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 BOOK
자료번호 A1-2007-0107
연구책임자 김환석
연구수행기관 한국과학기술학회 조사년도 2007 년
자료서비스기관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자료공개년도 2014 년
코드북 제작년도 2014 년
출처는 자료명이 최초로 언급되는 부분이나 참고문헌 목록에 명시할 수 있습니다.
자료를 이용, 참고,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이정환. 2007. 「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 과학자 」 . 연구수행기관: 한국 산업인력공단. 자료서비스기관: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자료공개년도: 2014년. 자 료번호: A1-2007-0107.
코드북을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한국사회과학자료원. 2014. 「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 과학자 CODE
BOOK 」 . pp. 1-51.
이 자료의 코드북에 대한 모든 권한은 KOSSDA에 있으며 KOSSDA의 사
전허가 없이 복제, 송신, 출판, 배포할 수 없습니다.
q007
응답자 학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박사 3 633 100.0 100.0
633
100.0 100.0
q008
응답자 전공 (대분류)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물리 1 218 34.4 34.4
화학 2 202 31.9 31.9
생물 3 213 33.6 33.6
633
100.0 100.0
q008a
응답자 세부 전공 (세분류)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고체물리 101 62 9.8 9.8
광학및양자전자학 102 25 3.9 3.9
열및통계물리 103 15 2.4 2.4
원자및분자물리학 104 8 1.3 1.3
유체및플라스마물리 105 10 1.6 1.6
음향물리 106 4 0.6 0.6
응집물질물리 107 38 6.0 6.0
입자및장물리 108 12 1.9 1.9
천체물리 109 7 1.1 1.1
핵물리 110 17 2.7 2.7
물리교육 111 8 1.3 1.3
분야별물리 112 2 0.3 0.3
실험방법론/장치 113 2 0.3 0.3
선문1. 선생님께서는 학위를 어디까지 마치셨습니까?
선문2. 선생님의 전공분야는 무엇입니까?
선문2-1. 선생님의 세부 전공분야는 무엇입니까? (분야별 세부전공이 제공되는 팝업창을 통해 본인의 전공 입력할 수 있도록 함)
무기화학 203 28 4.4 4.4
유기화학 204 66 10.4 10.4
생화학 205 16 2.5 2.5
고분자화학 206 13 2.1 2.1
섬유화학 207 1 0.2 0.2
공업화학 208 7 1.1 1.1
화학일반 209 1 0.2 0.2
기타화학 210 7 1.1 1.1
구조생물학 301 6 0.9 0.9
미생물학 302 25 3.9 3.9
발생생물학 303 10 1.6 1.6
분자생물학 304 54 8.5 8.5
세포생물학 305 22 3.5 3.5
신경생물학 306 17 2.7 2.7
종양생물학 307 10 1.6 1.6
진화생물학 308 2 0.3 0.3
노화생물학 309 1 0.2 0.2
응용생물학 310 6 0.9 0.9
유전학 311 11 1.7 1.7
식물학 312 17 2.7 2.7
동물학 313 9 1.4 1.4
생태학 314 8 1.3 1.3
조직해부학 315 1 0.2 0.2
생물정보학 316 2 0.3 0.3
기타생물학 317 12 1.9 1.9
전공분야 없음 888 1 0.2 0.2
633
100.0 100.0
q008b
응답자 세부 전공 (세세분류)==> 데이터 참조
선문2-1. 선생님의 세부 전공분야는 무엇입니까? (분야별 세부전공이 제공되는 팝업창을 통해 본인의 전공 입력할 수 있도록 함)
q030
응답자 성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남 1 519 82.0 82.0
여 2 114 18.0 18.0
633
100.0 100.0
q031
현 재직기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대학 1 455 71.9 71.9
연구소 2 178 28.1 28.1
633
100.0 100.0
q032
(대학인 경우) 현 직급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정교수 1 226 35.7 49.7
부교수 2 77 12.2 16.9
조교수 3 61 9.6 13.4
전임강사 4 11 1.7 2.4
비정규직교원/ 연구원등 5 80 12.6 17.6
비해당 -1 178 28.1
633
100.0 100.0
q033
(연구소인 경우) 현 직급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책임급이상 1 108 17.1 60.7
선임급 2 43 6.8 24.2
원급 3 5 0.8 2.8
비정규직 4 22 3.5 12.4
선문3. 선생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
선문4. 선생님께서 현재 재직하고 계신 기관은 어디십니까?
선문5-1. (선문4에서 대학이라고 응답한 응답) (만약 대학에 재직 중 이라면)선생님의 현재 직 급 어떻게 되십니까?
선문5-2. (선문4에서 연구소라고 응답한 응답) (만약 연구소에 재직 중 이라면)선생님의 현재 직급 어떻게 되십니까?
q034
현 직장 재직 시작년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962년 1962 1 0.2 0.2
1966년 1966 1 0.2 0.2
1968년 1968 1 0.2 0.2
1969년 1969 1 0.2 0.2
1970년 1970 1 0.2 0.2
1971년 1971 1 0.2 0.2
1972년 1972 4 0.6 0.6
1973년 1973 1 0.2 0.2
1974년 1974 2 0.3 0.3
1975년 1975 1 0.2 0.2
1976년 1976 3 0.5 0.5
1977년 1977 4 0.6 0.6
1978년 1978 7 1.1 1.1
1979년 1979 8 1.3 1.3
1980년 1980 11 1.7 1.7
1981년 1981 9 1.4 1.4
1982년 1982 11 1.7 1.7
1983년 1983 8 1.3 1.3
1984년 1984 6 0.9 0.9
1985년 1985 13 2.1 2.1
1986년 1986 17 2.7 2.7
1987년 1987 17 2.7 2.7
1988년 1988 16 2.5 2.5
1989년 1989 20 3.2 3.2
1990년 1990 21 3.3 3.3
1991년 1991 18 2.8 2.8
1992년 1992 19 3.0 3.0
1993년 1993 17 2.7 2.7
1994년 1994 21 3.3 3.3
1995년 1995 17 2.7 2.7
1996년 1996 22 3.5 3.5
선문6. 선생님의 현재직장의 재직시작년도는 어떻게 되십니까?
