.0
5명 5 6 0.9 0.9
20명 20 1 0.1 0.1
무응답 99 1 0.1 0.1
682
100.0 100.0
Q03_1
지난 3년간 연구비 지원 여부: 정부로부터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609 89.3 89.3
아니오 2 20 2.9 2.9
모른다 3 40 5.9 5.9
무응답 9 13 1.9 1.9
682
100.0 100.0 2. 다음은 실험실의 구성에 대한 질문입니다. 귀하의 실험실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습니까?
[국적]
1) 외국인
3. 귀하의 실험실은 다음 기관으로부터 최근 3년간 연구비를 지원받은 적이 있습니까?
1) 정부(과기부, 과학재단, 학진 등)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 예비과학자
Q03_2
지난 3년간 연구비 지원 여부: 산업체로부터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249 36.5 36.5
아니오 2 153 22.4 22.4
모른다 3 104 15.2 15.2
무응답 9 176 25.8 25.8
682
100.0 100.0
Q04_1
실험실 근무시간: 평일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약 5시간 5 5 0.7 0.7
약 6시간 6 4 0.6 0.6
약 7시간 7 5 0.7 0.7
약 8시간 8 41 6.0 6.0
약 9시간 9 24 3.5 3.5
약 10시간 10 128 18.8 18.8
약 11시간 11 22 3.2 3.2
약 12시간 12 219 32.1 32.1
약 13시간 13 73 10.7 10.7
약 14시간 14 88 12.9 12.9
약 15시간 15 46 6.7 6.7
약 16시간 16 17 2.5 2.5
약 17시간 17 3 0.4 0.4
약 18시간 18 1 0.1 0.1
약 19시간 19 2 0.3 0.3
약 24시간 24 2 0.3 0.3
무응답 99 2 0.3 0.3
682
100.0 100.0 3. 귀하의 실험실은 다음 기관으로부터 최근 3년간 연구비를 지원받은 적이 있습니까?
2) 산업체
4. 귀하가 실험실에서 근무하는 시간은 하루 평균 얼마나 되십니까?
1) 평일(월~금)
Q04_2
실험실 근무시간: 주말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약 0시간 0 67 9.8 9.8
약 1시간 1 5 0.7 0.7
약 2시간 2 22 3.2 3.2
약 3시간 3 34 5.0 5.0
약 4시간 4 47 6.9 6.9
약 5시간 5 86 12.6 12.6
약 6시간 6 107 15.7 15.7
약 7시간 7 45 6.6 6.6
약 8시간 8 99 14.5 14.5
약 9시간 9 38 5.6 5.6
약 10시간 10 70 10.3 10.3
약 11시간 11 2 0.3 0.3
약 12시간 12 40 5.9 5.9
약 13시간 13 3 0.4 0.4
약 14시간 14 6 0.9 0.9
약 15시간 15 4 0.6 0.6
약 16시간 16 2 0.3 0.3
약 19시간 19 1 0.1 0.1
약 24시간 24 2 0.3 0.3
무응답 99 2 0.3 0.3
682
100.0 100.0
Q05
업무시간의 자율성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22 3.2 3.2
그렇지 않다 2 73 10.7 10.7
보통이다 3 170 24.9 24.9
그렇다 4 291 42.7 42.7
매우 그렇다 5 126 18.5 18.5
682
100.0 100.0 4. 귀하가 실험실에서 근무하는 시간은 하루 평균 얼마나 되십니까?
2) 주말(토, 일)
5. 귀하는 하루 일을 시작하거나 끝내는 시간을 어느 정도 스스로 결정할 수 있습니까?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 예비과학자
Q06
업무진행의 자율성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4 0.6 0.6
그렇지 않다 2 29 4.3 4.3
보통이다 3 126 18.5 18.5
그렇다 4 377 55.3 55.3
매우 그렇다 5 146 21.4 21.4
682
100.0 100.0
Q07
본인 퇴직 시 대체인력 충원 용이성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36 5.3 5.3
그렇지 않다 2 113 16.6 16.6
보통이다 3 254 37.2 37.2
그렇다 4 214 31.4 31.4
매우 그렇다 5 65 9.5 9.5
682
100.0 100.0
Q08_A1
실험실문화 및 분위기-A-1) 갈등이 빨리 해결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23 3.4 3.4
그렇지 않다 2 95 13.9 13.9
보통이다 3 244 35.8 35.8
그렇다 4 264 38.7 38.7
매우 그렇다 5 56 8.2 8.2
682
100.0 100.0 7. 만일 귀하가 현재 일을 그만 둔다면 실험실에서 대신할 사람을 찾는 것이 얼마나 어렵다고 생 각하십니까?
8. 다음은 실험실 문화 및 분위기에 대한 내용입니다(A부터 D까지). 귀하의 실험실은 다음 내 용에 대해 각각 어떻습니까? 각 문항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를 표시해주십시오.
A-1) 갈등이 생겨도 빨리 해결된다.
6. 귀하는 하루 일을 진행하는 방식을 어느 정도 스스로 결정할 수 있습니까?
Q08_A2
실험실문화 및 분위기-A-2) 서로를 존중하는 태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10 1.5 1.5
그렇지 않다 2 39 5.7 5.7
보통이다 3 200 29.3 29.3
그렇다 4 337 49.4 49.4
매우 그렇다 5 95 13.9 13.9
무응답 9 1 0.1 0.1
682
100.0 100.0
Q08_A3
실험실문화 및 분위기-A-3) 성원들이 과학자로서 지닌 가치관은 나와 비슷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19 2.8 2.8
그렇지 않다 2 127 18.6 18.6
보통이다 3 307 45.0 45.0
그렇다 4 201 29.5 29.5
매우 그렇다 5 27 4.0 4.0
무응답 9 1 0.1 0.1
682
100.0 100.0
Q08_A4
실험실문화 및 분위기-A-4) 지도교수와 쉽게 접촉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15 2.2 2.2
그렇지 않다 2 45 6.6 6.6
보통이다 3 126 18.5 18.5
그렇다 4 299 43.8 43.8
매우 그렇다 5 196 28.7 28.7
무응답 9 1 0.1 0.1
682
100.0 100.0 8. 다음은 실험실 문화 및 분위기에 대한 내용입니다(A부터 D까지). 귀하의 실험실은 다음 내 용에 대해 각각 어떻습니까? 각 문항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를 표시해주십시오.
