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 BOOK
자료번호 A1-2013-0015
연구책임자
연구수행기관 KBS 방송문화연구소
조사년도 2013년
자료서비스기관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자료공개년도 2015년
코드북 제작년도 2015년
출처는 자료명이 최초로 언급되는 부분이나 참고문헌 목록에 명시할 수 있습니다.
자료를 이용, 참고,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KBS 방송문화연구소 . 2013. 선택진료 이용에 관한 조사 , 2013 . 연구수행기 관 : KBS 방송문화연구소 . 자료서비스기관 : 한국사회과학자료원 . 자료공개년도 : 2015 년 . 자료번호 : A1-2013-0015.
코드북을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한국사회과학자료원. 2015. 선택진료 이용에 관한 조사, 2013 CODE BOO
K . pp. 1-11.
주의사항
이 코드북의 빈도는 가중치를 부여하여 산출된 것임 .
이 자료의 코드북에 대한 모든 권한은 KOSSDA에 있으며 KOSSDA의 사
전허가 없이 복제, 송신, 출판, 배포할 수 없습니다.
date 설문응답일시
==> 데이터 참조
q1 대학병원에서 진료를 받은 경험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6,953 83.5 83.5
아니오 2 1,374 16.5 16.5
8,327
100.0 100.0
q2 대학병원에서 선택진료(=특진제)를 선택한 경험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선택진료를 선택한 적이 있다 1 5,450 65.5 78.4
선택진료 경험이 전혀 없다 2 808 9.7 11.6
잘 모르겠다 3 695 8.3 10.0
비해당 0 1,374 16.5
8,327
100.0 100.0
q3 선택진료에 인지여부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잘 알고 있다 1 2,300 27.6 42.1
들어 본 적은 있지만 자세한 건 잘 모른다 2 2,918 35.0 53.5
잘 모르겠다 3 240 2.9 4.4
비해당 0 2,869 34.5
8,327
100.0 100.0
문1. 귀하 또는 귀하의 가족은 대학병원에서 진료를 받은 적이 있습니까?
문2. 귀하 또는 귀하의 가족은 대학병원에서 선택진료(=특진제)를 선택한 경험이 있습니 까? 종합병원과 중소병원은 해당 되지 않습니다.
문3. 귀하는 선택진료에 대해 알고 계십니까?
q4 선택진료에 대해 알게된 경로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선택진료 신청서 양식을 작성하면서 1 1,322 15.9 25.3 병원에 게시된 선택진료 안내문을 읽고 2 1,080 13.0 20.7 병원 원무과 직원이 직접 설명해 주어서 3 1,762 21.2 33.8 언론, 방송 등 대중매체의 보도를 통해 4 770 9.3 14.8
무응답 99 283 3.4 5.4
비해당 0 3,109 37.3
8,327
100.0 100.0
q4_1 선택진료에 대해 알게된 경로: 기타
==> 데이터 참조
q5 본인 또는 가족 중 선택진료를 받은 대상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본인 1 2,571 30.9 47.3
부모 2 1,600 19.2 29.4
자녀 3 387 4.7 7.1
형제 4 237 2.8 4.4
할머니/할아버지 5 101 1.2 1.9
무응답 99 537 6.4 9.9
비해당 0 2,893 34.7
8,327
100.0 100.0
문5. 귀하 또는 귀하의 가족 중 선택진료를 받은 대상은 누구입니까?
문4. 귀하께서는 선택진료에 대해 어떻게 알게 되셨습니까?
문4. 귀하께서는 선택진료에 대해 어떻게 알게 되셨습니까?
: 기타
※ 만약 가족 중 선택진료를 받은 사람이 1명 이상일 경우 최근 몇 년간 선택진료 경험이 많
거나, 4대 중증질환(암, 심장질환, 뇌혈관 질환, 희귀난치성 질환)이 있는 가족을 대상으로
설문에 응답해 주시기 바랍니다.