1998년 1998 13 2.1 2.1
1999년 1999 13 2.1 2.1
2000년 2000 32 5.1 5.1
2001년 2001 25 3.9 3.9
2002년 2002 40 6.3 6.3
2003년 2003 49 7.7 7.7
2004년 2004 39 6.2 6.2
2005년 2005 36 5.7 5.7
2006년 2006 35 5.5 5.5
2007년 2007 33 5.2 5.2
무응답 9999 2 0.3 0.3
633
100.0 100.0
q038
과학자로서 삶에 대한 만족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점 (매우 불만족) 0 15 2.4 2.4
1점 1 9 1.4 1.4
2점 2 25 3.9 3.9
3점 3 37 5.8 5.8
4점 4 24 3.8 3.8
5점 5 73 11.5 11.5
6점 6 52 8.2 8.2
7점 7 115 18.2 18.2
8점 8 151 23.9 23.9
9점 9 67 10.6 10.6
10점 (매우 만족) 10 65 10.3 10.3
633
100.0 100.0 1. 선생님께서는 과학자로서 삶에 전반적으로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q044
한국에서 과학자로 성공하기 위한 중요 요인: 1순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끈기/노력 1 186 29.4 29.4
동료간의 협력 2 23 3.6 3.6
대담함/추진력 3 19 3.0 3.0
공격성/적극성 4 20 3.2 3.2
식별력 5 4 0.6 0.6
적응력 6 16 2.5 2.5
후진양성/동료지원 7 3 0.5 0.5
연구소신/신념 8 86 13.6 13.6
지적 탁월함 9 87 13.7 13.7
창조성 10 108 17.1 17.1
소통능력 11 11 1.7 1.7
연줄/인맥 12 67 10.6 10.6
운 13 3 0.5 0.5
633
100.0 100.0
q046
한국에서 과학자로 성공하기 위한 중요 요인: 2순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끈기/노력 1 119 18.8 18.8
동료간의 협력 2 45 7.1 7.1
대담함/추진력 3 39 6.2 6.2
공격성/적극성 4 31 4.9 4.9
식별력 5 3 0.5 0.5
적응력 6 22 3.5 3.5
후진양성/동료지원 7 10 1.6 1.6
연구소신/신념 8 87 13.7 13.7
지적 탁월함 9 91 14.4 14.4
창조성 10 86 13.6 13.6
소통능력 11 34 5.4 5.4
연줄/인맥 12 50 7.9 7.9
운 13 16 2.5 2.5
2. 선생님께서는 우리나라에서 과학자로 성공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요인이 무엇이라고 생각하 십니까? 중요한 순서대로 2가지를 선택해 주십시오.
2) 2순위
2. 선생님께서는 우리나라에서 과학자로 성공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요인이 무엇이라고 생각하 십니까? 중요한 순서대로 2가지를 선택해 주십시오.
1) 1순위
q048
과학자로서 자신에 대한 동료들의 평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점 (우수하지 않음) 0 2 0.3 0.3
1점 1 1 0.2 0.2
2점 2 4 0.6 0.6
3점 3 13 2.1 2.1
4점 4 27 4.3 4.3
5점 5 107 16.9 16.9
6점 6 77 12.2 12.2
7점 7 167 26.4 26.4
8점 8 158 25.0 25.0
9점 9 59 9.3 9.3
10점 (매우 우수함) 10 18 2.8 2.8
633
100.0 100.0
q050
과학자로서 자기 자신에 대한 평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점 (우수하지 않음) 0 2 0.3 0.3
1점 2 5 0.8 0.8
3점 3 13 2.1 2.1
4점 4 16 2.5 2.5
5점 5 82 13.0 13.0
6점 6 91 14.4 14.4
7점 7 186 29.4 29.4
8점 8 172 27.2 27.2
9점 9 54 8.5 8.5
10점 (매우 우수함) 10 12 1.9 1.9
633
100.0 100.0 3. 선생님 분야의 동료들은 선생님을 과학자로서 평가할 때 10점 만점에 몇 점을 줄 것이라 생각 되십니까?
4. 그렇다면 선생님께서 본인을 스스로 평가하실 때, 10점 만점에 몇 점을 주시겠습니까?
q052
과학자에 대한 사회적 인정 유형별 중요도1: 주요 학술지 편집인단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아니다 1 31 4.9 4.9
별로 아니다 2 151 23.9 23.9
대체로 중요 3 360 56.9 56.9
매우 중요 4 91 14.4 14.4
633
100.0 100.0
q053
과학자에 대한 사회적 인정 유형별 중요도2: 공동연구자로 초빙 받음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아니다 1 8 1.3 1.3
별로 아니다 2 52 8.2 8.2
대체로 중요 3 406 64.1 64.1
매우 중요 4 167 26.4 26.4
633
100.0 100.0
q054
과학자에 대한 사회적 인정 유형별 중요도3: 정부요직(국가과학기술위원회, 과기부등)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아니다 1 103 16.3 16.3
별로 아니다 2 301 47.6 47.6
대체로 중요 3 196 31.0 31.0
매우 중요 4 33 5.2 5.2
633
100.0 100.0 5. 다음과 같은 인정 유형은 각각 선생님께 개인적으로 얼마나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까? 또, 선 생님께서는 지난 3년간 그와 같은 인정을 어느 정도나 받으셨습니까?
[개인적 중요성]
3) 정부요직(국가과학기술위원회, 과기부등)
5. 다음과 같은 인정 유형은 각각 선생님께 개인적으로 얼마나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까? 또, 선 생님께서는 지난 3년간 그와 같은 인정을 어느 정도나 받으셨습니까?
[개인적 중요성]
1) 주요 학술지 편집인단
5. 다음과 같은 인정 유형은 각각 선생님께 개인적으로 얼마나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까? 또, 선 생님께서는 지난 3년간 그와 같은 인정을 어느 정도나 받으셨습니까?
[개인적 중요성]
2) 공동연구자로 초빙 받음
q055
과학자에 대한 사회적 인정 유형별 중요도4: 전공분야 권위 있는 상 수상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아니다 1 19 3.0 3.0
별로 아니다 2 118 18.6 18.6
대체로 중요 3 309 48.8 48.8
매우 중요 4 187 29.5 29.5
633
100.0 100.0
q056
과학자에 대한 사회적 인정 유형별 중요도5: 대형 연구비 수주(1억 이상)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아니다 1 16 2.5 2.5
별로 아니다 2 90 14.2 14.2
대체로 중요 3 285 45.0 45.0
매우 중요 4 242 38.2 38.2
633
100.0 100.0
q057
과학자에 대한 사회적 인정 유형별 중요도6: 방송출연 및 외부강연 섭외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아니다 1 188 29.7 29.7
별로 아니다 2 325 51.3 51.3
대체로 중요 3 108 17.1 17.1
매우 중요 4 12 1.9 1.9
633
100.0 100.0 5. 다음과 같은 인정 유형은 각각 선생님께 개인적으로 얼마나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까? 또, 선 생님께서는 지난 3년간 그와 같은 인정을 어느 정도나 받으셨습니까?
[개인적 중요성]
5) 대형 연구비 수주(1억 이상)
5. 다음과 같은 인정 유형은 각각 선생님께 개인적으로 얼마나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까? 또, 선 생님께서는 지난 3년간 그와 같은 인정을 어느 정도나 받으셨습니까?
[개인적 중요성]
6) 방송출연 및 외부강연 섭외
5. 다음과 같은 인정 유형은 각각 선생님께 개인적으로 얼마나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까? 또, 선 생님께서는 지난 3년간 그와 같은 인정을 어느 정도나 받으셨습니까?
[개인적 중요성]
4) 전공분야 권위 있는 상 수상
q058
과학자에 대한 사회적 인정 유형별 중요도7: 유명 대학의 정년 교수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아니다 1 62 9.8 9.8
별로 아니다 2 215 34.0 34.0
대체로 중요 3 249 39.3 39.3
매우 중요 4 107 16.9 16.9
633
100.0 100.0
q059
과학자에 대한 사회적 인정 유형별 중요도8: 타인의 연구에 인용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아니다 1 7 1.1 1.1
별로 아니다 2 48 7.6 7.6
대체로 중요 3 272 43.0 43.0
매우 중요 4 306 48.3 48.3
633
100.0 100.0
q060
과학자에 대한 사회적 인정 유형별 중요도9: 경제적 보상(연봉 등)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아니다 1 8 1.3 1.3
별로 아니다 2 72 11.4 11.4
대체로 중요 3 353 55.8 55.8
매우 중요 4 200 31.6 31.6
633
100.0 100.0 5. 다음과 같은 인정 유형은 각각 선생님께 개인적으로 얼마나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까? 또, 선 생님께서는 지난 3년간 그와 같은 인정을 어느 정도나 받으셨습니까?
