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 BOOK
자료번호 A1-2009-0169
연구책임자 조태준, 황혜신 연구수행기관 한국행정연구원
조사년도 2009년
자료서비스기관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자료공개년도 2014년
코드북 제작년도 2014년
출처는 자료명이 최초로 언급되는 부분이나 참고문헌 목록에 명시할 수 있습니다.
자료를 이용, 참고,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조태준․황혜신 . 2009. 정부부처 통합 효과에 관한 조사 , 2009 . 연구수행기 관 : 한국행정연구원 . 자료서비스기관 : 한국사회과학자료원 . 자료공개년도 : 2014 년 . 자료번호 : A1-2009-0169.
코드북을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한국사회과학자료원. 2014. 정부부처 통합 효과에 관한 조사, 2009 CODE
BOOK . pp. 1-20.
이 자료의 코드북에 대한 모든 권한은 KOSSDA에 있으며 KOSSDA의 사
전허가 없이 복제, 송신, 출판, 배포할 수 없습니다.
Ministry
응답자 소속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지식경제부 1 52 21.0 21.0
문화관광부 2 79 31.9 31.9
교육과학기술부 3 46 18.5 18.5
행정안전부 4 71 28.6 28.6
248
100.0 100.0
MV1
부처통합 이후 미션 및 비전 융합관리1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12 4.8 4.8
그렇지 않다 2 77 31.0 31.0
보통이다 3 98 39.5 39.5
그렇다 4 57 23.0 23.0
매우 그렇다 5 4 1.6 1.6
248
100.0 100.0
MV2
부처통합 이후 미션 및 비전 융합관리2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15 6.0 6.0
그렇지 않다 2 76 30.6 30.6
보통이다 3 111 44.8 44.8
그렇다 4 39 15.7 15.7
매우 그렇다 5 7 2.8 2.8
248
100.0 100.0 1. 미션 및 비전 융합 관리
1-1. 부처통합 이후에 조직의 미션ᆞ비전 융합관리 제도의 수행과정에 대해 여러분들이 실제 느 끼고 있는 인식에 대한 질문입니다. 귀하가 생각하는 정도에 체크해 주시기 바랍니다.
(1) 통합조직의 미션ᆞ비전이 직원들 간에 충분히 알려지고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2) 통합조직의 미션ᆞ비전이 직원들을 결속시켜 갈등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MV3
부처통합 이후 미션 및 비전 융합관리3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12 4.8 4.8
그렇지 않다 2 73 29.4 29.4
보통이다 3 93 37.5 37.5
그렇다 4 63 25.4 25.4
매우 그렇다 5 7 2.8 2.8
248
100.0 100.0
MV4
부처통합 이후 미션 및 비전 융합관리4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9 3.6 3.6
그렇지 않다 2 67 27.0 27.0
보통이다 3 118 47.6 47.6
그렇다 4 47 19.0 19.0
매우 그렇다 5 7 2.8 2.8
248
100.0 100.0
OC1
조직문화 융합관리 제도 수행과정1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6 2.4 2.4
그렇지 않다 2 77 31.0 31.0
보통이다 3 112 45.2 45.2
그렇다 4 49 19.8 19.8
매우 그렇다 5 4 1.6 1.6
248
100.0 100.0 (3) 통합조직이 설정한 미션ᆞ비전이 조직의 방향성을 잘 제시해 주고 있다고 생각한다.
(4) 통합조직이 제시하고 있는 전략적 우선순위가 합리적이라고 생각한다.
2. 조직문화 융합 관리
1-2. 부처통합 이후에 조직이 시행하고 있는 조직문화 융합관리 제도의 수행과정에 대해 여러분 들이 실제 느끼고 있는 인식에 대한 질문입니다. 귀하가 생각하는 정도에 체크해 주시기 바랍니다.
(5) 통합과정에서 도출된 갈등이나 불만의 접수 및 처리가 공정하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느낀다.