A-3) 성원들이 과학자로서 지닌 가치관은 나와 비슷하다.
8. 다음은 실험실 문화 및 분위기에 대한 내용입니다(A부터 D까지). 귀하의 실험실은 다음 내 용에 대해 각각 어떻습니까? 각 문항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를 표시해주십시오.
A-4) 성원들은 지도교수과 쉽게 접촉할 수 있다.
8. 다음은 실험실 문화 및 분위기에 대한 내용입니다(A부터 D까지). 귀하의 실험실은 다음 내 용에 대해 각각 어떻습니까? 각 문항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를 표시해주십시오.
A-2) 성원들은 서로를 존중하는 태도로 대한다.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 예비과학자
Q08_B1
실험실문화 및 분위기-B-1) 다른 사람의 연구 프로젝트에 대해 잘 모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54 7.9 7.9
그렇지 않다 2 335 49.1 49.1
보통이다 3 201 29.5 29.5
그렇다 4 86 12.6 12.6
매우 그렇다 5 5 0.7 0.7
무응답 9 1 0.1 0.1
682
100.0 100.0
Q08_B2
실험실문화 및 분위기-B-2) 성원들의 시간을 연구팀과 보내는 경향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11 1.6 1.6
그렇지 않다 2 146 21.4 21.4
보통이다 3 205 30.1 30.1
그렇다 4 270 39.6 39.6
매우 그렇다 5 50 7.3 7.3
682
100.0 100.0
Q08_B3
실험실문화 및 분위기-B-3) 서로를 배려하는 태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6 0.9 0.9
그렇지 않다 2 32 4.7 4.7
보통이다 3 212 31.1 31.1
그렇다 4 370 54.3 54.3
매우 그렇다 5 62 9.1 9.1
682
100.0 100.0 8. 다음은 실험실 문화 및 분위기에 대한 내용입니다(A부터 D까지). 귀하의 실험실은 다음 내 용에 대해 각각 어떻습니까? 각 문항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를 표시해주십시오.
B-1) 성원들은 다른 사람의 연구 프로젝트에 대해 잘 모른다.
8. 다음은 실험실 문화 및 분위기에 대한 내용입니다(A부터 D까지). 귀하의 실험실은 다음 내 용에 대해 각각 어떻습니까? 각 문항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를 표시해주십시오.
B-2) 성원들은 자신의 시간 전부를 연구팀과 보내는 경향이 있다.
8. 다음은 실험실 문화 및 분위기에 대한 내용입니다(A부터 D까지). 귀하의 실험실은 다음 내 용에 대해 각각 어떻습니까? 각 문항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를 표시해주십시오.
B-3) 성원들은 서로를 배려하고 있다.
Q08_B4
실험실문화 및 분위기-B-4) 지도교수와 성원들 간의 결속감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18 2.6 2.6
그렇지 않다 2 62 9.1 9.1
보통이다 3 223 32.7 32.7
그렇다 4 313 45.9 45.9
매우 그렇다 5 65 9.5 9.5
무응답 9 1 0.1 0.1
682
100.0 100.0
Q08_C1
실험실문화 및 분위기-C-1) 자신의 이해관계를 최우선으로 함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7 1.0 1.0
그렇지 않다 2 138 20.2 20.2
보통이다 3 290 42.5 42.5
그렇다 4 222 32.6 32.6
매우 그렇다 5 24 3.5 3.5
무응답 9 1 0.1 0.1
682
100.0 100.0
Q08_C2
실험실문화 및 분위기-C-2) 연구자원을 얻기 위한 경쟁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33 4.8 4.8
그렇지 않다 2 280 41.1 41.1
보통이다 3 264 38.7 38.7
그렇다 4 93 13.6 13.6
매우 그렇다 5 11 1.6 1.6
무응답 9 1 0.1 0.1
682
100.0 100.0 8. 다음은 실험실 문화 및 분위기에 대한 내용입니다(A부터 D까지). 귀하의 실험실은 다음 내 용에 대해 각각 어떻습니까? 각 문항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를 표시해주십시오.
B-4) 지도교수와 성원들 간에 결속감이 있다.
8. 다음은 실험실 문화 및 분위기에 대한 내용입니다(A부터 D까지). 귀하의 실험실은 다음 내 용에 대해 각각 어떻습니까? 각 문항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를 표시해주십시오.
C-1) 성원들은 자신의 이해관계를 최우선으로 한다.
8. 다음은 실험실 문화 및 분위기에 대한 내용입니다(A부터 D까지). 귀하의 실험실은 다음 내 용에 대해 각각 어떻습니까? 각 문항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를 표시해주십시오.
C-2) 성원들은 연구자원을 얻기 위해 경쟁한다.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 예비과학자
Q08_C3
실험실문화 및 분위기-C-3) 성원들 간에 긴장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36 5.3 5.3
그렇지 않다 2 219 32.1 32.1
보통이다 3 290 42.5 42.5
그렇다 4 127 18.6 18.6
매우 그렇다 5 10 1.5 1.5
682
100.0 100.0
Q08_C4
실험실문화 및 분위기-C-4) 지도교수는 연구 성과를 올리는데 가장 관심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103 15.1 15.1
그렇지 않다 2 310 45.5 45.5
보통이다 3 174 25.5 25.5
그렇다 4 77 11.3 11.3
매우 그렇다 5 18 2.6 2.6
682
100.0 100.0
Q08_D1
실험실문화 및 분위기-D-1) 일이 진행되는 방식 및 의사소통 과정이 민주적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17 2.5 2.5
그렇지 않다 2 93 13.6 13.6
보통이다 3 225 33.0 33.0
그렇다 4 293 43.0 43.0
매우 그렇다 5 54 7.9 7.9
682
100.0 100.0 8. 다음은 실험실 문화 및 분위기에 대한 내용입니다(A부터 D까지). 귀하의 실험실은 다음 내 용에 대해 각각 어떻습니까? 각 문항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를 표시해주십시오.
D-1) 일이 진행되는 방식이나 의사소통의 과정이 민주적이다.
8. 다음은 실험실 문화 및 분위기에 대한 내용입니다(A부터 D까지). 귀하의 실험실은 다음 내 용에 대해 각각 어떻습니까? 각 문항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를 표시해주십시오.
C-3) 성원들 간에 긴장이 있다.
8. 다음은 실험실 문화 및 분위기에 대한 내용입니다(A부터 D까지). 귀하의 실험실은 다음 내 용에 대해 각각 어떻습니까? 각 문항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를 표시해주십시오.