[개인적 중요성]
7) 유명 대학의 정년 교수
5. 다음과 같은 인정 유형은 각각 선생님께 개인적으로 얼마나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까? 또, 선 생님께서는 지난 3년간 그와 같은 인정을 어느 정도나 받으셨습니까?
[개인적 중요성]
8) 타인의 연구에 인용
5. 다음과 같은 인정 유형은 각각 선생님께 개인적으로 얼마나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까? 또, 선 생님께서는 지난 3년간 그와 같은 인정을 어느 정도나 받으셨습니까?
[개인적 중요성]
9) 경제적 보상(연봉 등)
q061
과학자에 대한 사회적 인정 유형별 받아 본 경험1: 주요 학술지 편집인단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회 1 328 51.8 51.8
1-3 회 2 257 40.6 40.6
4회이상 3 48 7.6 7.6
633
100.0 100.0
q062
과학자에 대한 사회적 인정 유형별 받아 본 경험2: 공동연구자로 초빙 받음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회 1 139 22.0 22.0
1-3 회 2 413 65.2 65.2
4회이상 3 81 12.8 12.8
633
100.0 100.0
q063
과학자에 대한 사회적 인정 유형별 받아 본 경험3: 정부요직(국가과학기술위원회, 과기부등)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회 1 560 88.5 88.5
1-3 회 2 60 9.5 9.5
4회이상 3 13 2.1 2.1
633
100.0 100.0 5. 다음과 같은 인정 유형은 각각 선생님께 개인적으로 얼마나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까? 또, 선 생님께서는 지난 3년간 그와 같은 인정을 어느 정도나 받으셨습니까?
[나의 실제 경력]
1) 주요 학술지 편집인단
5. 다음과 같은 인정 유형은 각각 선생님께 개인적으로 얼마나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까? 또, 선 생님께서는 지난 3년간 그와 같은 인정을 어느 정도나 받으셨습니까?
[나의 실제 경력]
2) 공동연구자로 초빙 받음
5. 다음과 같은 인정 유형은 각각 선생님께 개인적으로 얼마나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까? 또, 선 생님께서는 지난 3년간 그와 같은 인정을 어느 정도나 받으셨습니까?
[나의 실제 경력]
3) 정부요직(국가과학기술위원회, 과기부등)
q064
과학자에 대한 사회적 인정 유형별 받아 본 경험4: 전공분야 권위 있는 상 수상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회 1 493 77.9 77.9
1-3 회 2 131 20.7 20.7
4회이상 3 9 1.4 1.4
633
100.0 100.0
q065
과학자에 대한 사회적 인정 유형별 받아 본 경험5: 대형 연구비 수주(1억 이상)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회 1 356 56.2 56.2
1-3 회 2 215 34.0 34.0
4회이상 3 62 9.8 9.8
633
100.0 100.0
q066
과학자에 대한 사회적 인정 유형별 받아 본 경험6: 방송출연 및 외부강연 섭외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회 1 368 58.1 58.1
1-3 회 2 202 31.9 31.9
4회이상 3 63 10.0 10.0
633
100.0 100.0 5. 다음과 같은 인정 유형은 각각 선생님께 개인적으로 얼마나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까? 또, 선 생님께서는 지난 3년간 그와 같은 인정을 어느 정도나 받으셨습니까?
[나의 실제 경력]
4) 전공분야 권위 있는 상 수상
5. 다음과 같은 인정 유형은 각각 선생님께 개인적으로 얼마나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까? 또, 선 생님께서는 지난 3년간 그와 같은 인정을 어느 정도나 받으셨습니까?
[나의 실제 경력]
5) 대형 연구비 수주(1억 이상)
5. 다음과 같은 인정 유형은 각각 선생님께 개인적으로 얼마나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까? 또, 선 생님께서는 지난 3년간 그와 같은 인정을 어느 정도나 받으셨습니까?
[나의 실제 경력]
6) 방송출연 및 외부강연 섭외
q067
연구활동에 대한 의견1: 나는 대외적으로 활발하게 전문가 활동을 하고 있다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129 20.4 20.4
그렇지 않다 2 269 42.5 42.5
그렇다 3 196 31.0 31.0
매우그렇다 4 39 6.2 6.2
633
100.0 100.0
q068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36 5.7 5.7
그렇지 않다 2 213 33.6 33.6
그렇다 3 347 54.8 54.8
매우그렇다 4 37 5.8 5.8
633
100.0 100.0
q069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101 16.0 16.0
그렇지 않다 2 271 42.8 42.8
그렇다 3 209 33.0 33.0
매우그렇다 4 52 8.2 8.2
633
100.0 100.0 6. 다음 문항들은 선생님께서 연구하시는 환경의 조건이나 연구 태도를 묘사하는 내용입니다. 선 생님께서는 각각의 내용에 대해 얼마나 동의하십니까?
1) 나는 대외적으로 활발하게 전문가 활동(예: 편집인, 정부회의, 과학전문 단체 등)을 하고 있 다.
6. 다음 문항들은 선생님께서 연구하시는 환경의 조건이나 연구 태도를 묘사하는 내용입니다. 선 생님께서는 각각의 내용에 대해 얼마나 동의하십니까?
2) 학회 뒤풀이, 실험실, 식당 등에서 나누는 비공식적인 대화는 나의 연구에 직접적으로 도움이 된다.
6. 다음 문항들은 선생님께서 연구하시는 환경의 조건이나 연구 태도를 묘사하는 내용입니다. 선 생님께서는 각각의 내용에 대해 얼마나 동의하십니까?
3) 나는 전공영역에 멘토가 있고, 과학자로서 활동에 직접적인 도움을 받고있다.
연구활동에 대한 의견3: 나는 전공영역에 멘토가 있고, 과학자로서 활동에 직접적인 도움을 받고 있 다
연구활동에 대한 의견2: 학회 뒤풀이, 실험실, 식당 등에서 나누는 비공식적인 대화는 나의 연구에 직접적으로 도움이 된다
q070
한국의 과학자 사회의 가치와 규범에 대한 의견1: 국내 과학계 동료심사에 대한 신뢰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23 3.6 3.6
그렇지 않다 2 189 29.9 29.9
그렇다 3 413 65.2 65.2
매우 그렇다 4 8 1.3 1.3
633
100.0 100.0
q071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97 15.3 15.3
그렇지 않다 2 222 35.1 35.1
그렇다 3 274 43.3 43.3
매우 그렇다 4 40 6.3 6.3
633
100.0 100.0
q072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17 2.7 2.7
그렇지 않다 2 160 25.3 25.3
그렇다 3 290 45.8 45.8
매우 그렇다 4 166 26.2 26.2
633
100.0 100.0 한국의 과학자 사회의 가치와 규범에 대한 의견3: 과학자로 성공하기 위한 연구능력과 출신대학의 중요성
한국의 과학자 사회의 가치와 규범에 대한 의견2: 전공분야에서의 지적재산권 확보를 위한 논문발 표 연기 및 포기
7. 다음은 한국의 과학자 사회의 가치와 규범을 이해하기 위한 질문들입니다. 다음 각 문항에 대 해 선생님의 의견과 가장 가까운 보기를 선택해 주십시오.