OC2
조직문화 융합관리 제도 수행과정2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2 0.8 0.8
그렇지 않다 2 92 37.1 37.1
보통이다 3 102 41.1 41.1
그렇다 4 45 18.1 18.1
매우 그렇다 5 7 2.8 2.8
248
100.0 100.0
OC3
조직문화 융합관리 제도 수행과정3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9 3.6 3.6
그렇지 않다 2 89 35.9 35.9
보통이다 3 99 39.9 39.9
그렇다 4 45 18.1 18.1
매우 그렇다 5 6 2.4 2.4
248
100.0 100.0
OC4
조직문화 융합관리 제도 수행과정4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15 6.0 6.0
그렇지 않다 2 86 34.7 34.7
보통이다 3 89 35.9 35.9
그렇다 4 54 21.8 21.8
매우 그렇다 5 4 1.6 1.6
248
100.0 100.0 (7) 통합된 조직을 위한 조직융합교육은 실질적/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8) 통합과정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된 직원들에 대해 조직이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것 같다 (6) 통합과정의 문제점에 대한 직원들의 다양한 제안과 의견들이 실제 조직 운영에 반영되고 있 다.
PP1
인사융합관리 수행과정1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12 4.8 4.8
그렇지 않다 2 60 24.2 24.2
보통이다 3 112 45.2 45.2
그렇다 4 56 22.6 22.6
매우 그렇다 5 8 3.2 3.2
248
100.0 100.0
PP2
인사융합관리 수행과정2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6 2.4 2.4
그렇지 않다 2 63 25.4 25.4
보통이다 3 99 39.9 39.9
그렇다 4 70 28.2 28.2
매우 그렇다 5 10 4.0 4.0
248
100.0 100.0
PP3
인사융합관리 수행과정3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10 4.0 4.0
그렇지 않다 2 78 31.5 31.5
보통이다 3 103 41.5 41.5
그렇다 4 48 19.4 19.4
매우 그렇다 5 9 3.6 3.6
248
100.0 100.0 3. 인사 융합관리
1-3. 부처통합 이후에 조직이 시행하고 있는 인사융합관리의 수행과정에 대해 여러분들이 실제 느끼고 있는 인식에 대한 질문입니다. 귀하가 생각하는 정도에 체크해 주시기 바랍니다.
(9) 통합된 조직구성원에 대한 인사고과는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10) 통합과정에서 상대적으로 피해를 보는 특정부처 출신 직원들의 인사문제에 조직이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11) 통합 후, 승진기준 및 인사평가관리에 대한 신뢰할만한 기준과 절차가 명확히 제시되고 있 다.
PP4
인사융합관리 수행과정4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13 5.2 5.2
그렇지 않다 2 77 31.0 31.0
보통이다 3 108 43.5 43.5
그렇다 4 42 16.9 16.9
매우 그렇다 5 8 3.2 3.2
248
100.0 100.0
FU1
조직의 기능상 변화1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3 1.2 1.2
그렇지 않다 2 57 23.0 23.0
보통이다 3 98 39.5 39.5
그렇다 4 80 32.3 32.3
매우 그렇다 5 10 4.0 4.0
248
100.0 100.0
FU2
조직의 기능상 변화2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3 1.2 1.2
그렇지 않다 2 40 16.1 16.1
보통이다 3 117 47.2 47.2
그렇다 4 82 33.1 33.1
매우 그렇다 5 6 2.4 2.4
248
100.0 100.0 4. 기능 융합관리
1-4. 부처통합 이후에 여러분들이 현재 조직의 기능상 변화에 대해 느끼고 있는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질문입니다. 귀하가 생각하는 정도에 체크해 주시기 바랍니다.
(13) 업무 과정에서 과거 조직의 기능과 현재 통합 조직의 기능이 충돌하지 않는다.
(14) 조직통합으로 인한 업무오류 및 실수는 적은 편이다.
(12) 통합조직의 인사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프로그램이 도입되었고,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FU3
조직의 기능상 변화3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5 2.0 2.0
그렇지 않다 2 60 24.2 24.2
보통이다 3 87 35.1 35.1
그렇다 4 83 33.5 33.5
매우 그렇다 5 13 5.2 5.2
248
100.0 100.0
FU4
조직의 기능상 변화4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6 2.4 2.4
그렇지 않다 2 65 26.2 26.2
보통이다 3 102 41.1 41.1
그렇다 4 69 27.8 27.8
매우 그렇다 5 6 2.4 2.4
248
100.0 100.0
PE1
성과 융합관리 제도의 수행과정1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3 1.2 1.2
그렇지 않다 2 59 23.8 23.8
보통이다 3 122 49.2 49.2
그렇다 4 57 23.0 23.0
매우 그렇다 5 7 2.8 2.8
248
100.0 100.0 (15) 통합 부처에서 내부 조직간 기능 중복이 없다.
(16) 통합 후, 내부 업무 분장 등 조직업무 절차들이 새로이 명확하게 제시되었다.