q5_1 본인 또는 가족 중 선택진료를 받은 대상: 기타
==> 데이터 참조
q6 어떠한 질환으로 선택진료를 경험한 질환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4대 중증질환(암, 심장질환, 뇌혈관 질환, 희귀난
치성 질환) 1 1,990 23.9 36.5
기타 질환 2 3,468 41.6 63.5
비해당 0 2,869 34.5
8,327
100.0 100.0
q7 4대 중증질환 중 해당하는 질환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암 1 976 11.7 49.0
심장질환 2 455 5.5 22.9
뇌혈관 질환 3 371 4.4 18.6
희귀난치성 질환 4 188 2.3 9.5
비해당 0 6,337 76.1
8,327
100.0 100.0
q8 본인 또는 가족 중 가장 최근에 선택진료를 받은 시기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년 미만 1 2,254 27.1 41.3
1년~2년 정도 2 967 11.6 17.7
2년~3년 정도 3 716 8.6 13.1
3년~5년 정도 4 644 7.7 11.8
5년 이상 5 876 10.5 16.0
비해당 0 2,869 34.5
문5. 귀하 또는 귀하의 가족 중 선택진료를 받은 대상은 누구입니까?
: 기타
문6. 어떠한 질환으로 선택진료를 경험해 보셨습니까?
문6. 어떠한 질환으로 선택진료를 경험해 보셨습니까?
문7. 4대 중증질환 중 어떤 질환입니까?
문8. 귀하 또는 귀하의 가족 중 가장 최근에 선택진료를 받은 시기는 언제 입니까?
q9 본인 또는 가족이 선택진료 신청서 작성 시 진료에 관한 정보의 설명정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구두로 자세히 설명해 주었다 1 782 9.4 14.3
구두로 대충 설명해 주었다 2 2,068 24.8 37.9
내용을 읽어 보고 서명하라고만 설명했다 3 1,351 16.2 24.8 서명란에 이름쓰고 서명하라고만 설명했다 4 1,257 15.1 23.0
비해당 0 2,869 34.5
8,327
100.0 100.0
q10 선택진료를 하게 된 주된 이유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경험 많고 실력 있는 의사를 선택해야 좋은 치료를
받을 수 있을 것 같아서 1 3,033 36.4 55.6
병원 원무과 직원이 선택진료를 해야 한다고 해서 2 937 11.2 17.2 일반진료보다 선택진료를 해야 빨리 진료를 받을
수 있을 것 같아서 3 581 7.0 10.7
일반 의사를 선택할 수 없어서 4 741 8.9 13.6
무응답 99 163 2.0 3.0
비해당 0 2,872 34.5
8,327
100.0 100.0
q10_1 선택진료를 하게 된 주된 이유: 기타
==> 데이터 참조
q11 전반적으로 선택진료에 대한 만족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만족 1 292 3.5 5.3
대체로 만족 2 2,820 33.9 51.7
대체로 불만족 3 1,891 22.7 34.7
매우 불만족 4 455 5.5 8.3
비해당 0 2,869 34.5
8,327
100.0 100.0
문10. 선택진료를 하게 된 주된 이유는 무엇입니까?
문10. 선택진료를 하게 된 주된 이유는 무엇입니까?
: 기타
문11. 전반적으로 선택진료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
문9. 귀하 또는 귀하의 가족이 선택진료신청서(문서식 또는 전자식) 작성 시 선택진료에 관
한 의사자격, 추가비용 등을 원무과 직원이 어느 정도 설명해 주었습니까?
q12 선택진료에 대해 불만족을 느낀 주된 이유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선택한 의사를 확인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했기
때문에 1 192 2.3 8.2
선택하지 않은 다른 특진의사가 진료했기 때문에 2 31 0.4 1.3 선택진료 자격이 없는 의사가 대신 진료했기 때문
에 3 66 0.8 2.8
선택진료비가 과다 청구되었기 때문에 4 212 2.6 9.1 불가피하게 선택진료를 선택할 수밖에 없었으므로 5 1,052 12.6 44.8 성의 없는 의사의 진료 태도 때문에 6 290 3.5 12.3 진료비에 비해 진료시간이 너무 짧았기 때문에 7 461 5.5 19.6
무응답 99 43 0.5 1.8
비해당 0 5,980 71.8
8,327
100.0 100.0
q12_1 선택진료에 대해 불만족을 느낀 주된 이유: 기타
==> 데이터 참조
q13 건강보험수가 대비 선택진료 비용 부담 비율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20~30% 정도 1 722 8.7 13.2
30~40% 정도 2 721 8.7 13.2
40~50% 정도 3 470 5.7 8.6
50~60% 정도 4 202 2.4 3.7
60~70% 정도 5 37 0.4 0.7
70~80% 정도 6 89 1.1 1.6
80~90% 정도 7 14 0.2 0.3
90~100% 정도 8 288 3.5 5.3
잘 모르겠다 9 2,915 35.0 53.4
비해당 0 2,869 34.5
문11. 전반적으로 선택진료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
문12. 선택진료에 대해 불만족을 느낀 주된 이유는 무엇입니까?