3) 국내에서 과학자로 성공하기 위해서는 연구능력뿐 아니라 출신대학이 중요하다.
7. 다음은 한국의 과학자 사회의 가치와 규범을 이해하기 위한 질문들입니다. 다음 각 문항에 대 해 선생님의 의견과 가장 가까운 보기를 선택해 주십시오.
1) 연구논문에 대한 국내 과학계의 동료심사(peer review)는 신뢰할 만하다.
7. 다음은 한국의 과학자 사회의 가치와 규범을 이해하기 위한 질문들입니다. 다음 각 문항에 대 해 선생님의 의견과 가장 가까운 보기를 선택해 주십시오.
2) 내 전공분야에서 지적재산권 확보를 위해 국내 과학자가 논문발표를 늦추거나 포기한 것을 본 적이 있다.
q073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62 9.8 9.8
그렇지 않다 2 333 52.6 52.6
그렇다 3 219 34.6 34.6
매우 그렇다 4 19 3.0 3.0
633
100.0 100.0
q074
한국의 과학자 사회의 가치와 규범에 대한 의견5: 연구 주제 선정시 경제적 응용가능성 중시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5 0.8 0.8
그렇지 않다 2 68 10.7 10.7
그렇다 3 291 46.0 46.0
매우 그렇다 4 269 42.5 42.5
633
100.0 100.0
q075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14 2.2 2.2
그렇지 않다 2 101 16.0 16.0
그렇다 3 342 54.0 54.0
매우 그렇다 4 176 27.8 27.8
한국의 과학자 사회의 가치와 규범에 대한 의견4: 국내에서 연구 발표된 실험결과 및 데이터 요청 시 거부당한 경우
한국의 과학자 사회의 가치와 규범에 대한 의견6: 국가발전에 필요한 연구를 하는 과학자를 인정 7. 다음은 한국의 과학자 사회의 가치와 규범을 이해하기 위한 질문들입니다. 다음 각 문항에 대 해 선생님의 의견과 가장 가까운 보기를 선택해 주십시오.
4) 국내에서 연구 발표된 실험결과나 데이터를 요청했을 때 거부당하는 것을 주위에서 본 적이 있다.
7. 다음은 한국의 과학자 사회의 가치와 규범을 이해하기 위한 질문들입니다. 다음 각 문항에 대 해 선생님의 의견과 가장 가까운 보기를 선택해 주십시오.
5) 국내에서는 연구 주제를 선정할 때 순수 과학적 가치보다 경제적 응용가능성을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
7. 다음은 한국의 과학자 사회의 가치와 규범을 이해하기 위한 질문들입니다. 다음 각 문항에 대 해 선생님의 의견과 가장 가까운 보기를 선택해 주십시오.
6) 개인적인 관심보다 국가발전에 필요한 연구를 하는 과학자가 더 인정받고 있다.
q076
한국의 과학자 사회의 가치와 규범에 대한 의견7: 국내 박사 학위자 연구능력을 인정받는데 불리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29 4.6 4.6
그렇지 않다 2 171 27.0 27.0
그렇다 3 300 47.4 47.4
매우 그렇다 4 133 21.0 21.0
633
100.0 100.0
q077
한국의 과학자 사회의 가치와 규범에 대한 의견8: 정설에서 벗어난 주장 역시 과학적 검증 필요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85 13.4 13.4
그렇지 않다 2 169 26.7 26.7
그렇다 3 309 48.8 48.8
매우 그렇다 4 70 11.1 11.1
633
100.0 100.0
q078
한국의 과학자 사회의 가치와 규범에 대한 의견9: 국내에서 여성은 과학자로 성공하는데 불리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65 10.3 10.3
그렇지 않다 2 254 40.1 40.1
그렇다 3 239 37.8 37.8
매우 그렇다 4 75 11.8 11.8
633
100.0 100.0 7. 다음은 한국의 과학자 사회의 가치와 규범을 이해하기 위한 질문들입니다. 다음 각 문항에 대 해 선생님의 의견과 가장 가까운 보기를 선택해 주십시오.
9) 국내에서 여성은 남성보다 과학자로 성공하는데 불리하다.
7. 다음은 한국의 과학자 사회의 가치와 규범을 이해하기 위한 질문들입니다. 다음 각 문항에 대 해 선생님의 의견과 가장 가까운 보기를 선택해 주십시오.
7) 국내 박사 학위자는 외국 박사 학위자에 비해 연구능력을 인정받는데 불리하다.
7. 다음은 한국의 과학자 사회의 가치와 규범을 이해하기 위한 질문들입니다. 다음 각 문항에 대 해 선생님의 의견과 가장 가까운 보기를 선택해 주십시오.
8) 정설에서 벗어난 주장(eg. 사주, 창조론, UFO 등)도 그 진위를 과학적 방법으로 검증해야 한 다.
q079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46 7.3 7.3
그렇지 않다 2 253 40.0 40.0
그렇다 3 313 49.4 49.4
매우 그렇다 4 21 3.3 3.3
633
100.0 100.0
q080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91 14.4 14.4
그렇지 않다 2 379 59.9 59.9
그렇다 3 132 20.9 20.9
매우 그렇다 4 31 4.9 4.9
633
100.0 100.0
q081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6 0.9 0.9
그렇지 않다 2 62 9.8 9.8
그렇다 3 386 61.0 61.0
매우 그렇다 4 179 28.3 28.3
633
100.0 100.0 한국의 과학자 사회의 가치와 규범에 대한 의견12: 유명한 사람의 논문은 연구내용에 비해 더 인 정받는 경향
7. 다음은 한국의 과학자 사회의 가치와 규범을 이해하기 위한 질문들입니다. 다음 각 문항에 대 해 선생님의 의견과 가장 가까운 보기를 선택해 주십시오.
11) 연구비가 풍부한 분야로 연구주제를 바꾸는 것은 비난 받을 일이다.
7. 다음은 한국의 과학자 사회의 가치와 규범을 이해하기 위한 질문들입니다. 다음 각 문항에 대 해 선생님의 의견과 가장 가까운 보기를 선택해 주십시오.
12) 유명한 사람의 논문은 연구내용에 비해 더 인정받는 경향이 있다.
7. 다음은 한국의 과학자 사회의 가치와 규범을 이해하기 위한 질문들입니다. 다음 각 문항에 대 해 선생님의 의견과 가장 가까운 보기를 선택해 주십시오.
10) 동료들의 감시로 인해 과학계에서는 연구결과가 이해관계에 의해 왜곡되지 않는다.