C-4) 지도교수는 학문적 관심이나 연구과정보다 연구 성과를 올리는데 가장 관심이 있다.
Q08_D2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8 1.2 1.2
그렇지 않다 2 59 8.7 8.7
보통이다 3 137 20.1 20.1
그렇다 4 368 54.0 54.0
매우 그렇다 5 109 16.0 16.0
무응답 9 1 0.1 0.1
682
100.0 100.0
Q08_D3
실험실문화 및 분위기-D-3) 위계질서가 분명하고 상명하복의 문화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91 13.3 13.3
그렇지 않다 2 266 39.0 39.0
보통이다 3 196 28.7 28.7
그렇다 4 92 13.5 13.5
매우 그렇다 5 31 4.5 4.5
무응답 9 6 0.9 0.9
682
100.0 100.0
Q09
실험실내 구성원들간 의사결정구조의 민주성/권위성 평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점 (매우 민주적) 1 71 10.4 10.4
2점 2 155 22.7 22.7
3점 3 167 24.5 24.5
4점 4 109 16.0 16.0
5점 5 82 12.0 12.0
8. 다음은 실험실 문화 및 분위기에 대한 내용입니다(A부터 D까지). 귀하의 실험실은 다음 내 용에 대해 각각 어떻습니까? 각 문항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를 표시해주십시오.
D-2) 개인능력이나 기술이 뛰어나다면 나이나 위치에 관계없이 발언권이 주어진다.
8. 다음은 실험실 문화 및 분위기에 대한 내용입니다(A부터 D까지). 귀하의 실험실은 다음 내 용에 대해 각각 어떻습니까? 각 문항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를 표시해주십시오.
D-3) 성원들 간에 위계질서가 분명하고 상명하복의 문화이다.
9. 귀하의 연구실은 성원들 사이의 의사결정 구조가 얼마나 민주적/권위적인지 그 정도를 체크 표시해주십시오.
실험실문화 및 분위기-D-2) 개인능력이나 기술이 뛰어나면 나이나 위치에 관계없이 발언권 존재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 예비과학자
6점 6 62 9.1 9.1
7점 7 20 2.9 2.9
8점 (매우 권위적) 8 9 1.3 1.3
무응답 9 7 1.0 1.0
682
100.0 100.0
Q10
실험실내 위계서열의 필요성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26 3.8 3.8
그렇지 않다 2 126 18.5 18.5
보통이다 3 247 36.2 36.2
그렇다 4 252 37.0 37.0
매우 그렇다 5 30 4.4 4.4
무응답 9 1 0.1 0.1
682
100.0 100.0
Q10_1
실험실내 위계서열이 필요한 이유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위험을 막기 위해 1 81 11.9 11.9
실험의 효율성을 위해 2 243 35.6 35.6
과학적 훈련을 위해 3 70 10.3 10.3
기강 확립 차원에서 4 69 10.1 10.1
기타 5 21 3.1 3.1
무응답 9 198 29.0 29.0
682
100.0 100.0 10. 실험실에서 위계서열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0-1. 위계서열이 필요하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Q11
실험실내 가장 시급하게 개선되어야 할 점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지도교수의 전횡 1 36 5.3 5.3
선후배간 위계질서 2 36 5.3 5.3
사생활이 보장되지 않는 현실 3 105 15.4 15.4
과도한 노동시간 4 135 19.8 19.8
실험실 위험 5 57 8.4 8.4
기타 6 105 15.4 15.4
없음 7 174 25.5 25.5
무응답 9 34 5.0 5.0
682
100.0 100.0
Q12
실험과정에서 배웠던 지식과 실제 실험에서 요구되는 지식의 차이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6 0.9 0.9
그렇지 않다 2 79 11.6 11.6
보통이다 3 178 26.1 26.1
그렇다 4 338 49.6 49.6
매우 그렇다 5 79 11.6 11.6
무응답 9 2 0.3 0.3
682
100.0 100.0
Q13_1
실험과정에서 도움을 구하는 대상: 1순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실험실 동료 1 100 14.7 14.7
실험실 선배(포스트닥 포함) 2 289 42.4 42.4
지도교수 3 140 20.5 20.5
인터넷 저널이나 책 4 146 21.4 21.4
외부전문가 5 6 0.9 0.9
무응답 9 1 0.1 0.1
682
100.0 100.0 11. 실험실에서 가장 시급하게 개선되어야 할 것이 있다면 무엇입니까?
12. 실험 과정에서 교과서에서 배웠던 지식과 실제 실험에서 요구되는 지식의 차이를 느꼈습니 까?
13. 실험 과정에서 벽에 부딪혔을 때 도움을 구하는 대상은 무엇입니까?(가장 중요한 순서대로 2개)
1) 1순위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 예비과학자
Q13_2
실험과정에서 도움을 구하는 대상: 2순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실험실 동료 1 122 17.9 17.9
실험실 선배(포스트닥 포함) 2 149 21.8 21.8
지도교수 3 187 27.4 27.4
인터넷 저널이나 책 4 180 26.4 26.4
외부전문가 5 22 3.2 3.2
무응답 9 22 3.2 3.2
682
100.0 100.0
Q14
과학자로서 지켜야 할 가치와 태도에 영향을 사람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교수 1 347 50.9 50.9
선배 2 151 22.1 22.1
동료 3 26 3.8 3.8
저명 과학자 4 64 9.4 9.4
부모님 5 19 2.8 2.8
기타 6 27 4.0 4.0
없음 7 46 6.7 6.7
무응답 9 2 0.3 0.3
682
100.0 100.0
Q15
과학자가 되었다는 생각이 든 시기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석사진학 1 201 29.5 29.5
석사졸업 2 58 8.5 8.5
박사진학 3 193 28.3 28.3
박사졸업 4 87 12.8 12.8
포스트닥 이후 5 46 6.7 6.7
무응답 9 97 14.2 14.2
682
100.0 100.0 13. 실험 과정에서 벽에 부딪혔을 때 도움을 구하는 대상은 무엇입니까?(가장 중요한 순서대로 2개)
2) 2순위
14. 과학자로서 지켜야 할 가치와 태도에 대해 귀하에게 누가 가장 큰 영향을 주었습니까?