5. 성과 융합 관리
1-5. 부처통합 이후에 조직이 시행하고 있는 성과 융합관리 제도의 수행과정에 대해 여러분들이 실제 느끼고 있는 인식에 대한 질문입니다. 귀하가 생각하는 정도에 체크해 주시기 바랍니다.
(17) 통합조직의 성과목표가 조직의 미션ᆞ비전과 잘 연계되었다고 생각한다.
PE2
성과 융합관리 제도의 수행과정2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4 1.6 1.6
그렇지 않다 2 70 28.2 28.2
보통이다 3 111 44.8 44.8
그렇다 4 55 22.2 22.2
매우 그렇다 5 8 3.2 3.2
248
100.0 100.0
PE3
성과 융합관리 제도의 수행과정3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6 2.4 2.4
그렇지 않다 2 69 27.8 27.8
보통이다 3 114 46.0 46.0
그렇다 4 49 19.8 19.8
매우 그렇다 5 10 4.0 4.0
248
100.0 100.0
PE4
성과 융합관리 제도의 수행과정4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3 1.2 1.2
그렇지 않다 2 56 22.6 22.6
보통이다 3 123 49.6 49.6
그렇다 4 58 23.4 23.4
매우 그렇다 5 8 3.2 3.2
248
100.0 100.0 (19) 통합조직의 조직융합관리평가가 성과평가에 제도적으로 반영되고 있다고 생각한다.
(20) 성과관리제도를 통해 우리 조직이 수행해야할 목표와 측정지표, 그리고 달성수준 등을 이해 하게 되었다.
(18) 통합조직의 성과목표와 과제가 조직구성원의 참여와 의견 수렴을 통해 설정되었다고 생각한 다.
SA1
조직만족도1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9 3.6 3.6
그렇지 않다 2 50 20.2 20.2
보통이다 3 108 43.5 43.5
그렇다 4 73 29.4 29.4
매우 그렇다 5 8 3.2 3.2
248
100.0 100.0
SA2
조직만족도2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17 6.9 6.9
그렇지 않다 2 73 29.4 29.4
보통이다 3 103 41.5 41.5
그렇다 4 46 18.5 18.5
매우 그렇다 5 9 3.6 3.6
248
100.0 100.0
SA3
조직만족도3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12 4.8 4.8
그렇지 않다 2 80 32.3 32.3
보통이다 3 111 44.8 44.8
그렇다 4 39 15.7 15.7
매우 그렇다 5 6 2.4 2.4
248
100.0 100.0 1. 조직 만족
2-1. 부처통합 이후에 여러분들이 현재의 조직에 대한 만족도의 변화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 한 질문입니다. 귀하가 생각하는 정도에 체크해 주시기 바랍니다.
(21) 통합 후, 조직이 수행하는 정책(업무)에 만족한다.
(22) 조직에 근무하는 대부분의 직원들이 통합된 조직에 만족하는 것 같다.
(23) 통합 후, 직무상 내가 해야 하는 업무에 대해 보다 더 만족하게 되었다.
SA4
조직만족도4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18 7.3 7.3
그렇지 않다 2 69 27.8 27.8
보통이다 3 108 43.5 43.5
그렇다 4 47 19.0 19.0
매우 그렇다 5 6 2.4 2.4
248
100.0 100.0
SA5
조직만족도5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10 4.0 4.0
그렇지 않다 2 58 23.4 23.4
보통이다 3 109 44.0 44.0
그렇다 4 62 25.0 25.0
매우 그렇다 5 9 3.6 3.6
248
100.0 100.0
CM1
조직몰입도1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7 2.8 2.8
그렇지 않다 2 57 23.0 23.0
보통이다 3 115 46.4 46.4
그렇다 4 59 23.8 23.8
매우 그렇다 5 10 4.0 4.0
248
100.0 100.0 (25) 통합 후, 조직구성원 간 관계가 협조적이라 생각한다.
2. 조직 몰입
2-2. 부처통합 이후에 여러분들이 현재의 조직에 대해 느끼고 있는 몰입도를 알아보기 위한 질문 입니다. 귀하가 생각하는 정도에 체크해 주시기 바랍니다.
(26) 통합된 조직에 대해 강한 소속감을 느끼고 있다.
(24) 조직구성원 간 통합의 유용성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었다고 생각한다.