한국의 과학자 사회의 가치와 규범에 대한 의견11: 연구비가 풍부한 분야로 연구주제를 바꾸는 것 에 대한 비난
한국의 과학자 사회의 가치와 규범에 대한 의견10: 동료들의 감시로 연구결과가 이해관계에 의해 왜곡되지 않음
q082
연구부정행위의 심각성1: 없는 결과 만들어내기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심각함 1 44 7.0 7.0
심각한 편 2 65 10.3 10.3
별로 심각하지 않음 3 296 46.8 46.8
전혀 심각하지 않음 4 228 36.0 36.0
633
100.0 100.0
q083
연구부정행위의 심각성2: 데이터의 일부 변조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심각함 1 47 7.4 7.4
심각한 편 2 126 19.9 19.9
별로 심각하지 않음 3 332 52.4 52.4
전혀 심각하지 않음 4 128 20.2 20.2
633
100.0 100.0
q084
연구부정행위의 심각성3: 표절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심각함 1 56 8.8 8.8
심각한 편 2 124 19.6 19.6
별로 심각하지 않음 3 324 51.2 51.2
전혀 심각하지 않음 4 129 20.4 20.4
633
100.0 100.0 8. 다음은 연구 부정행위의 여러 가지 유형입니다. 선생님의 연구 분야에서는 각 부정행위가 얼 마나 심각하다고 보시는지 그 해당되는 정도를 표시해주시기 바랍니다.
2) 데이터의 일부 변조
8. 다음은 연구 부정행위의 여러 가지 유형입니다. 선생님의 연구 분야에서는 각 부정행위가 얼 마나 심각하다고 보시는지 그 해당되는 정도를 표시해주시기 바랍니다.
3) 표절
8. 다음은 연구 부정행위의 여러 가지 유형입니다. 선생님의 연구 분야에서는 각 부정행위가 얼 마나 심각하다고 보시는지 그 해당되는 정도를 표시해주시기 바랍니다.
1) 없는 결과 만들어내기
q085
연구부정행위의 심각성4: 부당한 저자표시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심각함 1 101 16.0 16.0
심각한 편 2 233 36.8 36.8
별로 심각하지 않음 3 262 41.4 41.4
전혀 심각하지 않음 4 37 5.8 5.8
633
100.0 100.0
q086
연구부정행위의 심각성5: 업적 부풀림(중복게재, 분할게재 등)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심각함 1 62 9.8 9.8
심각한 편 2 223 35.2 35.2
별로 심각하지 않음 3 277 43.8 43.8
전혀 심각하지 않음 4 71 11.2 11.2
633
100.0 100.0
q089
연구 부정행위가 일어나게 만드는 원인-1순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개인의 이기심과 명예욕 1 171 27.0 27.0
정부와 학계의 지나친 성과주의 2 366 57.8 57.8
과학의 상업화 3 17 2.7 2.7
과학계 내부의 윤리적 규범 결여 4 35 5.5 5.5
감시 및 통제를 위한 제도적 장치의 부재 5 11 1.7 1.7
기능위주의 과학교육 6 8 1.3 1.3
사회전반의 부패만연 7 22 3.5 3.5
9. 위와 같은 연구 부정행위가 일어나게 만드는 원인은 무엇이라고 선생님은 생각하시는지 다음 중 두 가지만 골라 중요한 것부터 순서대로 표시해주십시오.
1) 1순위
8. 다음은 연구 부정행위의 여러 가지 유형입니다. 선생님의 연구 분야에서는 각 부정행위가 얼 마나 심각하다고 보시는지 그 해당되는 정도를 표시해주시기 바랍니다.
4) 부당한 저자표시
8. 다음은 연구 부정행위의 여러 가지 유형입니다. 선생님의 연구 분야에서는 각 부정행위가 얼 마나 심각하다고 보시는지 그 해당되는 정도를 표시해주시기 바랍니다.
5) 업적 부풀림(중복게재, 분할게재 등)
q090
연구 부정행위가 일어나게 만드는 원인-2순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개인의 이기심과 명예욕 1 154 24.3 24.3
정부와 학계의 지나친 성과주의 2 149 23.5 23.5
과학의 상업화 3 69 10.9 10.9
과학계 내부의 윤리적 규범 결여 4 101 16.0 16.0
감시 및 통제를 위한 제도적 장치의 부재 5 48 7.6 7.6
기능위주의 과학교육 6 31 4.9 4.9
사회전반의 부패만연 7 79 12.5 12.5
기타 8 2 0.3 0.3
633
100.0 100.0
q094
연구실내 구성원들간 의사결정구조의 민주성/권위성 평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점 (매우 민주적) 1 75 11.8 11.8
2점 2 181 28.6 28.6
3점 3 127 20.1 20.1
4점 4 54 8.5 8.5
5점 5 95 15.0 15.0
6점 6 51 8.1 8.1
7점 7 36 5.7 5.7
8점 (매우 권위적) 8 14 2.2 2.2
633
100.0 100.0
q095
성차별 경험 여부1: 지도교수로부터 성별을 이유로 원하지 않는 진로를 권유 받은 경험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22 3.5 3.5
아니오 2 611 96.5 96.5
9. 위와 같은 연구 부정행위가 일어나게 만드는 원인은 무엇이라고 선생님은 생각하시는지 다음 중 두 가지만 골라 중요한 것부터 순서대로 표시해주십시오.
2) 2순위
10. 선생님의 연구실은 구성원들 사이(교수/학생, 연구책임자/연구원)의 소통과 의사결정 구조 에서 얼마나 민주적/권위적이라고 생각하시는지 그 정도를 표시해주십시오.
11. 다음은 성차에 관한 질문입니다. 다음의 질문 중 선생님의 경험과 일치하면 ‘예’를 일치하 지 않으면 ‘아니오’를 선택해주십시오.
1) 나는 지도교수로부터 성별을 이유로 원하지 않는 진로를 권유받은 적이 있다.
q096
성차별 경험 여부2: 성별로 인해 취업시 직장으로부터 불이익을 당한 경험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58 9.2 9.2
아니오 2 575 90.8 90.8
633
100.0 100.0
q097
성차별 경험 여부3: 성별 때문에 승진이나 인사고과에서 불리한 대우 받은 경험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42 6.6 6.6
아니오 2 591 93.4 93.4
633
100.0 100.0
q098
성차별 경험 여부4: 연구 활동을 위해 결혼이나 출산을 망설였던 경험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170 26.9 26.9
아니오 2 463 73.1 73.1
633
100.0 100.0
q099
성차별 경험 여부5: 육아 문제로 연구 활동에 지장을 받은 경험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180 28.4 28.4
11. 다음은 성차에 관한 질문입니다. 다음의 질문 중 선생님의 경험과 일치하면 ‘예’를 일치하 지 않으면 ‘아니오’를 선택해주십시오.
2) 나는 성별로 인해 취업시 직장으로부터 불이익을 당한 경험이 있다.
11. 다음은 성차에 관한 질문입니다. 다음의 질문 중 선생님의 경험과 일치하면 ‘예’를 일치하 지 않으면 ‘아니오’를 선택해주십시오.
3) 나는 성별 때문에 직장 생활에서 승진이나 인사고과에서 불리한 대우를 받은 적이 있다.
11. 다음은 성차에 관한 질문입니다. 다음의 질문 중 선생님의 경험과 일치하면 ‘예’를 일치하 지 않으면 ‘아니오’를 선택해주십시오.
4) 나는 연구 활동을 위해 결혼이나 출산을 망설였던 경험이 있다.
11. 다음은 성차에 관한 질문입니다. 다음의 질문 중 선생님의 경험과 일치하면 ‘예’를 일치하 지 않으면 ‘아니오’를 선택해주십시오.