15. 내가 비로소 과학자가 되었다는 생각이 든 때는 언제였습니까?(아래 칸의 해당 시기에 체크 표시 해주십시오)
Q16_1
전문적인 과학자 훈련과정의 중요성1: 실험실 생활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중요하지 않음 1 3 0.4 0.4
중요하지 않음 2 7 1.0 1.0
보통 3 77 11.3 11.3
중요함 4 415 60.9 60.9
매우 중요 5 175 25.7 25.7
무응답 9 5 0.7 0.7
682
100.0 100.0
Q16_2
전문적인 과학자 훈련과정의 중요성2: 논문 작성 및 발표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중요하지 않음 1 2 0.3 0.3
보통 3 29 4.3 4.3
중요함 4 273 40.0 40.0
매우 중요 5 377 55.3 55.3
무응답 9 1 0.1 0.1
682
100.0 100.0
Q16_3
전문적인 과학자 훈련과정의 중요성3: 비공식 미팅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중요하지 않음 1 1 0.1 0.1
중요하지 않음 2 19 2.8 2.8
보통 3 170 24.9 24.9
중요함 4 362 53.1 53.1
매우 중요 5 128 18.8 18.8
무응답 9 2 0.3 0.3
682
100.0 100.0 16. 대학원 과정은 전문적인 과학자로 훈련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음 각 과정의 중 요성을 표시해 주십시오.
3) 비공식 미팅
16. 대학원 과정은 전문적인 과학자로 훈련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음 각 과정의 중 요성을 표시해 주십시오.
1) 실험실 생활
16. 대학원 과정은 전문적인 과학자로 훈련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음 각 과정의 중 요성을 표시해 주십시오.
2) 논문 작성 및 발표(논평과정 포함)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 예비과학자
Q16_4
전문적인 과학자 훈련과정의 중요성4: 강의 및 교과서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중요하지 않음 1 10 1.5 1.5
중요하지 않음 2 48 7.0 7.0
보통 3 257 37.7 37.7
중요함 4 289 42.4 42.4
매우 중요 5 77 11.3 11.3
무응답 9 1 0.1 0.1
682
100.0 100.0
Q17_1
지도교수의 역할 평가1: 이론지식에 대한 지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5 0.7 0.7
그렇지 않다 2 53 7.8 7.8
보통이다 3 161 23.6 23.6
그렇다 4 318 46.6 46.6
매우 그렇다 5 143 21.0 21.0
무응답 9 2 0.3 0.3
682
100.0 100.0
Q17_2
지도교수의 역할 평가2: 절차, 기술 등의 실질적인 지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13 1.9 1.9
그렇지 않다 2 84 12.3 12.3
보통이다 3 202 29.6 29.6
그렇다 4 272 39.9 39.9
매우 그렇다 5 110 16.1 16.1
무응답 9 1 0.1 0.1
682
100.0 100.0 16. 대학원 과정은 전문적인 과학자로 훈련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음 각 과정의 중 요성을 표시해 주십시오.
4) 강의 및 교과서
17. 다음은 지도교수의 역할에 대한 내용입니다. 귀하의 지도교수는 다음의 역할을 얼마만큼 잘 수행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각 문항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를 표시해주십시오.
1) 이론지식에 대한 지도
17. 다음은 지도교수의 역할에 대한 내용입니다. 귀하의 지도교수는 다음의 역할을 얼마만큼 잘 수행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각 문항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를 표시해주십시오.
2) 절차, 기술 등의 실질적인 지도
Q17_3
지도교수의 역할 평가3: 연구 방향이나 주제 제시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5 0.7 0.7
그렇지 않다 2 35 5.1 5.1
보통이다 3 117 17.2 17.2
그렇다 4 306 44.9 44.9
매우 그렇다 5 218 32.0 32.0
무응답 9 1 0.1 0.1
682
100.0 100.0
Q17_4
지도교수의 역할 평가4: 연구 환경의 제공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4 0.6 0.6
그렇지 않다 2 24 3.5 3.5
보통이다 3 98 14.4 14.4
그렇다 4 293 43.0 43.0
매우 그렇다 5 262 38.4 38.4
무응답 9 1 0.1 0.1
682
100.0 100.0
Q17_5
지도교수의 역할 평가5: 취업에 도움을 줌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43 6.3 6.3
그렇지 않다 2 129 18.9 18.9
보통이다 3 267 39.1 39.1
그렇다 4 181 26.5 26.5
매우 그렇다 5 59 8.7 8.7
무응답 9 3 0.4 0.4
682
100.0 100.0 17. 다음은 지도교수의 역할에 대한 내용입니다. 귀하의 지도교수는 다음의 역할을 얼마만큼 잘 수행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각 문항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를 표시해주십시오.
5) 취업에 도움을 줌
17. 다음은 지도교수의 역할에 대한 내용입니다. 귀하의 지도교수는 다음의 역할을 얼마만큼 잘 수행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각 문항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를 표시해주십시오.
3) 연구 방향이나 주제 제시
17. 다음은 지도교수의 역할에 대한 내용입니다. 귀하의 지도교수는 다음의 역할을 얼마만큼 잘 수행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각 문항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를 표시해주십시오.
4) 연구 환경의 제공(연구비, 실험기기, 공간)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 예비과학자
Q17_6
지도교수의 역할 평가6: 과학자로서의 역할 모델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10 1.5 1.5
그렇지 않다 2 47 6.9 6.9
보통이다 3 196 28.7 28.7
그렇다 4 271 39.7 39.7
매우 그렇다 5 156 22.9 22.9
무응답 9 2 0.3 0.3
682
100.0 100.0
Q18_1
대학원 과정에서 얻는 것: 1순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과학적 사고와 문제해결 능력 1 344 50.4 50.4
실제적인 실험테크닉에 대한 훈련 2 151 22.1 22.1
연구자로서 갖추어야 할 자질 도야(끈기, 인내심 등) 3 136 19.9 19.9
동료들과의 집단생활과 협동 4 24 3.5 3.5
자신의 향우 연구주제를 얻는 기회 5 25 3.7 3.7
무응답 9 2 0.3 0.3
682
100.0 100.0
Q18_2
대학원 과정에서 얻는 것: 2순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과학적 사고와 문제해결 능력 1 151 22.1 22.1
실제적인 실험테크닉에 대한 훈련 2 202 29.6 29.6
연구자로서 갖추어야 할 자질 도야(끈기, 인내심 등) 3 147 21.6 21.6
동료들과의 집단생활과 협동 4 101 14.8 14.8
자신의 향우 연구주제를 얻는 기회 5 77 11.3 11.3
무응답 9 4 0.6 0.6
682
100.0 100.0 17. 다음은 지도교수의 역할에 대한 내용입니다. 귀하의 지도교수는 다음의 역할을 얼마만큼 잘 수행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각 문항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를 표시해주십시오.