CM2
조직몰입도2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12 4.8 4.8
그렇지 않다 2 54 21.8 21.8
보통이다 3 111 44.8 44.8
그렇다 4 60 24.2 24.2
매우 그렇다 5 11 4.4 4.4
248
100.0 100.0
CM3
조직몰입도3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10 4.0 4.0
그렇지 않다 2 45 18.1 18.1
보통이다 3 106 42.7 42.7
그렇다 4 76 30.6 30.6
매우 그렇다 5 11 4.4 4.4
248
100.0 100.0
CM4
조직몰입도4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5 2.0 2.0
그렇지 않다 2 42 16.9 16.9
보통이다 3 115 46.4 46.4
그렇다 4 74 29.8 29.8
매우 그렇다 5 12 4.8 4.8
248
100.0 100.0 (28) 통합된 조직에서 장기간 근무를 계속하고 싶다.
(27) 통합된 조직은 나에게 개인적으로 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29) 통합된 조직의 문제가 내 문제처럼 느껴진다.
CO1
비용절감수준 평가1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13 5.2 5.2
그렇지 않다 2 81 32.7 32.7
보통이다 3 122 49.2 49.2
그렇다 4 28 11.3 11.3
매우 그렇다 5 4 1.6 1.6
248
100.0 100.0
CO2
비용절감수준 평가2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11 4.4 4.4
그렇지 않다 2 76 30.6 30.6
보통이다 3 123 49.6 49.6
그렇다 4 32 12.9 12.9
매우 그렇다 5 6 2.4 2.4
248
100.0 100.0
CO3
비용절감수준 평가3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8 3.2 3.2
그렇지 않다 2 59 23.8 23.8
보통이다 3 137 55.2 55.2
그렇다 4 38 15.3 15.3
매우 그렇다 5 6 2.4 2.4
248
100.0 100.0 (31) 통합 이전보다 회의 횟수가 감소하였다.
(32) 통합 이전보다 타 부처와의 협의 횟수가 감소하였다.
3. 비용 절감
2-3. 부처통합 이후의 귀하가 속한 조직의 비용절감 수준을 전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한 질문입니 다. 귀하의 조직의 상황에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정도에 체크해 주시기 바랍니다.
(30) 통합 이전보다 결재단계가 감소하였다.
CO4
비용절감수준 평가4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9 3.6 3.6
그렇지 않다 2 48 19.4 19.4
보통이다 3 131 52.8 52.8
그렇다 4 55 22.2 22.2
매우 그렇다 5 5 2.0 2.0
248
100.0 100.0
PO1
정책기능의 원활화1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5 2.0 2.0
그렇지 않다 2 76 30.6 30.6
보통이다 3 105 42.3 42.3
그렇다 4 53 21.4 21.4
매우 그렇다 5 9 3.6 3.6
248
100.0 100.0
PO2
정책기능의 원활화2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4 1.6 1.6
그렇지 않다 2 60 24.2 24.2
보통이다 3 122 49.2 49.2
그렇다 4 53 21.4 21.4
매우 그렇다 5 9 3.6 3.6
248
100.0 100.0 (33) 통합 이전보다 자료 획득이 용이하게 되었다.
4. 정책기능의 원활화
2-4. 부처통합 이후에 여러분들이 현재의 조직의 정책기능 원활화 정도에 대해 느끼고 있는 인식 을 알아보기 위한 질문입니다. 귀하가 생각하는 정도에 체크해 주시기 바랍니다.
(34) 통합 후, 통합 이전 다른 부처와의 기능중복 문제가 해결되었다.
(35) 통합 후, 조직 관리와 업무 수행에 소요되는 비용이 감소하게 되었다.
PO3
정책기능의 원활화3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5 2.0 2.0
그렇지 않다 2 63 25.4 25.4
보통이다 3 126 50.8 50.8
그렇다 4 45 18.1 18.1
매우 그렇다 5 9 3.6 3.6
248
100.0 100.0
PO4
정책기능의 원활화4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13 5.2 5.2
그렇지 않다 2 66 26.6 26.6
보통이다 3 125 50.4 50.4
그렇다 4 36 14.5 14.5
매우 그렇다 5 8 3.2 3.2
248
100.0 100.0
PO5
정책기능의 원활화5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9 3.6 3.6
그렇지 않다 2 70 28.2 28.2
보통이다 3 123 49.6 49.6
그렇다 4 41 16.5 16.5
매우 그렇다 5 5 2.0 2.0
248
100.0 100.0 (37) 통합 후, 직원 개개인이 수행하는 직무의 질이 보다 높아지게 되었다.