5) 나는 육아 문제로 연구 활동에 지장을 받은 적이 있다.
q100
응답자 혼인상태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기혼 1 569 89.9 89.9
이혼 2 13 2.1 2.1
사별 3 3 0.5 0.5
미혼 4 48 7.6 7.6
633
100.0 100.0
q101
배우자 직업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대학교수 (이공계) 1 68 10.7 12.0
대학교수 (비이공 계) 2 33 5.2 5.8
전문직/ 자유직 (의사, 변호사, 예술가 등) 3 102 16.1 17.9
사무직 4 30 4.7 5.3
기술직 5 9 1.4 1.6
자영업 6 7 1.1 1.2
판매/ 서비스직 7 8 1.3 1.4
경영/ 관리직 9 11 1.7 1.9
가정주부 11 258 40.8 45.3
무직 12 9 1.4 1.6
기타 13 34 5.4 6.0
비해당 -1 64 10.1
633
100.0 100.0 12. 선생님의 혼인상태는 어떠하십니까?
13. (기혼이라면) 선생님의 배우자분의 직업은 무엇입니까?
q101a
배우자 직업 (기타)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599
94.6 94.6
강사 2 0.3 0.3
강사대학 1 0.2 0.2
공무원 1 0.2 0.2
교사 12 1.9 1.9
대학원생 1 0.2 0.2
대학원생(박사과정) 1 0.2 0.2
비 이공계 대학 시간강사 1 0.2 0.2
시간강사 1 0.2 0.2
심리상담 1 0.2 0.2
연구소 연구원 1 0.2 0.2
연구원 3 0.5 0.5
유치원 교사 (외국인학교) 1 0.2 0.2
중등교사 1 0.2 0.2
중등학교 교사 1 0.2 0.2
직업군인 1 0.2 0.2
학생 3 0.5 0.5
학원강사 1 0.2 0.2
학위과정 1 0.2 0.2
633
100.0 100.0
q106
현재 초등학생 이하 자녀 수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명 0 316 49.9 54.0
1명 1 153 24.2 26.2
2명 2 105 16.6 17.9
3명 3 9 1.4 1.5
4명 4 2 0.3 0.3
13. (기혼이라면) 선생님의 배우자분의 직업은 무엇입니까?
: 기타
14. (혼인경험이 있다면) 선생님께서는 현재 초등학생 이하(만0~12세)의 자녀를 몇 명 두셨습 니까?
: 초등학생 이하 (만0~12세)
q108
응답자 출생년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925년생 1925 1 0.2 0.2
1934년생 1934 1 0.2 0.2
1935년생 1935 2 0.3 0.3
1937년생 1937 4 0.6 0.6
1938년생 1938 2 0.3 0.3
1939년생 1939 2 0.3 0.3
1940년생 1940 2 0.3 0.3
1941년생 1941 5 0.8 0.8
1942년생 1942 7 1.1 1.1
1943년생 1943 3 0.5 0.5
1944년생 1944 4 0.6 0.6
1945년생 1945 5 0.8 0.8
1946년생 1946 10 1.6 1.6
1947년생 1947 9 1.4 1.4
1948년생 1948 13 2.1 2.1
1949년생 1949 9 1.4 1.4
1950년생 1950 7 1.1 1.1
1951년생 1951 8 1.3 1.3
1952년생 1952 17 2.7 2.7
1953년생 1953 16 2.5 2.5
1954년생 1954 22 3.5 3.5
1955년생 1955 22 3.5 3.5
1956년생 1956 23 3.6 3.6
1957년생 1957 20 3.2 3.2
1958년생 1958 27 4.3 4.3
1959년생 1959 31 4.9 4.9
1960년생 1960 24 3.8 3.8
1961년생 1961 22 3.5 3.5
1962년생 1962 37 5.8 5.8
1963년생 1963 33 5.2 5.2
1964년생 1964 29 4.6 4.6
15. 선생님은 몇 년도에 출생하셨습니까?
1966년생 1966 22 3.5 3.5
1967년생 1967 27 4.3 4.3
1968년생 1968 23 3.6 3.6
1969년생 1969 18 2.8 2.8
1970년생 1970 17 2.7 2.7
1971년생 1971 19 3.0 3.0
1972년생 1972 14 2.2 2.2
1973년생 1973 4 0.6 0.6
1974년생 1974 14 2.2 2.2
1975년생 1975 8 1.3 1.3
1976년생 1976 8 1.3 1.3
1977년생 1977 4 0.6 0.6
1978년생 1978 5 0.8 0.8
1979년생 1979 5 0.8 0.8
1980년생 1980 1 0.2 0.2
1981년생 1981 1 0.2 0.2
633
100.0 100.0
q110
2004년 이후 지원 받은 연구비 규모==> 데이터 참조
q115
학사학위-취득국가(국내/국외선택)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국내 1 609 96.2 96.2
국외 2 24 3.8 3.8
633
100.0 100.0 16. 다음은 선생님께서 연구책임자로 수행하고 있는 과제에 지원되는 연구비에 대한 질문입니 다. 선생님께서 정부, 기업, 대학 등으로부터 2004년 1월 이후부터 새로 지원 받으신 연구비 규 모는 얼마입니까? 천만원 단위로 입력해 주십시오.
: 2004년 1월 이후부터 현재까지
17. 다음은 선생님의 학사학위 대학과 박사학위 대학에 관한 질문입니다.
[학사 학위]
: 취득국가
q210
학사학위-지역명(국내)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서울특별시 1 391 61.8 64.2
부산광역시 2 44 7.0 7.2
대구광역시 3 40 6.3 6.6
인천광역시 4 10 1.6 1.6
광주광역시 5 17 2.7 2.8
대전광역시 6 22 3.5 3.6
울산광역시 7 5 0.8 0.8
경기도 8 9 1.4 1.5
강원도 9 6 0.9 1.0
충청북도 10 5 0.8 0.8
충청남도 11 9 1.4 1.5
전라북도 12 15 2.4 2.5
전라남도 13 1 0.2 0.2
경상북도 14 19 3.0 3.1
경상남도 15 12 1.9 2.0
제주도 16 4 0.6 0.7
비해당 -1 24 3.8
633
100.0 100.0
q188
학사학위-학교명(국내)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삼육대학교 102 1 0.2 0.2
건국대학교 104 5 0.8 0.8
서강대학교 105 17 2.7 2.8
서울대학교 109 224 35.4 36.8
서울시립대학교 113 3 0.5 0.5
17. 다음은 선생님의 학사학위 대학과 박사학위 대학에 관한 질문입니다.
[학사 학위_국내]
: 지역명
17. 다음은 선생님의 학사학위 대학과 박사학위 대학에 관한 질문입니다.