6) 과학자로서의 역할 모델
18. 대학원 과정에서 얻는 것이 있다면, 중요한 순서대로 두 가지를 선택해 주십시오.
1) 1순위
18. 대학원 과정에서 얻는 것이 있다면, 중요한 순서대로 두 가지를 선택해 주십시오.
2) 2순위
Q19_1
학위논문 주제 선택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점: 1순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학문적 중요성 1 189 27.7 27.7
자신의 관심 2 284 41.6 41.6
사회 경제적 효과 3 24 3.5 3.5
직업전망 4 27 4.0 4.0
국제적 연구동향 5 54 7.9 7.9
지도교수의 의견 6 79 11.6 11.6
지도교수의 전공 7 21 3.1 3.1
기타 8 2 0.3 0.3
무응답 9 2 0.3 0.3
682
100.0 100.0
Q19_2
학위논문 주제 선택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점: 2순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학문적 중요성 1 167 24.5 24.5
자신의 관심 2 162 23.8 23.8
사회 경제적 효과 3 51 7.5 7.5
직업전망 4 45 6.6 6.6
국제적 연구동향 5 92 13.5 13.5
지도교수의 의견 6 138 20.2 20.2
지도교수의 전공 7 19 2.8 2.8
기타 8 4 0.6 0.6
무응답 9 4 0.6 0.6
682
100.0 100.0 19. 학위논문 주제를 선택할 때 무엇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십니까?(중요한 순서대로 2개) 2) 2순위
19. 학위논문 주제를 선택할 때 무엇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십니까?(중요한 순서대로 2개) 1) 1순위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 예비과학자
Q20_A1
다른 분야 연구자와 다른 느낌을 받은 이유: 1순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학문적 훈련방법의 차이 1 141 20.7 20.7
학문적 훈련의 강도 차이 2 93 13.6 13.6
연구의 대상과 주제가 다르다 3 194 28.4 28.4
생활, 사고, 가치 등 완전히 다른 세계에 살고 있다 4 218 32.0 32.0
향후 진로가 다르다 5 17 2.5 2.5
그런 느낌을 받은 적이 없다 6 18 2.6 2.6
무응답 9 1 0.1 0.1
682
100.0 100.0
Q20_A2
다른 분야 연구자와 다른 느낌을 받은 이유: 2순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학문적 훈련방법의 차이 1 164 24.0 24.0
학문적 훈련의 강도 차이 2 110 16.1 16.1
연구의 대상과 주제가 다르다 3 147 21.6 21.6
생활, 사고, 가치 등 완전히 다른 세계에 살고 있다 4 155 22.7 22.7
향후 진로가 다르다 5 80 11.7 11.7
그런 느낌을 받은 적이 없다 6 1 0.1 0.1
무응답 9 25 3.7 3.7
682
100.0 100.0
Q20_1
다른 분야 연구자와 다른 느낌을 받은 시기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학부 저학년 1 170 24.9 24.9
학부 고학년 2 222 32.6 32.6
석사 과정 3 197 28.9 28.9
박사 과정 4 34 5.0 5.0
박사 학위 이후 5 4 0.6 0.6
무응답 9 55 8.1 8.1
682
100.0 100.0 20-1. 다르다는 느낌을 처음 받은 때는 언제입니까?
20. 다른 분야(예를 들어, 인문학이나 사회과학 등) 연구자들과 다르다는 느낌을 받았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가장 중요한 순서대로 2개)
1) 1순위
20. 다른 분야(예를 들어, 인문학이나 사회과학 등) 연구자들과 다르다는 느낌을 받았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가장 중요한 순서대로 2개)
2) 2순위
Q21
졸업후 직업 예상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교수 1 145 21.3 21.3
교사(초중고) 2 4 0.6 0.6
국책연구소 연구원 3 204 29.9 29.9
민간기업 연구원 4 229 33.6 33.6
공무원 5 14 2.1 2.1
변리사 6 4 0.6 0.6
일반 사무직 7 3 0.4 0.4
기타 8 49 7.2 7.2
무응답 9 30 4.4 4.4
682
100.0 100.0
Q22_1
과학자로서 보람을 느끼는 때1: 성공적인 연구 결과를 냈을 때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그렇지 않다 2 1 0.1 0.1
보통이다 3 24 3.5 3.5
그렇다 4 187 27.4 27.4
매우 그렇다 5 452 66.3 66.3
해당없음 6 13 1.9 1.9
무응답 9 5 0.7 0.7
682
100.0 100.0 21. 귀하는 졸업 후 어떤 직업을 갖게 될 것으로 예상하십니까?
22. 과학자로서 언제 가장 큰 보람을 느끼십니까? 각 문항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를 표시해주십 시오.
1) 성공적인 연구 결과를 냈을 때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 예비과학자
Q22_2
과학자로서 보람을 느끼는 때2: 지도교수로부터 인정을 받았을 때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3 0.4 0.4
그렇지 않다 2 6 0.9 0.9
보통이다 3 97 14.2 14.2
그렇다 4 347 50.9 50.9
매우 그렇다 5 211 30.9 30.9
해당없음 6 14 2.1 2.1
무응답 9 4 0.6 0.6
682
100.0 100.0
Q22_3
과학자로서 보람을 느끼는 때3: 논문에 내 이름이 적절한 순서에 올라있는 것을 보았을 때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6 0.9 0.9
그렇지 않다 2 14 2.1 2.1
보통이다 3 146 21.4 21.4
그렇다 4 295 43.3 43.3
매우 그렇다 5 164 24.0 24.0
해당없음 6 53 7.8 7.8
무응답 9 4 0.6 0.6
682
100.0 100.0 22. 과학자로서 언제 가장 큰 보람을 느끼십니까? 각 문항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를 표시해주십 시오.
2) 지도교수로부터 인정을 받았을 때
22. 과학자로서 언제 가장 큰 보람을 느끼십니까? 각 문항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를 표시해주십 시오.