(38) 통합 후, 이전에 비해 업무처리 기간이 단축되었다.
(36) 통합 후, 보다 효율적인 정책 결정이 가능하게 되었다.
AA1
통합전에 관련 기관들의 관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원 소속기관이 매우 약체 1 8 3.2 3.2
원 소속기관이 약간 약세 2 30 12.1 12.1
통합기관들이 대등 3 123 49.6 49.6
원 소속기관이 약간 우월 4 69 27.8 27.8
원 소속기관이 매우 우월 5 18 7.3 7.3
248
100.0 100.0
AA2
통합후에 관련 기관들의 관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원 소속기관이 매우 약체 1 14 5.6 5.6
원 소속기관이 약간 약세 2 38 15.3 15.3
통합기관들이 대등 3 109 44.0 44.0
원 소속기관이 약간 우월 4 68 27.4 27.4
원 소속기관이 매우 우월 5 19 7.7 7.7
248
100.0 100.0
AB1
통합후 조직의 정책과정 변화1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2 0.8 0.8
그렇지 않다 2 45 18.1 18.1
보통이다 3 147 59.3 59.3
그렇다 4 47 19.0 19.0
매우 그렇다 5 7 2.8 2.8
248
100.0 100.0 3-1. 부처통합 전ᆞ후의 통합된 기관들의 관계의 변화에 관한 설문입니다. 귀하의 조직 상황에 가 장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답에 체크해 주시기 바랍니다.
(39) 통합 이전에는 통합과 관련된 기관들의 관계가 다음 중 어떤 것이었습니까?
(40) 통합 이후 예전 기관들의 관계가 어떻게 변하였다고 생각하십니까?
3-2. 부처통합 이후의 귀하가 속한 조직의 정책과정과 이전 부처 공무원과의 관계의 변화를 알아 보기 위한 질문입니다. 귀하의 조직의 상황에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정도에 체크해 주시기 바 랍니다.
(41) 통합 이전보다 정책대안 수립이 용이하게 되었다.
AB2
통합후 조직의 정책과정 변화2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그렇지 않다 2 47 19.0 19.0
보통이다 3 148 59.7 59.7
그렇다 4 48 19.4 19.4
매우 그렇다 5 5 2.0 2.0
248
100.0 100.0
AB3
통합후 조직의 정책과정 변화3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2 0.8 0.8
그렇지 않다 2 43 17.3 17.3
보통이다 3 133 53.6 53.6
그렇다 4 63 25.4 25.4
매우 그렇다 5 7 2.8 2.8
248
100.0 100.0
AB4
통합후 조직의 정책과정 변화4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2 0.8 0.8
그렇지 않다 2 48 19.4 19.4
보통이다 3 150 60.5 60.5
그렇다 4 40 16.1 16.1
매우 그렇다 5 8 3.2 3.2
248
100.0 100.0 (43) 통합 이전보다 정책 집행이 용이하게 되었다.
(44) 통합 이전보다 국민의 정책 수용도가 증가하였다.
(42) 통합 이전보다 정책의 법제화가 용이하게 되었다.
AB5
통합후 조직의 정책과정 변화5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3 1.2 1.2
그렇지 않다 2 52 21.0 21.0
보통이다 3 143 57.7 57.7
그렇다 4 43 17.3 17.3
매우 그렇다 5 7 2.8 2.8
248
100.0 100.0
AC1
통합후 조직성과 향상성 변화1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그렇지 않다 2 42 16.9 16.9
보통이다 3 128 51.6 51.6
그렇다 4 74 29.8 29.8
매우 그렇다 5 4 1.6 1.6
248
100.0 100.0
AC2
통합후 조직성과 향상성 변화2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그렇지 않다 2 31 12.5 12.5
보통이다 3 104 41.9 41.9
그렇다 4 104 41.9 41.9
매우 그렇다 5 9 3.6 3.6
248
100.0 100.0 (45) 통합 이전보다 이전의 다른 부처 공무원과의 관계가 개선되었다.
3-3. 부처통합 이후에 귀하가 인식하는 조직성과 향상 여부를 알아보기 위한 질문입니다. 귀하가 생각하는 정도에 체크해 주시기 바랍니다.
(46) 우리 부처는 효율성 제고를 위해 직원이 지니고 있는 지식과 기술을 잘 활용한다.