[학사 학위_국내]
: 학교명
성균관대학교 116 12 1.9 2.0
숙명여자대학교 120 2 0.3 0.3
연세대학교 123 49 7.7 8.0
이화여자대학교 125 9 1.4 1.5
중앙대학교 128 5 0.8 0.8
한국외국어대학교 135 1 0.2 0.2
한양대학교 138 13 2.1 2.1
경희대학교 142 6 0.9 1.0
고려대학교 144 24 3.8 3.9
가톨릭대학교 146 1 0.2 0.2
국민대학교 147 1 0.2 0.2
단국대학교 150 4 0.6 0.7
덕성여자대학교 152 1 0.2 0.2
동국대학교 153 4 0.6 0.7
신라대학교 203 1 0.2 0.2
경성대학교 205 1 0.2 0.2
동서대학교 209 1 0.2 0.2
동아대학교 210 4 0.6 0.7
동아대학교 211 1 0.2 0.2
동아대학교 212 1 0.2 0.2
부경대학교 214 1 0.2 0.2
부경대학교 215 1 0.2 0.2
부산대학교 218 33 5.2 5.4
경북대학교 301 37 5.8 6.1
계명대학교 303 1 0.2 0.2
대구가톨릭대학교 304 1 0.2 0.2
인천대학교 402 1 0.2 0.2
인하대학교 403 9 1.4 1.5
전남대학교 501 10 1.6 1.6
조선대학교 502 7 1.1 1.1
충남대학교 603 7 1.1 1.1
한남대학교 606 3 0.5 0.5
울산대학교 701 5 0.8 0.8
아주대학교 809 2 0.3 0.3
경기대학교 811 5 0.8 0.8
강원대학교 901 3 0.5 0.5
연세대학교 904 1 0.2 0.2
한림대학교 908 1 0.2 0.2
강릉대학교 911 1 0.2 0.2
충북대학교 1007 3 0.5 0.5
한국교원대학교 1009 2 0.3 0.3
건양대학교 1105 1 0.2 0.2
한서대학교 1112 1 0.2 0.2
고려대학교 1116 1 0.2 0.2
공주대학교 1118 1 0.2 0.2
단국대학교 1123 2 0.3 0.3
우석대학교 1204 1 0.2 0.2
원광대학교 1205 2 0.3 0.3
전북대학교 1207 11 1.7 1.8
호원대학교 1211 1 0.2 0.2
목포대학교 1311 1 0.2 0.2
영남대학교 1406 8 1.3 1.3
포항공과대학교 1409 7 1.1 1.1
금오공과대학교 1414 1 0.2 0.2
대구대학교 1416 1 0.2 0.2
경남대학교 1503 1 0.2 0.2
경상대학교 1510 11 1.7 1.8
제주대학교 1602 4 0.6 0.7
기타 9997 15 2.4 2.5
무응답 9999 10 1.6 1.6
비해당 -1 24 3.8
633
100.0 100.0
q116
학사학위-취득국가(국외선택)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미국 1 19 3.0 79.2
유럽 2 3 0.5 12.5
아시아 3 2 0.3 8.3
비해당 -1 609 96.2
633
100.0 100.0
q212
학사학위-지역명(국외-미국)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Arizona 3 1 0.2 5.3
Arkansas 4 1 0.2 5.3
California 5 1 0.2 5.3
Delaware 8 1 0.2 5.3
Illinois 14 1 0.2 5.3
Indiana 15 1 0.2 5.3
Kentucky 18 1 0.2 5.3
Massachusetts 22 2 0.3 10.5
New York 33 2 0.3 10.5
North Carolina 34 2 0.3 10.5
Pennsylvania 39 1 0.2 5.3
Tennessee 43 1 0.2 5.3
Texas 44 2 0.3 10.5
Wisconsin 50 1 0.2 5.3
무응답 99 1 0.2 5.3
비해당 -1 614 97.0
633
100.0 100.0 17. 다음은 선생님의 학사학위 대학과 박사학위 대학에 관한 질문입니다.
[학사 학위_국외]
: 취득국가
17. 다음은 선생님의 학사학위 대학과 박사학위 대학에 관한 질문입니다.
[학사 학위_미국]
: 지역명
q192
학사학위-학교명(국외-미국)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University of Arizona 305 1 0.2 5.3
University of Arkansas - Little Rock 403 1 0.2 5.3 Cal State University, Los Angeles 510 1 0.2 5.3 University of Delaware 802 1 0.2 5.3 Western Illinois University 1419 1 0.2 5.3
Purdue University 1506 1 0.2 5.3
University of Louisville 1805 1 0.2 5.3
Smith College 2211 1 0.2 5.3
Fordham University 3304 1 0.2 5.3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Stony Brook 3315 1 0.2 5.3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3402 1 0.2 5.3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3403 1 0.2 5.3 University of Pennsylvania 3907 1 0.2 5.3 University of Tennessee, Knoxville 4302 1 0.2 5.3 Texas A&M University-College Station 4402 1 0.2 5.3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4409 1 0.2 5.3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5001 1 0.2 5.3
기타 9997 1 0.2 5.3
무응답 9999 1 0.2 5.3
비해당 -1 614 97.0
633
100.0 100.0
q193
학사학위-국가명(국외-미국이외)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독일 21 1 0.2 20.0
영국 22 2 0.3 40.0
일본 31 2 0.3 40.0
비해당 -1 628 99.2
633
100.0 100.0 17. 다음은 선생님의 학사학위 대학과 박사학위 대학에 관한 질문입니다.
[학사 학위_미국]
: 학교명
17. 다음은 선생님의 학사학위 대학과 박사학위 대학에 관한 질문입니다.
[학사 학위_미국이외]
: 국가명
q194
학사학위-학교명(국외-미국이외)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T.U.Muenchen 2103 1 0.2 20.0
뉴카슬대학교 2203 1 0.2 20.0
캠브리지대학교 2205 1 0.2 20.0
북해도대학교 3109 1 0.2 20.0
와세다대학교 3112 1 0.2 20.0
비해당 -1 628 99.2
633
100.0 100.0
q130
학사 입학년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953년 1953 1 0.2 0.2
1954년 1954 2 0.3 0.3
1956년 1956 1 0.2 0.2
1957년 1957 4 0.6 0.6
1958년 1958 2 0.3 0.3
1959년 1959 2 0.3 0.3
1960년 1960 5 0.8 0.8
1961년 1961 6 0.9 0.9
1963년 1963 5 0.8 0.8
1964년 1964 4 0.6 0.6
1965년 1965 8 1.3 1.3
1966년 1966 12 1.9 1.9
1967년 1967 6 0.9 0.9
1968년 1968 12 1.9 1.9
1969년 1969 9 1.4 1.4
1970년 1970 12 1.9 1.9
17. 다음은 선생님의 학사학위 대학과 박사학위 대학에 관한 질문입니다.
[학사 학위_미국이외]
: 학교명
17. 다음은 선생님의 학사학위 대학과 박사학위 대학에 관한 질문입니다.
[학사 학위]
: 입학년도
1974년 1974 17 2.7 2.7
1975년 1975 21 3.3 3.3
1976년 1976 24 3.8 3.8
1977년 1977 26 4.1 4.1
1978년 1978 27 4.3 4.3
1979년 1979 27 4.3 4.3
1980년 1980 26 4.1 4.1
1981년 1981 38 6.0 6.0
1982년 1982 31 4.9 4.9
1983년 1983 24 3.8 3.8
1984년 1984 27 4.3 4.3
1985년 1985 31 4.9 4.9
1986년 1986 27 4.3 4.3
1987년 1987 29 4.6 4.6
1988년 1988 11 1.7 1.7
1989년 1989 15 2.4 2.4
1990년 1990 17 2.7 2.7
1991년 1991 18 2.8 2.8
1992년 1992 11 1.7 1.7
1993년 1993 12 1.9 1.9
1994년 1994 10 1.6 1.6
1995년 1995 8 1.3 1.3
1996년 1996 3 0.5 0.5
1997년 1997 7 1.1 1.1
1999년 1999 1 0.2 0.2
2000년 2000 1 0.2 0.2
633
100.0 100.0
q134
박사학위-취득국가(국내/국외선택)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국내 1 347 54.8 54.8
국외 2 286 45.2 45.2
633
100.0 100.0 17. 다음은 선생님의 학사학위 대학과 박사학위 대학에 관한 질문입니다.