3) 논문에 내 이름이 적절한 순서에 올라있는 것을 보았을 때
Q22_4
과학자로서 보람을 느끼는 때4: 다른 사람의 논문에 내 논문이 인용되었을 때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4 0.6 0.6
그렇지 않다 2 12 1.8 1.8
보통이다 3 89 13.0 13.0
그렇다 4 230 33.7 33.7
매우 그렇다 5 237 34.8 34.8
해당없음 6 104 15.2 15.2
무응답 9 6 0.9 0.9
682
100.0 100.0
Q22_5
과학자로서 보람을 느끼는 때5: 제1 저자로 SCI 논문이 실렸을 때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5 0.7 0.7
그렇지 않다 2 5 0.7 0.7
보통이다 3 58 8.5 8.5
그렇다 4 172 25.2 25.2
매우 그렇다 5 333 48.8 48.8
해당없음 6 104 15.2 15.2
무응답 9 5 0.7 0.7
682
100.0 100.0 22. 과학자로서 언제 가장 큰 보람을 느끼십니까? 각 문항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를 표시해주십 시오.
4) 다른 사람의 논문에 내 논문이 인용되었을 때
22. 과학자로서 언제 가장 큰 보람을 느끼십니까? 각 문항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를 표시해주십 시오.
5) 제1 저자로 SCI 논문이 실렸을 때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 예비과학자
Q22_6
과학자로서 보람을 느끼는 때6: 연구계획서가 채택되어 연구비를 지원받게 되었을 때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6 0.9 0.9
그렇지 않다 2 20 2.9 2.9
보통이다 3 182 26.7 26.7
그렇다 4 228 33.4 33.4
매우 그렇다 5 143 21.0 21.0
해당없음 6 98 14.4 14.4
무응답 9 5 0.7 0.7
682
100.0 100.0
Q23_A1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13 1.9 1.9
그렇지 않다 2 48 7.0 7.0
보통이다 3 141 20.7 20.7
그렇다 4 338 49.6 49.6
매우 그렇다 5 141 20.7 20.7
무응답 9 1 0.1 0.1
682
100.0 100.0 22. 과학자로서 언제 가장 큰 보람을 느끼십니까? 각 문항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를 표시해주십 시오.
6) 연구계획서가 채택되어 연구비를 지원받게 되었을 때
23. 다음은 한국의 과학자 사회의 가치와 규범을 이해하기 위한 질문들입니다(A부터 E까지).
각 문항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를 표시해주십시오.
A-1) 국내에서 과학자로 성공하기 위해서는 연구능력뿐 아니라 출신대학이 중요하다.
한국의 과학자 사회의 가치와 규범에 대한 의견 A-1) 과학자로 성공하기 위한 연구능력과 출신대 학의 중요성
Q23_A2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11 1.6 1.6
그렇지 않다 2 71 10.4 10.4
보통이다 3 162 23.8 23.8
그렇다 4 314 46.0 46.0
매우 그렇다 5 123 18.0 18.0
무응답 9 1 0.1 0.1
682
100.0 100.0
Q23_A3
한국의 과학자 사회의 가치와 규범에 대한 의견 A-3) 국내에서 여성은 과학자로 성공하는데 불리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47 6.9 6.9
그렇지 않다 2 132 19.4 19.4
보통이다 3 201 29.5 29.5
그렇다 4 227 33.3 33.3
매우 그렇다 5 74 10.9 10.9
무응답 9 1 0.1 0.1
682
100.0 100.0 23. 다음은 한국의 과학자 사회의 가치와 규범을 이해하기 위한 질문들입니다(A부터 E까지).
각 문항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를 표시해주십시오.
A-2) 국내 박사 학위자는 외국 박사 학위자에 비해 연구능력을 인정받는 데 불리하다.
23. 다음은 한국의 과학자 사회의 가치와 규범을 이해하기 위한 질문들입니다(A부터 E까지).
각 문항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를 표시해주십시오.
A-3) 국내에서 여성은 남성보다 과학자로 성공하는데 불리하다.
한국의 과학자 사회의 가치와 규범에 대한 의견 A-2) 국내 박사 학위자 연구능력을 인정받는데 불 리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 예비과학자
Q23_B1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83 12.2 12.2
그렇지 않다 2 266 39.0 39.0
보통이다 3 164 24.0 24.0
그렇다 4 153 22.4 22.4
매우 그렇다 5 14 2.1 2.1
무응답 9 2 0.3 0.3
682
100.0 100.0
Q23_B2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51 7.5 7.5
그렇지 않다 2 303 44.4 44.4
보통이다 3 186 27.3 27.3
그렇다 4 130 19.1 19.1
매우 그렇다 5 9 1.3 1.3
무응답 9 3 0.4 0.4
682
100.0 100.0 23. 다음은 한국의 과학자 사회의 가치와 규범을 이해하기 위한 질문들입니다(A부터 E까지).
각 문항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를 표시해주십시오.
B-1) 내 전공분야에서 지적재산권 확보를 위해 국내 과학자가 논문발표를 늦추거나 포기한 것 을 보거나 들은 적이 있다.
23. 다음은 한국의 과학자 사회의 가치와 규범을 이해하기 위한 질문들입니다(A부터 E까지).
각 문항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를 표시해주십시오.
B-2) 국내에서 연구 발표된 실험결과나 데이터를 요청했을 때 거부당하는 것을 주위에서 본 적 이 있다.
한국의 과학자 사회의 가치와 규범에 대한 의견 B-1) 전공분야에서의 지적재산권 확보를 위한 논 문발표 연기 및 포기
한국의 과학자 사회의 가치와 규범에 대한 의견 B-2) 국내에서 연구 발표된 실험결과 및 데이터 요청시 거부당한 경우
Q23_B3
한국의 과학자 사회의 가치와 규범에 대한 의견 B-3) 새로운 발견을 개방적으로 공유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25 3.7 3.7
그렇지 않다 2 218 32.0 32.0
보통이다 3 302 44.3 44.3
그렇다 4 121 17.7 17.7
매우 그렇다 5 14 2.1 2.1
무응답 9 2 0.3 0.3
682
100.0 100.0
Q23_C1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96 14.1 14.1
그렇지 않다 2 440 64.5 64.5
보통이다 3 115 16.9 16.9
그렇다 4 28 4.1 4.1
매우 그렇다 5 2 0.3 0.3
무응답 9 1 0.1 0.1
682
100.0 100.0
Q23_C2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19 2.8 2.8
그렇지 않다 2 173 25.4 25.4
보통이다 3 317 46.5 46.5
그렇다 4 157 23.0 23.0
매우 그렇다 5 12 1.8 1.8
무응답 9 4 0.6 0.6
682
100.0 100.0 23. 다음은 한국의 과학자 사회의 가치와 규범을 이해하기 위한 질문들입니다(A부터 E까지).