(47) 우리 부처는 조직 관리와 업무수행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이려 노력한다.
AC3
통합후 조직성과 향상성 변화3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7 2.8 2.8
그렇지 않다 2 43 17.3 17.3
보통이다 3 128 51.6 51.6
그렇다 4 64 25.8 25.8
매우 그렇다 5 6 2.4 2.4
248
100.0 100.0
AC4
통합후 조직성과 향상성 변화4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6 2.4 2.4
그렇지 않다 2 54 21.8 21.8
보통이다 3 118 47.6 47.6
그렇다 4 61 24.6 24.6
매우 그렇다 5 9 3.6 3.6
248
100.0 100.0
AC5
통합후 조직성과 향상성 변화5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6 2.4 2.4
그렇지 않다 2 52 21.0 21.0
보통이다 3 106 42.7 42.7
그렇다 4 76 30.6 30.6
매우 그렇다 5 8 3.2 3.2
248
100.0 100.0 (49) 우리 부처는 인사관리에 있어 공평하고 평등한 처우를 제공한다.
(50) 우리 부처 내 직원들은 지위와 직급 등에 구애받지 않고 공평하게 서로 존경을 받는다.
(48) 통합 후, 우리 부처의 생산성은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AD1
통합되기 위한 필요 시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년미만 1 6 2.4 2.4
1년이상 3년미만 2 61 24.6 24.6
3년이상 5년미만 3 69 27.8 27.8
5년이상 4 83 33.5 33.5
장기간이어도 통합이 어려움 5 28 11.3 11.3
무응답 9 1 0.4 0.4
248
100.0 100.0
sex
응답자 성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남자 1 170 68.5 68.5
여자 2 77 31.0 31.0
무응답 9 1 0.4 0.4
248
100.0 100.0
gra
응답자 직급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8-9급 1 18 7.3 7.3
6-7급 2 132 53.2 53.2
4-5급 3 96 38.7 38.7
무응답 9 2 0.8 0.8
248
100.0 100.0 3-4. 실질적으로 양 기관이 통합되기 위해 어느 정도 기간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시는지를 알아보 기 위한 질문입니다. 귀하가 생각하는 답에 체크해 주시기 바랍니다.
(51) 실질적으로 양 기관이 통합되기 위해 어느 정도 시간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4-1. 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
4-2. 귀하의 현재 직급은?
age
응답자 연령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25세미만 1 1 0.4 0.4
26-30세 2 37 14.9 14.9
31-40세 3 122 49.2 49.2
41-50세 4 77 31.0 31.0
51세이상 5 10 4.0 4.0
무응답 9 1 0.4 0.4
248
100.0 100.0
edu
응답자 학력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문대학졸 1 9 3.6 3.6
대학교졸 2 161 64.9 64.9
대학원(석사)졸 3 62 25.0 25.0
대학원(박사)졸 4 8 3.2 3.2
기타 5 5 2.0 2.0
무응답 9 3 1.2 1.2
248
100.0 100.0
ten
응답자 재직기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5년미만 1 81 32.7 32.7
5-10년 2 63 25.4 25.4
11-15년 3 39 15.7 15.7
16-20년 4 29 11.7 11.7
21년이상 5 35 14.1 14.1
무응답 9 1 0.4 0.4
248
100.0 100.0 4-4. 귀하의 학력은?
4-5. 귀하의 재직기간은?
4-3. 귀하의 연령은?
before
통합이전 소속기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무응답/비해당 40 16.1 16.1
과학기술부 23 9.3 9.3
교육인적자원부 25 10.1 10.1
국정홍보처 18 7.3 7.3
문화관광부 42 16.9 16.9
비상기획위원회 1 0.4 0.4
산자 31 12.5 12.5
재경 1 0.4 0.4
정보통신부 8 3.2 3.2
중앙부처 1 0.4 0.4
중앙인사위원회 6 2.4 2.4
지경 2 0.8 0.8
행안부 4 1.6 1.6
행자부 46 18.5 18.5
248
100.0 100.0
cate
소속부서 업무의 성격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관리/기획부서 1 98 39.5 39.5
사업/집행부서 2 111 44.8 44.8
연구/지원부서 3 26 10.5 10.5
기타 4 6 2.4 2.4
무응답 9 7 2.8 2.8
248
100.0 100.0 4-6. 귀하의 통합 이전의 소속 기관은?
4-7. 귀하의 현재 소속부서 주요 업무의 성격은?