문11. 전반적으로 선택진료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
문12. 선택진료에 대해 불만족을 느낀 주된 이유는 무엇입니까?
: 기타
문13. 선택진료 비용으로 건강보험수가의 몇% 정도를 부담하셨습니까?
q14 외래진료 시 선택진료 의사와의 면담을 통한 진료 시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분 미만 1 365 4.4 6.7
2분 정도 2 1,184 14.2 21.7
3분 정도 3 1,375 16.5 25.2
4분 정도 4 263 3.2 4.8
5분 정도 5 1,351 16.2 24.8
6분 정도 6 43 0.5 0.8
7분 정도 7 157 1.9 2.9
8분 정도 8 87 1.0 1.6
9분 정도 9 22 0.3 0.4
10분 정도 10 433 5.2 7.9
10분 이상 11 178 2.1 3.3
비해당 0 2,869 34.5
8,327
100.0 100.0
q15 만약 전체 의사를 10명으로 가정할 경우 적정한 선택진료 의사 수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명 1 421 5.1 7.7
2명 2 1,162 14.0 21.3
3명 3 1,420 17.1 26.0
4명 4 415 5.0 7.6
5명 5 1,270 15.3 23.3
6명 6 175 2.1 3.2
7명 7 116 1.4 2.1
8명 8 206 2.5 3.8
9명 9 22 0.3 0.4
10명 10 250 3.0 4.6
비해당 0 2,869 34.5
8,327
100.0 100.0
문14. 외래진료 시 선택진료 의사와의 면담을 통한 진료 시간은 어느 정도나 되었습니까?
문15. 만약 전체 의사를 10명으로 가정할 경우 적정한 선택진료 의사는 어느 정도라고 생각
하십니까?
q16 의료현장에서 선택진료 운영시 환자의 의사선택권 보장정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잘 보장된다 1 167 2.0 3.1
대체로 보장된다 2 1,301 15.6 23.8
별로 보장되지 않는다 3 2,642 31.7 48.4
전혀 보장되지 않는다 4 820 9.9 15.0
잘 모르겠다 5 527 6.3 9.7
비해당 0 2,869 34.5
8,327
100.0 100.0
q17 선택진료 폐지에 대한 생각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적극 찬성한다 1 1,643 19.7 30.1
대체로 찬성한다 2 2,249 27.0 41.2
대체로 반대한다 3 649 7.8 11.9
적극 반대한다 4 172 2.1 3.1
잘 모르겠다 5 745 8.9 13.7
비해당 0 2,869 34.5
8,327
100.0 100.0
q18 선택진료를 폐지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주된 이유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과다 진료비 발생 때문에 1 1,760 21.1 45.2
선택한 진료에 대해 만족스럽지 않기 때문에 2 1,181 14.2 30.3 불가피하게 선택진료를 할 수밖에 없는 중증질환
이 많기 때문에 3 831 10.0 21.4
무응답 99 120 1.4 3.1
비해당 0 4,435 53.3
8,327
100.0 100.0
문16. 의료현장에서 선택진료 운영에 있어서 환자의 의사선택권이 어느 정도 보장되고 있다 고 생각하십니까?