각 문항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를 표시해주십시오.
B-3) 과학자들은 새로운 발견을 개방적으로 모든 동료들과 공유한다.
23. 다음은 한국의 과학자 사회의 가치와 규범을 이해하기 위한 질문들입니다(A부터 E까지).
각 문항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를 표시해주십시오.
C-1) 연구비가 풍부한 분야로 연구주제를 바꾸는 것은 비난 받을 일이다.
23. 다음은 한국의 과학자 사회의 가치와 규범을 이해하기 위한 질문들입니다(A부터 E까지).
각 문항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를 표시해주십시오.
C-2) 동료들의 감시로 인해 과학계에서는 연구결과가 이해관계에 의해 왜곡되지 않는다.
한국의 과학자 사회의 가치와 규범에 대한 의견 C-1) 연구비가 풍부한 분야로 연구주제를 바꾸는 것에 대한 비난
한국의 과학자 사회의 가치와 규범에 대한 의견 C-2) 동료들의 감시로 연구결과가 이해관계에 의 해 왜곡되지 않음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 예비과학자
Q23_C3
한국의 과학자 사회의 가치와 규범에 대한 의견 C-3) 국내 과학계 동료심사에 대한 신뢰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15 2.2 2.2
그렇지 않다 2 118 17.3 17.3
보통이다 3 355 52.1 52.1
그렇다 4 182 26.7 26.7
매우 그렇다 5 6 0.9 0.9
무응답 9 6 0.9 0.9
682
100.0 100.0
Q23_D1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43 6.3 6.3
그렇지 않다 2 142 20.8 20.8
보통이다 3 206 30.2 30.2
그렇다 4 246 36.1 36.1
매우 그렇다 5 44 6.5 6.5
무응답 9 1 0.1 0.1
682
100.0 100.0
Q23_D2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1 0.1 0.1
그렇지 않다 2 17 2.5 2.5
보통이다 3 102 15.0 15.0
그렇다 4 408 59.8 59.8
매우 그렇다 5 151 22.1 22.1
무응답 9 3 0.4 0.4
682
100.0 100.0 한국의 과학자 사회의 가치와 규범에 대한 의견 D-2) 유명한 사람의 논문은 연구내용에 비해 더 인정받는 경향
23. 다음은 한국의 과학자 사회의 가치와 규범을 이해하기 위한 질문들입니다(A부터 E까지).
각 문항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를 표시해주십시오.
C-3) 연구논문에 대한 국내 과학계의 동료심사(peer review)는 신뢰할 만하다.
23. 다음은 한국의 과학자 사회의 가치와 규범을 이해하기 위한 질문들입니다(A부터 E까지).
각 문항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를 표시해주십시오.
D-1) 정설에서 벗어난 주장(eg. 사주, 창조론, UFO 등)도 그 진위를 과학적 방법으로 검증해 야 한다.
23. 다음은 한국의 과학자 사회의 가치와 규범을 이해하기 위한 질문들입니다(A부터 E까지).
각 문항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를 표시해주십시오.
D-2) 유명한 사람의 논문은 연구내용에 비해 더 인정받는 경향이 있다.
한국의 과학자 사회의 가치와 규범에 대한 의견 D-1) 정설에서 벗어난 주장 역시 과학적 검증 필요
Q23_D3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4 0.6 0.6
그렇지 않다 2 58 8.5 8.5
보통이다 3 179 26.2 26.2
그렇다 4 364 53.4 53.4
매우 그렇다 5 74 10.9 10.9
무응답 9 3 0.4 0.4
682
100.0 100.0
Q23_E1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13 1.9 1.9
그렇지 않다 2 61 8.9 8.9
보통이다 3 161 23.6 23.6
그렇다 4 354 51.9 51.9
매우 그렇다 5 92 13.5 13.5
무응답 9 1 0.1 0.1
682
100.0 100.0 23. 다음은 한국의 과학자 사회의 가치와 규범을 이해하기 위한 질문들입니다(A부터 E까지).
각 문항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를 표시해주십시오.
D-3) 과학자들은 심지어 자신의 연구와 반대되는 내용이라 할지라도 모든 증거, 가설, 이론들 을 중요하게 검토한다.
23. 다음은 한국의 과학자 사회의 가치와 규범을 이해하기 위한 질문들입니다(A부터 E까지).
각 문항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를 표시해주십시오.
E-1) 개인적인 관심보다 국가발전에 필요한 연구를 하는 과학자가 더 인정받고 있다.
한국의 과학자 사회의 가치와 규범에 대한 의견 D-3) 자신의 연구와 반대되는 내용이라도 모든 증거, 가설, 이론들을 검토
한국의 과학자 사회의 가치와 규범에 대한 의견 E-1) 국가발전에 필요한 연구를 하는 과학자를 인 정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 예비과학자
Q23_E2
한국의 과학자 사회의 가치와 규범에 대한 의견 E-2) 연구 주제 선정시 경제적 응용가능성 중시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1 0.1 0.1
그렇지 않다 2 24 3.5 3.5
보통이다 3 81 11.9 11.9
그렇다 4 358 52.5 52.5
매우 그렇다 5 216 31.7 31.7
무응답 9 2 0.3 0.3
682
100.0 100.0
Q23_E3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7 1.0 1.0
그렇지 않다 2 45 6.6 6.6
보통이다 3 193 28.3 28.3
그렇다 4 352 51.6 51.6
매우 그렇다 5 81 11.9 11.9
무응답 9 4 0.6 0.6
682
100.0 100.0
Q24_1
연구부정행위의 심각성1: 없는 결과 만들어내기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심각함 1 90 13.2 13.2
심각함 2 80 11.7 11.7
별로 심각하지 않음 3 316 46.3 46.3
전혀 심각하지 않음 4 187 27.4 27.4
무응답 9 9 1.3 1.3
682
100.0 100.0 23. 다음은 한국의 과학자 사회의 가치와 규범을 이해하기 위한 질문들입니다(A부터 E까지).
각 문항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를 표시해주십시오.
E-2) 국내에서는 연구 주제를 선정할 때 순수 과학적 가치보다 경제적 응용가능성을 더 중요하 게 생각한다.