[박사 학위]
: 취득국가
q214
박사학위-지역명(국내)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서울특별시 1 176 27.8 50.7
부산광역시 2 28 4.4 8.1
대구광역시 3 23 3.6 6.6
인천광역시 4 7 1.1 2.0
광주광역시 5 17 2.7 4.9
대전광역시 6 39 6.2 11.2
울산광역시 7 2 0.3 0.6
경기도 8 5 0.8 1.4
강원도 9 1 0.2 0.3
충청북도 10 5 0.8 1.4
충청남도 11 3 0.5 0.9
전라북도 12 10 1.6 2.9
전라남도 13 1 0.2 0.3
경상북도 14 20 3.2 5.8
경상남도 15 10 1.6 2.9
비해당 -1 286 45.2
633
100.0 100.0
q196
박사학위-학교명(국내)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건국대학교 104 4 0.6 1.2
서강대학교 105 4 0.6 1.2
서울대학교 109 74 11.7 21.3
성균관대학교 116 11 1.7 3.2
숙명여자대학교 120 1 0.2 0.3
17. 다음은 선생님의 학사학위 대학과 박사학위 대학에 관한 질문입니다.
[박사 학위_국내]
: 지역명
17. 다음은 선생님의 학사학위 대학과 박사학위 대학에 관한 질문입니다.
[박사 학위_국내]
: 학교명
한양대학교 138 8 1.3 2.3
경희대학교 142 3 0.5 0.9
고려대학교 144 20 3.2 5.8
가톨릭대학교 146 1 0.2 0.3
단국대학교 150 2 0.3 0.6
동국대학교 153 4 0.6 1.2
동아대학교 210 2 0.3 0.6
부경대학교 214 1 0.2 0.3
부경대학교 215 2 0.3 0.6
부산대학교 218 23 3.6 6.6
경북대학교 301 17 2.7 4.9
계명대학교 303 1 0.2 0.3
대구가톨릭대학교 304 2 0.3 0.6
대구대학교 306 1 0.2 0.3
인천대학교 402 1 0.2 0.3
인하대학교 403 6 0.9 1.7
전남대학교 501 9 1.4 2.6
조선대학교 502 4 0.6 1.2
충남대학교 603 4 0.6 1.2
한남대학교 606 2 0.3 0.6
울산대학교 701 2 0.3 0.6
아주대학교 809 2 0.3 0.6
경기대학교 811 3 0.5 0.9
한림대학교 908 1 0.2 0.3
충북대학교 1007 3 0.5 0.9
한국교원대학교 1009 2 0.3 0.6
건양대학교 1105 1 0.2 0.3
원광대학교 1205 1 0.2 0.3
전북대학교 1207 9 1.4 2.6
목포대학교 1311 1 0.2 0.3
영남대학교 1406 4 0.6 1.2
포항공과대학교 1409 14 2.2 4.0
금오공과대학교 1414 1 0.2 0.3
경남대학교 1503 2 0.3 0.6
인제대학교 1504 1 0.2 0.3
기타 9997 58 9.2 16.7
무응답 9999 7 1.1 2.0
비해당 -1 286 45.2
633
100.0 100.0
q135
박사학위-취득국가(국외선택)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미국 1 220 34.8 76.9
유럽 2 24 3.8 8.4
아시아 3 36 5.7 12.6
오세아니아 4 1 0.2 0.3
중동/ 아프리카 5 1 0.2 0.3
미주/ 캐나다 6 4 0.6 1.4
비해당 -1 347 54.8
633
100.0 100.0
q216
박사학위-지역명(국외-미국)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Alabama 1 4 0.6 1.8
Arizona 3 4 0.6 1.8
Arkansas 4 1 0.2 0.5
California 5 14 2.2 6.4
Colorado 6 1 0.2 0.5
Connecticut 7 2 0.3 0.9
Delaware 8 1 0.2 0.5
District of Columbia 9 1 0.2 0.5
Florida 10 5 0.8 2.3
Georgia 11 5 0.8 2.3
17. 다음은 선생님의 학사학위 대학과 박사학위 대학에 관한 질문입니다.
[박사 학위_국외]
: 취득국가
17. 다음은 선생님의 학사학위 대학과 박사학위 대학에 관한 질문입니다.
[박사 학위_미국]
: 지역명
Indiana 15 10 1.6 4.5
Iowa 16 11 1.7 5.0
Kansas 17 1 0.2 0.5
Kentucky 18 1 0.2 0.5
Louisiana 19 2 0.3 0.9
Maine 20 1 0.2 0.5
Maryland 21 4 0.6 1.8
Massachusetts 22 8 1.3 3.6
Michigan 23 10 1.6 4.5
Minnesota 24 4 0.6 1.8
Mississippi 25 1 0.2 0.5
Mssouri 26 2 0.3 0.9
New Jersey 31 8 1.3 3.6
New Mexico 32 1 0.2 0.5
New York 33 19 3.0 8.6
North Carolina 34 5 0.8 2.3
North Dakota 35 1 0.2 0.5
Ohio 36 8 1.3 3.6
Oregon 38 2 0.3 0.9
Pennsylvania 39 16 2.5 7.3
Rhode Island 40 5 0.8 2.3
Tennessee 43 2 0.3 0.9
Texas 44 33 5.2 15.0
Utah 45 2 0.3 0.9
Washington 48 3 0.5 1.4
Wisconsin 50 2 0.3 0.9
무응답 99 1 0.2 0.5
비해당 -1 413 65.2
633
100.0 100.0
q200
박사학위-학교명(국외-미국)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University of Alabama at Birmingham 106 2 0.3 0.9 University of Alabama at Tuscaloosa 108 2 0.3 0.9 Arizona State University 302 1 0.2 0.5
University of Arizona 305 3 0.5 1.4
University of Arkansas - Fayetteville 402 1 0.2 0.5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501 1 0.2 0.5 Cal State University, Los Angeles 510 1 0.2 0.5
Stanford University 526 4 0.6 1.8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527 1 0.2 0.5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528 1 0.2 0.5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530 1 0.2 0.5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532 4 0.6 1.8 University of Colorado at Boulder 602 1 0.2 0.5
Yale University 706 1 0.2 0.5
University of Delaware 802 1 0.2 0.5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902 1 0.2 0.5 Florida Institute of Technology 1002 1 0.2 0.5 Florida State University 1003 2 0.3 0.9 University of Florida 1004 2 0.3 0.9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1102 1 0.2 0.5 Medical College of Georgia 1104 2 0.3 0.9 University of Georgia 1105 2 0.3 0.9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1202 1 0.2 0.5
University of Idaho 1302 1 0.2 0.5
Northwestern University 1409 6 0.9 2.7 University of Chicago 1415 1 0.2 0.5 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1416 3 0.5 1.4 University of Ilinois, Urbana-Champaign 1418 7 1.1 3.2 Indiana University at Bloomington 1504 1 0.2 0.5
Purdue University 1506 9 1.4 4.1
17. 다음은 선생님의 학사학위 대학과 박사학위 대학에 관한 질문입니다.
[박사 학위_미국]
: 학교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