문17. 최근 보건복지부를 중심으로 선택진료 폐지에 관한 논의가 진행 중입니다. 선택진료 폐지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문18. 선택진료를 폐지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주된 이유는 무엇입니까?
q18_1 선택진료를 폐지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주된 이유: 기타
==> 데이터 참조
sex 응답자 성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남 1 4,675 56.1 56.1
여 2 3,652 43.9 43.9
8,327
100.0 100.0
age 응답자 연령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20대 4 653 7.8 7.8
30대 5 1,846 22.2 22.2
40대 6 1,799 21.6 21.6
50대 7 1,797 21.6 21.6
60대 이상 8 2,232 26.8 26.8
8,327
100.0 100.0
education 응답자 학력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초등학교 재학 1 53 0.6 0.6
초등학교 졸업 2 480 5.8 5.8
중학교 재학 3 19 0.2 0.2
중학교 졸업 4 1,101 13.2 13.2
고등학교 재학 5 68 0.8 0.8
고등학교 졸업 6 3,492 41.9 41.9
대학(전문대) 재학 7 93 1.1 1.1
대학(전문대) 졸업 8 404 4.8 4.8
대학(4년제) 재학 9 302 3.6 3.6
대학(4년제) 졸업 10 1,768 21.2 21.2
대학원 석사 재학 11 55 0.7 0.7
대학원 석사 졸업 12 262 3.1 3.1
대학원 박사 재학 13 6 0.1 0.1
대학원 박사 졸업 14 49 0.6 0.6
무응답 99 175 2.1 2.1
8,327
100.0 100.0
문18. 선택진료를 폐지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주된 이유는 무엇입니까?
: 기타
occupation 응답자 직업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회사원 1 1,738 20.9 20.9
자영업 2 775 9.3 9.3
고등학생 5 2 0.0 0.0
대학생 6 328 3.9 3.9
대학원생 7 35 0.4 0.4
전업주부 8 1,590 19.1 19.1
공무원 9 73 0.9 0.9
교직자 10 121 1.4 1.4
전문직 11 304 3.6 3.6
의료인 12 35 0.4 0.4
법조인 13 2 0.0 0.0
종교인 14 27 0.3 0.3
언론인 15 43 0.5 0.5
농/축/수산/임업 16 299 3.6 3.6
금융/증권/보험 17 111 1.3 1.3
유통 18 42 0.5 0.5
정보통신 19 51 0.6 0.6
건설 20 121 1.5 1.5
제조 21 125 1.5 1.5
서비스 22 376 4.5 4.5
스포츠 23 2 0.0 0.0
군인 24 2 0.0 0.0
방송인 25 17 0.2 0.2
예술가 26 64 0.8 0.8
부동산 27 28 0.3 0.3
운송 28 125 1.5 1.5
일용직 29 262 3.1 3.1
무직 30 811 9.7 9.7
무응답 99 818 9.8 9.8
8,327
100.0 100.0
income1 월평균 소득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모름 0 511 6.1 6.1
0~100만원 미만 1 948 11.4 11.4
100~200만원 미만 2 1,518 18.2 18.2
200~300만원 미만 3 1,790 21.5 21.5
300~400만원 미만 4 1,492 17.9 17.9
400~500만원 미만 5 989 11.9 11.9
500~600만원 미만 6 394 4.7 4.7
600~700만원 미만 7 252 3.0 3.0
700~800만원 미만 8 165 2.0 2.0
800만원 이상 9 268 3.2 3.2
8,327
100.0 100.0
income2 월평균 가구소득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00만원 미만 1 1,327 15.9 15.9
100-150만원 미만 100 787 9.4 9.4
150-200만원 미만 150 1,010 12.1 12.1
200-300만원 미만 200 1,904 22.9 22.9
300-500만원 미만 300 2,180 26.2 26.2
500-800만원 미만 500 790 9.5 9.5
800-1000만원 미만 800 205 2.5 2.5
1000만원 이상 1000 124 1.5 1.5
8,327
100.0 100.0
area 조사지역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서울 1 1,924 23.1 23.1
부산 2 855 10.3 10.3
인천 3 386 4.6 4.6
대구 4 401 4.8 4.8
광주 5 107 1.3 1.3
대전 6 230 2.8 2.8
울산 7 143 1.7 1.7
경기 8 1,727 20.7 20.7
강원 9 251 3.0 3.0
충북 10 311 3.7 3.7
충남 11 452 5.4 5.4
전북 12 165 2.0 2.0
전남 13 420 5.0 5.0
경북 14 455 5.5 5.5
경남 15 436 5.2 5.2
제주 16 30 0.4 0.4
무응답 99 34 0.4 0.4
8,327
100.0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