23. 다음은 한국의 과학자 사회의 가치와 규범을 이해하기 위한 질문들입니다(A부터 E까지).
각 문항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를 표시해주십시오.
E-3) 국내 과학자에게 국가발전을 위한 연구는 순수한 학문 연구만큼이나 중요하다.
24. 다음은 연구 부정행위의 여러 가지 유형입니다. 귀하의 연구 분야에서는 각 부정행위가 얼 마나 심각하다고 보시는지 그 해당되는 정도를 표시해주시기 바랍니다.
1) 없는 결과 만들어내기
한국의 과학자 사회의 가치와 규범에 대한 의견 E-3) 국내 과학자에게 국가발전을 위한 연구는 순 수한 학문 연구만큼 중요
Q24_2
연구부정행위의 심각성2: 데이터의 일부 변조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심각함 1 72 10.6 10.6
심각함 2 160 23.5 23.5
별로 심각하지 않음 3 297 43.5 43.5
전혀 심각하지 않음 4 144 21.1 21.1
무응답 9 9 1.3 1.3
682
100.0 100.0
Q24_3
연구부정행위의 심각성3: 표절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심각함 1 73 10.7 10.7
심각함 2 126 18.5 18.5
별로 심각하지 않음 3 326 47.8 47.8
전혀 심각하지 않음 4 148 21.7 21.7
무응답 9 9 1.3 1.3
682
100.0 100.0
Q24_4
연구부정행위의 심각성4: 부당한 저자표시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심각함 1 71 10.4 10.4
심각함 2 236 34.6 34.6
별로 심각하지 않음 3 266 39.0 39.0
전혀 심각하지 않음 4 99 14.5 14.5
무응답 9 10 1.5 1.5
682
100.0 100.0 24. 다음은 연구 부정행위의 여러 가지 유형입니다. 귀하의 연구 분야에서는 각 부정행위가 얼 마나 심각하다고 보시는지 그 해당되는 정도를 표시해주시기 바랍니다.
2) 데이터의 일부 변조
24. 다음은 연구 부정행위의 여러 가지 유형입니다. 귀하의 연구 분야에서는 각 부정행위가 얼 마나 심각하다고 보시는지 그 해당되는 정도를 표시해주시기 바랍니다.
3) 표절
24. 다음은 연구 부정행위의 여러 가지 유형입니다. 귀하의 연구 분야에서는 각 부정행위가 얼 마나 심각하다고 보시는지 그 해당되는 정도를 표시해주시기 바랍니다.
4) 부당한 저자표시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 예비과학자
Q24_5
연구부정행위의 심각성5: 업적 부풀림(중복게재, 분할게재 등)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심각함 1 45 6.6 6.6
심각함 2 190 27.9 27.9
별로 심각하지 않음 3 314 46.0 46.0
전혀 심각하지 않음 4 124 18.2 18.2
무응답 9 9 1.3 1.3
682
100.0 100.0
Q24_6
연구부정행위의 심각성6: 연구비 부정사용(유용, 횡령, 리베이트 등)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심각함 1 71 10.4 10.4
심각함 2 121 17.7 17.7
별로 심각하지 않음 3 325 47.7 47.7
전혀 심각하지 않음 4 156 22.9 22.9
무응답 9 9 1.3 1.3
682
100.0 100.0
Q25
실험실내 부정행위가 있었다면 대처방안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자체 해결로 노력후 내부고발자가 되어 문제를 해결하
겠다 1 206 30.2 30.2
자체 해결로 노력후 어렵다면 포기하겠다 2 349 51.2 51.2
모른 척 회피하겠다 3 57 8.4 8.4
소속을 변경하겠다 4 41 6.0 6.0
기타 5 21 3.1 3.1
무응답 9 8 1.2 1.2
682
100.0 100.0 24. 다음은 연구 부정행위의 여러 가지 유형입니다. 귀하의 연구 분야에서는 각 부정행위가 얼 마나 심각하다고 보시는지 그 해당되는 정도를 표시해주시기 바랍니다.
5) 업적 부풀림(중복게재, 분할게재 등)
24. 다음은 연구 부정행위의 여러 가지 유형입니다. 귀하의 연구 분야에서는 각 부정행위가 얼 마나 심각하다고 보시는지 그 해당되는 정도를 표시해주시기 바랍니다.
6) 연구비 부정사용(유용, 횡령, 리베이트 등)
25. 만일 귀하의 연구실에서 위와 같은 부정행위가 저질러졌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면 (또는 그 런 행위에 관여하도록 압력을 받았다면), 어떻게 대응하시겠습니까?
Q26
연구수행시 연구윤리에 반하는 지시를 받은 적이 있는지 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17 2.5 2.5
없다 2 662 97.1 97.1
무응답 9 3 0.4 0.4
682
100.0 100.0
Q27
연구수행시 연구윤리에 반하는 지시의 구체적 사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데이터 걸러내기 1 1 0.1 5.9
데이터 낼 때 조작하지 말라는 것(질문 인식 오류) 2 1 0.1 5.9
데이터 변조는 절대 안됨 3 1 0.1 5.9
데이터 원본 변조하지 말 것 4 1 0.1 5.9
데이터의 일부 변조 5 1 0.1 5.9
분할 게재 및 연구 불참자들의 업적 만들기용 부당한
저자표시 6 1 0.1 5.9
서류 허위 작성 7 1 0.1 5.9
양식적 데이터 8 1 0.1 5.9
없는 결과 만들어내기, 일부 데이터 변조, 부당한 저자
표시, 업적 부풀림 9 1 0.1 5.9
연구비 항목 변경 지출 10 1 0.1 5.9
연구의 정확성 11 1 0.1 5.9
연연구노트 작성과 연구비 처리에 있어서 항상 지시를
받음 12 1 0.1 5.9
예전(지금이 아니라) 연구비 횡령 13 1 0.1 5.9 진실되게 실험 수행. data 조작 불가 14 1 0.1 5.9 진실이 아닌 결과는 연구가 아니라는 말을 들었다. 15 1 0.1 5.9
무응답 99 2 0.3 11.8
비해당 -1 665 97.5
682
100.0 100.0 26. 연구수행시 연구책임자로부터 연구윤리에 반하는 지시를 받은 적이 있습니까?
27. (만약 연구윤리에 반하는 지시를 받은 적이 있다면)있다면, 구체적인 사례를 간략히 적어주 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